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276B1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276B1
KR102401276B1 KR1020170122258A KR20170122258A KR102401276B1 KR 102401276 B1 KR102401276 B1 KR 102401276B1 KR 1020170122258 A KR1020170122258 A KR 1020170122258A KR 20170122258 A KR20170122258 A KR 20170122258A KR 102401276 B1 KR102401276 B1 KR 102401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utlet
air
roof
concent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3736A (en
Inventor
한성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276B1/en
Priority to PCT/KR2018/009243 priority patent/WO2019054646A1/en
Publication of KR20190033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2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07Nozzles; Air-diffusers providing an air stream in a fixed direction, e.g. using a grid or porous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divergence, convergence or oscillation of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공조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와 연통되어 차량의 지붕에 구비되는 루프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토출구는 복수개의 미세구멍인 분산토출구와 상기 분산토출구보다 토출량이 많은 집중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분산토출구 또는 집중토출구로 선택적으로 공기가 토출되므로, 종래의 통상적인 공조장치와 달리 탑승자의 상측에서 냉/온풍을 복수개의 미세구멍을 통해 분산모드로 토출하여 냉기 또는 온기가 탑승자의 피부 또는 안구에 집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를 제공한다.Disclosed is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of outlet provid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in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wherein the loop outle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spersed outlets that are fine holes and a concentrated outlet with a larger discharge amount than the dispersed outlet, and the plurality of dispersed outlets are formed. Since air is sel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r the centralized outlet, the cold/hot air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occupant in a distributed mode through a plurality of micro-holes, unlike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system, so that the cold or warm air is concentrated on the skin or eyes of the occupant. It provides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maximiz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in use by preventing it from touching.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탑승자의 상측에서 냉/온풍을 복수개의 미세구멍을 통해 분산모드로 토출하여 냉기 또는 온기가 탑승자의 피부 또는 안구에 집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which discharges cold/hot air from the upper side of the occupant in a distributed mode through a plurality of micro-holes so that the cold or warm air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occupant's skin or eyes intensively,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occupant. It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공조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차량 운행 중 차내 탑승자의 쾌적함 및 안락함을 증대시키고 안전 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위 환경 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기와 공기 환경 등을 적당하게 유지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쾌적한 느낌을 주게 된다.In general, a vehicle is equipped with an air conditioning device, which is a device for increasing the comfort and comfort of occupants in the vehicle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promoting safe driving, and appropriately maintains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environment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gives the passengers a comfortable feeling.

즉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써,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상기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That is,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by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or heating or cool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air in the vehicle. and a heater core for heating and air cooled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heater core to selectively blow air to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using a door for switching the blowing mode.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유닛, 증발기유닛 및 히터유닛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닛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3 Pieces) 타입과, 증발기유닛 및 히터유닛이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유닛이 별도의 유닛으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Semi-Center)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닛들이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Center Mounting)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dependent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unit, the evaporator unit and the heater unit, the air conditioner is a three-piece type in which the three units are independently provided, and the evaporator unit and the heater unit are built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blow I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 semi-center type in which the unit is provided as a separate unit, and a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ll three units are built in an air conditioning case.

도 1은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1)는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전환도어(23)가 설치되며, 내,외기를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유닛(10)과, 상기 송풍유닛(1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증발기(41)가 설치되는 증발유닛(40)과, 상기 증발유닛(4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가열하도록 히터코어(51)가 설치됨과 아울러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도록 공기토출구(52)가 구비된 히터유닛(50)으로 구성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such an air conditioner 1 for a vehicle. As shown in FIG. 1 , in the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1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an inside air inlet 21 and an outside air inlet 22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lets 21 and 22 ), an internal and external air switching door 23 is install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nd a blowing unit 10 including a blowing fan 35 for forcibly blowing internal and external air, and the blowing unit 10 blown from the An evaporation unit 40 in which an evaporator 41 is installed to cool the air, a heater core 51 to he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vaporation unit 40 are installed, and an air outlet to discharge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It is composed of a heater unit (50) provided with (52).

도 2와 같이, 일예로 차량의 전방에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1)는 상기 공기토출구(52)와 연통되어 공기가 지붕에서 토출되는 루프토출구(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루프토출구(30)는 전석루프토출구(31)와 후석루프토출구(3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석루프토출구(31)는 전석 탑승자의 상측에서, 후석루프토출구(32)는 후석 탑승자의 상측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for example,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a roof outlet 30 that communicates with the air outlet 52 and discharges air from the roof. Such a roof discharge port 30 may be divided into a front seat roof discharge port 31 and a rear seat roof discharge port 32. The front seat roof discharge port 31 is located above the front seat occupant, and the rear seat roof discharge port 32 is located on the rear seat passenger's side. Air may be discharged from the upper side.

이 경우 종래의 기술에 의한 루프토출구(3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루프토출구(30)의 개방 시에는 복수개의 가로바(31)가 세로로 회전되어 토출구가 개방되고, 폐쇄 시에는 복수개의 가로바(31)가 가로로 회전되어 토출구가 폐쇄되는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roof outlet 30 according to the prior art rotates vertically when the roof outlet 30 is opened, an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31 are rotated to open the outlet, and when close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31 are rotated horizontally to close the discharge port.

이러한 통상적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루프토출구(30)는 여성 또는 어린아이와 같이 차갑거나 뜨거운 토출공기로부터 피부 또는 안구를 보호해야 될 필요성이 있는 탑승자의 경우, 정해진 공조토출모드 이외에는 풍향을 별도 조절할 수가 없어 냉기 또는 온기가 탑승자의 피부 또는 안구에 직접 닿음으로써 노출부의 건조함을 유발하여 피부 상태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루프토출구는 개방모드와 폐쇄모드만 존재하기 때문에 개방모드 시 냉기가 집중되므로, 탑승자는 부분적인 한기를 느끼게 된다. 이 후 루프토출구를 폐쇄하면 다시금 더위를 느껴 탑승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할 때가 많이 있었다.The roof outlet 30 of such a typical vehicle air conditioner cannot separately control the wind direction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air conditioning discharge mode for passengers who need to protect their skin or eyes from cold or hot air, such as women or children. Alternativ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kin condition is deteriorated by causing dryness of the exposed part as the warmth directly touches the skin or eyes of the occupant. That is, since the conventional roof outlet has only an open mode and a closed mode, cold air is concentrated in the open mode, so that the occupant feels partial chills. After that, when the roof outlet is closed, there were many times when the occupants felt uncomfortable by feeling the heat again.

또한 최근 자율주행 차량의 연구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데, 전석이 후방을 향하여 회전되거나 이동될 때, 차량 지붕의 중앙에 위치되는 루프토출구(30)는 전후석에 동시에 공기를 토출하게 되어 그 유용성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공조장치의 개발 및 도입이 시급한 현실에 있다.In addition, research on autonomous vehicles is actively taking place recently. When the front seats are rotated or moved toward the rear, the roof outlet 30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oof of the vehicle simultaneously discharges air to the front and rear seats, so its usefulness is quite significant.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nd introduce such an air conditioner.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공조장치와 연통되어 차량의 지붕에 구비되는 루프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토출구는 복수개의 미세구멍인 분산토출구와 상기 분산토출구보다 토출량이 많은 집중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분산토출구 또는 집중토출구로 선택적으로 공기가 토출되므로, 종래의 통상적인 공조장치와 달리 탑승자의 상측에서 냉/온풍을 복수개의 미세구멍을 통해 분산모드로 토출하여 냉기 또는 온기가 탑승자의 피부 또는 안구에 집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와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is problem is to include a roof outlet provid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in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wherein the roof outlet includes a plurality of fine holes, distributed outlets, and a concentrated discharge amount greater than that of the dispersed outlets. Since the air outlet is formed and air is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dispersed outlets or concentrated outlets, cold/hot air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occupant in a dispersed mode through a plurality of fine holes, unlike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device, so that cold air or cold air is discharged. It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passengers by preventing the warmth from intensively contacting the passengers' skin or ey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용 공조장치와 연통되어 차량의 지붕에 구비되는 루프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토출구는, 복수개의 분산토출구와 상기 분산토출구보다 토출량이 많은 집중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분산토출구 또는 집중토출구로 선택적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 roof outlet provid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in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air conditioner, wherein the roof outlet includes a plurality of distributed outlets and a larger discharge amount than the dispersed outlet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centralized discharge port is formed, and air is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dispersed or concentrated discharge ports.

또한 상기 루프토출구는, 일측에 차량용 공조장치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개의 분산토출구 또는 집중토출구로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of outlet is provided with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n one sid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to be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dispersed or concentrated outlets.

또한 상기 루프토출구는, 차량 지붕에 구비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토출구는 상기 플레이트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관통형성되고, 상기 집중토출구는, 유입구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of outlet may include a plate provid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outlets may be formed through the pl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centrated outlet may extend through one side of the inlet and be formed through the plate. have.

또한 상기 집중토출구의 둘레 일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돌출된 차단벽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벽의 단부와 유입구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개폐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개폐구간을 개폐하여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개의 분산토출구 또는 집중토출구로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 blocking wall protruding to block the flow of air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and an opening/closing section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blocking wall and the inlet, and the adjusting means controls the opening/closing section By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may be controlled to be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dispersed or concentrated discharge ports.

또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된 축돌기와, 상기 축돌기와 결합되어 축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이 축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판의 단부가 차단벽의 단부와 유입구의 일측에 접촉하여 개폐구간를 폐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ing means includes a shaft projection provided on the plate, and a rotation plate coupled to the shaft projection to rotate around the shaft projection, and the rotation plate rotates around the shaft projection so that the end of the rotation plate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locking wall The opening/closing section can be closed by contacting one side of the inlet.

또한 상기 조절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집중토출구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trol means.

또한 상기 집중토출구는, 상기 집중토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개의 가로바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집중토출구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의 일측과 가로바의 일측에 상호 결합되는 연결편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ransverse bars rotating along a rotation axis to open and close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and mutu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and one side of the horizontal bar so that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trol means A connecting piece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와 연통되어 프론트 필러를 경유하여 차량의 지붕으로 연장되어 루프토출구로 공기를 공급하는 루프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it may further include a roof vent that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nd extends to the roof of the vehicle via the front pillar to supply air to the roof outlet.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의하면, 종래의 통상적인 공조장치와 달리 탑승자의 상측에서 냉/온풍을 복수개의 미세구멍을 통해 분산모드로 토출하기에 탑승자의 피부 또는 안구에 냉기 또는 온기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되어 피부 또는 안구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 또는 안구를 보호할 수 있다. 즉 냉기 또는 온기가 탑승자의 피부 또는 안구에 집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unlike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system, cold/hot air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occupant in a dispersed mode through a plurality of micro-holes, so that the cold or warm air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occupant's skin or eyes.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skin or the eyes by preventing the skin or the eyes from drying out. That i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use by preventing the cold or warm air from intensively contacting the skin or eyes of the passenger.

또한 미세구멍과 동시에 토출구에서 냉/온풍이 동시에 나오는 혼합모드에서는 루프토출구의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된 집중토출구와 플레이트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분산토출구에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하게 되므로, 차량 탑승 초기에 차량 내부의 빠른 공조, 환기를 원하는 경우 혼합모드로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차량 탑승 시 집중토출구를 통하여 집중적으로 냉/온기를 토출하다가 차량 내부가 안정되면 분산모드로 전환하여 쾌적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mixed mode in which cold/hot air is simultaneously emitted from the outlet at the same time as the micropore, air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from the centralized outlet formed through the plate of the roof outlet and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outlets penetrating the plate at regular intervals. If you want quick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on inside, you can switch to the mixed mode and use it. That i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mfort by switching to the distributed mode when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stabilized while intensively discharging cold/warm air through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when boarding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분산모드로 차량의 지붕에서 냉풍을 토출하게 되면, 필요한 경우 자유롭게 창문을 열어도 차량의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순환되므로 더욱 시원함을 느낄 수 있게 되고 특히 여름철 차량의 실내 답답함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분산모드에서는 루프토출구에서의 토출바람을 거의 느끼지 못하면서 쾌적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ld air is discharged from the roof of the vehicle in the distributed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window is freely opened if necessary, a vortex is formed and circulated inside the vehicle, so that it is possible to feel cooler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the distributed mo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fort while hardly feeling the wind blowing from the roof outlet.

공조장치 구동 시 차량 측면 창문의 프로트 필러에 형성된 디프로스팅 토출구를 통해 측면 앞창문 부근의 위에서 아래로 냉기 또는 온기가 토출되어 앞창문의 서리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air conditioner is driven, cold air or warm air is discharged from the top down near the side front window through the defrosting outlet formed in the front pillar of the side window of the vehicle to remove the frost from the front window.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루프토출구가 구비된 차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루프토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에서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와 연통된 루프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분산모드로 작동하는 루프토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분산모드로 작동하는 루프토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혼합모드로 작동하는 루프토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provided with a roof discharge port.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ventional loop outlet.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a roof vent in communication therewith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op outlet operating in a distributed mode.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op outlet operating in a distributed mode.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op outlet operating in a mixing mode.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xample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에서 차량용 공조장치(100) 및 이와 연통된 루프벤트(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and the roof vent 200 connected thereto in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루프벤트(200)는 차량용 공조장치(100)와 연통되고 프론트 필러를 경유하여 차량의 지붕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루프벤트(200)는 전석시트의 소정 간격으로 후측에 형성되어 전석시트의 후면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루프토출구(210)가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과 유사하게 차량의 바닥에는 차량용 공조장치(100)와 연통되어 차량의 바닥에서 공기를 토출하도록 플로어벤트가 구비될 수 있다.The roof vent 200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and extends to the roof of the vehicle via the front pillar. The roof vents 200 ar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sea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roof outlet 210 for discharging air to the rear of the front seat is formed. Meanwhile, similar to this configuration, a floor vent may be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vehicle to discharge air from the floor of the vehicle in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

특히 이러한 구성은 자율주행 차량의 무인 운전 시에 전석에 착석한 탑승자가 후면을 바라볼 수 있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이에 전석시트의 향하는 방향에 따라 전석시트의 전면에는 전면토출구에 의해, 전석의 후면에는 루프벤트(200)를 경유하여 루프토출구(210)에서 선택적으로 온/냉풍을 토출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this configuration takes into account the case in which the occupant in the front seat can look to the rear during unmanned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seats are facing, hot/cold air can be selectively discharged from the roof outlet 210 via the front outlet on the front of the front seat and the roof vent 200 on the rear of the front seat.

한편 상기 전석시트의 회전 또는 이동을 일측에 구비된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그 방향(탑승자의 앉은 방향)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전면 또는 후면 토출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rotation or movement of the front seat may be detected by a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front or rear discharge mode may be automatically converted b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irection (the seated direction of the passenger).

이에 차량의 전방 엔진룸 또는 대시패널에는 차량용 공조장치(100)가 구비되고, 차량용 공조장치(100)와 연통되어 차량의 루프를 따라 배치되며 전석시트와 후석시트 사이에 루프토출구(210)가 형성된 루프벤트(200)와, 이에 더하여 차량용 공조장치(100)와 연통되어 차량의 바닥을 따라 배치되며, 전석시트와 후석시트 사이에 바닥토출구가 구비된 플로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is provided in the engine room or dash panel in front of the vehicle, communicated with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and disposed along the roof of the vehicle, and the roof outlet 210 is formed between the front seat and the rear seat. It may include a roof vent 200 and, in addition, a floor vent provided with a floor outlet between the front seat and the rear seat, which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and is disposed along the floor of the vehicle.

자율주행 차량에 있어서, 전석시트가 후면을 바라볼 때에는 전석시트의 탑승자가 차량의 앞유리창보다는 측면의 창문을 보기에 측면 창문의 성애를 제거하는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루프벤트(200)는 차량의 지붕과 측면 창문의 경계를 따라 배치되어 차량 측면 창문의 성애를 제거하기 위해 냉풍을 토출하는 디프로스팅 토출구(201)가 구비될 수 있다.In an autonomous vehicle, when the front seats face the rear, the role of removing the frost from the side windows is important because the occupants of the front seats see the side windows rather than the windshield windows of the vehicle. Accordingly, the roof ven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defrosting outlet 201 dispos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roof and the side window of the vehicle to discharge cold air to remove the frost of the side window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차량용 공조장치가 가동하게 되면 감지센서에 의하여 전석시트의 방향을 감지하게 되고, 전석시트가 전면을 향하면 상기 전면토출구로 냉온풍을 토출하게 된다. 또한 전석시트가 후면을 향하면, 공조장치(100)와 연통되어 차량의 지붕으로 배치되는 루프벤트(200)를 통하여 루프토출구(210)로 냉온풍을 토출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is operated, the direction of the front seats is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and when the front seats face the front, hot and col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outlet. In addition, when the front seats face the rear, hot and cold air is discharged to the roof outlet 210 through the roof vent 200 that communicates with the air conditioner 100 and is dispos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즉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석시트가 전면 또는 후면을 선택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회전 또는 이동되는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전석시트가 전면을 바라볼 때에는 차량용 공조장치(100)와 연통된 전면토출구에서 냉온풍이 토출되고, 전석시트가 후면을 바라볼 때에는 전석시트의 후측에서 냉온풍이 토출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That is,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autonomous vehicle that rotates or moves so that the front seat can selectively look at the front or rear, and when the front seat faces the front,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and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hot and cold air is discharged from the communicating front outlet, and hot and cold air can be discharged from the rear side of the front seat when the front seat faces the rear.

이 경우 전석시트의 전면에 바람을 토출하는 전면토출구(110)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지만, 본 발명은 전석시트의 후면에서 바람을 토출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이러한 추가적인 구성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공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종래와 다른 세부적인 구성도 추가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discharge port 110 for discharging wind to the front of the front seat is the same as that of the prior ar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n additional configuration capable of discharging wind from the rear of the front seat.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is additional configuration, a detailed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is added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effectively.

도 6은 분산모드로 작동하는 루프토출구(2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oop outlet 210 operating in a distributed mode.

상기 루프토출구(210)는 일예로 사각형상의 플레이트(220)와, 상기 루프토출구(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지붕에 구비되어 차량용 공조장치(100)의 루프벤트(200)와 연통되는 유입구(230)와, 유입구(23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분산토출구(240)와 집중토출구(250)가 형성되어 탑승자의 머리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The roof outlet 210 includes, for example, a rectangular plate 220 and an in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roof outlet 210 and provid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to communicate with the roof vent 200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 230 and a plurality of distributed discharge ports 240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230 are discharged and a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are formed to discharge air toward the head of the occupant.

루프토출구(210)는 종래와 같이 유입구(23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집중토출구(250)로 토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과 같이 복수개의 분산토출구(240)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루프토출구(210)는 선택적으로 집중토출구(250)를 통한 냉/온풍의 집중모드와, 분산토출구(240)를 통한 냉/온풍의 분산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집중모드와 분산모드는 후술할 조절수단(260)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아울러 집중모드와 분산모드의 혼합모드로도 조절이 가능해진다.In the loop outlet 210 ,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230 may be discharged to the centralized outlet 250 as in the prior art, and may be discharged to a plurality of dispersed outlets 240 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loop outlet 210 may selectively operate in a concentrated mode of cold/hot air through the centralized outlet 250 and a distributed mode of cold/hot air through the dispersed outlet 240 . The concentrated mode and the dispersed mode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through the adjusting means 260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mixed mode of the concentrated mode and the dispersed mod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루프토출구(210)의 분산모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ispersion mode of the loop outle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분산토출구(240)는 차량 지붕에서 탑승자를 향하여 공기가 토출되도록 사각형상의 플레이트(220)에 복수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미세구멍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플레이트(220)는 사각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산토출구(240)의 홀 단면적은 10mm2 내지 30mm2로 형성되며, 그 형상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spersed discharge ports 240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quare plates 2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air is discharged from the roof of the vehicle toward the occupants, and penetrated through micro-holes. In this case, the plate 220 is shown in a rectangular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abl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e of the dispersed discharge port 240 is 10 mm 2 to 30 mm 2 , and the shape may be variously formed such as a circle, a polygon, and the like.

상기 집중토출구(250)은 유입구(230)의 일측에 연장되어 일반적인 토출구의 크기로 플레이트(220)에 관통형성된다. 또한 집중토출구(250)의 둘레 일측에는 일부가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벽(251)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차단벽(251)은 유입구(230)의 반대방향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차단벽(251)의 양단부와 유입구(230) 사이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개폐구간(252)이 형성된다.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extends to one side of the inlet 230 and is formed through the plate 220 in the size of a general discharge port. In addition, a blocking wall 251 that partially blocks the flow of air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 In this case, the blocking wall 251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let 230 . Accordingly, between both ends of the blocking wall 251 and the inlet 230, an opening/closing section 252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이 경우 루프토출구(210)는 상기 개폐구간(252)을 폐쇄하는 조절수단(26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조절수단(260)은 차단벽(251)의 단부와 유입구(230) 사이에 형성된 개폐구간(252)을 개방 및 폐쇄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도 6과 같이, 상기 조절수단(260)이 개폐구간(252)을 개방하게되면 유입구(230)로 유입되는 공기는 복수개의 분산토출구(240)로 토출되어 공기가 분산토출되는 분산모드가 되고, 또는 상기 조절수단(260)이 개폐구간(252)을 폐쇄하게 되면, 유입구(230)로 유입되는 공기는 차단벽(251)과 조절수단(260)에 의해 분산토출구(240)로 향하는 유로가 차단되어 분산토출구(240)로 공기가 토출되지 않고 집중토출구(250)로 토출되는 것이다. 또한 조절수단(260)의 조절로 인하여 분산토출구(240)과 집중토출구(250)에 모두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op outlet 2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means 260 for closing the opening/closing section 252 . That is, the control means 260 has a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closing section 252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blocking wall 251 and the inlet 230 . That is, as shown in FIG. 6 , when the control means 260 opens the opening/closing section 252 , the air flowing into the inlet 230 is discharged to a plurality of dispersed outlets 240 to become a dispersed mode in which the air is dispersed and discharged. , or when the adjusting means 260 closes the opening/closing section 252, the air flowing into the inlet 230 flows toward the distributed outlet 240 by the blocking wall 251 and the adjusting means 260. It is blocked so that the air is not discharged to the distributed discharge port 240 but is discharged to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250 . In addition, the air may be discharged to both the dispersed discharge port 240 and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due to the adjustment of the control means 260 .

이에 따라 상기 조절수단(260)의 조절로 인하여 집중모드와 분산모드로 선택적인 변환이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 혼합모드로도 변환이 가능해진다.Accordingly, due to the adjustment of the adjusting means 260, selective conversion into the concentrated mode and the distributed mode is possible, and in some cases, the conversion to the mixed mode is also possible.

상기 집중토출구(250)는 상기 조절수단(260)이 개폐구간(252)을 개방하는 분산모드의 경우 집중토출구(250)를 폐쇄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로바(253)가 구비된다. 이 (250)을 폐쇄하며, 조절수단(260)이 개폐구간(252)을 폐쇄하는 경우 집중토출구(250)를 개방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2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53 for closing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250 in the distributed mode in which the adjusting means 260 opens the opening/closing section 252 . This 250 is closed, and the control means 260 has a function of opening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when the opening/closing section 252 is closed.

자세하게는 도 6과 같이 상기 가로바(253)는 그 너비가 집중토출구(250)이 너비와 같고 회전축(25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복수개의 가로바(253)가 펼쳐져 있을 때에는 집중토출구(250)를 폐쇄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을 하면 집중토출구(250)를 개방하게 된다.In detail, as shown in FIG. 6 , the width of the horizontal bar 253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and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254 . Accordingly, wh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53 are spread out,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250 is closed, and when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250 is rotated in this state,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250 is opened.

또한 상기 조절수단(260)은 개폐구간(25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220)에 구비된 축돌기(261)와, 상기 축돌기(261)와 결합되어 축돌기(26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262)으로 구성된다. 이에 회전판(262)이 축돌기(26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판(262)의 양측 단부가 차단벽(251)의 단부와 유입구(230)의 일측에 접촉하여 개폐구간(252)를 폐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djusting means 260 is coupled to a shaft projection 261 provided on the plate 22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section 252, and the shaft projection 261 to rotate around the shaft projection 261. It is composed of a rotating plate 262. Accordingly, the rotating plate 262 rotates around the shaft protrusion 261 so that both ends of the rotating plate 262 contact the end of the blocking wall 251 and one side of the inlet 230 to close the opening/closing section 252. .

이 경우 조절수단(260)의 움직임에 따라 집중토출구(250)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262)의 일측과 가로바(253)의 일측에 상호 결합되는 연결편(255)이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가로바(253)는 회전축(254)을 따라 회전하고, 조절수단(260)은 축돌기(261)를 따라 회전하므로, 조절수단(260)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262)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편(255)이 가로바(253)의 일측을 잡아당기거나 밀게 되어 가로바(253)가 회전축(254)을 따라 회전되므로 집중토출구(250)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a connection piece 255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tary plate 262 and one side of the transverse bar 253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djusting means 260 . . In detail, the horizontal bar 253 rotates along the rotating shaft 254, and the adjusting means 260 rotates along the shaft protrusion 261, so tha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means 260,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262 Since the connected connecting piece 255 pulls or pushes one side of the horizontal bar 253 , the horizontal bar 253 rotates along the rotation shaft 254 , so that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can be opened and closed.

이 경우 상기 조절수단(260)은 도시되지 않은 엑추에이터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공조장치의 집중모드의 경우에는 엑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조절수단(260)이 개폐구간(252)을 폐쇄하도록 회전하여 분산토출구(240)로의 공기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조절수단(260)과 연결된 가로바(253)가 회전축(254)을 중심으로 집중토출구(250)을 개방하도록 회전하게 되어, 집중토출구(250)로 집중적으로 공기가 토출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adjusting means 260 is rotatably coupled to an actuator (not shown)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oncentrated mo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260 is rotated to close the opening/closing section 252 by an actuator to block the air flow path to the distributed discharge port 240, The horizontal bar 253 connected to the adjusting means 260 rotates to open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250 around the rotating shaft 254 , and air is intensively discharged to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250 .

또한 분산모드의 경우에는 엑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조절수단(260)이 개폐구간(252)을 개방하도록 회전하여 분산토출구(240)로의 공기유로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조절수단(260)과 연결된 가로바(253)가 회전축(254)을 중심으로 집중토출구(250)을 폐쇄하도록 회전하게 되어, 복수개의 분산토출구(240)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ispersion mode, the control means 260 is rotated to open the opening/closing section 252 by the actuator to open the air flow path to the dispersion discharge port 240, and the horizontal bar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260 ( 253 is rotated to close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250 around the rotation shaft 254 ,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dispersed discharge ports 240 .

아울러 상기 조절수단(26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집중토출구(250)의 개폐정도가 결정되므로, 경우에 따라 조절수단(260)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여 혼합모드로 활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혼합모드에서는 분산토출구(240)와 집중토출구(250)에서 모두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것이며, 조절수단(260)의 회전 정도에 따라 분산토출구(240)와 집중토출구(250)에서 나오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adjusting means 260,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adjusting means 260 may be adjusted in some cases to be used in a mixing mode. That is, in the mixing mode, air can be discharged from both the dispersed discharge port 240 and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 and the amount of air coming out of the dispersed discharge port 240 and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adjusting means 260 . will be able to control

도 7은 분산모드로 작동하는 루프토출구(2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혼합모드로 작동하는 루프토출구(2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oop outlet 210 operating in a distributed mode,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oop outlet 210 operating in a mixed mode.

도 7과 같이 분산모드에서는 루프토출구(210)의 플레이트(220)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분산토출구(240)에서 넓은 면적을 가지고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열 시트 탑승자에게 시트의 후방에서 냉기 또는 온기를 분산하여 토출할 수가 있으므로, 부분적으로 집중되어 냉/온풍이 전달되지 않아 탑승자의 쾌적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As shown in FIG. 7 , in the distributed mode, air is discharged with a large area from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discharge ports 240 passing through the plate 220 of the loop discharge port 210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is configuration, cold air or warm air can be dispersed and discharged from the rear of the seat to the occupant of the heated seat, so that the cold/hot air is not transmitted due to partial concentration,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mfort of the occupant.

또한 공조장치 구동 시 차량 측면 창문의 프로트 필러에 형성된 디프로스팅 토출구(201)를 통해 측면 앞창문 부근의 위에서 아래로 냉기 또는 온기가 토출되어 앞창문의 서리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통상적인 공조장치와 달리 탑승자의 상측에서 분산모드로 냉/온풍을 토출하기에 탑승자의 피부 또는 안구에 냉기 또는 온기가 집중적으로 닿지 않게되어 피부 또는 안구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 또는 안구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기 또는 온기가 탑승자의 피부 또는 안구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is driven, cold air or warm air is discharged from the top down in the vicinity of the side front window through the defrosting outlet 201 formed in the front pillar of the vehicle side window to remove the frost of the front window. Unlike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skin or eyes by preventing the skin or eyes from drying due to the cold or warm air not intensivel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occupant's skin or eyes because the cold/hot air is discharged in a dispersed mo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occupant. As such, it is possible to maximiz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in use by preventing the cold or warm air from directly touching the skin or eyes of the occupant.

또한 도 8과 같이 혼합모드에서는 루프토출구(210)의 플레이트(220)에 관통형성된 집중토출구(250)와 플레이트(220)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분산토출구(240)에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하게 되므로, 차량 탑승 초기에 차량 내부의 빠른 공조, 환기를 원하는 경우 혼합모드로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차량 탑승 시 집중토출구(250)를 통하여 집중적으로 냉/온기를 토출하다가 차량 내부가 안정되면 분산모드 또는 혼합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ixing mode as shown in FIG. 8 , air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from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250 formed through the plate 220 of the loop discharge port 210 and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discharge ports 240 penetrated through the plate 220 at regular intervals. Therefore, if you want quick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on inside the vehicle at the initial stage of boarding the vehicle, you can switch to the mixed mode and use it. That is, while intensively discharging cold/warm air through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250 when boarding a vehicle, when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stabilized, it can be switched to a distributed mode or a mixed mode.

또한, 본 발명의 분산모드로 차량의 지붕에서 냉풍을 토출하게 되면, 필요한 경우 자유롭게 창문을 열어도 차량의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순환되므로 더욱 시원함을 느낄 수 있게 되고 특히 여름철 차량의 실내 답답함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분산모드에서는 루프토출구(210)에서의 토출바람을 거의 느끼지 못하면서 쾌적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ld air is discharged from the roof of the vehicle in the distributed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window is freely opened if necessary, a vortex is formed and circulated inside the vehicle, so that it is possible to feel more cool, especially in summer be able to In addition, in the distributed mo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fort while hardly feeling the wind blowing from the roof outlet 210 .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공조장치 200 : 루프벤트
201 : 디프로스팅 토출구 210 : 루프토출구
220 : 플레이트 230 : 유입구
240 : 분산토출구 250 : 집중토출구
251 : 차단벽 252 : 개폐구간
253 : 가로바 254 : 회전축
255 : 연결편 260 : 조절수단
261 : 축돌기 262 : 회전판
100: vehicle air conditioner 200: roof vent
201: defrosting outlet 210: loop outlet
220: plate 230: inlet
240: distributed discharge port 250: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1: blocking wall 252: opening and closing section
253: horizontal bar 254: rotation axis
255: connecting piece 260: adjusting means
261: shaft 262: rotating plate

Claims (8)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용 공조장치(100)와 연통되어 차량의 지붕에 구비되는 루프토출구(210)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토출구(210)는 복수개의 분산토출구(240)와 상기 분산토출구(240)보다 토출량이 많은 집중토출구(250)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분산토출구(240) 또는 집중토출구(250)로 선택적으로 공기가 토출되며,
상기 루프토출구(210)는 일측에 차량용 공조장치(100)와 연통되는 유입구(23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23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개의 분산토출구(240) 또는 집중토출구(250)로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2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루프토출구(210)는 차량 지붕에 구비된 플레이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토출구(240)는 상기 플레이트(220)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관통형성되며, 상기 집중토출구(250)는 유입구(230)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220)에 관통형성되되,
복수개의 분산토출구(240)와 집중토출구(250)는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모두 탑승자의 머리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In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t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and includes a roof outlet 210 provid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The loop outlet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spersed outlets 240 and a concentrated outlet 250 with a larger discharge amount than the dispersed outlet 240, so that the plurality of dispersed outlets 240 or concentrated outlets 250 are optional.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roof outlet 210 is provided with an inlet 230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on one side, and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230 i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ispersed outlets 240 or concentrated outlet 250 .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means 260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selectively,
The roof outlet 210 includes a plate 220 provid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A plurality of the dispersion outlets 240 are formed through the plate 22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centrated outlets 250 are extended to one side of the inlet 230 and are formed through the plate 220,
The plurality of dispersed discharge ports (240) and concentrated discharge ports (250) are formed to be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ll of the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occupant's hea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중토출구(250)의 둘레 일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돌출된 차단벽(251)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벽(251)의 단부와 유입구(230)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개폐구간(252)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수단(260)은 상기 개폐구간(252)을 개폐하여 상기 유입구(23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개의 분산토출구(240) 또는 집중토출구(250)로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locking wall 251 protruding to block the flow of air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Between the end of the blocking wall 251 and the inlet 230, an opening/closing section 252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The control means 260 opens and closes the opening/closing section 252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air flowing in from the inlet 230 to the plurality of dispersed outlets 240 or concentrated outlets 250 for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260)은,
상기 플레이트(220)에 구비된 축돌기(261)와, 상기 축돌기(261)와 결합되어 축돌기(26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262)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262)이 축돌기(26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판(262)의 단부가 차단벽(251)의 단부와 유입구(230)의 일측에 접촉하여 개폐구간(252)를 폐쇄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adjusting means 260 is,
It includes a shaft projection 261 provided on the plate 220, and a rotating plate 262 coupled to the shaft projection 261 to rotate around the shaft projection 261,
The rotating plate 262 rotates around the shaft protrusion 261 so that the end of the rotating plate 262 contacts the end of the blocking wall 251 and one side of the inlet 230 to close the opening/closing section 252.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260)의 움직임에 따라 집중토출구(250)이 개폐가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in which the centralized discharge port (250)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trol means (26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집중토출구(250)는,
상기 집중토출구(250)를 개폐하도록 회전축(254)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개의 가로바(253)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수단(260)의 움직임에 따라 집중토출구(250)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262)의 일측과 가로바(253)의 일측에 상호 결합되는 연결편(255)이 구비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A plurality of transverse bars 253 rotating along a rotating shaft 254 to open and close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are provided,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ece 255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262 and one side of the transverse bar 253 so that the concentrated discharge port 250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trol means 26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00)와 연통되어 프론트 필러를 경유하여 차량의 지붕으로 연장되어 루프토출구(210)로 공기를 공급하는 루프벤트(20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roof vent 200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and extending to the roof of the vehicle via a front pillar to supply air to the roof outlet 210 .
KR1020170122258A 2017-09-14 2017-09-22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1024012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58A KR102401276B1 (en) 2017-09-22 2017-09-22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PCT/KR2018/009243 WO2019054646A1 (en) 2017-09-14 2018-08-13 Vehicle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58A KR102401276B1 (en) 2017-09-22 2017-09-22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36A KR20190033736A (en) 2019-04-01
KR102401276B1 true KR102401276B1 (en) 2022-05-25

Family

ID=6610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258A KR102401276B1 (en) 2017-09-14 2017-09-22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27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2113A (en) * 2009-10-14 2011-05-26 Howa Kasei Kk Regis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2113A (en) * 2009-10-14 2011-05-26 Howa Kasei Kk Regi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36A (en)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07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4355584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US20220371401A1 (en) Automatic air outlet system having various ventilation situations
KR2010010478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2401276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100706411B1 (en) An air-conditioning system of bus
JP2006076503A (en) Vehicular air-conditioner
JP2005231597A (en) Vehicular air-conditioner, and vehicular air-conditioner control method
JPH04230412A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JP200702231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610904B1 (en) HVAC for electric vehicles
KR10253342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55212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00065599A (en) Air curtain system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63512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WO2018003307A1 (en) Air blowing apparatus for seats
JP2009090868A (en) Vehicular air-conditioner
KR20120019118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475366B1 (en) Independent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130019490A (en) Ventilation apparatus for vechicle
KR101151934B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2552560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243531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6404994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259243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