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750B1 -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 Google Patents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750B1
KR100868750B1 KR1020070077531A KR20070077531A KR100868750B1 KR 100868750 B1 KR100868750 B1 KR 100868750B1 KR 1020070077531 A KR1020070077531 A KR 1020070077531A KR 20070077531 A KR20070077531 A KR 20070077531A KR 100868750 B1 KR100868750 B1 KR 100868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blood collection
needle
collection tub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섭
곽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테크
Priority to KR102007007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61B5/154Devices using pre-evacuat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36Pistons, i.e. cylindrical bodies that sit inside the syringe barrel, typically with an air tight seal, and slide in the barrel to create a vacuum or to expe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44Rods for actuating or driving the piston, i.e. the cylindrical body that sits inside the syringe barrel, typically with an air tight seal, and slides in the barrel to create a vacuum or to expe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8Joining techniques used for protective means
    • A61B5/150603Joining techniques used for protective means by rotation, e.g. bayonet or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선단부를 관통하며 니들이 결합되는 어댑터 및 어댑터 내부에 삽입되어 니들을 통해 유입된 혈액을 담아 보관하는 채혈기를 포함하고, 채혈기는 혈액을 담아 보관하도록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채혈관과, 채혈관의 선단부에 끼워져 밀폐시키고, 어댑터 내부에서 혈액이 채혈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니들이 관통되는 밀폐 마개와, 채혈관 내부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채혈관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피스톤에 결합되고, 피스톤을 채혈관의 후단부쪽으로 당겨 채혈관 내부에 채혈시 필요한 진공압을 형성시키는 로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채혈기의 제조 및 취급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고, 폴리프로필렌(PP)와 같은 비교적 저렴한 재질을 사용하여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진공, 채혈기, 어댑터, 니들, 밀폐 마개, 피스톤, 로더

Description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SELF VACUUM TYPE BLOOD GATHE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채혈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채혈관 내부에서 채혈에 필요한 진공압을 자주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의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혈액검사로 각종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질병을 진단하기 위하여 혈액검사가 빈번히 이용되고 있다. 이 혈액검사는 검사하려는 대상 질병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되며 이 혈액검사에는 생화학 검사, 면역 혈청검사, 그리고 혈액형 검사 등이 있으며 주로 혈청검사가 실시되고 있다.
이 혈청검사는 피검사자로부터 채혈한 혈액에서 혈구 성분을 제외한 담황색의 투명한 액체 성분인 혈청을 그 대상으로 하며, 이 혈청에는 다양한 면역 항체나 각종 영양소 및 노폐물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 혈청검사를 위한 혈액은 채혈 후 30분 내지 2시간 이내 원심침전에 의하여 혈청과 혈구성분으로 분리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전혈 상태로 방치된 경우 혈청은 성분 변화를 일으켜 분석결과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혈청검사 시에는 채혈 과정에서 혈청 분리 과정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간편하게 처리할 것이 요구된다.
상기한 혈청검사를 위한 채혈 기구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자의 정맥혈관과 채혈 주사기의 압력차이를 이용하는 진공 채혈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진공 채혈 방식을 적용한 종래 채혈 기구는 채혈된 혈액을 보관시키는 저장관(51)과, 탄성 재질로 제조되어 저장관(51)의 입구를 탄성적으로 밀폐하여 저장관(51)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며 또한 채혈된 혈액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는 밀폐뚜껑(53), 그리고 채혈된 혈액을 원심침전 시 혈청과 혈구성분의 경계층을 형성시키도록 저장관(51)에 내장된 혈청분리겔(55)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채혈 기구는 저장관(51) 내부로 혈액을 유도하도록 멀티 니들(57)이 일체로 구비된 어댑터 (59)를 더 필요로 하고 있다.
이 채혈 기구로 채혈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상태의 저장관(51)에 어댑터(59)를 결합하기 이전에 멀티 니들(57)의 선단부를 피검사자의 정맥혈관 내부로 진입시킨다.
그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59)의 후단 멀티 니들(57)에 저장관(51)을 결합하여 멀티 니들(57)의 후단부가 저장관(51)의 밀폐뚜껑(53)을 관통하여 저장관(51)의 내부로 진입(i)시키는데, 이때 피검사자의 정맥혈관과 진공상태의 저장관(51) 사이의 압력차이로 인하여 혈액(61)이 멀티 니들(57)을 통하여 저장관(51)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한 채혈 과정 이후, 멀티 니들(57)과 어댑터(59)를 제거하고 저장관(51)을 원심분리장치로 처리하게 되면 저장관(51)내의 혈액은 혈청분리겔(55)을 경계층으로 하여 저장관(51) 내에서 상부의 혈청과 하부의 혈구성분으로 분리되면서 혈청검사를 가능케 한다.
그러나, 진공 채혈 방식을 적용한 종래 채혈 기구는 진공상태로 제조되어야 하고, 특히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고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채혈 기구는, 저장관(51)과 밀폐뚜껑 (53)의 진공상태를 지속시켜야 하므로 제조 과정 및 취급 과정에서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사용과정에서 진공 상태가 쉽게 파손되나 이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종래 진공 채혈 방식의 채혈 기구에 주로 사용되어온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의 경우, 가스 배리어성은 높으나 수분 배리어성이 높지 않아 장기 보전 성능이 떨어지며, 채혈 후 혈액 중 성분(혈청, 혈구 등)이 부착되어 분리되지 않아 채혈관으로부터 분리된 혈액으로 검사를 하는 경우 검사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채혈관 내부에서 채혈에 필요한 진공압을 자주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는, 선단부를 관통하며 니들이 결합되는 어댑터 및 어댑터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니들을 통해 유입된 혈액을 담아 보관하는 채혈기를 포함하고, 채혈기는 혈액을 담아 보관하도록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채혈관과, 채혈관의 선단부에 끼워져 밀폐시키고 어댑터 내부에서 혈액이 채혈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니들이 관통되는 밀폐 마개와, 채혈관 내부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채혈관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피스톤에 결합되고 피스톤을 채혈관의 후단부쪽으로 당겨 채혈관 내부에 채혈시 필요한 진공압을 형성시키는 로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채혈관은 폴리프로필렌(PP)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채혈관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주면 상에 응고 촉진제 및 혈액 분리제가 도포될 수 있다.
피스톤은 선단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 상에 응고 촉진제 및 혈액 분리제가 도포될 수 있다.
밀폐 마개는 니들을 관통시켜 혈액을 유입시킨 후, 채혈관의 선단부가 밀폐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무 재질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스톤에는 로더의 선단이 결합되는 로더 결합부가 형성되고, 채혈관의 후단부에 형성된 로더 삽입공 주위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돌출되는 피스톤 고정부가 형성되며, 피스톤 고정부의 내주면은 채혈 이후 로더 결합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로더는 선단과 인접하는 부분에 채혈 이후 절단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니들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제1 보호캡 및 니들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제2 보호캡을 포함하고, 제2 보호캡은 상기 니들이 상기 밀폐 마개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파지되도록 고무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폐 마개는 채혈관의 선단부의 개구에 강제 압입식 또는 나사식으로 끼워져 밀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는, 채혈관 내부에서 채혈에 필요한 진공압을 자주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채혈기의 제조 및 취급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고,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이 가스 배리어성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높은 소수성과 수분 배리어성을 갖는 비교적 저가의 재질을 사용하여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는 채혈 후 밀폐 마개와 피스톤으로 채혈관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밀폐시켜 자체적으로 지속적인 혈액의 보관을 가능하 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는 채혈관 및/또는 피스톤 내부에 응고 촉진제 및 혈액 분리제를 도포함으로써, 채혈기의 구조 및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채혈을 수행함으로써, 채혈기를 교체하여 반복적으로 용도에 맞게 채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는 어댑터에 결합되는 니들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보호캡을 끼워 보호함과 아울러, 특히 후단부에 결합되는 보호캡을 고무막으로 형성하여 채혈시 자동적으로 파지되도록 함으로써 좀더 위생적으로 채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는 크게 어댑터(10)와 채혈기(20)로 이루어진다.
어댑터(10)는 채혈기(20)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관(11)과, 이 결합관(11)의 선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니들(12), 이 니들(12)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제1 보호캡(13), 및 결합관(11) 내부의 니들(12) 후단부에 끼워지는 제2 보호캡(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채혈기(20)는 채혈관(21)과, 채혈관(21)의 선단부를 밀폐 시키는 밀폐 마개(22), 채혈관(21) 내부에 삽입되는 피스톤(23), 및 채혈관(21)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피스톤(23)에 결합되는 로더(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를 이루는 어댑터(10)와 채혈기(20)에 대한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어댑터(10)의 결합관(11)은 일반적인 주사기의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채혈을 위해 삽입되는 채혈관(21)이 니들(12)에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결합관(11)은 채혈관(21)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고, 채혈시 삽입된 채혈관(21)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합관(11) 내경이 채혈관(21)의 외경과 여유 공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관(11)의 선단부에는 니들(12)을 체결하기 위한 니들 체결공이 형성된다.
니들(12)은 니들 체결공을 통해 결합관(11)의 선단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니들(12) 중심부에는 니들 체결공에 끼워져 니들(12)을 고정하기 위한 마디부가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한 마디부의 외주면과 이에 대응하는 니들 체결공 내주면에는, 니들(12)이 결합관(11)의 선단부에서 나사식으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니들(12)는 마디부를 중심으로 결합관(11)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니들(12)의 선단부에는 제1 보호캡(13)이 결합되고, 결합관(11) 내부로 돌출되는 니들(12)의 후단부에는 제2 보호캡(14)이 결합된다.
제1 보호캡(13)은 하드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져 니들(12)의 선단부를 보호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보호캡(14)은 두께가 얇은 보호막 형태로 이루어져 채혈시 니들(12) 후단부가 채혈기(20)의 밀폐 마개(22)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니들(12)에 의해 자연스럽게 파지(破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니들(12)이 결합관(11)으로부터 교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니들(12)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제1 보호캡(13) 및 제2 보호캡(14)을 씌워 채혈 직전까지 니들(12)을 보호하도록 함으로써, 좀더 안전하게 채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채혈관(21)은 내부에 채혈된 혈액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마치 시험관 같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채혈관(21)의 선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경이 작은 로더 삽입공(21a)이 형성되며, 이 로더 삽입공(21a) 주위로부터 채혈관(21)의 내측에서 선단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피스톤 고정부(21b)가 형성된다.
피스톤 고정부(21b)는 내부면이 후단부로 갈수록 개구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채혈 후 후술하는 피스톤(23)의 로더 결합부(23a)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채혈관(21)은 유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스티렌(PS) 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는 채혈관(21) 내부에 삽입되는 피스톤(23)에 의해 자주적으로 진공압을 만들어 채혈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스티렌(PS) 등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소수성과 수분 배리어성을 갖는 저렴한 폴리프로필렌(PP)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처럼, 채혈관(21)을 폴리프로필렌(PP)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높은 소수성과 수분 배리어성을 갖는 때문에 채혈 후 저온 상태에서 장기 보존이 유리하고, 혈액을 채혈관으로부터 분리시 혈액 중 성분(혈청, 혈구 등)이 거의 완전하게 분리되기 때문에 분리된 혈액의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 후 소각을 통해 간단하게 폐기 처분할 수 있다.
한편, 채혈관(21)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주면에는 응고 촉진제 및 혈액 분리제가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에 관한 것으로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응고 촉진제 및 혈액 분리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밀폐 마개(22)는 채혈관(21)의 선단부의 개구에 강제 압입식으로 끼워져 밀폐시킨다. 이 밀폐 마개(22)는 채혈관(21)의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염화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합성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밀폐 마개(22)는 채혈관(21)의 선단부의 개구에 강제 압입식으로 끼워져 밀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식으로 끼워져 채혈관(21)의 선단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밀폐 마개(22)가 채혈관(21)의 선단부측 개구에 나사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경우, 니들(12)의 후단부가 관통하는 밀폐 마개의 내측 중심부(22b)는 상기한 고무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채혈관(21)에 나사 결합되는 외측 가장자리부(22a)는 상대적으로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밀폐 마개(22)는 채혈을 위해 채혈기(20)를 어댑터(10)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니들(12)의 후단부가 관통될 수 있고, 채혈 후 니들(12)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채혈관(21)의 선단부를 밀폐할 수 있다.
피스톤(23)은 채혈관(21)의 내부에 삽입되어 로더(24)에 의해 채혈관(21)의 선단부에서 후단부 쪽으로 당겨지면서 채혈에 필요한 진공압을 채혈관(21) 내부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피스톤(23)은 선단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응고 촉진제 및 혈액 분리제가 채혈관(21)의 내측면과 함께 피스톤(23)의 내측면에 도포되거나, 또는 피스톤의 내측면에만 별도로 도포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피스톤(23)의 후단부에는 로더(24)의 선단(24a)을 고정하기 위한 로더 결합부(23a)가 형성된다. 이 로더 결합부(2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채혈 후 채혈관(21)의 피스톤 고정부(21b)에 끼워져 고정된다.
로더(24)는 채혈관(21)의 로더 삽입공(21a)을 통해 피스톤(23)에 결합되는 단면이 +형인 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로더(24)는 선단(24a)이 피스톤(23)의 로더 결합부(23a)에 압입 고정되고, 후단부에는 피스톤(23)을 이송시키기 위한 손잡이(24d)가 형성된다.
그리고, 로더(24)는 채혈 후 절단되어 피스톤(23)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선단(24a)에 인접하는 부분에 테이퍼지게 노치(24b)가 형성되며, 손잡이(24d)에 인접하는 후단 부분에 피스톤(23)의 로더 삽입공(21a)에 걸려 로더(24)의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하는 스톱퍼(24c)가 구비된다.
이하, 도 3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를 이용해 채혈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채혈기의 채혈관 내부가 진공인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를 이용해 채혈하기 위해서는 먼저, 로더(24)를 이용해 채혈관(21) 내부의 피스톤(23)을 후단부 로 이동시켜 자주적으로 채혈관(21)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킨다.
채혈관(21) 내부에 발생된 진공압은 채혈시 피검사자의 정맥 혈관 내부의 혈압과 압력차를 발생시켜 피검사자의 혈액이 어댑터(10)의 니들(12)을 통해 채혈관(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채혈관(21) 후단부로 이송된 피스톤(23)은 로더 결합부(23a)가 피스톤 고정부(21b)의 내부에 끼워지며 고정되며, 채혈관(21)이 후단부를 밀폐시킨다.
도 4는 채혈기에서 로더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혈관(21)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면 로더(24)를 피스톤(2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로더(24)를 절곡시키면 노치(24b)가 형성된 부분에서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어댑터의 니들이 주사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10)의 니들(12) 선단부에 끼워진 제1 보호캡(13)을 분리 한다. 그리고, 제1 보호캡이 분리된 니들(12) 선단부를 피검사자의 정맥 혈관에 주사한다.
이때, 니들(12) 후단부에 끼워진 제2 보호캡(14)은 피검사자의 정맥 혈관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해 혈액이 니들(12)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보호캡(14)은 채혈관(21) 내부에 도포된 응고 촉진제, 혈액 분리제 및 기타 이물질들이 니들(12)을 통해 피검사자의 혈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는 어댑터에 채혈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10)의 결합관(11) 내부로 채혈기(20)를 삽입하여, 니들(12)의 후단부가 밀폐 마개(22)를 관통하도록 채혈기(20)를 어댑터(10)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2 보호캡(14)은 니들(12)의 후단부가 밀폐 마개(22)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파지된다. 따라서, 니들(12)을 통해 채혈관(21) 내부로 혈액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채혈기를 이용해 채혈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혈관(21)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과 피검사자의 정맥 혈관의 혈압의 압력차에 의해서, 피검사자의 혈액이 어댑터(10)의 니들(20)을 통해 채혈관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피검자의 혈액이 채워져 채혈이 완료되면, 채혈기(20)를 어댑터(10)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밀폐 마개(22)는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니들(12)이 인출된 부분을 막아 채혈관(21)의 선단부측 개구를 밀폐시킨다.
도 8은 채혈 후 채혈기가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혈된 혈액은 밀폐 마개(22)와 피스톤(23)에 의해 선단부와 후단부가 밀폐된 채혈관(21) 내부에 담겨 보관된다. 한편, 채혈관(21) 및/또는 피스톤(23) 내부에 도포된 응고 촉진제 및 혈액 분리제가 혈액과 혼합된다.
여기서 응고 촉진제는 채혈 후 원심침전으로 혈액에서 분리된 혈청을 제외한 혈구성분과 신속히 결합되어 혈구성분을 응고시킨다. 그리고 혈액 분리제는 물보다 다소 큰 비중을 가지는 것으로서 원심침전 시 혈구성분과 혈청의 경계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원심 분리 과정에서 혈액 분리제보다 비중이 큰 혈구성분과 응고 촉진제는 원심력에 의해 혈액 분리제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호 결합되고, 이때 혈청은 혈액 분리제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므로 혈액 분리제의 위에 위치하게 되어 혈구성분과 분리되면서 혈청검사에 적절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채혈기의 채혈관 내부가 진공인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채혈기에서 로더를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어댑터의 니들이 주사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어댑터에 채혈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채혈기를 이용해 채혈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채혈 후 채혈기가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진공 채혈 방식을 적용한 종래 채혈 기구의 채혈 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 종래 진공 채혈 방식을 적용한 종래 채혈 기구의 채혈 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 설명>
10: 어댑터 11: 결합관
12: 니들 13: 제1 보호캡
14: 제2 보호캡 20: 채혈기
21: 채혈관 21a: 로더 삽입공
21b: 피스톤 고정부 22: 밀폐 마개
23: 피스톤 23a: 로더 결합부
24: 로더 24a: 선단
24b: 노치 24c: 스톱퍼
24d: 손잡이

Claims (9)

  1. 선단부에 니들 체결공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어댑터와,
    상기 니들 체결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니들과,
    상기 어댑터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니들을 통해 유입된 혈액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채혈관;
    상기 채혈관의 선단부에 끼워져 밀폐시키고, 상기 어댑터 내부에서 혈액이 상기 채혈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니들이 관통되는 밀폐 마개;
    상기 채혈관 내부에 삽입되는 피스톤;
    상기 채혈관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을 상기 채혈관의 후단부쪽으로 당겨 상기 채혈관 내부에 채혈시 필요한 진공압을 형성시키는 로더;로 구성된 채혈기를 포함하는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로서,
    상기 니들의 선단부에는 제1 보호캡이 결합되고, 상기 니들의 후단부에는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제2 보호캡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관은,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주면 상에 응고 촉진제 및 혈액 분리제가 도포되는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선단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의 내주면 상에 응고 촉진제 및 혈액 분리제가 도포되는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마개는,
    상기 니들을 관통시켜 혈액을 유입시킨 후, 상기 채혈관의 선단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무 재질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로더의 선단이 결합되는 로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채혈관의 후단부에 형성된 로더 삽입공 주위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돌출되는 피스톤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고정부의 내주면은 채혈 이후 상기 로더 결합부의 끼워져 고정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는, 상기 선단과 인접하는 부분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마개는 채혈관의 선단부의 개구에 강제 압입식 또는 나사식으로 끼워져 밀폐시키도록 구성되는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KR1020070077531A 2007-08-01 2007-08-01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KR10086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531A KR100868750B1 (ko) 2007-08-01 2007-08-01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531A KR100868750B1 (ko) 2007-08-01 2007-08-01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750B1 true KR100868750B1 (ko) 2008-11-13

Family

ID=4028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531A KR100868750B1 (ko) 2007-08-01 2007-08-01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7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07A2 (ko) * 2010-03-23 2011-09-29 Kim Jun-Woo 혈액성분 분리방법
KR20210142267A (ko) 2020-05-18 2021-11-25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
KR20240019931A (ko) 2022-08-05 2024-02-14 이규원 진공 채혈 방식의 안전주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65Y1 (ko) * 2001-12-12 2002-03-23 주식회사 메디진 채혈 주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65Y1 (ko) * 2001-12-12 2002-03-23 주식회사 메디진 채혈 주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07A2 (ko) * 2010-03-23 2011-09-29 Kim Jun-Woo 혈액성분 분리방법
WO2011118907A3 (ko) * 2010-03-23 2011-11-24 Kim Jun-Woo 혈액성분 분리방법
KR20210142267A (ko) 2020-05-18 2021-11-25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채혈확인이 용이한 진공채혈장치
KR20240019931A (ko) 2022-08-05 2024-02-14 이규원 진공 채혈 방식의 안전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9398B2 (ja) 毛管作用採集装置および容器アセンブリ
JP4850977B2 (ja) 採集アセンブリ
JP6271685B2 (ja) 試料収集容器アセンブリ
US20230116910A1 (en) Blood sample optimization system and blood contaminant sequestration device and method
US7063673B2 (en) Coupling device for blood collection assembly
KR101851188B1 (ko) 체액채취기, 체액용기, 및 체액채취장치
AU2018220104A1 (en) Biological fluid micro-sample management device
US5306270A (en) Sealing closure cap and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tube
US20080017577A1 (en) Membrane-based Double-layer Tube for Sample Collections
BR112015026154B1 (pt) Dispositivo de amostragem de fluido biólogico engatável com um dispositivo de acesso vascular separado e montagem de coleta e amostragem de fluido biológico
US4956103A (en) Fail safe releasible locks for capped disposable centrifuge containers
KR100868750B1 (ko) 자주 진공식 채혈 기구
CN103957794B (zh) 血液采集组件
US4896780A (en) Fail safe releasible locks for capped disposable centrifuge containers
CN209377582U (zh) 血液采集管及样本分析装置
US6612997B1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KR200269465Y1 (ko) 채혈 주사기
KR100430893B1 (ko) 혈청분리용 주사기
RU136346U1 (ru) Вакуумная пробирка
KR102574845B1 (ko) 시료 보관용기
KR920002309Y1 (ko) 보조 시험관이 내설된 혈액 검사용 채혈 주사기
JP2019082401A (ja) 糞便採取キット
CN208803095U (zh) 细胞培养管
CN209162083U (zh) 负压式培养离心管加工设备
CN207877725U (zh) 一种血浆游离dna保存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