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647B1 -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 - Google Patents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647B1
KR102401647B1 KR1020210126844A KR20210126844A KR102401647B1 KR 102401647 B1 KR102401647 B1 KR 102401647B1 KR 1020210126844 A KR1020210126844 A KR 1020210126844A KR 20210126844 A KR20210126844 A KR 20210126844A KR 102401647 B1 KR102401647 B1 KR 102401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mate change
elevating
case
lower case
infl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자인
Original Assignee
윤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자인 filed Critical 윤자인
Priority to KR1020210126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6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surveying; for geography, e.g. relief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cience of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에 관한 것으로, 승강부재(130)의 팽창체(131)가 수납되게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부케이스(111)와, 기후변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기후변화사진(150)이 설치되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케이스(116)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재(110); 상기 하부케이스부(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본체(132)를 상승시킬 수 있게 상기 하부케이스(111) 내에 설치되는 팽창체(131)와, 상기 팽창체(131)의 팽창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본체(132)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130);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에 의해 해수면의 상승에 따른 기후변화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16) 내에 설치되는 기후변화사진(150);을 마련하여 지구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른 기후변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고, 학생들에게 시각적으로 기후변화 상태를 보여줄 수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등을 시각적인 이미지를 통해 보다 유용하게 설명할 수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라 온도가 상승된 상태를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Teaching aid for climate change learning}
본 발명은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후변화에 의해 지구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해수면의 상승 및 지구와 실생활에 따른 영향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구의 평균기온은 매년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하고 있다.
최근의 경향을 보면 점차 기온이 오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을 두고 일반적으로 지구 온난화현상이라고 한다.
지구 온난화 현상 자체는 과거에도 있었으나, 주로 산업이 고속으로 발달하는 19세기 후반부터 관측되고 있는 온난화를 가리킨다.
이러한 현대 온난화의 원인은 온실가스의 증가에 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인데, 산업 발달에 따라 석유와 석탄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고 농업 발전을 통해 숲이 파괴되면서 온실효과의 영향이 커졌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기온(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에서 인정한 견해는 19세기 후반 이후 지구의 연평균기온이 0.6
Figure 112021110206759-pat00001
정도 상승했다는 것이며, 20세기 전반까지는 자연 활동이 온난화를 유발했지만, 20세기 후반부터는 인류의 활동이 온난화를 유발했다는 연구발표가 났다.
지구 온난화의 원인으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온실기체가 유력한 원인으로 꼽힌다.
온실기체로는 이산화탄소가 가장 대표적이며 인류의 산업화와 함께 그 양은 계속 증가하고 있고, 이외에도 메탄, 수증기가 대표적인 온실기체다.
현대에 사용하기 시작한 프레온가스는 한 분자당 온실효과를 가장 크게 일으키고, 또한 인류가 숲을 파괴하거나 환경오염 때문에 산호초가 줄어드는 것에 의해서 온난화 현상이 심해진다는 가설도 제시되었다.
나무나 산호가 줄어듦으로써 공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자연계가 흡수하지 못해서 이산화탄소의 양이 계속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증가는 화석연료의 소비와 빠른 산업발전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데, 하지만 일반 초등학생들은 그' 사실' 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아보는 과정이 없기에 일방적으로 주입식 기온(기후)변화에 대해 교육을 받고 있다.
따라서 환경의 중요성과 지구 기온변화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저학년인 초등학생들에게 지구 기온변화에 대한 학습을 이행하기 위해 학습교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지구 기온변화 학습교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지구 기온변화 학습교구는 지구기온에 대한 학습 또는 놀이를 하기 위한 소정 갯수의 지구의 평년기온카드군과, 기온상승사건카드군과, 기온하락사건카드군과, 지혜카드군과 상기 카드군들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한 게임카드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카드 정면 중앙부에는 지구형상을 형상화한 지구삽화를 표시하고, 그 상부에는 소정의 년도와 상기 해당 년도의 지구 평균기온을 형상화한 년평균기온표시부를 표시하며, 상기 카드의 모서리부에는 해당 년도의 지구 평균기온과 동일한 숫자를 형상화한 게임숫자부를 표시한 것을 포함한 복수개의 평균기온카드와, 직사각형의 카드 정면 중앙부에는 지구형상을 형상화한 지구삽화를 표시하되, 그 상부에는 소정의 년도와 상기 해당 년도의 상승한 지구 평균기온을 형상화한 년평균기온표시부를 표시하고, 상기 지구삽화 내부에는 상기 해당 년도의 지구 평균기온을 상승시킨 환경적 사건을 표현한 사건삽화를 표시한다.
상기 지구삽화 하부에는 상기 사건삽화의 내용을 설명한 사건설명을 표시하고, 상기 카드의 모서리부에는 해당 년도의 상승한 지구 평균기온과 동일한 숫자와 상승화살표를 표시한 게임숫자부를 표시한 것을 포함한 복수개의 기온상승사건카드와, 직사각형의 카드 정면 중앙부에는 지구형상을 형상화한 지구삽화를 표시하되, 그 상부에는 소정의 년도와 상기 해당 년도의 하강한 지구 평균기온을 형상화한 년평균기온표시부를 표시하고, 상기 지구삽화 내부에는 상기 해당 년도의 지구 평균기온을 하강시킨 환경적 사건을 표현한 사건삽화를 표시한다.
상기 지구삽화 하부에는 상기 사건삽화의 내용을 설명한 사건설명을 표시하고, 상기 카드의 모서리부에는 해당 년도의 하강한 지구 평균기온과 동일한 숫자와 하강화살표를 표시한 게임숫자부를 표시한 것을 포함한 복수개의 기온하락사건카드와, 기후(기온)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표현한 이벤트삽화를 표시하고, 상기 이벤트삽화의 하부에 기후(기온)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 이벤트설명을 표시한 복수개의 지혜카드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기후변화재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기후변화재현장치는 하단저장조와, 상기 하단저장조와 수송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수송관을 통해 상기 하단저장조에 저장된 액체를 펌프를 이용하여 회수하는 상단저장조와, 상기 상단저장조와 하단저장조 사이에 설치되는 제1저장조, 제2저장조, 제3저장조와, 상기 상단저장조와 상기 제1저장조, 상기 상단저장조와 상기 제2저장조, 상기 상단저장조와 상기 제3저장조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단저장조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제1저장조, 제2저장조, 제3저장조로 유입시키는 상부연결관과, 상기 제1 저장조와 상기 하단저장조, 제2 저장조와 상기 하단저장조, 제3저장조와 상기 하단저장조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저장조, 제2저장조, 제3저장조에 유입된 액체를 상기 하단저장조로 배출시키는 하부연결관 및 상기 제1저장조에 유입된 액체를 상기 제2저장조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저장조에 유입된 액체를 상기 제3저장조로 이동시키는 수평연결관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6429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80684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1-000493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구의 온도 상승에 따른 기후변화를 학생들에게 시각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는 승강부재(130)의 팽창체(131)가 수납되게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부케이스(111)와, 기후변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기후변화사진(150)이 설치되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케이스(116)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재(110); 상기 하부케이스부(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본체(132)를 상승시킬 수 있게 상기 하부케이스(111) 내에 설치되는 팽창체(131)와, 상기 팽창체(131)의 팽창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본체(132)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130);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에 의해 해수면의 상승에 따른 기후변화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16) 내에 설치되는 기후변화사진(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재(110)는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하부케이스(111)와, 상기 하부케이스(111)에 대응되게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상부케이스(116);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스(111)는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케이스(116)는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11)는 일정 직경을 갖는 종공의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체(131)가 팽창될 수 있게 가스를 주입될 수 있게 가스주입관(114)이 연결되게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파이프접속구(112); 상기 팽창체(131)가 팽창될 수 있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상기 파이프접속구(112)에 연결되는 가스주입관(113);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상부에 상기 상부케이스(116)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16)는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 시 상기 승강본체(132)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승강본체(1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본체(132)가 상승될 수 있게 저면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상부에 거치될 수 있게 상기 걸림돌기(115)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홈부(118);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 시 상기 승강본체(132)가 하강되지 않게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부 외면에 설치되는 자성체(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재(130)는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본체(132)가 상승될 수 있게 팽창이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되게 가스주입관(114)에 연결되는 팽창체(131); 상기 팽창체(131)의 챙팡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16)의 내측으로 상승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본체(132); 상기 승강본체(132)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16)에 부착될 수 있게 상기 승강본체(132)의 내면에 설치되는 금속체(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본체(152)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는 바닥부(133)와, 상기 바닥부(133)의 상부에 원통으로 측면부(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134)의 내면에 상기 금속체(135)가 설치되며, 상기 금속체(135)는 상기 상부케이스(116)에 설치된 자성체(119)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부(134)는 상기 승강본체(132)에 상승되어 기후변화의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기후변화사진(150)을 가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에 의하면, 지구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른 기후변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고, 학생들에게 시각적으로 기후변화 상태를 보여줄 수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등을 시각적인 이미지를 통해 보다 유용하게 설명할 수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라 온도가 상승된 상태를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도시한 분해 저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의 승강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의 승강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는 승강부재(130)의 팽창체(131)가 수납되게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부케이스(111)와, 기후변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기후변화사진(150)이 설치되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케이스(116)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재(110)와, 상기 하부케이스부(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본체(132)를 상승시킬 수 있게 상기 하부케이스(111) 내에 설치되는 팽창체(131)와, 상기 팽창체(131)의 팽창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본체(132)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130)와,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에 의해 해수면의 상승에 따른 기후변화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16) 내에 설치되는 기후변화사진(1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도시한 분해 저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는 상하로 분리된 케이스부재(110)와, 상기 케이스부재(110)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130)와, 상기 승강부재(130)의 상승에 의해 기후변화에 따른 상황(또는 상태)을 파악할 수 있는 기후변하사진(15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재(110)는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하부케이스(111)와, 상기 하부케이스(111)에 대응되게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상부케이스(116)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스(111)는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케이스(116)는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부케이스(111)와 상부케이스(116)는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케이스부재(1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후변화사진(150)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케이스(111)는 일정 직경을 갖는 종공의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체(131)가 팽창될 수 있게 가스를 주입될 수 있게 가스주입관(114)이 연결되게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파이프접속구(113)와, 상기 팽창체(131)가 팽창될 수 있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상기 파이프접속구(113)에 연결되는 가스주입관(114)과,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상부에 상기 상부케이스(116)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115)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케이스본체(112)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일정 직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승강부재(130)를 설치할 수 있게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본체(112)의 저면에는 가스주입관(114)을 결합시킬 수 있게 파이프접속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접속구(113)에는 가스주입관(114)이 연결된다.
상기 가스주입관(114)에는 팽창체(131)를 팽창시킬 수 있는 팽창가스를 주입할 수 있게 컴프레서(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하부케이스본체(112)의 하부에는 상부케이스(116)를 결합시킬 수 있게 한 쌍의 걸림돌기(11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16)는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 시 상기 승강본체(132)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승강본체(1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본체(132)가 상승될 수 있게 저면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상부에 거치될 수 있게 상기 걸림돌기(115)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홈부(118)와,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 시 상기 승강본체(132)가 하강되지 않게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부 외면에 설치되는 자성체(119)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16)의 상부케이스본체(117)는 하부케이스(111)의 상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케이스본체(117)의 하부에는 걸림돌기(115)에 끼워질 수 있게 한 쌍의 걸림홈부(117)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본체(117)의 외면 상부에는 승강부재(130)가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게 자성체(119)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재(130)는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본체(132)가 상승될 수 있게 팽창이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되게 가스주입관(114)에 연결되는 팽창체(131)와, 상기 팽창체(131)의 챙팡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16)의 내측으로 상승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본체(132)와, 상기 승강본체(132)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16)에 부착될 수 있게 상기 승강본체(132)의 내면에 설치되는 금속체(135)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부재(130)는 가스주입관(114)에 연결되는 팽창체(131)와, 상기 팡창체(131)의 팽창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본체(132)와, 상기 승강본체(132)가 자성체(119)의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게 금속체(135)를 구비한다.
상기 팽창체(131)는 가스주입관(114)에서 주입되는 팽창가스 또는 공기 등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팽창체(131)는 팽창가스 또는 공기 등에 의해 팽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승강본체(132)는 팽창체(131)에 의해 승강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본체(132)는 팽창체(131)의 상면에 맞닿는 바닥부(133)와, 상기 바닥부(133)의 상면에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부(13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134)는 상부케이스(116)로 상승되어 기후변화사진(150)을 가릴 수 있게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부(134)의 내면에는 자성체(119)의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게 금속체(135)가 고정된다.
상기 기후변화사진(150)은 해수면의 상승 또는 온도의 상승에 따른 기후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사진 등으로 이루어진다.
다음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의 승강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의 승강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는 승강부재(130)의 승강본체(132)가 상승되고,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에 의해 기후변화사진(150)을 가려줌으로써, 지구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팡챙체(131)에는 가스주입관(114)을 통해 팽창가스 또는 공기 등이 주입되고, 상기 팽창체(131)는 주입된 팽창가스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팽창체(131)의 팽창은 지구의 온도 또는 해수면의 상승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상기 팽창체(131)는 지구의 온도가 0.5~2℃ 만큼 상승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승강본체(132)는 0.5℃, 1℃, 1.5℃, 2℃의 상승에 따라 적정 높이로 상승되며, 이는 지구의 온도가 상승되는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본체(132)는 팽창체(131)에 의해 지구의 온도가 상승되는 상태를 보여주게 되는데, 지구의 온도가 1℃ 이하로 상승되는 경우, 가스주입관(114)을 통해 팽창가스의 주입을 멈추고, 팽창가스(이산화탄소 또는 온실가스 등)를 빼내는 경우 해수면이 내려가는 것을 보여주게 된다.
이는 해수면이 내려가면서 어느 정도 기후 변화에 따른 지구의 환경이 온도 상승 이전의 상태(또는 환경)으로 복원 가능하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게 된다.
또 지구의 온도가 1.5℃~2℃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팽창가스의 주입을 멈추고 팽창가스를 빼내게 되더라도 승강본체(132)에 설치된 금속체(135)가 자성체(119)에 부착되어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지구의 온도가 1.5℃ 또는 2℃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기후 변화에 따른 지구의 환경이 온도 상승 이전의 상태(또는 환경)으로 복원되지 않고, 인간과 생물들이 삶의 터전을 잃게 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본체(132)가 상승됨에 따라 승강본체(132) 내면에 고정된 금속체(135)는 상승하게 되고, 상기 금속체(135)가 최고 높이로 상승됨에 따라 상기 금속체(135)는 자성체(119)의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이는 상기 승강본체(132)가 최고 높이로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승강본체(132)는 지구의 온도가 1.5℃ 또는 2℃의 온도로 올라간 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
이에 상기 승강본체(132)는 기후변화사진(150)을 가려주게 되고, 지구의 온도가 상승된 상태 또는 해수면의 상승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케이스부재 111: 하부케이스
112: 하부케이스본체 113: 파이프접속구
114: 가스주입관 115: 걸림돌기
116: 상부케이스 117: 상부케이스본체
118: 걸림홈부 119: 자성체
130: 승강부재 131: 팽창체
132: 승강본체 133: 바닥부
134: 측면부 135: 금속체
150: 기후변화사진

Claims (6)

  1. 삭제
  2. 승강부재(130)의 팽창체(131)가 수납되게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부케이스(111)와, 기후변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기후변화사진(150)이 설치되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케이스(116)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재(110);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본체(132)를 상승시킬 수 있게 상기 하부케이스(111) 내에 설치되는 팽창체(131)와, 상기 팽창체(131)의 팽창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본체(132)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130);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에 의해 해수면의 상승에 따른 기후변화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16) 내에 설치되는 기후변화사진(150);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재(110)는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하부케이스(111)와, 상기 하부케이스(111)에 대응되게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상부케이스(116);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스(111)는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케이스(116)는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11)는 일정 직경을 갖는 종공의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체(131)가 팽창될 수 있게 가스를 주입될 수 있게 가스주입관(114)이 연결되게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파이프접속구(112);
    상기 팽창체(131)가 팽창될 수 있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상기 파이프접속구(112)에 연결되는 가스주입관(113);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상부에 상기 상부케이스(116)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16)는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 시 상기 승강본체(132)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승강본체(1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본체(132)가 상승될 수 있게 저면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상부에 거치될 수 있게 상기 걸림돌기(115)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홈부(118);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 시 상기 승강본체(132)가 하강되지 않게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부 외면에 설치되는 자성체(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130)는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본체(132)가 상승될 수 있게 팽창이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본체(132)의 상승되게 가스주입관(114)에 연결되는 팽창체(131);
    상기 팽창체(131)의 챙팡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16)의 내측으로 상승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본체(132);
    상기 승강본체(132)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16)에 부착될 수 있게 상기 승강본체(132)의 내면에 설치되는 금속체(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본체(132)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는 바닥부(133)와, 상기 바닥부(133)의 상부에 원통으로 측면부(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134)의 내면에 상기 금속체(135)가 설치되며, 상기 금속체(135)는 상기 상부케이스(116)에 설치된 자성체(119)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부(134)는 상기 승강본체(132)에 상승되어 기후변화의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기후변화사진(150)을 가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
KR1020210126844A 2021-09-27 2021-09-27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 KR102401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844A KR102401647B1 (ko) 2021-09-27 2021-09-27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844A KR102401647B1 (ko) 2021-09-27 2021-09-27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647B1 true KR102401647B1 (ko) 2022-05-25

Family

ID=8179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844A KR102401647B1 (ko) 2021-09-27 2021-09-27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64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3912A (ja) * 2001-08-01 2003-02-14 Hokoku Kogyo Co Ltd 地球温暖化現象実験装置
KR20110004939U (ko) 2009-11-12 2011-05-18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신ㆍ재생 에너지 학습 교구
KR101186429B1 (ko) 2011-04-08 2012-09-2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구 기온변화 학습교구
KR20130011512A (ko) * 2011-07-22 2013-01-30 미성엠프로 주식회사 교육용 시뮬레이션 급수 장치
KR20130080684A (ko) 2012-01-05 2013-07-1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후변화재현장치 및 그 방법
KR200476604Y1 (ko) * 2014-08-22 2015-03-12 (주)다산애드컴 연출 및 체험 관람 장치
KR200477032Y1 (ko) * 2014-08-22 2015-05-04 (주)다산애드컴 연출 및 체험 관람 장치
CN206075649U (zh) * 2016-06-30 2017-04-05 丁建国 一种温室效应演示仪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3912A (ja) * 2001-08-01 2003-02-14 Hokoku Kogyo Co Ltd 地球温暖化現象実験装置
KR20110004939U (ko) 2009-11-12 2011-05-18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신ㆍ재생 에너지 학습 교구
KR101186429B1 (ko) 2011-04-08 2012-09-2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구 기온변화 학습교구
KR20130011512A (ko) * 2011-07-22 2013-01-30 미성엠프로 주식회사 교육용 시뮬레이션 급수 장치
KR20130080684A (ko) 2012-01-05 2013-07-1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후변화재현장치 및 그 방법
KR200476604Y1 (ko) * 2014-08-22 2015-03-12 (주)다산애드컴 연출 및 체험 관람 장치
KR200477032Y1 (ko) * 2014-08-22 2015-05-04 (주)다산애드컴 연출 및 체험 관람 장치
CN206075649U (zh) * 2016-06-30 2017-04-05 丁建国 一种温室效应演示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6051B2 (en) Inflatable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KR102401647B1 (ko) 기후변화 학습용 교구
US20030170595A1 (en) Educational chart for teaching reading and other subjects
Dove Student preferences in the depiction of the water cycle and selected landforms
CN201918068U (zh) 一种盲人用教具
US20160046141A1 (en) Book that can be read as a shadow
CN2896408Y (zh) 水反冲旋转演示器
de Hulster “A Monument and a Name”: Isaiah 56 and the Aniconic Image
KR200353015Y1 (ko) 어린이용 한자책.
Gandelman The Poem as Map-John Donne and the'anthropomorphic landscape'tradition
CN211878831U (zh) 一种英语教学词汇展示板
Heffernan Space and time in literature and the visual arts
KR200458712Y1 (ko) 입체 단어 노트
AU2009252881B2 (en) Illustrated guide for the identification of organisms in the field
US20220157186A1 (en) A rubik's cube of chinese characters
CN205827720U (zh) 中文认字教学用教具
CN2254661Y (zh) 一种望远文具盒
KR200266518Y1 (ko) 유아용 학습판
KR200187861Y1 (ko) 카드 퍼즐책
CN204451611U (zh) 资料档案永久保存装置
CN2716937Y (zh) 拼音游戏教学用具
CN205486973U (zh) 一种汉字识字卡
CN114446124A (zh) 一种基于组合原理英语教学设备
Byrd This Is Not a Map
CN202167164U (zh) 轨道式滑动演示拼音学教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