KR102404482B1 -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 - Google Patents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482B1
KR102404482B1 KR1020200058879A KR20200058879A KR102404482B1 KR 102404482 B1 KR102404482 B1 KR 102404482B1 KR 1020200058879 A KR1020200058879 A KR 1020200058879A KR 20200058879 A KR20200058879 A KR 20200058879A KR 102404482 B1 KR102404482 B1 KR 102404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llection
needle
needle support
vacuum
vacuum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2267A (ko
Inventor
권영일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8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48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61B5/154Devices using pre-evacuated means
    • A61B5/1545Devices using pre-evacuated means 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vein or arterial en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3Source of blood for venous or arter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61B5/150519Details of construction of hub, i.e. element used to attach the single-ended needle to a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32Needle holders, for instance for holding the needle by the hub, used for example with double-ended needle and pre-evacuated tu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채혈용기와 결합되어 사용됨에 따라 진공채혈용기 내부의 진공압으로 인해 혈액이 비교적 일정한 속도로 그리고 정확한 용량으로 채혈 가능하고 채혈 직후에 혈액이 진공채혈용기 내로 바로 분리 보관될 수 있으며, 투시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고 채혈바늘이 결합된 제 1 바늘지지체와 진공채혈바늘이 결합된 제 2 바늘지지체가 각각 분리형성되되 상호 결합시에 채혈바늘과 진공채혈바늘 사이에 혈액 충전이 가능한 채혈확인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채혈바늘이 혈관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가 육안으로 즉시 확인될 수 있도록 한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는 투시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고 내부에는 제 1 공간부가 후방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1 바늘지지체와, 상기 제 1 바늘지지체의 전방 단부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채혈바늘과, 상기 제 1 바늘지지체의 후방측에 전방측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 1 바늘지지체와의 결합시에 상기 제 1 공간부와 연통되면서 채혈확인공간을 이루는 제 2 공간부가 전방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2 바늘지지체와, 상기 제 2 바늘지지체의 후방 단부에 관통결합되고 진공채혈용기 내로 삽입가능한 진공채혈바늘과, 상기 제 2 바늘지지체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진공채혈바늘 중 상기 제 2 바늘지지체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둘러싸는 튜브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Vacuum blood-gethering apparatus checkable for blood-gathering easily}
본 발명은 인체로부터 질병 진단을 위한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기 위한 채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채혈용기와 결합되어 사용됨에 따라 진공채혈용기 내부의 진공압으로 인해 혈액이 비교적 일정한 속도로 그리고 정확한 용량으로 채혈 가능하고 채혈 직후에 혈액이 진공채혈용기 내로 바로 분리 보관될 수 있으며, 투시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고 채혈바늘이 결합된 제 1 바늘지지체와 진공채혈바늘이 결합된 제 2 바늘지지체가 각각 분리형성되되 상호 결합시에 채혈바늘과 진공채혈바늘 사이에 혈액 충전이 가능한 채혈확인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채혈바늘이 혈관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가 육안으로 즉시 확인될 수 있도록 한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의학기술이 발전되면서 혈액검사를 통해 각종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도 상당히 발달함에 따라, 각종 질병의 진단에 앞서 혈액검사가 매우 빈번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혈액검사는 혈청 생화학검사, 혈청 면역검사, 혈구검사 등을 포함하는데, 질병의 진단은 주로 혈청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혈액검사에 필요한 혈청은 혈액으로부터 얻어지며, 이러한 혈액은 채혈장치에 의하여 인체로부터 얻어진다.
또한 인체로부터 채혈된 혈액은 원심분리기에 의해 혈구와 피브린의 혼합물로 된 겔상의 응혈과 혈청으로 분리되며, 검사자는 혈액으로부터 혈청만을 분리하여 질병진단을 위한 검사를 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채혈은 전통적으로 간호사 또는 임상병리사가 환자로부터 일반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혈한 후 주사기 내의 혈액을 예를 들어 원통 플라스크 형태의 채혈용기에 담고 마개를 막아 차후 검사를 위해 보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방식은 주사기로 채혈한 혈액을 채혈용기에 담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채혈 중 주사기 압력에 의해 혈액 내 성분이 파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간호사나 임상병리사 등이 주사기 내부로 유입되는 채혈 양을 빈번히 확인하여야만 하고 채혈량 또한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일반주사기를 이용한 채혈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채혈된 혈액이 진공압을 통해 진공채혈용기 내로 분리저장 가능한 진공채혈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진공채혈장치는 전방부에 채혈바늘이 장착되고 후방에는 예를 들어 원통 플라스크 형태의 진공채혈용기에 삽입되는 진공채혈바늘이 혈액의 역류방지를 위한 튜브캡이 씌워진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진공채혈바늘이 튜브캡을 ?고 나오면서 진공채혈용기 내로 삽입될 경우에 진공채혈용기 내부의 진공압으로 인해 일정한 속도로 채혈됨과 동시에 진공압에 따라 정확한 용량의 혈액이 채혈될 수 있으며, 채혈 직후 혈액을 바로 분리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진공채혈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84795호(2002.08.05. 공고)에는 고무마개의 홈에 채혈 시간을 맞추어 놓는 시간표시점을 형성하고, 시험관 외벽에는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라벨을 붙이고, 상기 시험관 내벽에는 실리콘 및 실리콘입자를 코팅시킨 진공채혈관; 및 상부 및 하부 바늘을 결합시켜 지지하는 플라스틱 지지체에 체내에 삽입되는 바늘 윗면을 알 수 있도록 바늘윗면표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플라스틱 지지체에 실린더와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바늘조립체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채혈기구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071791호(1992.12.24. 공고)에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플랜지에 결합된 상단캡을 관통하여 상호결합, 분리되도록 형성된 피스톤과 피스톤헤드 및 양단으로 주사바늘이 돌출된 주사바늘몸체로 구성되는 주사기와, 상기 주사기의 실린더 선단외부에 씌워지는 형태의 홀더로 채혈용 주사기를 이루며, 상기 실린더는 내경상단에 걸림돌기가 돌설된 하방엔 선단부가 둥글게 형성된 다수의 안내홈이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둥글게 형성된 하방에 축방항으로 다수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중앙의 패킹압입공에 밀폐패킹이 압입설치되도록 선단부가 둥글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실린더의 선단부가 일치삽입되게 축방향으로 다수의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그 선단에 주사바늘삽입공이 천공된 바늘끼움구를 돌출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채혈용 주사기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101068호(2009.09.24. 공개)에는 실린더 몸체와, 상기 실린더 몸체의 전방으로부터 끼워지며, 실린더 몸체의 앞쪽을 향하는 외측주사바늘과 실린더 몸체의 내측을 향하는 내측주사바늘을 갖는 채혈용 주사바늘과, 실린더 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측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복수의 탄성걸림편과, 상기 채혈용 주사바늘과 나선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탄성걸림편에 의해 실린더 몸체의 내측 전단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주사바늘 고정구와,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탄성걸림편을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주사바늘 고정구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주사바늘 고정구가 해제될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하는 주사바늘 고정구와 채혈용 주사바늘이 수용되는 안전커버와, 상기 안전커버가 실린더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돌출되어 실린더 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안전커버의 외측면을 단계적으로 밀착시키는 단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진공 채혈주사기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8750호(2008.11.13. 공고)에는 선단부에 니들 체결공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어댑터와, 상기 니들 체결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니들과, 상기 어댑터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니들을 통해 유입된 혈액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채혈관과, 상기 채혈관의 선단부에 끼워져 밀폐시키고, 상기 어댑터 내부에서 혈액이 상기 채혈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니들이 관통되는 밀폐 마개와, 상기 채혈관 내부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상기 채혈관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을 상기 채혈관의 후단부쪽으로 당겨 상기 채혈관 내부에 채혈시 필요한 진공압을 형성시키는 로더로 구성된 채혈기를 포함하는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가 개시된다.
한편, 채혈장치를 이용한 채혈 시에 채혈바늘이 혈관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일반 주사기 형태의 채혈장치의 경우에는 채혈바늘이 혈관에 삽입될 때 혈관의 압력에 의해 채혈바늘몸체부와 주사기끼움부가 체결되는 연결부위까지 유입되는 혈액을 통해 확인 가능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진공채혈장치의 경우에는 채혈바늘과 진공채혈바늘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혈액의 유입을 통해 채혈바늘이 혈관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채혈바늘을 혈관에 삽입한 상태에서 실린지 내부에 구비된 진공채혈바늘이 진공채혈용기 내로 삽입되도록 하여 진공채혈용기 내에 혈액이 채혈되는 순간에야 비로소 채혈바늘이 정확하게 혈관에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공채혈용기 내에 혈액에 체혈되지 않을 경우에는 진공채혈용기를 제거한 후 다시 채혈바늘을 환자의 체내로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84795호(2002.08.05. 공고)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071791호(1992.12.24. 공고)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101068호(2009.09.24. 공개) 4.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8750호(2008.11.13.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진공채혈용기와 결합되어 사용됨에 따라 진공채혈용기 내부의 진공압으로 인해 혈액이 비교적 일정한 속도로 그리고 정확한 용량으로 채혈 가능하고 채혈 직후에 혈액이 진공채혈용기 내로 바로 분리 보관될 수 있으며, 투시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고 채혈바늘이 결합된 제 1 바늘지지체와 진공채혈바늘이 결합된 제 2 바늘지지체가 각각 분리형성되되 상호 결합시에 채혈바늘과 진공채혈바늘 사이에 혈액 충전이 가능한 채혈확인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채혈바늘이 혈관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가 육안으로 즉시 확인될 수 있도록 한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시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고 내부에는 제 1 공간부가 후방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1 바늘지지체와, 상기 제 1 바늘지지체의 전방 단부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채혈바늘과, 상기 제 1 바늘지지체의 후방측에 전방측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 1 바늘지지체와의 결합시에 상기 제 1 공간부와 연통되면서 채혈확인공간을 이루는 제 2 공간부가 전방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2 바늘지지체와, 상기 제 2 바늘지지체의 후방 단부에 관통결합되고 진공채혈용기 내로 삽입가능한 진공채혈바늘과, 상기 제 2 바늘지지체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진공채혈바늘 중 상기 제 2 바늘지지체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둘러싸는 튜브캡을 포함하는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바늘지지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바늘지지체의 양측에는 보강날개부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바늘지지체의 후방측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늘지지체의 전방측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 1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바늘지지체의 후방측 외주면에는 제 2 수나사부가 상기 제 1 수나사부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나사부에는 상기 제 1 바늘지지체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게 하고 내부에는 상기 진공채혈용기가 수용되는 파지고정부재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바늘지지체의 후방측에는 상기 진공채혈바늘 중 상기 제 2 바늘지지체 내로 유입된 부분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바늘보호부싱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에 의하면, 진공채혈용기와 결합되어 사용됨에 따라 진공채혈용기 내부의 진공압으로 인해 혈액이 비교적 일정한 속도로 그리고 정확한 용량으로 채혈 가능하고 채혈 직후에 혈액이 진공채혈용기 내로 바로 분리 보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에 의하면, 투시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고 채혈바늘이 결합된 제 1 바늘지지체와 진공채혈바늘이 결합된 제 2 바늘지지체가 각각 분리형성되되 상호 결합시에 채혈바늘과 진공채혈바늘 사이에 혈액 충전이 가능한 채혈확인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채혈바늘이 혈관에 삽입될 경우에 혈관의 압력에 의해 채혈확인공간으로 1차적으로 유입된 혈액이 투시 가능한 재질의 제 1 바늘지지체를 통해 확인 가능하므로, 채혈바늘이 혈관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가 채혈확인공간 내 혈액 투시여부에 의해 용이하면서도 즉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의 분해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의 채혈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의 진공채혈용기 결합상태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의 분해단면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의 채혈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의 진공채혈용기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는 투시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고 내부에는 제 1 공간부가 후방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1 바늘지지체와, 상기 제 1 바늘지지체의 전방 단부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채혈바늘과, 상기 제 1 바늘지지체의 후방측에 전방측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 1 바늘지지체와의 결합시에 상기 제 1 공간부와 연통되면서 채혈확인공간을 이루는 제 2 공간부가 전방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2 바늘지지체와, 상기 제 2 바늘지지체의 후방 단부에 관통결합되고 진공채혈용기 내로 삽입가능한 진공채혈바늘과, 상기 제 2 바늘지지체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진공채혈바늘 중 상기 제 2 바늘지지체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둘러싸는 튜브캡을 포함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의 각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바늘지지체(10)와, 채혈바늘(20)과, 제 2 바늘지지체(30)와, 진공채혈바늘(40)과, 튜브캡(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바늘지지체(10)는 차후에 설명될 채혈바늘(20)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허브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채혈바늘(20)이 혈관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채혈확인공간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내부로 유입된 혈액의 육안 확인이 용이하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 특히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제조된다.
제 1 바늘지지체(10)의 내부에는 제 1 공간부(11)가 후방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 1 공간부(11)는 차후에 설명될 제 2 바늘지지체(30)의 결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 2 바늘지지체(30)의 제 2 공간부(31)와 함께 채혈확인공간, 즉 채혈바늘(20)이 혈관에 삽입될 경우에 혈관 내의 혈액이 혈압에 의해 1차적으로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바늘지지체(10)의 양측에는 보강날개부(13)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보강날개부(13)는 제 1 바늘지지체(10)의 외주면 양측에 일종의 보강살 형태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제 1 바늘지지체(1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1 바늘지지체(10)의 후방측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5)가 형성된다. 암나사부(15)는 제 2 바늘지지체(30)의 전방측이 나사결합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도록 한다.
전술한 제 1 바늘지지체(10)의 전방 단부에는 채혈바늘(20)이 제 1 공간부(11)와 연통되게 결합된다.
채혈바늘(20)은 채혈 시에 실제 일정 각도로 피부 내로 침습되어 혈관 내로 삽입되는 침관에 해당되는 것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조되는 통상의 의료용 캐뉼러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채혈바늘(20)의 전방 단부는 피부 내로 침습 가능하게 날카롭게 커팅되고 채혈바늘(20)의 후방 단부는 예를 들어 의료용 접착제 등에 의해 제 1 바늘지지체(10)의 전방 단부에 접착 결합된다.
전술한 제 1 바늘지지체(10)의 후방측에는 제 2 바늘지지체(30)의 전방측이 결합된다.
제 2 바늘지지체(30)는 차후에 설명될 진공채혈바늘(40)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허브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채혈바늘(20)이 혈관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채혈확인공간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로 제조 가능하다.
제 2 바늘지지체(30)의 내부에는 제 2 공간부(31)가 전방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 2 공간부(31)는 제 1 바늘지지체(10)와의 결합시에 제 1 공간부(11)와 연통되면서 제 1 바늘지지체(10)의 제 1 공간부(11)와 함께 채혈확인공간, 즉 채혈바늘(20)이 혈관에 삽입될 경우에 혈관 내의 혈액이 혈압에 의해 1차적으로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바늘지지체(10)와 제 2 바늘지지체(30)의 나사결합을 위해, 제 2 바늘지지체(30)의 전방측 외주면에는 제 1 바늘지지체(10)의 암나사부(15)에 나사결합되는 제 1 수나사부(33)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바늘지지체(3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원통 형상의 파지고정부재(60)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제 2 바늘지지체(30)의 후방측 외주면에는 파지고정부재(60)와 나사결합되는 제 2 수나사부(35)가 형성된다.
파지고정부재(6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바늘지지체(10)를 이용한 침습 시에 사용자가 제 1 바늘지지체(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핸들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공채혈바늘(40)에 진공채혈용기(3)가 연통되게 결합될 때 진공채혈용기(3)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채혈용기(3)가 하부로 쳐지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파지고정부재(60)의 일측 단부에는 제 1 바늘지지체(10)의 제 2 수나사부(35)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61)가 형성되고 파지고정부재(60)의 일측 단부는 제 1 바늘지지체(10)가 혈관 내로 침습된 이후에 진공채혈용기(3)가 삽입되어 진공채혈바늘(40)에 결합되도록 개방형성된다.
제 2 바늘지지체(30)와 파지고정부재(60)를 서로 나사결합할 때 제 1 바늘지지체(10)와 제 2 바늘지지체(30)의 나사결합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파지고정부재(60)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 2 수나사부(35)는 제 1 바늘지지체(10)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 1 수나사부(33)와 서로 반대방향, 즉 서로 반대되는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바늘지지체(30)의 후방측에는 바늘보호부싱(37)이 구비된다. 바늘보호부싱(37)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진공채혈바늘(4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2 바늘지지체(30)에 관통 결합된 진공채혈바늘(40) 중 제 2 바늘지지체(30) 내로 유입된 부분을 둘러싼다.
바늘보호부싱(37)은 진공채혈바늘(40)을 둘러싸면서 전방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진공채혈바늘(40)과 진공채혈용기(3)의 마개부가 서로 결합되면서 차후에 설명될 튜브캡(50)이 진공채혈바늘(40)에 의해 뚫릴 경우에 채혈확인공간, 특히 제 2 공간부(31) 내의 혈액이 신속하게 진공채혈바늘(40)을 통해 진공채혈용기(3)로 모일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제 2 바늘지지체(30)의 후방 단부에는 진공채혈바늘(40)이 관통결합된다.
진공채혈바늘(40)은 진공채혈용기(3)의 마개부를 관통하여 진공채혈용기(3) 내로 삽입되는 침관에 해당됨과 동시에 서로 결합된 제 1 및 제 2 바늘지지체(10, 30)의 내부공간, 즉 채혈확인공간 내로 유입된 혈액이 진공채혈용기(3) 내의 진공압에 의해 진공채혈용기(3) 내로 수집되도록 하는 혈액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조되는 통상의 의료용 캐뉼러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진공채혈바늘(40)의 후방 단부는 진공채혈용기(3)의 마개부를 침습관통하도록 날카롭게 커팅되고 진공채혈바늘(40)의 중간부분은 예를 들어 의료용 접착제 등에 의해 제 2 바늘지지체(30)의 후방 단부에 접착 결합된다.
전술한 제 2 바늘지지체(30)의 후방에는 튜브캡(50)이 구비된다.
튜브캡(50)은 진공채혈바늘(40) 중 제 2 바늘지지체(30)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둘러쌈에 따라 진공채혈바늘(40)의 해당 부분이 진공채혈용기(3)의 마개부를 관통하기 직전까지 진공채혈바늘(40)의 해당 부분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튜브캡(50)은 진공채혈바늘(40)이 진공채혈용기(3)와 결합될 때 진공채혈용기(3)의 마개부에 대해 가압되는 진공채혈바늘(40)에 의해 뚫리게 되면서 진공채혈바늘(40)이 진공채혈용기(3)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진공채혈바늘(40)에 의해 파손 가능한 재질, 즉 연길의 합성수지재, 연질 실리콘 등으로 제조 가능하다.
간호사 또는 임상병리사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를 이용하여 채혈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제 1 바늘지지체(10)와 제 2 바늘지지체(3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 2 바늘지지체(30)의 제 2 수나사부(35)에 파지고정부재(60)를 결합한 후 파지고정부재(60)를 파지하여 제 1 바늘지지체(10)에 결합된 채혈바늘(20)을 대상자의 혈관 내로 침습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혈관 내의 혈압에 의해 혈액은 채혈바늘(20)을 관류하여 서로 결합된 제 1 및 제 2 바늘지지체(10, 30)의 내부공간, 즉 채혈확인공간으로 유입되므로, 간호사 또는 임상병리사는 투시 가능한 재질로 된 제 1 바늘지지체(10)를 통해 육안으로 채혈확인공간 내의 혈액을 확인함으로써 채혈바늘(20)이 혈관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바늘지지체(30)에 관통결합되어 일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된 진공채혈바늘(40)에 진공채혈용기(3)를 결합하게 되면, 진공채혈용기(3)의 마개부에 대해 가압되는 진공채혈바늘(40)에 의해 튜브캡(50)이 뚫리게 되면서 진공채혈바늘(40)이 진공채혈용기(3) 내로 삽입된다.
이 때 서로 결합된 제 1 및 제 2 바늘지지체(10, 30)의 내부공간, 즉 채혈확인공간 내에 1차적으로 유입된 혈액은 진공채혈용기(3) 내의 진공압에 의해 진공채혈바늘(40)을 관류하여 진공채혈용기(3) 내로 수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의 경우에는 진공채혈용기(3)와 결합되어 사용됨에 따라 진공채혈용기(3) 내의 진공압으로 인해 혈액이 비교적 일정한 속도로 그리고 정확한 용량으로 채혈 가능하고 채혈 직후에 혈액이 진공채혈용기(3) 내로 바로 분리 보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의 경우에는, 채혈바늘(20)이 결합된 투시 가능한 재질의 제 1 바늘지지체(10)와 진공채혈바늘(40)이 결합된 제 2 바늘지지체(30)가 각각 분리형성되되 상호 결합시에 채혈바늘(20)과 진공채혈바늘(40) 사이에 혈액 충전이 가능한 채혈확인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채혈바늘(20)이 혈관에 삽입될 경우에 혈관 내의 혈압에 의해 채혈확인공간으로 1차적으로 유입된 혈액이 투시 가능한 재질의 제 1 바늘지지체(10)를 통해 확인 가능하므로, 채혈바늘(20)이 혈관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가 채혈확인공간 내 혈액의 투시여부에 의해 용이하면서도 즉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3 : 진공채혈용기
10 : 제 1 바늘지지체
11 : 제 1 공간부
13 : 보강날개부
15 : 암나사부
20 : 채혈바늘
30 : 제 2 바늘지지체
31 : 제 2 공간부
33 : 제 1 수나사부
35 : 제 2 수나사부
37 : 바늘보호부싱
40 : 진공채혈바늘
50 : 튜브캡
60 : 파지고정부재
61 : 암나사부

Claims (6)

  1. 투시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고 내부에는 제 1 공간부(11)가 후방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1 바늘지지체(10);
    상기 제 1 바늘지지체(10)의 전방 단부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채혈바늘(20);
    상기 제 1 바늘지지체(10)의 후방측에 전방측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 1 바늘지지체(10)와의 결합시에 상기 제 1 공간부(11)와 연통되면서 채혈확인공간을 이루는 제 2 공간부(31)가 전방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 2 바늘지지체(30);
    상기 제 2 바늘지지체(30)의 후방 단부에 관통결합되고 진공채혈용기(3) 내로 삽입가능한 진공채혈바늘(40); 및
    상기 제 2 바늘지지체(30)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진공채혈바늘(40) 중 상기 제 2 바늘지지체(30)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둘러싸는 튜브캡(5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바늘지지체(1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상기 제 1 바늘지지체(10)의 양측에는 보강날개부(13)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바늘지지체(10)의 후방측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늘지지체(30)의 전방측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부(15)에 나사결합되는 제 1 수나사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바늘지지체(30)의 후방측 외주면에는 제 2 수나사부(35)가 상기 제 1 수나사부(33)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나사부(35)에는 상기 제 1 바늘지지체(10)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게 하는 파지고정부재(60)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튜브캡(50)으로 둘러싸여진 상기 진공채혈바늘(40)에는 상기 진공채혈용기(3)가 결합되어 상기 파지고정부재(60) 내에 수용되고, 상기 튜브캡(50)은 상기 진공채혈바늘(40)이 상기 진공채혈용기(3)와 결합될 때 상기 진공채혈용기(3)의 마개부에 대해 가압되어 상기 진공채혈바늘(40)에 의해 뚫리게 되며,
    상기 제 2 바늘지지체(30)의 후방측에는 상기 진공채혈바늘(40) 중 상기 제 2 바늘지지체(30) 내로 유입된 부분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바늘보호부싱(37)이 구비되는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58879A 2020-05-18 2020-05-18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 KR102404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79A KR102404482B1 (ko) 2020-05-18 2020-05-18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79A KR102404482B1 (ko) 2020-05-18 2020-05-18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267A KR20210142267A (ko) 2021-11-25
KR102404482B1 true KR102404482B1 (ko) 2022-05-31

Family

ID=7874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879A KR102404482B1 (ko) 2020-05-18 2020-05-18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931A (ko) 2022-08-05 2024-02-14 이규원 진공 채혈 방식의 안전주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795Y1 (ko) * 2002-05-20 2002-08-05 최세묵 진공채혈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9A (ja) * 1993-02-22 1995-01-06 Issei Suzuki 真空採血針
WO2004086971A1 (en) * 2003-03-31 2004-10-14 Jms Co., Ltd Blood collecting device and method of fixing it
KR100868750B1 (ko) 2007-08-01 2008-11-13 주식회사 선우테크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KR20090101068A (ko) 2008-03-20 2009-09-24 배춘선 일회용 진공 채혈주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795Y1 (ko) * 2002-05-20 2002-08-05 최세묵 진공채혈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267A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3882A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transporting, and delivering micro samples of blood
CN103068434B (zh) 可拆式闪流腔室
US6761704B2 (en) Safety blood collection needle assembly
US7063673B2 (en) Coupling device for blood collection assembly
US6126618A (en) Apparatus for obtaining liquid samples
JPS587260A (ja) ランセット穿刺装置
JP2000501960A (ja) 可撓性延長器及びニードルチップ保護器を持つ経管カテーテル
US6902534B2 (en) Method and kit of components for delivering blood to a portable clinical analyzer
KR101879955B1 (ko) 스틱 인저리 방지 기능을 갖는 채혈, 약물 주입용 기구
AU2015230718B2 (en) Sampling device
KR102404482B1 (ko)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
JP2003325483A (ja) 安全装置付き針アセンブリに使用される針ホルダ
CA1119910A (en) Integrated blood collection system
WO2022013759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on of blood
US20200261662A1 (en) Cannula fixation device
US3092108A (en) Syringes and/or hypodermic needles, and cartridges therefor
JPH09510135A (ja) 保護された針を有する採血ユニット及び採血のための方法
JP2007307063A (ja) 採血管ホルダー
KR20220042309A (ko) 손가락 바늘 천자 혈액 채취기
JPH0424021A (ja) アダプターおよび採血器具
RU18327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бор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жидкости из организма
CN213940746U (zh) 一种医用无痛血液采样针
CN213850709U (zh) 一种胶囊型采血体检用针式试管
CN211534443U (zh) 一种肝病科临床专用的抽血装置
CN209966394U (zh) 一种血液采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