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020B1 -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 가공을 위한 플랜지업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 가공을 위한 플랜지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020B1
KR102399020B1 KR1020200011071A KR20200011071A KR102399020B1 KR 102399020 B1 KR102399020 B1 KR 102399020B1 KR 1020200011071 A KR1020200011071 A KR 1020200011071A KR 20200011071 A KR20200011071 A KR 20200011071A KR 102399020 B1 KR102399020 B1 KR 10239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hell
bending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7410A (ko
Inventor
이석길
김남일
황인복
Original Assignee
(주)세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움 filed Critical (주)세움
Priority to KR1020200011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0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21D19/04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 B21D19/046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for flanging edges of 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03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controlling of welding dist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3/00Specially-profiled edge portions of workpieces for making soldering or welding connections; Filling the seams formed thereby
    • B23K33/002Crimping or bending the workpieces at the join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7/00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n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7/02Single metal-working processes; Machines or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된 원자재인 쉘이 안착되는 플랜지업 유닛 및 상기 플랜지업 유닛에 장착된 쉘의 외측단에 대한 벤딩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벤딩 유닛을 포함하는 플랜지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기후처리장치를 이루는 복수개의 단품들을 체결시에 사용하는 링 플랜지의 성형 방식을 일체형 플랜지업 타입으로 형성하는 방안을 통해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체결부의 평탄도 확보에 따른 기밀성 유지 및 누설 최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 가공을 위한 플랜지업 장치{flanging up apparatus for machining the shell constituting exhaust aftertreatment}
본 발명은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을 일체형 플랜지업 타입으로 형성하는 방안을 통해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체결부의 평탄도 확보에 따른 기밀성 유지 및 누설 최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쉘에 대한 플랜지업 장치에 대한 것이다.
디젤 엔진은 공급되는 연료량과 무관하게 압축착화 및 확산연소 기구를 이용하여 연료/공기 혼합기가 희박하여도 연소가 가능하여 연료경제성이 높다. 디젤 엔진은 가솔린 엔진에 비하여 저부하 운전시 효율이 높아 연료경제성이 높고 희박연소가 가능하여 탄화수소(HC, Hydrocarbon), 일산화탄소(CO) 배출이 낮은 장점이 있으나, 확산연소 과정에서 국부적으로 연료가 농후하고 연소온도가 높은 영역에서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과 질소산화물(NOx)의 배출이 되어 이를 여과할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필요로 한다.
자동차, 건설기계, 농기계 등 디젤 엔진을 사용하는 환경 조건에 적용되는 시스템 상에서 배출되는 CO, HC, NOx를 엔진 이후의 촉매와 필터를 통해 유해물질을 저감한다.
엔진의 배기 시스템은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된 유해 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해 디젤 산화 촉매(Diesel Oxidation Catalyst: DOC), 디젤 입자상 물질 필터((Diesel Particulate matter Filter: DPF) 및 선택적 촉매 환원(Selective Catalyst Reduction:SCR) 등과 같은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와 같은 복합 후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DOC 및 DPF가 장착된 복합후처리장치의 경우 Pt, Pd 등을 활용한 산화촉매 법으로 1차 저감(DOC) 후 매연 및 입자상 물질(PM)을 물리적으로 포집 및 제거하는 2차 저감방식으로 유해물질을 최소화한다.
복합후처리장치 제작 시에 발생하는 단품 결함, 용접 시 열변형 및 결합 부위 누설 등은 복합후처리장치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끼친다. OBD 관련 규정 강화, 결함확인 검사제도 도입 및 배출가스 규제 강화 등에 따라 복합후처리장치의 내구성 향상이 요구된다.
복합후처리장치는 많은 단품류(Chmber, Mixer, Plate, Cover, Boss, Case, Tube, BRK’T 등)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품과 부품 간의 용접 시에 열 변형 등 여러 불량이 발생하고, 부품과 부품을 용접 시 열 변형이 발생하여 치수관리 및 제품 평탄도 개선이 필요하며, 용접부의 기계적 특성 저하로 인한 물성 저하 개선이 필요하다. 복합후처리장치에서는 부품과 부품을 조립 시 체결되는 부분의 리크(Leak) 누기와 용접에 의한 열 변형이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복합후처리장치를 이루는 복수개의 단품들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링 플랜지 체결 방식을 이용한 체결을 실시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링이 요구되는바, 배기가스 규제 강화로 인한 경량화 요구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기후처리장치를 이루는 복수개의 단품들을 체결시에 사용하는 링 플랜지 체결 방식을 탈피한 상태에서 플랜지업 공정을 쉘 생산 공정에 적용하는 방안을 통해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체결부의 평탄도 확보에 따른 기밀성 유지 및 누설 최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급된 원자재인 쉘이 안착되는 플랜지업 유닛 및 상기 플랜지업 유닛에 장착된 쉘의 외측단에 대한 벤딩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벤딩 유닛을 포함하는 플랜지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플랜지업 유닛은, 플랜지업 본체의 중심축 상에 결합되는 플랜지 축; 상기 플랜지 축의 내측 상에서 상기 플랜지 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한편 플랜지업 성형을 위해 플랜지업 장치 상에 로딩되는 쉘의 앞측 단이 밀착되어지는 스토퍼; 상기 플랜지 축의 외측 상에서 상기 플랜지 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한편 플랜지업 성형을 위해 플랜지업 장치 상에 로딩되는 쉘의 내측면이 밀착되어지는 죠, 및 상기 죠와 플랜지 축 간의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죠 고정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벤딩 유닛은, 쉘의 외측단을 파지하는 기능을 하는 한쌍의 벤딩 롤러, 상기 한쌍의 벤딩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벤딩 롤러에 연결되어져 축 방향을 따른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벤딩 액츄에이터 및 상기 벤딩 롤러에 연결되어져 회전 구동을 하는 벤딩 바디를 포함하고, 쉘의 외측단이 상기 한쌍의 벤딩 롤러 사이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벤딩 액츄에이터를 통해 한쌍의 벤딩 롤러 간을 근접하게 하여 쉘을 단단히 파지한 상태에서, 벤딩 바디를 회전 구동하여 쉘의 끝단에 대한 플랜지업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벤딩 롤러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점점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고, 상기 벤딩 롤러의 내부 상에는 그 축방향을 따라 회전축의 결합이 가능한 중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홀 상에는 롤러의 내주면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의 결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후처리장치를 이루는 링 플랜지에 대한 성형 공정을 진행하는 플랜지업 설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배기후처리장치를 이루는 복수개의 단품들을 체결시에 사용하는 링 플랜지의 성형 방식을 일체형 플랜지업 타입으로 형성하는 방안을 통해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체결부의 평탄도 확보에 따른 기밀성 유지 및 누설 최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링 체결장치 타입 대비 약 25%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공정의 단순화로 인한 생산성 증가 및 플랜지 부분 용접에 의한 열 변형 원천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체결부 평탄도 확보에 따른 기밀성 유지및 누설 최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업 장치 중 공급된 원자재인 쉘이 안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보인다..
도 3은 플랜지업 장치의 실제 사진을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업 장치를 구성하는 벤딩 유닛을 이루는 롤러의 일실시예를 보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를 이루는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에 대한 롤링 및 플랜지업 공정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은 자동차를 이루는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에 대한 플랜지업 공정을 통해 배기후처리장치의 기밀성을 개선하는 방안을 설명한다. 상기 배기후처리장치는 머플러와 같은 배가가스 복합후처리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플랜지업 장치는 공급된 원자재인 쉘이 안착되는 플랜지업 유닛(100) 및 플랜지업 유닛(100)에 장착된 쉘의 외측단에 대한 벤딩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벤딩 유닛(200)을 포함한다.
플랜지업 유닛(100)은 플랜지업 본체(110), 플랜지업 본체(110)의 중심축 상에 결합되는 플랜지 축(120), 플랜지 축의 내측 상에서 상기 플랜지 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한편 플랜지업 성형을 위해 플랜지업 장치 상에 로딩되는 쉘의 앞측 단이 밀착되어지는 스토퍼(130), 플랜지 축의 외측 상에서 상기 플랜지 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한편 플랜지업 성형을 위해 플랜지업 장치 상에 로딩되는 쉘의 내측면이 밀착되어지는 죠(140), 및 상기 죠(140)와 플랜지 축(120) 간의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죠 고정 블록(150)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30)는 플랜지업 본체(110)의 전단 상에서 플랜지 축(120)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것으로서 플랜지업 대상 부품인 쉘에 따라서 적정한 길이를 갖는 다양한 길이가 존재한다. 즉, 플랜지업 성형을 위해 플랜지 축을 따라 쉘을 안착되는 경우에, 플랜지 축(120) 상에서 쉘의 적정한 배치 형태를 갖기 위해서 스토퍼(130)를 이용하여 진입하는 쉘의 멈춤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스토퍼(130)의 전단 상에는 셀과의 정확한 접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원주를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스토퍼 돌기(13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돌기(132)는 공정진행을 위해 플랜지업 장치 상에 로딩되는 쉘의 내측단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중량 절감을 위해 3점 지지 방식 구조를 갖게 한다. 이를 통해서, 대구경 쉘 스토퍼 교체의 불합리함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죠(140)는 안착되는 쉘의 내면 상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공급되는 쉘의 곡률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부채꼴 형상인 복수의 가압 패드(142)를 갖는다.
복수의 가압 패드(142) 각각은 내측면 상에 죠 고정 블록(150)이 고정 결합되는 블럭 고정홈(144) 및 상기 고정홈(144) 상에서 가압 패드 상하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 고정홈(146)을 갖는다. 즉, 블럭 고정홈 상에 죠 고정 블럭이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나사를 통해 나사 고정홈을 통하여 죠 고정 블럭을 가압 패드 상에 결합한다. 상기 구조 하에서, 복수의 죠 고정 블럭을 플랜지 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복수의 가압 패드를 플랜지 축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하여 안착되는 쉘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한다.
한편, 가압 패드(142)에 고정된 죠 고정 블록(150)은 플랜지 축의 전단을 이루는 액추에이터부에 연결되어 방사상을 따른 운동을 실시한다.
벤딩 유닛(200)은 공급된 원통 형상의 쉘에 대한 벤딩을 위하여 쉘의 외측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를 구부리는 기능을 한다.벤딩 유닛(200)은 쉘의 외측단을 파지하는 기능을 하는 한쌍의 벤딩 롤러(210), 한쌍의 벤딩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벤딩 롤러에 연결되어져 축 방향을 따른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벤딩 액츄에이터(220) 및 한쌍의 벤딩 롤러 중 다른 하나의 벤딩 롤러에 연결되어져 회전 구동을 하는 벤딩 바디(230)를 포함한다. 즉, 쉘의 외측단이 한쌍의 벤딩 롤러 사이에 진입한 상태에서 벤딩 액츄에이터를 통해 한쌍의 벤딩 롤러 간을 근접하게 하여 쉘을 단단히 파지한다. 상기 상태에서, 벤딩 바디를 회전 구동하여 쉘의 끝단에 대한 플랜지업 가공을 실시한다.
삭제
도 4를 참조하면, 벤딩 롤러(2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점점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벤딩 롤러(210)의 내부 상에는 그 축방향을 따라 회전축의 결합이 가능한 중공홀(212)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홀(212) 상에는 롤러의 내주면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의 결합홈(214)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에 대한 롤링 공정을 설명한다.
롤링 공정은 공급된 원자재를 규격에 맞춰 재단하는 샤링(Shearing), 샤링된 원자재에 압축력을 가하여 크랙을 유발시켜 판재를 분리하는 블랭킹, 블랭킹된 판재를 원통 형상을 갖는 쉘의 형상으로 변형하는 조관 작업, 조관된 쉘 상에서 판재가 접하는 양단을 결합하는 용접 작업, 쉘의 용접부 상에 발생한 용접 비드를 제거하는 비드 롤링 작업, 및 쉘의 양단에 형성된 용접 돌기를 커팅한 후에 균열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샤링은 원자재를 슬리팅(SLITING)하고 슬리팅된 철판을 더 정확하게 단품 도면을 보고 제작하고자 하는 규격으로 맞춰 자르는 작업을 지칭한다. 샤링된 제품에 대해서는 초품, 중품 및 종품을 대상으로 치수 검사를 실시한다.
블랭킹 가공은 판재 면에 압축력을 가하여 최대파괴강도에 이르게 함으로써 크랙을 유발시켜 파단 현상을 생기게 하여 판재를 분리하는 가공을 지칭한다. 블랭킹된 제품에 대해서는 초품, 중품 및 종품을 대상으로 외관 품질 및 치수 검사를 실시한다. 한편, 블랭킹된 판재의 가장자리 상에는 용접 과정에서의 불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돌기 형상의 타부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타부 공정추가를 통한 용접을 실시하여 불량 발생 소지를 축소한다.
롤러를 통해 조관 작업된 제품에 대해서는 초품, 중품 및 종품을 대상으로 뒤틀림 검사를 실시하고, 뒤틀림 발생시에는 재작업을 진행한다.
용접 작업은 초품, 중품 및 종품을 대상으로 백비드를 확인하고 외관 검사를 진행한다. 이는 기존에 비드 외관 불량 및 기공 발생이라는 문제점 및 용접 언더컷이 발생하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쉘 셋팅 시에 라인 맞춤을 위한 레이저 마킹 게이지를 설치한다.
비드 롤링 작업은 용접부 뻐드러짐 및 치수 불량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차원에서 비드 롤링 작업 후에 용접외관 품질 확인과 진원도 및 길이 확인을 실시하고, 비드 크랙 여부를 확인한다.
타부 커팅 작업 후에는 균열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에 대한 플랜지업 공정을 설명한다.
플랜지업 공정 단계는 진원도, 플랜지 업 길이, 높이 및 조관 상태를 포함한 플랜지 업 최적 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공정을 진행한다.
롤링 공정을 통해 중공 원통 형상으로 조성된 쉘을 플랜지업 장치 상에 결합한 상태에서 플랜지업 공정을 진행한다.
플랜지업 장치는 롤링 공정이 수행된 쉘을 내부에서 파지하는 죠 및 쉘의 전단이 안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원통 형상을 갖는 쉘의 플랜지업 장치로의 진입 과정에서, 스토퍼의 외측단에 쉘의 끝단이 닿는 과정을 통해서 더 이상의 진입을 방지한다. 죠는 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복수개가 반경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스핀들 척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쉘의 내면 상에 반경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쉘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종래에는 죠와 쉘 간의 오버랩 량이 7mm 수준으로 유지됨으로 인해서 제품 고정시에 쉘의 벌어짐 현상이 발생한바, 스토퍼와 쉘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오버랩양을 10mm 이상으로 확보한다.
한편, 스토퍼에 결합되는 쉘의 다양한 길이를 고려하여 스토퍼 상에는 축방향을 따라 길이조절 지그가 결합 가능한데, 원통 형상을 갖는 길이조절 지그의 외면 가장자리 상에는 쉘의 끝단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지지 도피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를 이루는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에 대한 롤링 및 플랜지업 공정 상에서 중요한 인자를 롤링 공정에 적용되는 롤러의 곡률(R), 쉘 성형을 위해 공급되는 판재의 두께(t) 및 플랜지업 길이(L) 등 3개의 중요인자를 선정한다.
Hoof stress 및 Von-Mises stress는 소재의 항복강도인 267 MPa 이상 및 용접부의 인장강도인 360 MPa 이하를 유지하고, stress intensity는 소재의 인장강도인 415 MPa 이하를 유지한다. 한편, Unloading angle은 90ㅁ0.5ㅀ이내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의 다양한 실험예를 토대로 하여 도출된 가장 양호한 플랜지업 조건은 롤러의 곡률 4.0 mm, 판재의 두께 2.0 mm 및 플랜지업 길이 13 mm로 분석 및 고찰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롤러의 곡률과 플랜지업 길이는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판재의 두께가 15 mm로 변화된 경우이다.
판재의 두께를 줄이는 경우는 발생되는 응력은 낮아질 수 있으나 허용응력 감소로 구조의 안전성 및 피로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목표값은 만족하나 거의 한계선에 근접된 값을 보이는 경우는 하중의 변동 등에 따른 안전을 고려 할 때 적용이 적절하지 않다.
상기의 이유로, 가장 우선적으로 제안되는 플랜지업 조건은 롤러의 곡률 4.0 mm, 판재의 두께 2.0 mm, 플랜지업 길이 13.0 mm이며, 차선적으로 제안되는 플랜지업 조건은 롤러의 곡률 4.0 mm, 판재의 두께 2.0mm, 플랜지업 길이 15.0 mm이다.
플랜지업 공정 상에서 공급된 판재의 두께를 줄이는 경우는 발생되는 응력은 낮아질 수 있으나 허용응력감소로 구조의 안전성 및 피로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토퍼는 제품별 쉘 스토퍼 중량 과다로 툴 교체 시 작업성 난이하다는 점 및 쉘 용접부 규제에 불합리하다는 측면이 있는바, 중량 절감을 진행하기 위하여 쉘 끝단부에 대한 3점 지지 타입으로 변경한다.
또한, 쉘 아웃 로딩시 외경 벌어짐이 발생하여 죠와 쉘 건의 오버랩량이 7mm 수준으로 되어 제품 고정 시 벌어짐 현상이 발생하는바, 스토퍼 및 죠를 일체형으로 신규 제작하여 오버랩양을 10mm 이상 확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된 머플러를 이루는 쉘의 평탄도 및 기밀성 측정시험을 설명한다. 측정은 다관절 3차원 측정기 및 5TON CTR AIR LEAK TESTER 등을 사용한다.
평탄도 측정 기준은 생산된 쉘 샘플 5 EA 에 대해서 플랜지 성형부 상에 지정된 8포인트의 가장 높은 값과 낮은 값의 차이에 해당하는 평탄도 측정값이 0.3 mm 이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쉘 샘플들의 평탄도는 0.05에서 0.24의 범위에 해당함으로써 전부 측정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기밀성 측정 기준은 생산된 쉘 샘플 5 EA 에 대해서 10초 동안 0.3 kg/㎠ 공기를 주입한 후 15초 이후 안정화 후에 15초 누설(Leak)을 측정하는 과정을 통해 기밀성을 측정하여 5 EA가 누기량이 500 cc 이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누기 테스트 장치에 쉘 샘플을 셋팅 후 양측 끝단을 막은 상태에서 정량의 공기를 주입하여 누기량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쉘 샘플들의 누기량은 0.02에서 0.03의 범위에 해당함으로써 전부 측정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링 체결장치 타입 대비 약 25%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바, 이에 대해서는 기존 사양 및 본 발명에 따른 모델링을 확인하여 경량화를 판단한다.
기존 사양에 따른 쉘을 장착한 배기후처리장치는 쉘, 링 플랜지, 플레이트 엔드, 단열재, 와이어 및 볼트 부재등을 합한 구조체이고, 본 발명에 따른 쉘을 장착한 배기후처리장치는 플랜지업 공정을 적용한 쉘, 클램프, 가스켓, 플레이트 엔드, 단열재를 포함하는 구조체이다.
모델링 데이터를 통해 판단시에 기존 사양에 따른 쉘을 장착한 배기후처리장치는 9,350g 무게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 따른 쉘을 장착한 배기후처리장치는 6,800g 무게를 나타내는바, 경량화 비율은 기존 대비 27%를 유지함으로써 기본적으로 25% 이상을 만족한다.
본 발명은 배기후처리장치를 이루는 복수개의 단품들을 체결시에 사용하는 링 플랜지 체결 방식을 탈피한 상태에서 일체형 플랜지업 타입으로 형성하는 방안을 통해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체결부의 평탄도 확보에 따른 기밀성 유지 및 누설 최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

  1. 공급된 원자재인 쉘이 안착되는 플랜지업 유닛 및 상기 플랜지업 유닛에 장착된 쉘의 외측단에 대한 벤딩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벤딩 유닛을 포함하는 플랜지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업 유닛은,
    플랜지업 본체의 중심축 상에 결합되는 플랜지 축;
    상기 플랜지 축의 내측 상에서 상기 플랜지 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한편 플랜지업 성형을 위해 플랜지업 장치 상에 로딩되는 쉘의 앞측 단이 밀착되어지는 스토퍼;
    상기 플랜지 축의 외측 상에서 상기 플랜지 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한편 플랜지업 성형을 위해 플랜지업 장치 상에 로딩되는 쉘의 내측면이 밀착되어지는 죠, 및
    상기 죠와 플랜지 축 간의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죠 고정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벤딩 유닛은,
    쉘의 외측단을 파지하는 기능을 하는 한쌍의 벤딩 롤러, 상기 한쌍의 벤딩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벤딩 롤러에 연결되어져 축 방향을 따른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벤딩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한쌍의 벤딩 롤러 중 다른 하나의 벤딩 롤러에 연결되어져 회전 구동을 하는 벤딩 바디를 포함하고,
    쉘의 외측단이 상기 한쌍의 벤딩 롤러 사이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벤딩 액츄에이터를 통해 한쌍의 벤딩 롤러 간을 근접하게 하여 쉘을 단단히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벤딩 바디를 회전 구동하여 쉘의 끝단에 대한 플랜지업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에 대한 플랜지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롤러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점점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고,
    상기 벤딩 롤러의 내부 상에는 그 축방향을 따라 회전축의 결합이 가능한 중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홀 상에는 롤러의 내주면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의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에 대한 플랜지업 장치.
KR1020200011071A 2020-01-30 2020-01-30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 가공을 위한 플랜지업 장치 KR10239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071A KR102399020B1 (ko) 2020-01-30 2020-01-30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 가공을 위한 플랜지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071A KR102399020B1 (ko) 2020-01-30 2020-01-30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 가공을 위한 플랜지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410A KR20210097410A (ko) 2021-08-09
KR102399020B1 true KR102399020B1 (ko) 2022-05-18

Family

ID=7731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071A KR102399020B1 (ko) 2020-01-30 2020-01-30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 가공을 위한 플랜지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412A (ko)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크로커스 고효율 냉각구조를 구비한 고압 충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19B1 (ko) 2006-09-12 2008-02-22 주식회사 테스크 원통형 구조물의 플랜지 형성장치 및 그 사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294B2 (ja) * 1989-09-01 1996-06-26 株式会社アルマス 管端のフランジ加工装置
JPH08197148A (ja) * 1995-01-26 1996-08-06 Metcoil Kk 円筒状チューブのフランジ自動成形装置
KR20000008449A (ko) * 1998-07-14 2000-02-07 안득길 원통형 공작물의 플랜지 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19B1 (ko) 2006-09-12 2008-02-22 주식회사 테스크 원통형 구조물의 플랜지 형성장치 및 그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410A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0152B2 (en) Gas sensor mounting boss and method of making
US7857192B2 (en) Friction stir welding tool and friction stir welding method
US7334334B2 (en) Automotive exhaust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620674B1 (en) Welding structure
CN106826105B (zh) 用于制造催化器壳体系统的方法
US200702717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talytic converter
KR102399020B1 (ko)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 가공을 위한 플랜지업 장치
US20140232105A1 (en) Nickel-base radiant tub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80209729A1 (en) Automotive exhaust component and process of manufacture
US20040234427A1 (en) Automotive exhaust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415561B1 (ko) 배기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쉘에 대한 롤링 및 플랜지업 공정을 통해 배기후처리장치의 기밀성을 개선하는 방법
US7323145B2 (en) Automotive exhaust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Oh Bending fatigue and microstructure of fillet welded joints with high chromium stainless pipe for catalyst muffler
US87012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 antipollution device housing
US7587819B1 (en) Insert for a catalytic convert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insert for a catalytic converter
JP4386888B2 (ja) 自動車用高圧燃料噴射蓄圧分配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86867B2 (ja) 自動車用高圧燃料噴射蓄圧分配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72064B2 (ja) 自動車用高圧燃料噴射蓄圧分配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91410B2 (en) Method of inspecting a geometry and dimensional accuracy of a circular recuperator inspection fixture
JP7328163B2 (ja) 排ガス設備のためのゾンデ接続用パイプ
Vignesh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SCIENCES & RESEARCH TECHNOLOGY WELD CRACK RECTIFICATION IN CATALYTIC CONVERTER BY FABRICATION OF CUSTOMIZED JIG PLATES
Ghadei et al. A Methodology to Validate the V-band Clamp Used in High-Temperature Sealing Joint of a Light-Duty Diesel Engine
AU2009212948B2 (en) Catalytic conver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xhaust system
JP4047665B2 (ja) 触媒コンバーターの製造方法
JP3510403B2 (ja) メタル担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