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122B1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122B1
KR102403122B1 KR1020170139271A KR20170139271A KR102403122B1 KR 102403122 B1 KR102403122 B1 KR 102403122B1 KR 1020170139271 A KR1020170139271 A KR 1020170139271A KR 20170139271 A KR20170139271 A KR 20170139271A KR 102403122 B1 KR102403122 B1 KR 102403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nnaissance
flight
target
electronic devic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100A (ko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122B1/ko
Priority to EP18871349.9A priority patent/EP3659329B1/en
Priority to PCT/KR2018/009022 priority patent/WO2019083139A1/en
Priority to CN201880068647.4A priority patent/CN111247783B/zh
Priority to US16/103,041 priority patent/US10942511B2/en
Publication of KR2019004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94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involving pointing a payload, e.g. camera, weapon, sensor, towards a fixed or moving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3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simple or augmented images from one or more cameras located onboard the vehicle, e.g. tele-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52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for crui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69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specially adapted for an unmanned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무인 비행기의 정찰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제1 UI를 제공하고, 제1 UI를 통해 정찰 대상이 선택되면,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UI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제2 UI는,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상이한 비행 경로 각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비행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과 같은 사람이 기체에 타지 않고 원격으로 조종가능한 무인 비행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가 군사용 뿐만 아니라 민간 시장에서 상업적 용도로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실제로 영화 및 예능 촬영이나 중요 행사의 보안 강화를 위해 드론을 도입 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드론이 민간 시장에서 주목을 받으면서, 개인 오락, 취미용으로 제작된 싼 가격의 드론들도 생산되고 있다. 군용 드론의 연장선 상에서 드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은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특정 지역을 관리, 감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론은 자유롭고 신속하게 이동하여 탑재된 카메라나 센서를 통해 특정 지역에 대한 원격 감시를 할 수 있다. 즉, 드론은 조난자 수색, 산불 감시, 교통 위반 단속, 우범 지역 및 국경 지역 감시 같은 공공 목적 뿐 아니라 물류 배송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드론은 바닷가 등에서의 낚시와 같은 취미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활용성에도 불구하고 드론의 감시 또는 정찰 방법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 비행기의 비행 경로를 직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무인 비행기의 정찰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제1 UI를 제공하고, 상기 제1 UI를 통해 정찰 대상이 선택되면,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UI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I는,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상이한 비행 경로 각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을 기설정된 형상의 도형으로 제공하고, 상기 비행 경로를 상기 도형 내에서 방향성을 가지는 라인으로 제공하며, 상기 기설정된 도형은, 평면 도형 및 입체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행 경로는, 기설정된 비행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비행 패턴은, 상하 수직형, 좌우 수평형, ZigZag 수직형, ZigZag 수평형, 테두리형, 고정형, 방사형, 대각선형, 확대 원형, 축소 원형, 나선형 및 격자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정찰 대상의 특성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상기 비행 공간의 크기, 상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상기 비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의 가로폭, 세로폭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제3 UI를 제공하고, 상기 제3 UI를 통해 상기 비행 공간의 크기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상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상기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찰 대상의 정찰 용도를 입력받기 위한 제4 UI를 제공하고, 상기 제4 UI를 통해 상기 정찰 대상의 정찰 용도가 입력되면, 상기 정찰 용도에 기초하여 상기 비행 공간의 크기, 상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상기 비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 비행기의 정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및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UI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정찰 대상 및 상기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인 비행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무인 비행기의 정찰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제1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I를 통해 정찰 대상이 선택되면,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I는,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상이한 비행 경로 각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을 기설정된 형상의 도형으로 제공하고, 상기 비행 경로를 상기 도형 내에서 방향성을 가지는 라인으로 제공하며, 상기 기설정된 도형은, 평면 도형 및 입체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행 경로는, 기설정된 비행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비행 패턴은, 상하 수직형, 좌우 수평형, ZigZag 수직형, ZigZag 수평형, 테두리형, 고정형, 방사형, 대각선형, 확대 원형, 축소 원형, 나선형 및 격자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정찰 대상의 특성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상기 비행 공간의 크기, 상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상기 비행 경로를 포함하는 상기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의 가로폭, 세로폭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제3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3 UI를 통해 상기 비행 공간의 크기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상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상기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찰 대상의 정찰 용도를 입력받기 위한 제4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4 UI를 통해 상기 정찰 대상의 정찰 용도가 입력되면, 상기 정찰 용도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상기 비행 공간의 크기, 상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상기 비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UI는, 상기 무인 비행기의 정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UI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정찰 대상 및 상기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무인 비행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무인 비행기의 정찰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제1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I를 통해 정찰 대상이 선택되면,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I는,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상이한 비행 경로 각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인 비행기의 비행 공간, 비행 경로 등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행 공간 및 비행 경로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비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 및 무인 비행기(20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무인 비행기(200)의 정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며,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UI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캠코더(camcorder), 전자 액자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를 들어, head-mounted-device(HMD),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등)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는 펜(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무인 비행기(200)는 소형 또는 초소형 드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인 비행기(200)는 의료, 미용 산업, 3D 프린터 산업, 농업 등에 필요한 환자나 대상물의 정찰(또는 스캔 또는 감시)하기 위한 용도로 인용될 수 있다.
무인 비행기(200)는 전자 장치(100)에서 설정된 정찰 방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정찰 대상을 정찰할 수 있다. 무인 비행기(200)는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찰 대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 및 비행 경로에 대한 추천 정보를 직관적인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정찰 방법을 손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에서 정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제공하는 다양한 UI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저장부(12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LED(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무인 비행기(도 1, 200)의 정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한다. 일 예에 따라, 해당 UI는 기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저장된 PC 프로그램, 외부 서버 등에서 실행되는 외부 프로그램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기설정된 이벤트는,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이벤트, 무인 비행기(20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등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무인 비행기(200)의 정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UI가 기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기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는 이벤트, 무인 비행기(20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등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UI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무인 비행기의 정찰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제1 UI를 디스플레이(110) 상에 제공한다. 여기서, 정찰 대상은 사람, 동물, 건물, 가옥, 창고 및 운동장, 논밭 경지, 바다 등 다양한 객체(또는 객체 타입)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UI는 정찰 대상이 될 수 있는 다양한 객체의 타입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객체의 타입의 식별 정보를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객체의 타입을 사용자가 직접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는 UI(예를 들어, 입력 창 및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기저장된 다양한 객체의 타입에 기초하여 제1 UI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무인 비행기(20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미지 자체를 제공하거나, 수신된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를 포함하는 제1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무인 비행기(200)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센싱 데이터(예를 들어, 광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를 포함하는 제1 UI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자동으로 정찰 대상을 설정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무인 비행기(200)로부터 수신된 촬영 영상 및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찰 대상을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 및 다양한 타입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정찰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정찰 대상을 식별하거나, 광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찰 대상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정찰 대상 타입(예를 들어, 사람)이 기 저장되어 있으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사람이 식별되면 이를 정찰 대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복수의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해당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하거나, 기 정의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정찰 대상을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찰 대상 타입의 우선 순위가 ‘사람>건물’로 설정되어 있고, 촬영 영상에서 사람 및 건물이 모두 식별되는 경우 사람을 자동으로 정찰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제1 UI를 통해 정찰 대상이 선택되거나 자동으로 정찰 대상이 설정되면,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UI는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상이한 비행 경로 각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정보는, 비행 경로를 방향성을 가지거나 방향성을 가지는 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비행 경로는 기설정된 패턴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패턴은 상하 수직형, 좌우 수평형, ZigZag 수직형, ZigZag 수평형, 테두리형, 고정형, 방사형, 대각선형, 확대 원형, 축소 원형, 나선형, 격자형, 혼합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UI는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 및 비행 공간에 대응되는 상이한 비행 경로 각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정보는,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을 기설정된 형상의 도형으로 제공하고, 비행 경로를 도형 내에서 방향성을 가지는 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다. 기설정된 도형은, 평면 도형 및 입체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도형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타원형, 육각형, 사각형, 직사각형, 원뿔형, 이등변 삼각형, 정삼각형 등 모든 도형이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다면체 및 다각형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비행 공간을 나타내는 도형 및 비행 경로를 나타내는 라인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찰 대상이 지형이나, 건물의 경우라면 대상의 구조에 맞는 다면체나 도형 즉, 비행 공간을 비행 경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비행 공간의 사이즈는 정찰 대상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입력되거나, 후술하는 제3 UI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UI를 정찰 대상의 이미지(예를 들어 대표 이미지(상징 이미지), 또는 실제 촬영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비행 공간 및 비행 경로의 사이즈를 짐작할 수 있도록 정찰 대상의 이미지, 비행 공간의 이미지 및 비행 경로의 이미지를 정찰 대상의 실측 사이즈, 비행 공간의 사이즈, 비행 경로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동일한 비율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비행 공간 및 비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 조작으로 그려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기설정된 아이템을 선택되면 사용자가 직접 비행 공간 및 비행 경로를 터치 입력으로 그릴 수 있는 드로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정찰 대상의 특성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비행 공간의 형상, 비행 공간의 크기 및 비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정찰 대상이 움직이는 객체, 예를 들어 사람인 경우 사람을 정찰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비행 경로를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람을 정찰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비행 경로를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사용자(또는 복수의 사용자) 선택 히스토리에 의한 선호도,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된 특성, 인공지능에 의한 딥 러닝 등에 기초하여 비행 공간의 형상, 비행 공간의 크기 및 비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거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무인 비행기(200)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찰 대상의 상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정찰 대상의 위치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비행 공간의 형상, 비행 공간의 크기 및 비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인 비행기(200)를 이용하여 낚시를 하는 경우 무인 비행기(200)에 설치된 센서 등에 센싱된 대상 물체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크기, 어종, 거리 등) 및 움직임에 기초하여 대상 물체를 획득하기 위한 무인 비행기(200)의 추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의 가로폭, 세로폭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제3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단위(km, m, cm, mm 중 적어도 하나 단위)로 비행 공간을 설정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UI를 통해 정찰 대상을 일정 간격을 두고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제3 UI를 통해 비행 공간의 크기가 설정되면, 설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비행 공간의 형상 및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설정된 크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비행 공간의 형상 및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행 공간 및 비행 경로를 설정하게 되면, 무인 비행기(200)는 움직이는 물체나 사람, 동물 등에 대해서도 일정 간격을 두고 정해진 패턴 형식으로 맴돌면서 감시나 정찰할 수 있게 있다.
예를 들어, 무인 비행기(200)가 기설정된 패턴으로 환자나 동물을 스캔하도록 하여, 환자나 동물의 외부의 외상이나 내부의 질환을 판단하고 치료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한대 이상의 소형 무인 비행기(200)로 대상의 외부 면에서 일정거리 즉, 미리 지정한 몇 cm 또는 몇 mm 을 유지하면서 외부 면을 스캔하고 그 정보를 3D 프린터로 전송하는 방식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정찰 대상의 정찰 용도를 입력받기 위한 제4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4 UI를 통해 정찰 대상의 정찰 용도가 입력되면, 정찰 용도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비행 공간의 크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비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정찰 용도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비행 공간의 크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비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프로세서(120)는 정찰 시간(또는 예약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UI, 정찰 시작점 및 종료점을 설정하기 위한 UI, 반복 주기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100)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였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찰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제1 UI 화면(510)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정찰 대상의 식별 정보는 도시된 바와 달리 각 객체를 상징하는 이미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UI 화면(510)에서 정찰 대상이 선택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정찰 대상에 대한 비행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UI 화면(520)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행 경로를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성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라인 이미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UI 화면(510)에서 정찰 대상이 선택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정찰 대상에 대한 비행 공간 및 비행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UI 화면(530)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UI 화면(530)는 선택된 정찰 대상을 정찰할 수 있는 다양한 비행 공간의 형상 및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UI 화면(530)는 정찰 대상의 이미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비행 공간 및 비행 경로의 사이즈를 짐작할 수 있도록 정찰 대상의 이미지, 비행 공간의 이미지 및 비행 경로의 이미지를 정찰 대상의 실측 사이즈, 비행 공간의 사이즈, 비행 경로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동일한 비율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찰 대상의 실측 사이즈는 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거나, 정찰 대상 주변의 무인 비행기(200)가 실측한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UI 화면(510)에서 정찰 대상이 선택되고, 비행 공간을 선택하기 위한 기설정된 도형이 선택되면, 선택된 비행 공간에 대응되는 비행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UI 화면(미도시)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d,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의 가로폭, 세로폭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제3 UI(540, 550)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UI 화면(540, 550)은 제2 UI 화면(520, 530)이 제공되기 이전에 제공되거나, 제2 UI 화면(520, 530)이 제공된 이후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d에 도시된 제3 UI(540) 화면이 제2 UI(520, 530)가 제공되기 이전에 제공되는 경우, 제3 UI(540) 화면을 통해 비행 공간의 크기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되면, 설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비행 공간 형상 및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UI 화면(530)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비행 공간의 가로폭, 세로폭 및 높이에 대한 다양한 수치 예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도 5e에 도시된 제3 UI(550) 화면이 제2 UI 화면(520, 530)이 제공된 이후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비행 공간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도록 실제 정찰 대상(예를 들어 사람)을 표시하고, 실제 정찰 대상 크기 대비 비행 공간의 크기가 반영된 비율로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도 5e에 도시된 이미지에 실제 수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비행 공간의 크기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행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화면(530)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비행 공간의 형상 및 비행 경로에 대한 이미지를 다양한 크기로 제공하여 사용자는 제2 화면(530)에서 비행 공간의 형상 및 비행 경로 뿐 아니라, 비행 공간의 크기까지 한번에 선택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정찰 대상이 선택되면, 정찰 용도를 입력받기 위한 제4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정찰 대상으로 선택된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정찰 용도를 입력받기 위한 제4 UI 화면(610)이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제4 UI 화면(610)에서 특정 정찰 용도가 선택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정찰 용도에 적합한 비행 경로를 추천하는 UI 화면(62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공된 비행 경로 외의 추가 비행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메뉴 항목(621)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비행 공간 예를 들어 비행 공간의 형상이 선택되면, 정찰 시작점 및 종료점을 입력받기 위한 제5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면체 형상의 비행 공간이 선택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찰 시작점 및 종료점을 입력받기 위한 제5 UI 화면(710)이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제5 UI 화면(710)에서 정찰 시작점(711) 및 종료점(712)이 선택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정찰 시작점(711) 및 종료점(712)에 따라 정찰하기에 적합한 비행 경로를 추천하는 UI 화면(72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공된 비행 경로 외의 추가 비행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메뉴 항목(721)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비행 공간 예를 들어 비행 공간의 형상이 선택되면, 정찰면을 입력받기 위한 제6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 형상의 비행 공간이 선택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찰면을 입력받기 위한 제6 UI 화면(810)이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제6 UI 화면(810)에서 정찰면(811)이 선택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정찰면(811)을 정찰하기에 적합한 비행 경로를 추천하는 UI 화면(62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공된 비행 경로 외의 추가 비행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메뉴 항목(821)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프로세서(120), 저장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30)는 프로세서(120)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에 포함된 롬(ROM),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2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부(13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실행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고,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무인 비행기(도 1, 200)의 정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해당 UI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즉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100)에서 지원되는 기설정된 소프트웨어 플랫폼(또는 운영 체제)을 통해 제공가능한 프로그램으로, 해당 프로그램이 설계된 작업의 특성에 따라 문자, 그림 또는 영상 등과 같은 자료를 처리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필요한 경우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상호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기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는 이벤트, 무인 비행기(20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등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무인 비행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40)는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 이더넷(Ethernet), IEEE 1394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UI를 통해 설정된 무인 비행기(200)의 정찰 방법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비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무인 비행기(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카메라(230), 센서(240), 전원부(250) 및 프로세서(260)를 포함한다.
무인 비행기(200)는 소형 드론, 초소형 드론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10)는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 이더넷(Ethernet), IEEE 1394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무인 비행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2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정찰 방법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비행 공간의 크기, 비행 경로, 비행 시간, 비행 시작점 및 종료점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230)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활성화되어 외부 환경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230)는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활성될 수 있다.
센서(240)는 무인 비행기(200) 내 정보, 무인 비행기(200)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40)는 근접센서, 조도 센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모션 센서, RGB 센서, 적외선 센서, 지문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 환경 센서, 화학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50)는 프로세서(2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5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본체에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무선 충전 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60)는 무인 비행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60)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와 동일/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6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정찰 방법 관련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인 비행기(200)의 비행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찰 대상이 움직이는 사람인 경우, 무인 비행기(200)는 수신된 비행 공간 및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비행 공간의 형상 및 세로폭, 가로폭, 높이 및 비행 패턴에 기초하여 움직이는 사람을 정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가지고 있는 단말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사람의 대략적 위치를 판단하고, 사람 근처에서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파악함으로써, 움직이는 사람을 수신된 비행 패턴에 따라 정찰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정찰 대상을 정찰하면서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거나 오디오 녹음 등을 수행하여 정찰 데이터를 회득하고, 획득된 정찰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 외부 서버나 프로그램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60)는 비행 공간에 대한 침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카메라(230)로 침범한 물체나 대상을 캡쳐하거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백어하고,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 저장된 전화번호(예를 들어 긴급 대응이 가능한 119 등)로 연락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무인 비행기(200)가 의료나 미용 산업에 활용될 경우에는 환자의 이상 부위 위치나 부위 넓이, 예측되는 병명 등을 진단하여 전자 장치(100), 외부 서버나 프로그램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우선 무인 비행기의 정찰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제1 UI를 제공한다(S1110).
제1 UI를 통해 정찰 대상이 선택되면,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UI를 제공한다(S1120). 여기서, 제2 UI는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상이한 비행 경로 각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정보는,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을 기설정된 형상의 도형으로 제공하고, 비행 경로를 상기 도형 내에서 방향성을 가지는 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도형은, 평면 도형 및 입체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행 경로는, 상하 수직형, 좌우 수평형, ZigZag 수직형, ZigZag 수평형, 테두리형, 고정형, 방사형, 대각선형, 확대 원형, 축소 원형, 나선형 및 격자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UI는, 정찰 대상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정찰 대상의 이미지, 비행 공간의 이미지 및 비행 경로의 이미지를 정찰 대상의 실측 사이즈, 비행 공간의 사이즈, 비행 경로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동일한 비율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UI를 제공하는 S1120 단계는, 선택된 정찰 대상의 특성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정찰 용도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비행 공간의 크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비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의 가로폭, 세로폭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제3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UI를 제공하는 S1120 단계는, 제3 UI를 통해 비행 공간의 크기가 설정되면, 설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비행 공간의 형상 및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정찰 대상의 정찰 용도를 입력받기 위한 제4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UI를 제공하는 S1120 단계는, 제4 UI를 통해 정찰 대상의 정찰 용도가 입력되면, 정찰 용도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비행 공간의 크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비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제1 및 제2 UI를 통해 설정된 정찰 대상 및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무인 비행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인 비행기의 비행 공간, 비행 경로 등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전자 장치 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프로세서 130: 저장부
140: 통신부

Claims (1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무인 비행기의 정찰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제1 UI를 제공하고,
    상기 제1 UI를 통해 정찰 대상이 선택되면,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UI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I는,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복수의 비행 공간 및 복수의 상이한 비행 경로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인 비행기가 이동하는 3차원 비행 공간을 나타내는 3차원 형상의 도형으로 표시되며,
    상기 복수의 비행 경로 각각은,
    상기 3차원 형상의 도형 내에서 방향성을 가지는 라인으로 표시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찰 대상의 특성 및 정찰 용도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상기 비행 공간의 크기, 상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상기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UI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경로는, 기설정된 비행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비행 패턴은,
    상하 수직형, 좌우 수평형, ZigZag 수직형, ZigZag 수평형, 테두리형, 고정형, 방사형, 대각선형, 확대 원형, 축소 원형, 나선형 및 격자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는, 상기 정찰 대상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찰 대상의 이미지, 상기 비행 공간의 이미지 및 상기 비행 경로의 이미지를 상기 정찰 대상의 실측 사이즈, 상기 비행 공간의 사이즈, 상기 비행 경로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동일한 비율로 제공하는, 전자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의 가로폭, 세로폭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제3 UI를 제공하고,
    상기 제3 UI를 통해 상기 비행 공간의 크기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상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상기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UI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기의 정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및 제2 UI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 및 제2 UI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정찰 대상 및 상기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인 비행기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무인 비행기의 정찰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제1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I를 통해 정찰 대상이 선택되면,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I는,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복수의 비행 공간 및 복수의 상이한 비행 경로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인 비행기가 이동하는 3차원 비행 공간을 나타내는 3차원 형상의 도형으로 표시되며,
    상기 복수의 상이한 비행 경로 각각은, 상기 3차원 형상의 도형 내에서 방향성을 가지는 라인으로 표시되며,
    상기 제2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정찰 대상의 특성 및 정찰 용도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상기 비행 공간의 크기, 상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상기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UI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경로는, 기설정된 비행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비행 패턴은,
    상하 수직형, 좌우 수평형, ZigZag 수직형, ZigZag 수평형, 테두리형, 고정형, 방사형, 대각선형, 확대 원형, 축소 원형, 나선형 및 격자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는, 상기 정찰 대상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정찰 대상의 이미지, 상기 비행 공간의 이미지 및 상기 비행 경로의 이미지를 상기 정찰 대상의 실측 사이즈, 상기 비행 공간의 사이즈, 상기 비행 경로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동일한 비율로 제공하는, 제어 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공간의 가로폭, 세로폭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제3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3 UI를 통해 상기 비행 공간의 크기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상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상기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UI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
  16. 삭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UI는,
    상기 무인 비행기의 정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 및 제2 UI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정찰 대상 및 상기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무인 비행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무인 비행기의 정찰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제1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I를 통해 정찰 대상이 선택되면,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비행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I는,
    상기 정찰 대상을 정찰하기 위한 복수의 비행 공간 및 복수의 상이한 비행 경로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인 비행기가 이동하는 3차원 비행 공간을 나타내는 3차원 형상의 도형으로 표시되며,
    상기 복수의 상이한 비행 경로 각각은,
    상기 3차원 형상의 도형 내에서 방향성을 가지는 라인으로 표시되며,
    상기 제2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정찰 대상의 특성 및 정찰 용도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상기 비행 공간의 크기, 상기 비행 공간의 형상 및 상기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UI를 제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70139271A 2017-10-25 2017-10-25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3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271A KR102403122B1 (ko) 2017-10-25 2017-10-25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8871349.9A EP3659329B1 (en) 2017-10-25 2018-08-08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8/009022 WO2019083139A1 (en) 2017-10-25 2018-08-08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880068647.4A CN111247783B (zh) 2017-10-25 2018-08-08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6/103,041 US10942511B2 (en) 2017-10-25 2018-08-14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271A KR102403122B1 (ko) 2017-10-25 2017-10-25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100A KR20190046100A (ko) 2019-05-07
KR102403122B1 true KR102403122B1 (ko) 2022-05-30

Family

ID=6616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271A KR102403122B1 (ko) 2017-10-25 2017-10-25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42511B2 (ko)
EP (1) EP3659329B1 (ko)
KR (1) KR102403122B1 (ko)
CN (1) CN111247783B (ko)
WO (1) WO2019083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1691S1 (en) * 2018-12-11 2021-06-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10187390A1 (en) * 2019-12-19 2021-06-24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Virtual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WO2022226930A1 (zh) * 2021-04-29 2022-11-03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无人机、系统及存储介质
KR102663887B1 (ko) * 2022-02-14 2024-05-09 주식회사 엔플럭스 3차원 지리 공간 상에 채워진 가상의 정다면체들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드론 및 그 동작 방법
CN115297303B (zh) * 2022-09-29 2022-12-27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 适用于电网输变电设备的图像数据采集处理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1540A1 (en) * 2014-05-22 2015-11-26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0532B2 (en) 2007-05-24 2011-06-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light path planning to reduce detec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3148532A (ja) 2012-01-23 2013-08-01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鉄道災害情報収集システムにおける自律飛行型ロボットの運用方法
US20140018979A1 (en) * 2012-07-13 2014-01-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utonomous airspace flight planning and virtual airspace containment system
US9075415B2 (en) * 2013-03-11 2015-07-07 Airphrame, Inc.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ame
KR20140038495A (ko) 2014-03-05 2014-03-28 진정회 회전익 드론 안전착륙팩
KR102219698B1 (ko) 2014-04-30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인 항공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007767A (zh) * 2014-05-14 2014-08-27 中国农业大学 无人机空间导航方法、无人机控制系统及控制装置
CN105517666B (zh) 2014-09-05 2019-08-2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基于情景的飞行模式选择
US20160116912A1 (en) * 2014-09-17 2016-04-28 Youval Nehmadi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nmanned vehicles
KR101543542B1 (ko) 2014-11-06 2015-08-10 김경숙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방법
WO2016076586A1 (en) * 2014-11-14 2016-05-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67991B1 (ko) 2014-12-19 2020-10-2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드론의 비행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892472A (zh) * 2015-02-13 2016-08-24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60100188A (ko) * 2015-02-13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EP3065042B1 (en) 2015-02-13 2018-11-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34334A (ko) 2015-05-15 201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64254B1 (ko) 2015-06-12 2015-10-30 배종외 드론 무선충전 시스템
KR20150100589A (ko) 2015-08-13 2015-09-02 윤통우 민간경비 드론 시스템
KR102178393B1 (ko) * 2015-09-03 2020-11-13 한국전력공사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US10283000B2 (en) * 2015-10-23 2019-05-07 Vigilair Limited Unmanned aerial vehicle deployment system
WO2017096547A1 (en) * 2015-12-09 2017-06-15 SZ DJI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uav flight control
US20170178518A1 (en) * 2015-12-16 2017-06-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erial drone through policy driven control rules
DK3398022T3 (da) 2016-02-26 2021-02-01 Sz Dji Technology Co Ltd Systemer og fremgangsmåder til tilpasning af uav-bane
CN106054920A (zh) * 2016-06-07 2016-10-26 南方科技大学 一种无人机飞行路径规划方法和装置
CN106444846A (zh) * 2016-08-19 2017-02-22 杭州零智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的定位和控制方法、装置及无人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1540A1 (en) * 2014-05-22 2015-11-26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21352A1 (en) 2019-04-25
CN111247783A (zh) 2020-06-05
EP3659329A4 (en) 2020-08-12
CN111247783B (zh) 2022-03-11
WO2019083139A1 (en) 2019-05-02
KR20190046100A (ko) 2019-05-07
EP3659329B1 (en) 2023-12-06
US10942511B2 (en) 2021-03-09
EP3659329A1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122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407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service
ES2794905T3 (es) Procedimiento de fotografía usando un dispositivo electrónico externo y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soporta el mismo
CN105432063A (zh) 数字装置及其控制方法
EP3545509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262748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50813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KR102636243B1 (ko)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8008859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11080325B2 (en) Ser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55213A (ko) 비행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장치
KR20180098079A (ko) 비전 기반의 사물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330178A1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unmanned arial photography vehicle
TW201814441A (zh) 用於顯示對應於實體物件之影像的處理方法及電子裝置
CN107005611A (zh) 附接装置及其控制电子装置的方法
EP37252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heart rate
US20160125318A1 (en) User-Assisted Learning in Security/Safety Monitoring System
KR20180115050A (ko) 무인 비행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그에 의해 제어되는 무인 비행 장치 및 시스템
US20200162679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14301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1013187A1 (zh) 无人飞行器寻找信息生成方法及无人飞行器
ES2766829T3 (es) Terminal móvil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una función del terminal móvil
WO2022188151A1 (zh) 影像拍摄方法、控制装置、可移动平台和计算机存储介质
KR20180054144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283257B1 (ko) 워크 도네이션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