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873B1 -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873B1
KR102400873B1 KR1020210091311A KR20210091311A KR102400873B1 KR 102400873 B1 KR102400873 B1 KR 102400873B1 KR 1020210091311 A KR1020210091311 A KR 1020210091311A KR 20210091311 A KR20210091311 A KR 20210091311A KR 102400873 B1 KR102400873 B1 KR 102400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material
insulating material
combustible
folded portion
met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재
석우재
Original Assignee
이정재
석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재, 석우재 filed Critical 이정재
Priority to KR102021009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성형몰드 내에 발포성 단열소재를 주입 경화시켜 형성되는 단열재(10); 단열재(10)의 전면에 일체로 성형된 불연성의 제1표면재(20); 단열재(10)의 후면에 일체로 성형된 불연성의 제2표면재(30);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 간에 설치되는 봉체로 된 힘살재(40); 단열재(10)의 테두리 면을 감싸게 형성되는 불연성의 금속필름(5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성 단열재(10)의 양면에 불연성의 무기질보드를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단열재(10)의 테두리 면을 불연성의 금속필름(50)으로 감싸서 단열재(10)의 외부 노출을 차단함으로써 단열성과 불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Semi-non-combustible exterior insulation panel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성 단열재의 양면에 불연성의 무기질보드를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단열재의 테두리 면을 불연성의 금속필름으로 감싸서 단열재의 외부 노출을 차단함으로써 단열성과 불연성이 동시에 향상된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건축물의 외벽을 통한 열 손실이기 때문에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열 손실을 줄이는 단열재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로는 스티로폼, 우레탄폼, 유리면, 암면, 폴리에스테르폼 등이 있다.
이러한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전도 및 대류에 의해 외벽을 통해 전달되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상당한 정도의 열 손실을 막아낼 수 있다.
한편, 단일 소재로 된 단열재는 구조적 강도가 떨어지고, 취급 중 파손되거나, 쉽게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발포폴리스티렌, 발포폴리우레탄,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등의 단열재를 강판과 같은 불연성의 보강재로 둘러싼, 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 타입의 외장단열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외장단열패널은 단열재를 감싸는 소재가 강판으로 되어 화재가 발생하면 강판의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내부의 발포폴리스티렌 및 발포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가 쉽게 연소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외장단열패널은 일반적으로 소정 크기의 사각 패널로 제조되는데 단열재의 테두리 면(둘레면)으로 단열재가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노출된 단열재가 화염에 의해 쉽게 연소되면서 급격하게 화재가 확산되고, 그와 함께 다량의 유독가스가 방출되면서 화재로 인한 재산, 인명 피해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발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는 내구성 및 강도가 약해서, 강판과 같은 보강재만으로는 충분한 굽힘강도, 인장강도, 내구성 및 내후성을 가지지 못하므로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829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포성 단열재의 양면에 불연성의 무기질보드를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단열재의 테두리 면을 불연성의 금속필름을 감싸서 단열재의 외부 노출을 차단할 수 있게 한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포성 단열재와 무기질보드 사이에 불연섬유층을 형성하여 단열성과 불연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은,
성형몰드 내에 발포성 단열소재를 주입 경화시켜 형성되는 단열재(10);
상기 단열재(10)의 전면에 일체로 성형된 불연성의 제1표면재(20);
상기 단열재(10)의 후면에 일체로 성형된 불연성의 제2표면재(30);
상기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 간에 설치되는 봉체로 된 힘살재(40);
상기 단열재(10)의 테두리 면을 감싸게 형성되는 불연성의 금속필름(50); 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표면재(20) 및 제2표면재(30)는 무기질 소재로 된 마그네슘보드, 석고보드, 시멘트보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힘살재(40)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속필름(50)은 단열용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속필름(50)은,
상기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의 경계면 및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의 경계면을 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속필름(50)은,
상기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및 제2표면재(30)의 테두리를 동시에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속필름(50)은,
상기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및 제2표면재(30)의 테두리를 감싸며, 제1표면재(20) 및 제2표면재(30)의 외표면에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외표면 가장자리에는 각각 필름접합홈(201, 301)이 형성되어 금속필름(50)의 상하단부가 필름접합홈(201, 301)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속필름(50)은,
상기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의 경계면 및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의 경계면에 개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속필름(50)은,
상기 제1표면재(20)의 내면과 밀착되게 내측으로 접힌 하단접힘부(501);
상기 제2표면재(30)의 내면과 밀착되게 내측으로 접힌 상단접힘부(502);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단접힘부(501)와 상단접힘부(502)의 각 변 양단부에는 10 내지 45°각도로 사전 절단된 절단부(501a, 502a)가 더 구비되어 직각으로 만나는 하단접힘부(501) 및 상단접힘부(502)의 각 변 간에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단접힘부(501)와 상단접힘부(502) 간에 힘살재(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단접힘부(501)와 상단접힘부(502)에는 힘살재(40)가 관통하는 관통공(50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내측면에는 제1요입홈(202, 30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각각 제2요입홈(203, 30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사이에는 불연섬유층(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 사이에 불연섬유층(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불연섬유층(60)은, 불연성 절단 장섬유인 유리섬유, 탄소섬유, 세라믹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소정 두께로 살포하여 발포성 단열소재에 함침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성 단열재의 양면에 불연성의 무기질보드를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단열재의 테두리 면을 불연성의 금속필름을 감싸서 단열재의 외부 노출을 차단함으로써 단열성과 불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고온에 의해 단열재가 연소되더라도, 단열재가 불연성의 무기질보드와 금속필름으로 완전히 감싸져 있기 때문에 단열재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방출이 억제되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연성의 무기질보드와 금속필름으로 단열재를 감싸게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온도 편차에 따른 길이 변화가 적어 설계적으로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보온성, 방음성, 방수성, 방충성, 내충격성, 내화학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원가가 저렴하여 매우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설치 시공의 편의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은 단열재(10)의 외부 노출을 차단함과 동시에 단열성과 불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단열재(10), 제1표면재(20), 제2표면재(30), 힘살재(40), 금속필름(50)을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10)는 성형몰드 내에 발포성 단열소재를 주입 경화시켜 형성한다.
상기 발포성 단열소재는 우레탄폼, 폴리에틸렌폼, 페놀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되, 우레탄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이라는 성분을 발포제 및 촉매 등과 함께 섞어 만들어진 것으로서, 강력한 접착력을 가짐과 동시에 성형몰드 내에 주입되면 즉시 성형몰드 내에서 발포되면서 성형몰드 내부를 충진하여 성형몰드의 형상에 맞게 성형됨으로써 보온성, 단열성, 방음성, 방수성을 가지게 된다.
한편, 단열재(10)의 두께는 용도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20 내지 200㎜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표면재(20)는 단열재(10)의 전면에 일체로 성형된다.
이때, 제1표면재(20)를 단열재(10)의 전면에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은 한정하지 않으나, 제1표면재(20)를 성형몰드의 바닥면에 먼저 투입한 상태에서 성형몰드 내부에 발포성 단열소재를 주입 경화시킴으로써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간에 접착력이 발생하여 일체로 된다.
상기 제2표면재(30)는 단열재(10)의 후면에 일체로 성형된다.
이때, 제2표면재(30)를 단열재(10)의 후면에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은 한정하지 않으나, 성형몰드의 상부에 제2표면재(30)를 설치한 후, 성형몰드의 상형을 닫으면, 성형몰드 내에 주입된 발포성 단열소재가 발포 성형되면서 캐비티 내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는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 간에 접착력이 발생하여 일체로 된다.
한편, 상기 제1표면재(20) 및 제2표면재(30)는 마그네슘보드, 석고보드, 시멘트보드 등과 같은 불연성의 무기질보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되, 천연펄프인 셀룰로스 섬유와 시멘트, 규사 등을 물과 배합하여 수만 톤으로 가압한 후 양생과정을 거쳐 생산됨으로써 불연성과 난연성을 동시에 가지는 CRC보드(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 Boar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표면재(20) 및 제2표면재(30)의 두께는 용도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5 내지 15㎜ 두께를 가진 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힘살재(40)는 봉체로 되어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 간에 설치된다.
이때 힘살재(40)는 성형몰드 내에 투입된 제1표면재(20)의 상면에 단순 안착하거나, 제1표면재(20)의 상면에 접착 고정하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제1표면재(20)의 상면에 고정하거나, 제1표면재(20)의 상면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힘살재(40)의 하단부를 결합홈에 끼워 설치할 수 있다.
봉체로 되는 힘살재(40)의 단면 형상이나 직경은 한정하지 않으나, 사각기둥 형상으로 되어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 간에 다수를 설치함으로써 발포성 단열소재를 성형몰드 내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힘살재(40)에 의해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 간의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힘살재(40)의 소재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금속필름(50)은 단열재(10)의 테두리 면을 감싸게 일체로 성형된다.
금속필름(50)은 건축 단열용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필름(50)의 두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금속필름(50)이 단열재(10)의 테두리 면에 일체로 되게 하는 방법은 한정하지 않으나, 발포성 단열소재가 가지는 접착력에 의해 단열재(10)와 일체로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성형몰드의 하형 캐비티 바닥에 제1표면재(20)를 설치하고, 캐비티의 내측벽에 금속필름(50)을 밀착 고정한 상태에서, 힘살재(40)를 설치한 후, 정량의 발포성 단열소재를 성형몰드 내부에 주입하고, 제2표면재(30)를 설치한 후, 성형몰드의 상형을 닫으면, 성형몰드 내에 주입된 발포성 단열소재가 발포 성형되면서 발포성 단열소재의 접착력에 의해 단열재(10), 제1표면재(20), 제2표면재(30), 금속필름(50)이 일체로 된다.
따라서 성형이 완료된 단열재(10)의 정면과 배면에는 불연성의 무기질보드로 된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가 일체로 성형되고, 단열재(10)의 테두리 면(상하좌우면)에는 불연성의 금속필름(50)이 일체로 성형되면서 상대적으로 화재에 취약한 단열재(10)의 외부 노출이 차단됨에 따라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단열성과 불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고온에 의해 단열재(10)가 연소되더라도, 단열재(10)가 불연성의 무기질보드와 금속필름(50)으로 완전히 감싸져 있기 때문에 단열재(10)의 연소로 인한 화재의 확산 및 유해가스의 방출이 억제되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연성의 무기질보드와 금속필름(50)이 단열재(10)를 완전히 감싸게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온도 편차에 따른 길이 변화가 적어 설계적으로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보온성, 단열재(10)의 노출 방지를 통해 보온성, 방음성, 방수성, 방충성, 내충격성, 내화학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속필름(50)은,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의 경계면 및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의 경계면을 덮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금속필름(50)의 세로 길이가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세로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하되, 단열재(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표면재(20)와 단열재(10)의 경계면 및 단열재(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표면재(30)와 단열재(10)의 경계면은 금속필름(50)으로 덮이게 형성함으로써 단열재(10)의 노출을 차단함과 동시에,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및 제2표면재(30)가 접착된 접착 경계면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속필름(50)은,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및 제2표면재(30)의 테두리를 동시에 감싸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금속필름(50)의 세로 길이를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세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금속필름(50)의 상하단부가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외표면 방향으로 각각 접히면서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및 제2표면재(30)의 테두리를 동시에 감싸게 형성됨으로써 단열재(10)의 노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이때,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외표면 방향으로 각각 접히게 형성되는 금속필름(50)의 상하단부는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표면에 각각 접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금속필름(50)의 상하단부(가장자리)가 다른 사물에 걸리는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외표면에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외표면 가장자리에는 각각 필름접합홈(201, 301)을 더 구비하여 금속필름(50)의 상하단부가 필름접합홈(201, 301)에 접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금속필름(50)의 상하단부(가장자리)가 다른 사물에 걸리는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외표면에서 박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속필름(50)은,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의 경계면 및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의 경계면에 개재되도록 하단접힘부(501), 상단접힘부(5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단접힘부(501)는 제1표면재(20)의 내면과 밀착되게 금속필름(50)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접히게 형성된다.
상기 상단접힘부(502)는 제2표면재(30)의 내면과 밀착되게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접히게 형성된다.
이때, 하단접힘부(501)와 상단접힘부(502)의 각 변 양단부에는 10 내지 10 내지 45°각도로 사전 절단된 절단부(501a, 502a)가 더 구비됨으로써 접히면서 직각으로 만나는 하단접힘부(501) 및 상단접힘부(502)의 각 변 간에 중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성형몰드의 하형 캐비티 바닥에 제1표면재(20)를 설치하고, 캐비티의 내측벽에 금속필름(50)을 밀착 고정한 상태에서, 힘살재(40)를 설치한 후, 정량의 발포성 단열소재를 성형몰드 내부에 주입하고, 제2표면재(30)를 설치한 후, 성형몰드의 상형을 닫으면, 성형몰드 내에 주입된 발포성 단열소재가 발포 성형되면서 발포성 단열소재의 접착력에 의해 단열재(10), 제1표면재(20), 제2표면재(30), 금속필름(50)이 일체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금속필름(50)의 하단접힘부(501)와 상단접힘부(502)가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의 경계면 및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의 경계면에 개재됨에 따라 성형이 완료된 외장단열패널에서 단열재(10)를 감싸는 금속필름(50)의 상하단 가장자리가 다른 사물에 걸리는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단열재(10)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단접힘부(501)와 상단접힘부(502) 간에 힘살재(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단접힘부(501)와 상단접힘부(502)에는 힘살재(40)가 관통하는 관통공(50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성형몰드의 하형 캐비티 바닥에 제1표면재(20)를 설치하고, 캐비티의 내측벽에 금속필름(50)을 밀착 고정한 상태에서, 힘살재(40)를 설치한 후, 정량의 발포성 단열소재를 성형몰드 내부에 주입하고, 제2표면재(30)를 설치한 후, 성형몰드의 상형을 닫으면, 성형몰드 내에 주입된 발포성 단열소재가 발포 성형되면서 발포성 단열소재의 접착력에 의해 단열재(10), 제1표면재(20), 제2표면재(30), 금속필름(50)이 일체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및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 간에 개재되는 금속필름(50)의 하단접힘부(501)와 상단접힘부(502)가 힘살재(40)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내측면에는 제1요입홈(202, 30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상호 대향하는 각 내측면에 제1요입홈(202, 302)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됨으로써 성형몰드의 하형 캐비티 바닥에 제1표면재(20)를 설치하고, 캐비티의 내측벽에 금속필름(50)을 밀착 고정한 상태에서, 힘살재(40)를 설치한 후, 정량의 발포성 단열소재를 성형몰드 내부에 주입하고, 제2표면재(30)를 설치한 후, 성형몰드의 상형을 닫으면, 성형몰드 내에 주입된 발포성 단열소재가 발포 성형되면서 발포성 단열소재의 접착력에 의해 단열재(10), 제1표면재(20), 제2표면재(30), 금속필름(50)이 일체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단열재(10)가 제1표면재(20) 및 제2표면재(30)의 제1요입홈(202, 302) 내에 충진되면서 단열재(10), 제1표면재(20), 제2표면재(30) 간 접착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요입홈(202, 302)의 형상이나 크기, 간격은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각각 제2요입홈(203, 30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의 상호 대향하는 각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2요입홈(203, 303)이 형성됨으로써 성형몰드의 하형 캐비티 바닥에 제1표면재(20)를 설치하고, 캐비티의 내측벽에 금속필름(50)을 밀착 고정한 상태에서, 힘살재(40)를 설치한 후, 정량의 발포성 단열소재를 성형몰드 내부에 주입하고, 제2표면재(30)를 설치한 후, 성형몰드의 상형을 닫으면, 성형몰드 내에 주입된 발포성 단열소재가 발포 성형되는 과정에서 단열 소재가 제2요입홈(203, 303)에 충진됨에 따라 발포성 단열소재의 접착력에 의해 단열재(10), 제1표면재(20), 제2표면재(30), 금속필름(50)이 일체로 성형된다.
이때, 제2요입홈(203, 303)에 의해 단열재(10)와 금속필름(50) 간의 접착면적이 더 증가하게 되면서 단열재(10)와 금속필름(50) 간 접착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요입홈(203, 303)의 형상이나 크기는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및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 사이에는 불연섬유층(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불연섬유층(60)은, 성형몰드의 하형 캐비티 바닥에 제1표면재(20)를 설치하고, 캐비티의 내측벽에 금속필름(50)을 밀착 고정한 상태에서, 힘살재(40)를 설치한 후, 제1표면재(20)의 상면에 불연성 절단 장섬유인 유리섬유, 탄소섬유, 세라믹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소정 두께로 살포한 후, 정량의 발포성 단열소재를 성형몰드 내부에 주입한다.
그리하여 정량의 발포성 단열소재의 주입이 완료되면, 그 상부에 다시 불연성 절단 장섬유인 유리섬유, 탄소섬유, 세라믹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소정 두께로 살포한 후, 제2표면재(30)를 설치하고 성형몰드의 상형을 닫으면, 성형몰드 내에 주입된 발포성 단열소재가 발포 성형되는 과정에서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및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 사이에서 살포된 불연섬유가 발포성 단열소재에 함침 경화되면서 불연섬유층(60)이 형성된다.
한편, 불연섬유층(60)의 살포량, 즉 불연섬유층(60)의 두께는 한정하지 않으나, 불연섬유층(6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발포성 단열소재가 발포 성형되는 과정에서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및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 간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살포되는 불연섬유의 평량은 30 내지 8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및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 사이에는 불연섬유층(60)이 형성됨에 따라 단열성 및 불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단열재
20: 제1표면재
201: 필름접합홈
202: 제1요입홈
203: 제2요입홈
30: 제2표면재
301: 필름접합홈
302: 제1요입홈
303: 제2요입홈
40: 힘살재
50: 금속필름
501: 하단접힘부
502: 상단접힘부
503: 관통공
60: 불연섬유층

Claims (5)

  1. 성형몰드 내에 발포성 단열소재를 주입 경화시켜 형성되는 단열재(10);
    상기 단열재(10)의 전면에 일체로 성형된 불연성의 제1표면재(20);
    상기 단열재(10)의 후면에 일체로 성형된 불연성의 제2표면재(30);
    상기 제1표면재(20)와 제2표면재(30) 간에 설치되는 봉체로 된 힘살재(40);
    상기 단열재(10)의 테두리 면을 감싸게 형성되는 불연성의 금속필름(5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표면재(20) 및 제2표면재(30)는 5 내지 15㎜ 두께를 가진 CRC보드로 되고, 내측면에는 각각 제1요입홈(202, 302)이 형성되며,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각각 제2요입홈(203, 303)이 더 형성되어 발포성 단열소재가 충진되며,
    상기 금속필름(50)은,
    상기 제1표면재(20)의 내면과 밀착되게 내측으로 접힌 하단접힘부(501);
    상기 제2표면재(30)의 내면과 밀착되게 내측으로 접힌 상단접힘부(502); 가 더 구비되어 하단접힘부(501)가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의 경계면에 개재되고, 상단접힘부(502)는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의 경계면에 개재되되,
    상기 하단접힘부(501)와 상단접힘부(502)의 각 변 양단부에는 10 내지 45° 각도로 사전 절단된 절단부(501a, 502a)가 더 구비되어 직각으로 만나는 하단접힘부(501) 및 상단접힘부(502)의 각 변 간에 중첩이 발생하지 않게 하고,
    상기 하단접힘부(501)와 상단접힘부(502)에는 힘살재(40)가 관통하는 관통공(503)이 더 구비되며,
    상기 단열재(10)와 제1표면재(20) 사이와, 단열재(10)와 제2표면재(30) 사이에는 각각 불연섬유층(60); 이 더 구비되되,
    상기 불연섬유층(60)은, 불연성 절단 장섬유인 유리섬유, 탄소섬유, 세라믹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소정 두께로 살포하여 발포성 단열소재에 함침 경화되게 하되, 섬유의 평량은 30 내지 8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91311A 2021-07-13 2021-07-13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KR102400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311A KR102400873B1 (ko) 2021-07-13 2021-07-13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311A KR102400873B1 (ko) 2021-07-13 2021-07-13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873B1 true KR102400873B1 (ko) 2022-05-20

Family

ID=8179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311A KR102400873B1 (ko) 2021-07-13 2021-07-13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8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669B1 (ko) * 2022-05-23 2023-04-14 한신범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560090B1 (ko) * 2022-05-23 2023-07-27 주식회사 대광판넬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927A (ko) * 2000-12-30 2002-07-12 이종근 적층 구조를 가지는 조립용 샌드위치 패널
KR100513243B1 (ko) * 2003-04-30 2005-09-07 세원화성 주식회사 페놀수지를 적용한 샌드위치형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31829Y1 (ko) 2006-09-14 2006-11-28 김기태 금속판이 부착된 복합패널
KR100735576B1 (ko) * 2007-03-30 2007-07-06 김기태 보강재가 포함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패널 시공 방법
JP2009007874A (ja) * 2007-06-29 2009-01-15 Fujita Corp 耐火間仕切壁用鋼板張断熱パネルの接合構造および耐火間仕切壁用鋼板張断熱パネル
KR101229107B1 (ko) * 2010-04-01 2013-02-06 김동수 팽창성 광물과 중성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927A (ko) * 2000-12-30 2002-07-12 이종근 적층 구조를 가지는 조립용 샌드위치 패널
KR100513243B1 (ko) * 2003-04-30 2005-09-07 세원화성 주식회사 페놀수지를 적용한 샌드위치형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31829Y1 (ko) 2006-09-14 2006-11-28 김기태 금속판이 부착된 복합패널
KR100735576B1 (ko) * 2007-03-30 2007-07-06 김기태 보강재가 포함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패널 시공 방법
JP2009007874A (ja) * 2007-06-29 2009-01-15 Fujita Corp 耐火間仕切壁用鋼板張断熱パネルの接合構造および耐火間仕切壁用鋼板張断熱パネル
KR101229107B1 (ko) * 2010-04-01 2013-02-06 김동수 팽창성 광물과 중성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669B1 (ko) * 2022-05-23 2023-04-14 한신범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560090B1 (ko) * 2022-05-23 2023-07-27 주식회사 대광판넬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873B1 (ko)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KR100867273B1 (ko) 압출성형 시멘트 패널 및 후발포 수성연질 단열재를 이용한건축물 벽체 시공방법
US9643378B2 (en) Composite panel for green building system
KR100696092B1 (ko) 건축용 조립식 방화 판넬
JP6719188B2 (ja) 構造部材
KR102363356B1 (ko)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제조방법
KR102002312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725213A (zh) 板材的制造方法
KR101611059B1 (ko) 복합 샌드위치패널
JP2013113060A (ja) 構造部材
CN214272454U (zh) 一种防开裂的保温墙
CN214034161U (zh) 一种预制复合保温防火板
JPS6024825Y2 (ja) サイデイングボ−ド
KR102383299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55945A (ko) 구조용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200420072Y1 (ko) 건축용 조립식 방화 판넬
CN216948892U (zh) 一种具有防火保温构造的复合外模板
KR20160080639A (ko) 방화성능이 강화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도어
KR102321970B1 (ko) 화재 시 기밀효과를 갖는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1155B1 (ko) 강화유리섬유가 보강된 합성수지 데코레이션 패널
KR102223935B1 (ko) 단열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2383307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0120195A (ja) 構造体およびそれよりなる屋根又は壁および耐火断熱タイル
KR102438848B1 (ko) 건축용 단열판넬
KR101846119B1 (ko)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