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069B1 -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 - Google Patents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069B1
KR102399069B1 KR1020210183328A KR20210183328A KR102399069B1 KR 102399069 B1 KR102399069 B1 KR 102399069B1 KR 1020210183328 A KR1020210183328 A KR 1020210183328A KR 20210183328 A KR20210183328 A KR 20210183328A KR 102399069 B1 KR102399069 B1 KR 102399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
duct
unit
dr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김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규 filed Critical 김종규
Priority to KR102021018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드라이룸의 내부공간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덕트부; 및 상기 덕트부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DUCT STRUCTURE OF DRY ROOM THAT CAN REALIZE ULTRA-LOW DEW POINT}
본 발명은 드라이룸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면서 드라이룸에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부하를 해소함으로써, 드라이룸의 내부온도를 약 -60℃ 이하의 초저노점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산과정에서 저습도 환경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저습도 환경 즉, 건조한 분위기는 주로 이차전지 생산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환경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저습도 환경에서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과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정의 저습도 분위기를 유지하는 드라이룸(DRY ROOM)이 채용된다. 드라이룸은 넓은 의미로는 공기 중의 수분량을 일정한 값 이하로 제어한 저습도실이다.
특히, 실내의 노점(DEW POINT) 온도가 -10℃ 이하인 경우를 드라이룸이라 한다. 드라이룸은 상대습도 10% ~ 30% 정도의 저습도실과는 구별된다.
이와 같은 드라이룸은 이차전지 생산 공정뿐만 아니라 흡습성 봉합사 제조공정, 동결 냉동건조 식품회사, 자동차 환경 실험실, 저습조건이 필요한 실험실 및 공장 등에서도 사용된다.
종래의 드라이룸은 내부에 각종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생산 장비가 설치되며, 드라이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습장치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습장치는 드라이룸 내의 공기 중 습기를 흡입하여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풍도에 배출하고, 풍도 내부의 제습된 공기는 배출구를 통해 드라이룸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라이룸에서, 장비 반출입, 점검 등을 위해 드라이룸의 도어(미도시)를 오픈하는 경우, 작업자 공간과 생산 장비의 공간을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발생된 수분이 드라이룸 내에 배치된 생산 장비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생산 장비 내의 노점 온도가 상승되어 제품의 불량률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29696호
본 발명은, 드라이룸의 내부를 여러 개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구역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덕트를 배치하며, 덕트가 드라이룸에 위치한 작업자의 위치 변화에 대응되게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작업자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부하를 즉시 해소함으로써, 드라이룸의 내부온도를 약 -60℃ 이하의 초저노점으로 구현할 수 있는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라이룸에 위치한 생산장비의 발열이나 작업자에 의해 온도가 -60℃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덕트에서 배출되는 건조공기를 냉각시킨 후 드라이룸에 공급할 수 있는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라이룸에 공급되는 건조공기를 다중복합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고, 건조공기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정체시켜 필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는, 드라이룸의 내부공간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덕트부; 및 상기 덕트부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룸에 위치한 사람의 위치 변화에 대응되게 상기 덕트부를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덕트부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각자 할당된 구역에 상기 드라이룸에 건조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이동구동부가 구동될 시 신축작용에 의해 이동되도록 자바라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구동부는, 상기 할당구역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해당 할당구역에 위치한 사람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할당구역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덕트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감지센서와 1:1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람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덕트부를 각각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로드레스 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덕트부는 각각 로드레스 실린더에 의해 할당된 구역에서 양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조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룸 내의 오염원을 배출하는 배기덕트; 및 상기 드라이룸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덕트에 의한 강제 배기로 인해 드라이룸 내부공간의 압력이 낮을 경우 압력을 상승시키는 정압댐퍼;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부의 끝단에 형성된 공기배출구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덕트부에서 배출되는 건조공기의 배출량을 가변하는 가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공기배출구와 마주하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건조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공기배출구에서 배출된 건조공기가 접하게 되는 에어포켓;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포켓의 부피에 의한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가 축소되도록 상기 에어포켓에 각각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는 한 쌍의 에어주입부; 상기 에어주입부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에어포켓의 부피에 의한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가 확장되도록 상기 에어포켓에 주입된 에어를 각각 흡입하여 수축시키는 한 쌍의 에어흡입부; 상기 에어포켓에 각각 매립되며 상기 에어주입부가 작동될 시 냉기 발생을 통해 상기 에어포켓 내의 에어를 냉각시켜 상기 에어포켓을 통과하는 건조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제1 냉각유닛; 상기 드라이룸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드라이룸 내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냉각유닛 및 에어주입부 또는 제1 냉각유닛 및 에어흡입부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포켓에 의한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가변함으로써,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건조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건조공기를 필터링한 후 상기 가변부로 배출시키는 필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수단은, 상기 덕트부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건조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2 고정형 필터; 상기 제1,2 고정형 필터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건조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2 이동형 필터; 및 상기 제1,2 이동형 필터를 각각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2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1 유압실린더 및 제2 유압실린더를 각각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제1 유압실린더와 제2 유압실린더를 서로 일정한 시간 간격차를 두고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되고, 상기 제1 이동형 필터 및 제2 이동형 필터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 및 제2 실린더에 의해 각각 후진될 시, 그 끝단이 상기 덕트부의 내부 타측벽 및 일측벽과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건조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과영역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 이동형 필터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진될 시 상기 제1 고정형 필터에 의해 형성된 통과영역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건조공기를 필터링하고, 상기 제2 이동형 필터는 상기 제2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진될 시 상기 제2 고정형 필터에 의해 형성된 통과영역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건조공기를 필터링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부를 통해 배출되는 건조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케이스의 통과홀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상기 통과홀을 통과한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건조공기를 드라이룸으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냉각하우징; 상기 냉각하우징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되며, 끝단이 상기 냉각하우징의 내측벽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사판; 상기 경사판에 각각 매립되며, 상기 경사판을 냉각시켜 상기 경사판을 통과하는 건조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제2 냉각유닛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드라이룸의 내부를 여러 개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구역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덕트를 배치하며, 덕트가 드라이룸에 위치한 작업자의 위치 변화에 대응되게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작업자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부하를 즉시 해소함으로써, 드라이룸의 내부온도를 약 -60℃ 이하의 초저노점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드라이룸에 위치한 생산장비의 발열이나 작업자에 의해 온도가 -60℃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덕트에서 배출되는 건조공기를 냉각시킨 후 드라이룸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라이룸에 공급되는 건조공기를 다중복합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고, 건조공기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정체시켜 필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에 적용된 덕트부 및 체크밸브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덕트부와, 이동구동부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배출관과, 밀폐유지패널 및 부스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배출관이 밀폐유지패널에 감쌓여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덕트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이동구동부에 의한 배출관 및 밀폐유지패널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가변부와, 필터수단 및 냉각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가변부에서 에어흡입부의 작동에 의해 에어포켓이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필터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에 적용된 덕트부 및 체크밸브를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덕트부와, 이동구동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배출관과, 밀폐유지패널 및 부스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배출관이 밀폐유지패널에 감쌓여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덕트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이동구동부에 의한 배출관 및 밀폐유지패널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가변부와, 필터수단 및 냉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가변부에서 에어흡입부의 작동에 의해 에어포켓이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필터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는, 드라이룸(R)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스(B)의 내부공간을 초저노점으로 유지시키는 것으로, 제습부(미도시)와, 덕트부(10)와, 이동구동부(20) 및 체크밸브(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부스(B)는 드라이룸(R)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부스(B)는 패널에 의해 드라이룸(R) 내에서 구획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에는 생산장비(미도시)가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생산장비는 전고체전지나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공정, 조립 공정 및 화성 공정 등을 위해 사용되는 생산장비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R)의 덕트구조에서 생산장비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그리고, 부스(B)는 개폐 가능한 도어(미도시)를 포함하여 내부공간에 배치된 생산 장비의 반출입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부스(B)를 구성하는 패널은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여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부스(B)에는 생산 장비에서 발생되는 가스 등의 오염원을 강제배출하는 배기덕트(30)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부스(B)에는 정압댐퍼(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정압댐퍼(40)는 배기덕트(30)에 의한 강제 배기로 인해 부스(B) 내부공간의 압력이 낮을 경우에 개방되어 부스(B)의 내부공간 압력을 상승시킨다.
정압댐퍼(40)는 부스(B) 내에 설치된 압력센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압력센서는 부스(B) 내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기 설정된 압력보다 낮을 경우 제어부(68)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68)는 압력센서로부터 신호가 전송될 경우 정압댐퍼(40)를 작동시켜 부스(B)의 내부공간 압력이 상승되도록 한다.
특히, 정압댐퍼(40)는 상재적으로 저습 환경에 민감하지 않은 공정의 압력을 전체 공정 라인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역할도 담당한다.
정압댐퍼(40)는 자동으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므로, 통상의 전자식 모터(미도시)가 적용되고, 이외에도 수동식 댐퍼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제습부(미도시)는 부스(B)에 연결되고,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여 부스(B)의 내부공간에 공급한다. 즉, 제습부는 초저노점의 공기를 공급하여 부스(B)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생산장비의 초저노점 환경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점이란 일정한 압력에서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갈 때 공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되어 이슬이 맺힐 때의 온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고체전지나 이차전지를 생산하는 경우, 제습부는 부스(B) 내부 공간의 상대 습도가 1% 내지 3% 이하 또는 초노점온도 -60
Figure 112021147729018-pat00001
이하로 유지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습부는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부스(B)의 내부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급기팬(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덕트부(10)는 부스(B) 및 제습부를 연결하고, 제습부에 의해 제습된 공기가 부스(B)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즉, 제습부는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제습 처리하고, 제습부에서 제습된 공기를 덕트부(10)를 통해 부스(B)의 내부공간에 직접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부스(B)는 제습부로부터 공급된 초저노점 공기에 의해 습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부스(B) 내에 배치된 생산장비의 초저노점 온도 관리가 더욱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드라이룸(R)에 부스(B)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드라이룸(R)의 내부에 생산장비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는 드라이룸(R)에 설치되어, 드라이룸(R)의 내부에 건조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덕트부(10)에는 건조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50)가 설치될 수 있다.
부스(B)의 내부공간에는 체크밸브(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어판넬에는 체크밸브(50)를 개방작동 시키는 개방버튼 및 체크밸브(50)를 폐쇄작동 시키는 폐쇄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어판넬에 마련된 개방버튼 또는 체크밸브(50)를 통해 덕트부(10) 내의 건조공기를 부스(B)에 공급하거나 공급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체크밸브(50)는 제습부로부터 제습된 공기가 부스(B)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는 공기통로의 개폐가 가능하고, 공기통로의 개방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체크밸브(50)는 제습된 건조공기가 부스(B)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는 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이동구동부(20) 및 덕트부(10)의 다른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구동부(20)는 부스(B)의 내부에 위치한 작업자에게서 발생하는 수분부하를 해소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이동구동부(20)는 작업자의 위치에 대응되게 덕트부(10)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수분부하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동구동부(20)는 감지센서(21) 및 로드레스 실린더(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덕트부(10)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각자 할당된 구역에서 부스(B)의 내부공간에 건조공기를 공급한다.
부스(B)의 구역은 다수개로 구획될 수 있다. 도 2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할당구역이 제1 구역(A1)과, 제2 구역(A2) 및 제3 구역(A3)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 덕트부(10)는 제1 구역(A1)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덕트부(11)와, 제2 구역(A2)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2 덕트부(12) 및 제3 구역(A3)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3 덕트부(13)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덕트부(11)와 제2 덕트부(12) 및 제3 덕트부(13)는 이동구동부(20)에 의해 각각 할당된 구역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되어야 함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10a)와, 덕트본체(10a)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바라관(10b) 및 자바라관(10b)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배출관(10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관(10c)은 자바라관(10b)의 신축작용에 의해 각각의 구역에서 부스(B)의 일단에서 타단 또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다.
이때, 자바라관(10b)은 배출관(10c)이 부스(B)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할 경우 펼쳐지고,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할 경우 접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체크밸브(50)는 덕트본체(10a)와, 자바라관(10b) 및 배출관(10c)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배출관(10c)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B)의 상면에는 배출관(10c)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공(B1)이 형성된다.
배출관(10c)은 일부분이 장공(B1)을 관통하여 부스(B)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장공(B1)은 배출관(10C)이 후술되는 로드레스 실린더(22)에 의해 부스(B)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B)의 상면 내부 양측벽에는 장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레일홈(B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레일홈(B2)에는 밀폐유지패널(P)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밀폐유지패널(P)은 기밀성이 우수한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배출관(10c)의 외주연을 절반씩 감싸는 반원형 형상의 감쌈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밀폐유지패널(P)은 서로 마주하는 끝단이 접착제로 결합되거나 볼팅결합될 수 있다.
밀폐유지패널(P)은 배출관(10c)이 로드레스 실린더(22)에 의해 장공(B1)을 따라 왕복이동할 때 레일홈(B2)을 따라 이동하면서 장공(B1)을 밀폐시켜 부스(B) 내의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예로, 부스(B)의 상면 좌측과 우측에는 밀폐유지패널(P)이 인출되는 인출홀이 레일홈(B2)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자바라관(10b)이 접힐 경우, 좌측의 밀폐유지패널(P)은 일부분이 부스(B)의 좌측에 형성된 인출홀을 통해 일정길이 돌출되고, 자바라관(10b)이 펼쳐질 경우, 우측의 밀폐유지패널(P)은 일부분이 부스(B)의 우측에 형성된 인출홀을 통해 일정길이 돌출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부스(B)의 레일홈(B2)에는 밀폐유지패널(P)이 두루마리 휴지처럼 권출되거나 권취되는 롤러(미도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유지패널(P)은 배출관(10c)의 이동방향에 대응되게 권취되거나 권출되면서 장공(B1)을 밀폐할 수 있다.
감지센서(21)는 할당구역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할당구역에 위치한 사람의 위치를 각각 감지한다.
즉, 도면에 할당구역이 3개로 분할된 예를 도시하였으므로, 감지센서(21)는 총 3개로 적용되어, 제1 구역(A1)과, 제2 구역(A2) 및 제3 구역(A3)에 각각 설치된다.
각각의 감지센서(21)는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센서로 적용될 수 있다.
감지센서(21)는 예를 들어 라이더 센서, 모션 감지센서와 같은 제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로드레스 실린더(22)는 도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3개로 적용되어 제1 구역(A1)과, 제2 구역(A2) 및 제3 구역(A3)에 각각 설치된다.
로드레스 실린더(22)는 부스(B)의 상면 또는 천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로드레스 실린더(22)를 구성하는 피스톤은 연결블록(100)을 통해 배출관(10c)에 각각 결합된다.
로드레스 실린더(22)의 피스톤의 이동위치에 대응되게 배출관(10c)도 이동된다.
즉, 제1 구역(A1)에 위치된 로드레스 실린더(22)는 제1 구역(A1)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1 덕트부(11)의 배출관(10c)을 이동시키고, 제2 구역(A2)에 위치된 로드레스 실린더(22)는 제2 구역(A2)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2 덕트부(12)의 배출관(10c)을 이동시키며, 제3 구역(A3)에 위치된 로드레스 실린더(22)는 제3 구역(A3)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제3 덕트부(13)의 배출관(10c)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 구역(A1)에 위치된 로드레스 실린더(22)는 제1 구역(A1)의 감지센서(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구역(A2)에 위치된 로드레스 실린더(22)는 제2 구역(A2)의 감지센서(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구역(A3)에 위치된 로드레스 실린더(22)는 제3 구역(A3)의 감지센서(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덕트부(10)와, 이동구동부(20)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작업자는 생산장비를 반출입하거나 점검 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부스(B)의 내부공간 즉, 제1 구역(A1)과, 제2 구역(A2) 및 제3 구역(A3)을 돌아다니게 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부스(B)의 내부공간으로 들어와 제1 구역(A1)에 위치할 경우, 제1 구역(A1)의 감지센서(21)가 작업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68)에 전송하고, 제어부(68)는 제1 구역(A1)의 감지센서(21)로부터 신호가 전송될 경우 제1 구역(A1)의 로드레스 실린더(22)를 작동시켜 제1 덕트부(11)의 배출관(10c)을 작업자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작업자와 작업자가 위치한 지점에 건조공기가 직접적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만약 작업자가 제1 구역(A1)의 어느 지점에서 제1 구역(A1)의 다른 지점으로 이동한 후 정지할 시, 감지센서(21)가 작업자의 위치를 새롭게 감지하여 제어부(68)에 전송하고, 제어부(68)는 제1 구역(A1)의 로드레스 실린더(22)를 작동시켜 제1 덕트부(11)의 배출관(10c)을 위치 이동한 작업자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물론, 작업자가 제2 구역(A2)으로 이동할 시에는 제2 구역(A2)의 감지센서(21)가 작업자의 위치를 감지함으로, 제2 구역(A2)의 로드레스 실린더(22)가 제2 덕트부(12)의 배출관(10c)을 작업자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고, 작업자가 제3 구역(A3)으로 이동할 시에는 제3 구역(A3)의 감지센서(21)가 작업자의 위치를 감지함으로, 제3 구역(A3)의 로드레스 실린더(22)가 제3 덕트부(13)의 배출관(10c)을 작업자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아울러, 작업자가 제2 구역(A2) 상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제3 구역(A3) 상에서 이동할 경우, 해당 구역의 이동구동부(20)가 해당 구역의 배출관(10c)을 작업자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덕트부(10)와 이동구동부(20)의 상호작용에 의해 작업자에 의한 수분부하를 즉시 해소하여 부스(B)의 내부공간을 초저노점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작업자가 부스(B)의 밖으로 나가 감지센서(21)가 작업자의 위치를 감지하지 아니할 경우, 제어부(68)는 로드레스 실린더(22)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작업자가 부스(B)의 밖으로 나가 감지센서(21)가 작업자의 위치를 감지하지 아니할 경우, 제어부(68)는 로드레스 실린더(22)를 제어하여 배출관(10c)을 부스(B)의 정중앙에 위치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2를 각각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R)의 덕트구조에 적용된 가변부(60)와, 필터수단(70) 및 냉각부(80)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가변부(60)는 케이스(61)와, 연결부(62)와, 에어포켓(63)과, 에어주입부(64)와, 에어흡입부(65)와, 제1 냉각유닛(66) 및 제어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6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배출관(10c)의 하단에 결합된다.
어느 하나의 케이스(61)는 상면 일측이 배출관(10c)의 하단 일측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케이스(61)는 상면 일측의 배출관(10c)의 하단 타측에 결합된다.
케이스(61)는 덕트부(10)를 구성하는 배출관(10c)의 끝단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01c)와 마주하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61a)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통과홀(61b)이 형성된다.
통과홀(61b)은 장공 형상,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1개로 적용되거나 또는, 도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통과홀(61b)이 다수개로 적용되는 경우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관(10c)의 공기배출구(101c)를 통해 배출된 건조공기는 케이스(61)의 상면과 내부공간 및 통과홀(61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연결부(62)는 판 또는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케이스(61) 상측을 연결한다.
연결부(62)로 인해 건조공기가 한 쌍의 케이스(61) 내부공간에 각각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에어포켓(63)은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61)의 수용공간(61a)에 각각 수용된다. 이때, 에어포켓(63)은 케이스(61)의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공기배출구(101c)에서 배출된 건조공기는 에어포켓(63)에 접촉된 후, 통과홀(61b)을 통해 배출된다.
에어포켓(63)은 튜브나 비닐 재질로 형성되어,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하다.
에어주입부(64)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에어주입부(64)는 연결부(62)의 저면에 결합되어, 서로 수평방향으로 나란한 형태를 이룬다.
에어주입부(64)는 에어콤프레셔와 같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공지의 제품으로 적용된다.
에어주입부(64)는 에어포켓(63)에 관통설치되는 공급라인(641)을 포함한다. 공급라인(641)으로 인해 에어포켓(63)을 케이스(61)의 바닥면과 이격시킬 수 있다.
에어주입부(64)에서 발생되는 에어는 공급라인(641)을 통해 에어포켓(63)에 주입된다.
따라서, 에어포켓(63)은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된다. 에어포켓(63)이 팽창됨으로 인해 수용공간(61a)의 크기가 축소되어 통과홀(61b)을 통과하는 건조공기의 정체를 유도할 수 있다.
에어흡입부(65)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에어주입부(64)는 에어주입부(64)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수평방향으로 나란한 형태를 이룬다.
에어흡입부(65)는 에어를 흡입할 수 있는 공지의 제품으로 적용된다.
에어주입부(64)가 작동될 시 에어흡입부(65)의 작동은 정지되고, 에어흡입부(65)가 작동될 시 에어주입부(64)의 작동은 정지된다.
에어흡입부(65)는 에어포켓(63)에 관통설치되는 흡입라인(651)을 포함한다.
흡입라인(651)으로 인해 에어포켓(63)을 케이스(61)의 바닥면과 이격시킬 수 있다.
에어흡입부(65)가 작동시 에어포켓(63)에 주입되어 있는 에어는 흡입된다.
따라서, 에어포켓(63)은 에어 배출에 의해 수축된다. 에어포켓(63)이 수축됨으로 인해 수용공간(61a)의 크기가 축소되어 건조공기가 통과홀(61b)을 신속하게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냉각유닛(66)은 에어포켓(63)에 각각 매립된다.
제1 냉각유닛(66)은 외부전원이 공급됨으로 인해 작동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코일 또는 냉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냉각유닛(66)은 에어주입부(64)가 작동되어 에어포켓(63)이 팽창될 시, 작동되어 냉기발생을 통해 에어포켓(63) 내의 에어를 냉각시킨다. 이로 인해 에어포켓(63)을 통과하는 건조공기가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이때, 제1 냉각유닛(66)은 에어포켓(63) 내의 에어 및 건조공기를 신속하게 냉각시키도록 복수개로 적용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에어포켓(63)에 매립된다.
그리고, 제1 냉각유닛(66)은 건조공기를 -60℃ 이하로 냉각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온도센서(67)는 부스(B)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온도센서(67)는 부스(B)의 내부공간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68)에 전송한다.
제어부(68)는 온도센서(67)에 의해 감지된 드라이룸(R) 내의 온도에 따라 제1 냉각유닛(66) 및 에어주입부(64) 또는 제1 냉각유닛(66) 및 에어흡입부(65)를 제어하여 에어포켓(63)에 의한 수용공간(61a)의 크기를 가변함으로써, 통과홀(61b)을 통과하는 건조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가변부(60)의 작동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온도센서(67)는 부스(B)의 내부공간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68)에 전송한다.
제어부(68)는 온도센서(67)에서 감지한 온도가 -60
Figure 112021147729018-pat00002
이하일 경우, 제1 냉각유닛(66) 및 에어주입부(64)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에어흡입부(65)를 작동시켜 에어포켓(63) 내의 에어를 흡입하게 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포켓(63)이 수축되어 케이스(61)의 내부공간이 크기가 넓어진 상태가 되어 건조공기가 큰 저항없이 통과홀(61b)을 통해 신속하게 통과하게 된다.
이로 인해 부스(B)의 내부공간은 -6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부스(B)의 내부공간 온도가 작업자에 의한 수분부하, 생산장비가 작동시 발생되는 열기, 기타 다양한 요인에 의해 -60℃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온도센서(67)가 감지하여 제어부(68)에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부(68)는 에어주입부(64) 및 제1 냉각유닛(66)을 작동시킨다.
에어주입부(64)가 작동함으로 인해 에어포켓(63)이 팽창되어 케이스(61)의 내부공간 크기가 좁아진 상태가 되고, 제1 냉각유닛(66)이 에어포켓(63) 내의 에어를 냉각하게 된다.
이때, 건조공기는 에어포켓(63)에 접촉되면서 에어포켓(63)과 케이스(61)의 내벽면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60℃의 온도로 냉각된 후 케이스(61)의 통과홀(61b)을 통과해 부스(B)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 -60℃이상으로 상승된 부스(B)의 내부공간 온도를 신속하게 초저노점으로 만들 수 있다.
이때, 건조공기는 에어포켓(63)과 케이스(61)의 내벽면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과하게 됨으로, 충분히 냉각된 후 부스(B)의 내부공간에 공급된다.
한편, 필터수단(70)은 덕트부(10)의 배출관(10c) 내부에 설치되어 부스(B)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게 되는 건조공기를 필터링한 후 가변부(60)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필터수단(70)은 제1,2 고정형 필터(71,72)와, 제1,2 이동형 필터(73,74) 및 제1,2 유압실린더(75,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형 필터(71)와 제2 고정형 필터(72)는 배출관(10c)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된다.
제1 고정형 필터(71)와 제2 고정형 필터(72)는 건조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함으로써, 부스(B)의 내부공간에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제1 이동형 필터(73)는 제1 고정형 필터(71)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이동형 필터(74)는 제2 고정형 필터(72)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 이동형 필터(73) 및 제2 이동형 필터(74)는 후술되는 제1 유압실린더(75) 및 제2 유압실린더(76)에 의해 전진될 경우 건조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한다.
제1 이동형 필터(73) 및 제2 이동형 필터(74)의 작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1 유압실린더(75)는 배출관(10c)의 외부에 배치되며, 피스톤이 배출관(10c)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제1 이동형 필터(73)의 일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이동형 필터(73)는 제1 유압실린더(75)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제2 유압실린더(76)는 배출관(10c)의 외부에 배치되며, 피스톤이 배출관(10c)의 타측벽을 관통하여 제2 이동형 필터(74)의 일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 이동형 필터(74)는 제2 유압실린더(76)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동형 필터(73) 및 제2 이동형 필터(74)는 제1 유압실린더(75) 및 제2 실린더에 의해 각각 후진될 시, 그 끝단이 배출관(10c)의 내부 타측벽 및 일측벽과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출관(10c)의 내부에 건조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과영역을 형성시킨다.
또한, 제1 이동형 필터(73)는 제1 유압실린더(75)에 의해 전진될 시 제1 고정형 필터(71)에 의해 형성된 통과영역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건조공기를 필터링한다.
그리고, 제2 이동형 필터(74)는 상기 제2 유압실린더(76)에 의해 전진될 시 상기 제2 고정형 필터(72)에 의해 형성된 통과영역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건조공기를 필터링한다.
이때, 제어부(68)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1 유압실린더(75) 및 제2 유압실린더(76)를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68)는제1 유압실린더(75)와 제2 유압실린더(76)를 서로 일정한 시간 간격차를 두고 작동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와 같이 제1 유압실린더(75) 및 제2 유압실린더(76)가 제어부(68)에 의해 작동되어 제1 이동형 필터(73) 및 제2 이동형 필터(74)를 각각 전진시켜 통과영역(A)을 폐쇄시킨 상태에서는 건조공기의 통과율을 낮추면서 정체율을 증가시켜 건조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제1 유압실린더(75)가 제1 이동형 필터(73)를 후진시키고, 제2 유압실린더(76)가 제2 이동형 필터(74)를 전진시킨 상태에서는 상층의 통과영역(A)만 개방되고 하층의 통과영역(A)은 폐쇄되어 건조공기가 상층의 통과영역(A)을 신속하게 통과한 후 제2 고정형 필터(72)와 제2 이동형 필터(74)에 의해 2차로 필터링 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1과 같이 제1 유압실린더(75)가 제1 이동형 필터(73)를 전진시키고, 제2 유압실린더(76)가 제2 이동형 필터(74)를 후진시킨 상태에서는 하층의 통과영역(A)만 개방되어 상층의 통과영역(A)을 통과하여 제2 고정형 필터(72)와 제2 이동형 필터(74)에 의해 필터링 된 건조공기가 부스(B)의 내부공간으로 신속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압실린더(75) 및 제2 유압실린더(76)의 작동에 의해 통과영역(A)을 폐쇄시켜 건조공기의 이동을 정체시켜 제1 고정형 필터(71)와, 제1 이동형 필터(73)와, 제2 고정형 필터(72) 및 제2 이동형 필터(74)에 의해 충분히 필터링 되도록 하면서도 상층의 통과영역(A) 또는 하층의 통과영역(A)이 서로 교번되게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여 건조공기를 단계적으로 신속하게 통과시켜 부스(B)의 내부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냉각부(80)는 가변부(60)를 통해 배출되는 건조공기를 한번 더 냉각시키는 구성이다.
즉, 제1 냉각유닛(66)에 의해 건조공기가 충분히 냉각되지 못할 수도 있으나, 냉각부(80)로 인해 건조공기를 원하는 온도로 충분히 냉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냉각부(80)는 냉각하우징(81)과, 경사판(82) 및 제2 냉각유닛(83)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하우징(81)은 케이스(61)의 통과홀(61b) 하부에 배치된다.
냉각하우징(81)의 상면에는 통과홀(61b)을 통과한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81a)가 형성된다.
냉각하우징(81)의 바닥면에는 제2 냉각유닛(83)에 의해 냉각된 건조공기를 부스(B)의 내부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구(81b)가 형성된다.
경사판(82)은 냉각하우징(81)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된다.
이때, 경사판(82)들은 그 끝단이 냉각하우징(81)의 내측벽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유입구(81a)를 통해 냉각하우징(8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건조공기는 경사판(82)과 냉각하우징(81)의 내벽면 사이 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구(81b)를 통해 부스(B)로 배출된다.
경사판(82)은 후술되는 제2 냉각유닛(83)의 의해 신속히 냉각되며, 건조공기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제2 냉각유닛(83)은 경사판(82)에 각각 매립된다.
제2 냉각유닛(83)은 건조공기를 신속하게 냉각시키도록 복수개로 적용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경사판(82)에 매립될 수 있다.
제2 냉각유닛(83)은 외부전원이 공급됨으로 인해 작동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코일 또는 냉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냉각유닛(83)은 건조공기를 약 -60℃ 이하 또는 -60℃ 내지 -70℃ 이하로 냉각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제2 냉각유닛(83)은 부스(B)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는 건조공기를 항상 냉각시키도록 상시 작동한다.
전술한 경사판(82)을 통해 건조공기의 이동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제2 냉각유닛(83)을 통해 건조공기를 원하는 온도로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어, 부스(B)의 내부공간을 초저노점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덕트부 10a : 덕트본체
10b : 자바라관 10c : 배출관
101c : 공기배출구 11 : 제1 덕트부
12 : 제2 덕트부 13 : 제3 덕트부
20 : 이동구동부 21 : 감지센서
22 : 로드레스 실린더 30 : 배기덕트
40 : 정압댐퍼 50 : 체크밸브
60 : 가변부 61 : 케이스
61a : 수용공간 61b : 통과홀
62 : 연결부 63 : 에어포켓
64 : 에어주입부 641 : 공급라인
65 : 에어흡입부 651 : 흡입라인
66 : 제1 냉각유닛 67 : 온도센서
68 : 제어부 70 : 필터수단
71 : 제1 고정형 필터 72 : 제2 고정형 필터
73 : 제1 이동형 필터 74 : 제2 이동형 필터
75 : 제1 유압실린더 76 : 제2 유압실린더
80 : 냉각부 81 : 냉각하우징
81a : 유입구 81b : 배출구
82 : 경사판 83 : 제2 냉각유닛

Claims (3)

  1. 드라이룸의 내부공간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체크밸브; 및
    상기 드라이룸에 위치한 사람의 위치 변화에 대응되게 상기 덕트부를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각자 할당된 구역에 상기 드라이룸에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이동구동부가 구동될 시 신축작용에 의해 이동되도록 자바라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구동부는,
    상기 할당구역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해당 할당구역에 위치한 사람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할당구역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덕트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감지센서와 1:1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람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덕트부를 각각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로드레스 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덕트부는 각각 로드레스 실린더에 의해 할당된 구역에서 양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드라이룸 내의 오염원을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드라이룸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덕트에 의한 강제 배기로 인해 드라이룸 내부공간의 압력이 낮을 경우 압력을 상승시키는 정압댐퍼;
    상기 덕트부의 끝단에 형성된 공기배출구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덕트부에서 배출되는 건조공기의 배출량을 가변하는 가변부;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건조공기를 필터링한 후 상기 가변부로 배출시키는 필터수단; 및
    상기 가변부를 통해 배출되는 건조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변부는,
    상기 공기배출구와 마주하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건조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공기배출구에서 배출된 건조공기가 접하게 되는 에어포켓;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포켓의 부피에 의한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가 축소되도록 상기 에어포켓에 각각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는 한 쌍의 에어주입부;
    상기 에어주입부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에어포켓의 부피에 의한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가 확장되도록 상기 에어포켓에 주입된 에어를 각각 흡입하여 수축시키는 한 쌍의 에어흡입부;
    상기 에어포켓에 각각 매립되며 상기 에어주입부가 작동될 시 냉기 발생을 통해 상기 에어포켓 내의 에어를 냉각시켜 상기 에어포켓을 통과하는 건조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제1 냉각유닛;
    상기 드라이룸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드라이룸 내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냉각유닛 및 에어주입부 또는 제1 냉각유닛 및 에어흡입부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포켓에 의한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가변함으로써,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건조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수단은,
    상기 덕트부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건조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2 고정형 필터;
    상기 제1,2 고정형 필터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건조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2 이동형 필터; 및
    상기 제1,2 이동형 필터를 각각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2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1 유압실린더 및 제2 유압실린더를 각각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제1 유압실린더와 제2 유압실린더를 서로 일정한 시간 간격차를 두고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되고,
    상기 제1 이동형 필터 및 제2 이동형 필터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 및 제2 실린더에 의해 각각 후진될 시, 그 끝단이 상기 덕트부의 내부 타측벽 및 일측벽과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건조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과영역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 이동형 필터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진될 시 상기 제1 고정형 필터에 의해 형성된 통과영역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건조공기를 필터링하고,
    상기 제2 이동형 필터는 상기 제2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진될 시 상기 제2 고정형 필터에 의해 형성된 통과영역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건조공기를 필터링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케이스의 통과홀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상기 통과홀을 통과한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건조공기를 드라이룸으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냉각하우징;
    상기 냉각하우징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되며, 끝단이 상기 냉각하우징의 내측벽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사판;
    상기 경사판에 각각 매립되며, 상기 경사판을 냉각시켜 상기 경사판을 통과하는 건조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제2 냉각유닛을 포함하는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210183328A 2021-12-21 2021-12-21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 KR102399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328A KR102399069B1 (ko) 2021-12-21 2021-12-21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328A KR102399069B1 (ko) 2021-12-21 2021-12-21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069B1 true KR102399069B1 (ko) 2022-05-17

Family

ID=8179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328A KR102399069B1 (ko) 2021-12-21 2021-12-21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0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586A (ja) * 1992-07-31 1994-02-22 Nippondenso Co Ltd 対人追従スポット空調装置
KR20170023477A (ko) * 2015-08-24 2017-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소음 저감 댐퍼
KR20200019838A (ko) * 2019-11-12 2020-02-25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KR20200097432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드라이룸의 노점온도 관리장치
KR20210097352A (ko) * 2020-01-30 2021-08-09 (주)센도리 실내 공기청정시스템
KR102329696B1 (ko) 2021-04-15 2021-11-22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기재순환 드라이룸 제습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드라이룸 설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586A (ja) * 1992-07-31 1994-02-22 Nippondenso Co Ltd 対人追従スポット空調装置
KR20170023477A (ko) * 2015-08-24 2017-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소음 저감 댐퍼
KR20200097432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드라이룸의 노점온도 관리장치
KR20200019838A (ko) * 2019-11-12 2020-02-25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KR20210097352A (ko) * 2020-01-30 2021-08-09 (주)센도리 실내 공기청정시스템
KR102329696B1 (ko) 2021-04-15 2021-11-22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기재순환 드라이룸 제습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드라이룸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16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nt leak management
US109354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nt leak management
US10677679B2 (en) Refrigerant leak detection and management based on condensation from air samples
KR102406026B1 (ko) 미세먼지 필터 성능 테스트 장치
KR102399069B1 (ko) 초저노점 구현이 가능한 드라이룸의 덕트구조
KR101575135B1 (ko) 슬라이딩도어를 이용한 실험실용 흄 후드 시스템
CN107478396A (zh) 一种建筑门窗检测系统
CN111351171A (zh) 局部环境保障系统
KR101518553B1 (ko) 전자동 시스템 냉풍기
CN207616860U (zh) 一种轨道板蒸养窑
CN112068622B (zh) 一种基于物联网的粮仓综合控制柜
KR102342941B1 (ko)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MXPA06005316A (es) Dispositivo enfriador, particularmente para enfriar camaras frigorificas.
CN106679713A (zh) 一种沙尘实验装置
US6146267A (en) Device for separating two zones with different environment
KR101401482B1 (ko) 제습 및 재생효율을 높인 건식 제습기
KR102346855B1 (ko) 공조 시스템
JP7272017B2 (ja) エアカーテン装置、及び、エアカーテン形成方法
CN209486532U (zh) 多腔室气密隔离高海拔、低温环境智能恒温恒压电控装置
CN206220425U (zh) 一种防静电通风地板
CN208751162U (zh) 一种汽车橡胶密封件加工用烘干装置
KR102062335B1 (ko) 자동 필터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7366570B2 (ja) ドライルー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206444352U (zh) 除尘器及除尘系统和沥青站
CN205830206U (zh) 具有温控功能的一次性发泡成型机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