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135B1 -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135B1
KR102399135B1 KR1020200064279A KR20200064279A KR102399135B1 KR 102399135 B1 KR102399135 B1 KR 102399135B1 KR 1020200064279 A KR1020200064279 A KR 1020200064279A KR 20200064279 A KR20200064279 A KR 20200064279A KR 102399135 B1 KR102399135 B1 KR 102399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rections
fuel tank
rod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7286A (ko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20006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13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1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11/26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양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연료탱크가 설치되고,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제1양방향과 직교하는 제2양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 및,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INJECTION TEST DEVICE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탱크의 경사 조건을 다양하게 모사할 수 있는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연료탱크는 차량이 일정 시간동안 주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연료가 저장되는 것으로, 차량이 경사진 노면에 위치하는 경우 일정 기울기를 갖게 된다.
종래에는 차량 사고에 의해 연료탱크의 특정부분에 충격에너지가 집중되어 연료가 누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연료 누출로 인하여 고열의 엔진 실린더 주위와 각종 전기 장치에 휘발성이 강한 연료가 접촉되어 연료탱크와 차량이 폭발하거나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연료탱크의 기울기를 다양한 기울임 각도에서 주입성 등을 평가하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연료탱크 주입성 평가 방식은 유압 장비 등을 이용해 연료탱크의 일측을 들어올려 일정 각도로 유지시키고 있어 연료탱크의 다양한 경사 조건을 모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6837호(2014년 06월 2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탱크의 경사 조건을 다양하게 모사할 수 있는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는 제1양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연료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제1양방향과 직교하는 제2양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는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2양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1힌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1양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2힌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에는 회동 각도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각도 게이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제1양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1승강 구동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제2양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2승강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승강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서 출몰하는 제1로드의 상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출몰부재 및, 상기 제1로드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승강 구동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상기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서 출몰하는 제2로드의 상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출몰부재 및, 상기 제2로드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료탱크를 들어올리거나 경사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작업 없이도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연료탱크의 주입성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연료탱크가 설정 기울기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으므로, 연료탱크 주입성 평가시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의 제1승강 구동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의 제2승강 구동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의 제1승강 구동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의 제2승강 구동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는 베이스(100)와,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와, 구동유닛(410)(420) 및, 제어유닛(500)을 포함한다.
제1플레이트(200)는 베이스(100)의 상부에서 제1양방향(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100)의 상부와 제1플레이트(200)의 하부는 제1힌지부(H1)에 의해 연결된다.
제1힌지부(H1)는 제1양방향과 직교하는 제2양방향(전후 또는 좌우)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제1플레이트(H1)는 제1힌지부(H1)의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회동 위치된다.
제2플레이트(300)는 연료탱크(10)가 설치되고, 제1플레이트(200)의 상부에서 제1양방향과 직교하는 제2양방향(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1플레이트(200)의 상부와 제2플레이트(300)의 하부는 제2힌지부(H2)에 의해 연결된다.
제2힌지부(H2)는 제2양방향과 직교하는 제1양방향(전후 또는 좌우)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제2플레이트(300)는 제2힌지부(H2)의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회동 위치된다.
또한, 제1플레이트(200) 또는 제2플레이트(300)에는 회동 각도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각도 게이지(6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각도 게이지(600)의 외면에는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과,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와, 전원 온(ON)/오프(OFF)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각도 게이지(600)의 표시창을 통해 전후 또는 좌우 방향에 대한 각도를 표시하며, 작업자는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각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제2플레이트(300)의 상부에는 연료탱크(10)를 고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설치 프레임(310)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프레임(310)에 의해 연료탱크(10)가 제2프레이트(300)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연료탱크(10)는 일측에 연료(경유, 휘발유 등)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1)가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설치 프레임(310)의 일측에는 주입구(11)를 일정 높이로 거치시키기 위한 주유구 거치대(311)가 구비될 수 있다.
주유구 거치대(311)는 설치 프레임(310)의 측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주유구 거치대(311)의 상단에는 주입구(11)를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연료 주유기(30)의 토출구를 연료탱크(10)의 주입구(11)에 삽입시킨 상태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주유구 거치대(311)의 상부에는 주유시 연료 주입 부위에서 상승하는 유증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증기 배출부(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유증기 배출부(20)는 주유구 거치대(311)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하부에 흡기부가 형성되는 덕트 및, 덕트에 설치되어 흡기부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유닛은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유닛은 제1승강 구동부(410) 및, 제2승강 구동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승강 구동부(410)는 베이스(100)에 설치되며, 제1플레이트(200)의 일측을 승강시켜 제1양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제2승강 구동부(420)는 제1플레이트(200)에 설치되며, 제2플레이트(300)의 일측을 승강시켜 제2양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승강 구동부(410)는 베이스(100)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제1양방향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승강 구동부(410)는 제1출몰부재(411) 및, 제1모터(412)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출몰부재(411)는 베이스(100)에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서 출몰하는 제1로드(411a)의 상단이 제1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1출몰부재(411)는 제2양방향을 따라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3힌지부(H3)에 의해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로드(411a)의 상단은 제2양방향을 따라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4힌지부(H4)에 의해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모터(412)는 베이스(1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제1모터(412)의 구동축이 제1로드(411a)의 측면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모터(412)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로드(411a)의 측면에는 구동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는 톱니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톱니부에 승강 구동력이 전달되어 제1로드(411a)가 승강될 수 있다.
제2승강 구동부(420)는 제1플레이트(200)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제2양방향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2승강 구동부(420)는 제2출몰부재(421) 및, 제2모터(422)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출몰부재(421)는 제1플레이트(200)에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서 출몰하는 제2로드(421a)의 상단이 제2플레이트(300)의 하부에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2출몰부재(421)는 제1양방향을 따라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5힌지부(H5)에 의해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로드(421a)의 상단은 제1양방향을 따라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6힌지부(H6)에 의해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모터(422)는 제1플레이트(2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제2모터(422)의 구동축이 제2로드(421a)의 측면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모터(422)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로드(421a)의 측면에는 구동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는 톱니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톱니부에 승강 구동력이 전달되어 제2로드(421a)가 승강될 수 있다. 제2모터(422)의 구동축과 제2로드(421a)의 기계적 연결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제어유닛(500)은 구동유닛(4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탱크(10)로 주입되는 연료 주입량과, 연료탱크(10)의 내부 압력과, 연료탱크(10)의 내부 저항과, 연료탱크(10)의 무게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700)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된다.
감지부(700)는 연료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료량과, 연료탱크(10)의 내부 압력 및, 연료탱크(10)의 내부 저항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연료탱크(1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700)의 개수 및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감지부(700)는 주유기(30)로부터 주입되는 연료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량계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는 정보를 이용해 주유속도를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500)에는 구동유닛을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컨트롤러의 조작 스위치를 이용해 구동유닛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유닛(500)에는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의 최대 기울기가 기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유닛(500)에는 리미트 센서(800)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리미트 센서(800)는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가 제어유닛(500)에 기설정된 최대 기울기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가 최대 기울기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유닛(500)으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제어유닛(500)은 구동유닛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때, 리미트 센서(800)는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의 기울기를 감지하거나, 전술한 제1로드(411a)와 제2로드(421a)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리미트 센서(800)의 개수 및 설치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구성과 동일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먼저, 연료탱크(10)를 제1양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경우, 제1모터(412)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1로드(411a)를 설정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이때, 제1출몰부재(411)가 제3힌지부(H3)를 기준으로 제1양방향을 따라 회동되고, 제1로드(411a)가 제4힌지부(H4)를 기준으로 제1양방향을 따라 회동되며, 제1플레이트(200)가 제1힌지부(H1)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제1양방향의 일측으로 기울기를 갖는다.
이때, 연료탱크(10)의 저장된 연료가 기울어진 방향에 모이게 되므로, 차량이 경사지에 위치된 효과를 연출할 수 있고, 연료탱크(10)가 제1양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연료탱크(10)의 주입성을 시험할 수 있다.
또한, 연료탱크(10)를 제2양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경우, 제2모터(422)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2로드(421a)를 설정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이때, 제2출몰부재(421)가 제5힌지부(H5)를 기준으로 제2양방향을 따라 회동되고, 제2로드(421a)가 제6힌지부(H6)를 기준으로 제2양방향을 따라 회동되며, 제2플레이트(300)가 제2힌지부(H2)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제2양방향의 일측으로 기울기를 갖는다.
이때, 연료탱크(10)의 저장된 연료가 기울어진 방향에 모이게 되므로, 차량이 경사지에 위치된 효과를 연출할 수 있고, 연료탱크(10)가 제2양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연료탱크(10)의 주입성을 시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연료탱크(10)를 들어올리거나 경사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작업 없이도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연료탱크(10)의 주입성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10)가 설정 기울기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으므로, 연료탱크(10) 주입성 평가시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연료탱크 11: 주입구
20: 유증기 배출부 30: 주유기
100: 베이스 200: 제1플레이트
300: 제2플레이트 310: 설치 프레임
311: 주유구 거치대 400: 구동유닛
410: 제1승강 구동부 411: 제1출몰부재
411a: 제1로드 412: 제1모터
420: 제2승강 구동부 421: 제2출몰부재
421a: 제2로드 422: 제2모터
500: 제어유닛 600: 각도 게이지
700: 감지부 800: 리미트 센서
H1: 제1힌지부 H2: 제2힌지부
H3: 제3힌지부 H4: 제4힌지부
H5: 제5힌지부 H6: 제6힌지부

Claims (6)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제1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제1양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 제2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양방향과 직교하는 제2양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연료탱크가 설치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연료탱크에 주유시 연료 주입 부위에서 상승하는 유증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증기 배출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제1양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1승강 구동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제2양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2승강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승강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서 출몰하는 제1로드의 상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1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출몰부재, 및 상기 제1로드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승강 구동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상기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서 출몰하는 제2로드의 상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제2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출몰부재 및, 상기 제2로드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구동축에는 각각 구동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로드 및 제2로드의 측면에는 각각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는 톱니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로드 및 제2로드의 톱니부에 승강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1로드 및 제2로드가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에는 회동 각도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각도 게이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00064279A 2020-05-28 2020-05-28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KR102399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279A KR102399135B1 (ko) 2020-05-28 2020-05-28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279A KR102399135B1 (ko) 2020-05-28 2020-05-28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286A KR20210147286A (ko) 2021-12-07
KR102399135B1 true KR102399135B1 (ko) 2022-05-18

Family

ID=7886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279A KR102399135B1 (ko) 2020-05-28 2020-05-28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1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420B1 (ko) * 2000-11-16 2003-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센더 경사로 특성 시험 시스템
KR101793344B1 (ko) * 2015-12-29 2017-11-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선박의 횡경사 시험장치
KR101911486B1 (ko) * 2016-11-18 2018-10-24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2축 모션 시뮬레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286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463B1 (ko) 스피드센서 성능특성 시험장치
CN104535282B (zh) 一种石英晶体谐振器气密性检测方法和装置
EP1752747A3 (en) Apparatus for monitoring operator vibration for earth moving machinery with operation cab
KR102399135B1 (ko) 연료탱크의 주입성 시험장치
CN107607454B (zh) 一种测试沥青路面透水性能的试验装置
CN112639279B (zh) 作业车辆
KR101236923B1 (ko) 에어 스프링 파괴 및 좌굴 시험기
CN113074798A (zh) 一种基于超声波检测机油油位的系统及方法
CN206773004U8 (zh) 风速测量设备
CN105510054A (zh) 车窗自动升降器性能检测机
KR20230059365A (ko) 다관절로봇형 교량하부 점검장치
JP3907985B2 (ja) 自動車のドアガラスの昇降軌跡測定方法及び装置
CN219284275U (zh) 一种建筑结构全自动安全性检测设备
KR100861048B1 (ko) 자동차의 계기판넬 머리충격부위 및 충격각도 측정 시스템
CN212007305U (zh) 汽车组合仪表测试台架
KR101261613B1 (ko) 오일 씰용 흙탕물 시험 장비
US4774829A (en) Shock absorber testing machine
CN105091860B (zh) 一种输电杆塔倾角传感器安装调整机构
CN211234925U (zh) 一种驾驶室翻转液压缸耐久试验装置
CN1296221C (zh) 中心计量燃油箱
CN111766077B (zh) 一种发动机故障检测设备及检测方法
CN221077956U (zh) 一种自动检漏装置
CN219948565U (zh) 飞行设备机臂震动测试设备
KR100337335B1 (ko) 차량용 도어 닫힘 속도 측정장치
CN2701683Y (zh) 中心计量燃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