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952B1 - 폴리머 조성물 및 상 변화 물질로서의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머 조성물 및 상 변화 물질로서의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952B1
KR102398952B1 KR1020197008565A KR20197008565A KR102398952B1 KR 102398952 B1 KR102398952 B1 KR 102398952B1 KR 1020197008565 A KR1020197008565 A KR 1020197008565A KR 20197008565 A KR20197008565 A KR 20197008565A KR 102398952 B1 KR102398952 B1 KR 102398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polymer composition
density polyethylene
ethylene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771A (ko
Inventor
안드레아 카스티글리오니
프란체스코 스카벨로
다니엘레 발두치
파올로 마리아니
Original Assignee
베르살리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살리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베르살리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6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82Boron-containing compounds and nitrogen
    • C08K2003/385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6Additives defined by their aspect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4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sola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6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or containing aids for mould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4VL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54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2Fillers; Inorganic pigments; Reinforc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a) 50부피% 내지 99부피%, 바람직하게는 70부피% 내지 95부피%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b) 1부피% 내지 50부피%, 바람직하게는 5부피% 내지 30부피%의 상이한 열 전도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충전제;
(c) 100 ppm 내지 4000 ppm, 바람직하게는 200 ppm 내지 3500 ppm의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고,
(a) + (b)의 합이 100인, 폴리머 조성물이 본원에 기재된다.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특히 열 에너지 저장(TES)을 위한, 더욱 특히 태양 에너지의 저장을 위한 상 변화 물질(PCM)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머 조성물 및 상 변화 물질로서의 이의 용도
본 발명은 폴리머 조성물 및 상 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a)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b) 상이한 열 전도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충전제; (c)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특히 열 에너지 저장(thermal energy storage: TES)을 위한, 더욱 특히 태양 에너지의 저장을 위한 상 변화 물질(PCM)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상 변화 물질(PCM)로서의 상기 언급된 폴리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 변화 물질(PCM)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국제 특허 출원 WO 2006/023860호에는 폴리머 매트릭스와 충전제 물질로서 구형 보론 니트라이드 응집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열 전도성 조성물로서, 상기 구형 보론 니트라이드 응집체가 결합제에 의해 함께 결합된 후에 분무-건조된 보론 니트라이드의 불규칙적 비-구형 입자에 의해 형성되고, 2 미만의 종횡비를 갖는, 열 전도성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열 전도성 조성물은 프리-스탠딩 필름(free-standing film) 형태의, 또는 열 전도성 캐리어, 패드 또는 열 전도성 시트, 열 전도성 그리스 또는 겔, 열 전도성 접착제 또는 테이프를 갖는 상 변화 물질(PCM)을 포함한 여러 형태로 열 관리가 필수적인 적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출원 US 2011/0248208호에는 (a) 바람직하게는 알킬 하이드로카본 (파라핀 왁스)으로부터 선택된 20중량% 내지 80중량%의 상 변화 물질(PCM); (b) (b1) 표준 ASTM 792에 따라 측정되는 0.910 g/cm3 또는 그 미만의 밀도를 갖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ery-low-density polyethylene: VLDPE); (b2) 표준 ASTM 792에 따라 측정되는 0.900 g/cm3 또는 그 미만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b3)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코폴리머; 및 (b4)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0중량% 내지 80중량%의 하나 이상의 폴리머(중량 백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함)를 포함하는 상 변화 물질(PCM)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상 변화 물질(PCM)은 열 관리가 필수적인 여러 적용에서 사용 가능하다고 한다. 빌딩 내부 온도의 관리가 가장 중요한 적용 중 하나이지만, 상기 언급된 상 변화 물질(PCM)은 또한 자동차 적용에서(예를 들어, 차량의 천정, 좌석 및 타이어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이는 또한 공기 도관 내 공기 필터에서; 운송에서; 식품 포장에서(식품을 차갑거나 따뜻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약물 포장에서; 의류 및 운동복용 직물 및 부직포에서; 신발류에서; 손잡이에서(예를 들어, 공구, 스포츠 용품 및 차량에서); 침대보에서; 카페트에서; 목재 복합 물질에서; 전기 케이블에서; 및 물을 포함한 뜨거운 물질을 운반하는 플라스틱 파이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출원 US 2015/0299416호는 파라핀, 폴리머, 및 임의로 열 전도성 개선제, 조핵제, 산화방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펠릿 형태의 상 변화 물질(PCM)로서, 파라핀이 펠릿 형태의 상 변화 물질(PCM)의 적어도 약 60중량%이고; 폴리머가 0.1g/10분 내지 50g/10분 범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인, 상 변화 물질(PCM)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특허 출원에는 또한 상기 펠릿 형태의 상 변화 물질(PCM)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특허 출원에 기재된 상기 언급된 펠릿 형태의 상 변화 물질(PCM) 및 연속 펠릿화 공정은 상 변화 물질(PCM)의 제조를 위한 공정의 자동화에 특히 적합하다고 한다. 저렴한 생산 비용의 펠릿화 공정으로 생산된 펠릿 형태의 상 변화 물질(PCM)은 여러 에너지 저장 적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적용은, 예를 들어, 빌딩의 구성물(예를 들어, 벽판(wallboard), 언드-루프 절연(under-roof insulation), 타일)에서, 의류에서, 신발류에서, 가구에서 사용될 에너지 효율 제품을 포함한다.
중국 특허 출원 CN 104893672호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파라핀 및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복합 상 변화 물질(PCM)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상 변화 물질(PCM)은 우수한 열 전도도, 높은 열 효율,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 및 안정한 상 전이 온도를 갖는다고 한다. 상기 복합 상 변화 물질(PCM)은 내부 천정, 내부 벽, 및 열 회수 등과 같은 여러 적용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 변화 물질(PCM)이 여러 적용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의 연구는 계속해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 변화 물질(PCM)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폴리머 조성물을 찾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현재 본 출원인은 특히 열 에너지 저장(TES)을 위한, 더욱 특히 태양 에너지의 저장을 위한 상 변화 물질(PCM)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a)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b) 상이한 열 전도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충전제, (c)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을 발견하였다. 실제로,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예를 들어, 높은 상 전이 엔탈피 및 높은 열 전도도와 같은 탁월한 열적 특성을 갖는다. 게다가,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에이징 시 높은 화학적/물리적 안정성 및 높은 열 에너지 저장(TES) 커패시티를 갖는다. 게다가,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이의 추후 사용을 위한 잠열 형태로 태양 에너지의 저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플루오로엘라스토머의 존재는 상기 폴리머 조성물의 다른 열 특성, 특히 비커트 연화 온도(Vicat softening temperature)에 대하여, 또는 기계적 특징(예를 들어, 탄성 계수)에 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 50부피% 내지 99부피%, 바람직하게는 70부피% 내지 95부피%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b) 1부피% 내지 50부피%, 바람직하게는 5부피% 내지 30부피%의 상이한 열 전도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충전제;
(c) 100 ppm 내지 4000 ppm, 바람직하게는 200 ppm 내지 3500 ppm의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이다((a) + (b)의 합은 100임).
본 명세서 및 하기 청구항의 목적상,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수치 범위의 정의는 항상 극한치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하기 청구항의 목적상, 용어 "~을 포함하는"은 또한 용어 "~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또는 "~으로 이루어지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예를 들어,
-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중밀도 폴리에틸렌(medium-density polyethylene: MDPE);
-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극저밀도 폴리에틸렌(ultra-low-density polyethylene: ULDPE)(이들은 화학식 CH2=CH-R(여기서, R은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바람직하게는 선형 알킬 기를 나타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α-올레핀과 에틸렌의 코폴리머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고, 시중에서 현재 입수 가능한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의 예는 Versalis로부터의 제품 Eraclene®, Flexirene®, Riblene®, Clearflex®; Total Petrochemical로부터의 MDPE HT 514; DuPont-Dow Elastomers로부터의 Engage®; Exxon Chemical로부터의 Exact®이다.
상기 언급된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최신 기술에 공지된 중합 기술을 통해,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의 존재에서, 또는 크롬 촉매의 존재에서, 또는 단일-자리 촉매, 예컨대, 메탈로센 또는 헤미-메탈로센 촉매의 존재에서, 또는 라디칼 공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b) 상이한 열 전도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충전제는, 예를 들어,
(b1) 15 W/mK 또는 그 미만, 바람직하게는 1 W/mK 내지 10 W/mK 범위의 열 전도도를 갖는 충전제;
(b2) 50 W/mK 또는 그 초과, 바람직하게는 80 W/mK 내지 500 W/mK 범위의 열 전도도를 갖는 충전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 (b1)는, 예를 들어, 활석 [H2Mg3(SiO3)4], 칼슘 카보네이트 (CaCO3),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Mg(OH)2], 운모, 바륨 옥사이드 (BaO), 베마이트 [g-AlO(OH)], 다이아스포어 [g-AlO(OH)], 깁사이트 [Al(OH)3], 바륨 설페이트 (BaSO4), 규회석 (CaSiO3), 지르코늄 옥사이드 (ZrO2), 실리콘 옥사이드 (SiO2), 유리 섬유,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 [MgOxAl2O3(여기서, x = 1.5 내지 2.5], 백운석 [CaMg(CO3)2], 점토, 하이드로탈사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활석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 (b2)는, 예를 들어, 보론 니트라이드 (BN), 알루미늄 니트라이드 (AlN), 마그네슘 실리콘 니트라이드 (MgSiN2), 실리콘 카바이드 (SiC), 그라파이트, 세라믹 코팅된 그라파이트, 팽창된 그라파이트, 그라핀, 탄소 섬유, 탄소 나노튜브 (CNT), 그라파이트화된 카본 블랙,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론 니트라이드 (BN)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 (b1) 및 상기 충전제 (b2)는 5 내지 10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의 범위의 종횡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종횡비는 상기 충전제의 직경과 두께 사이의 비율로 정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 (b1) 및 상기 충전제 (b2)는 0.1 ㎛ 내지 100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 ㎛ 내지 500 ㎛의 범위의 3개의 치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4:1 내지 1:2 범위의 부피비,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 범위의 부피비로 (b1)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및 (b2)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플루오로폴리머 (c)는, 예를 들어, 플루오로엘라스토머, 플루오로엘라스토머 및 에틸렌의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혼합물, 플루오로엘라스토머 및 에틸렌의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플루오로폴리머의 예는 다음 모노머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된 (코)폴리머이다: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고 현재 시중에서 입수 가능한 플루오로폴리머의 예는 DuPont로부터의 제품 Viton® FreeflowTM GB, Viton® FreeflowTM Z100, Viton® FreeflowTM Z110, Viton® FreeflowTM Z200, Viton® FreeflowTM Z210, Viton® FreeflowTM Z300, Viton® FreeflowTM 10, Viton® FreeflowTM RC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조성물은 임의로 폴리머 조성물에서 흔히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들,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예를 들어, 입체 장애된 페놀, 포스파이트, 포스포나이트; 발포제; 발포형 시스템을 위한 조핵제; 윤활제; UV 안정화제; 염료; 금속 탈활성화제;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존재 시, 상기 첨가제는 100 중량부의 (a) + (b)에 대해 0.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의 범위의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조성물은 종래 기술의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조성물은
(a)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b) 상이한 열 전도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충전제;
(c)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폴리머; 및
상술된 임의로 존재하는 다른 첨가제들을 압출기에 독립적인 투입량(예를 들어, 부피측정 투입량)으로 압출기의 시작 부분에서(즉, 기계 입구에서) 공급함으로써 압출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출기는, 예를 들어, 동회전식 또는 엇회전식 이축 압출기, 또는 일축 압출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출은 150℃ 내지 230℃ 범위의 온도에서 10 바 내지 50 바 범위의 압력으로 폴리머에서 폴리머 조성물에 함유된 화합물의 균일한 분포가 얻어지기에 충분한 시간의 양 동안, 일반적으로 0.5 분 내지 5 분 범위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시간은 압출기에서 폴리머 조성물의 체류 시간으로 이해된다. 상기 압출의 말미에, 얻어진 폴리머 조성물은 과립화된 후 형성되고, 종래 기술에 알려진 기술(예를 들어, 압축 성형(compression molding))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특히 열 에너지 저장(TES)을 위한, 더욱 특히 태양 에너지의 저장을 위한 상 변화 물질(PCM)로서의 상기 폴리머 조성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우수하게 이해하고 이를 실제로 도입하려는 목적으로, 이의 몇몇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가 후술된다.
실시예 1(비교)
100부피%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Versalis spa로부터의 Eraclene® MR 80 U)을 3 mm의 직경, 20 mm의 길이 및 4.50 kg/h의 개별 압출 홀 당 유량으로 되어 있는 원통형 홀을 갖는 다이 플레이트가 장착된 동회전식 이축 압출기(D = 30 mm; L/D = 28)에 투입하였다. 200℃의 일정한 온도 프로파일에서, 26 바의 일정한 압력 프로파일에서, 개별 홀 당 4.50 kg/h의 유량으로, 및 100 rpm의 스크류 회전 속도로 작동시켜 전부 압출시켰다. "스파게티(spaghetti)" 형태로 압출된 물질을 워터 배쓰에서 냉각시키고, 공기 중에 건조시키고, 초퍼(chopper)를 이용하여 과립화시켰다. 얻어진 과립의 일부를 240℃에서 100 바로 5분 동안 압축 성형시켜 20x20x2 cm의 치수를 갖는 플라크(plaque)를 얻었고, 이를 열 전도도 분석에 주어지게 하였고, 얻어진 데이터는 표 1에 보고되어 있다.
사용된 장비와 관련하여 문헌[Gustafsson S. E. et al., "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1979), Vol. 12, No. 9, pg. 1411-1421] 및 열 전도도 계산과 관련하여 문헌[Gustafsson S. E., "Journal of Applied Physics" (1982), Vol. 53, No. 9, pg. 6064-606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작업하여 열 전도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과립의 일부를 200℃에서 100 바로 5분 동안 압축 성형시켜 15x40x4 mm의 치수를 갖는 시편을 얻었고, 이를 표준 ISO 306:2004의 방법 A50(1 kg - 50℃/h)에 따라 작업하는 비커트 연화 온도 측정에 주어지게 하였는데, 이는 126℃였다.
실시예 2(비교)
80부피%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Versalis spa로부터의 Eraclene® MR 80 U), 10부피%의 활석(종횡비 = 15; 최대 치수 : 35㎛)(Imerys - FGRM) 및 10부피%의 보론 니트라이드(종횡비 = 30; 최대 치수: 20㎛)(보론 니트라이드 냉각 충전제 소판 등급 15/400)를 3 mm의 직경, 20 mm의 길이 및 1.50 kg/h의 개별 압출 홀 당 유량으로 되어 있는 원통형 홀을 갖는 다이 플레이트가 장착된 동회전식 이축 압출기(D = 30 mm; L/D = 28)에 투입하였다. 200℃의 일정한 온도 프로파일에서, 26 바의 일정한 압력 프로파일에서, 개별 홀 당 1.50 kg/h의 유량으로, 및 100 rpm의 스크류 회전 속도로 작동시켜 전부 압출시켰다. "스파게티" 형태로 압출된 물질을 워터 배쓰에서 냉각시키고, 공기 중에 건조시키고, 초퍼를 이용하여 과립화시켰다. 얻어진 과립의 일부를 240℃에서 100 바로 5분 동안 압축 성형시켜 20x20x2 cm의 치수를 갖는 플라크를 얻었고, 이를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작업하는 열 전도도 분석에 주어지게 하였고, 얻어진 데이터는 표 1에 보고되어 있다.
얻어진 과립의 일부를 200℃에서 100 바로 5분 동안 압축 성형시켜 15x40x4 mm의 치수를 갖는 시편을 얻었고, 이를 표준 ISO 306:2004의 방법 A50(1 kg - 50℃/h)에 따라 작업하는 비커트 연화 온도 측정에 주어지게 하였는데, 이는 126℃였다.
압출 동안, 약 3시간의 압출기 작업 후에 다이 플레이트 상에서 다이 빌드 업(die build up)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다이 빌드 업의 형성은 압출된 물질의 표면 상의 불규칙성의 형성을 초래할 수 있고, 이는 이의 고장 및 결과적으로 다이 플레이트를 세정하기 위해 압출기 중단 요구로 이어질 수 있음이 주지되어야 한다.
실시예 3(본 발명)
80부피%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Versalis spa로부터의 Eraclene® MR 80 U), 10부피%의 활석(종횡비 = 15; 최대 치수 : 35 ㎛)(Imerys - FGRM) 및 10부피%의 보론 니트라이드(종횡비 = 30; 최대 치수 : 20 ㎛)(보론 니트라이드 냉각 충전제 소판 등급 15/400) 및 500 ppm의 플루오로폴리머(DuPont로부터의 Viton® FreeflowTM GB)를 3 mm의 직경, 20 mm의 길이 및 1.70 kg/h의 개별 압출 홀 당 유량으로 되어 있는 원통형 홀을 갖는 다이 플레이트가 장착된 동회전식 이축 압출기(D = 30 mm; L/D = 28)에 투입하였다. 200℃의 일정한 온도 프로파일에서, 26 바의 일정한 압력 프로파일에서, 개별 홀 당 1.70 kg/h의 유량으로, 및 100 rpm의 스크류 회전 속도로 작동시켜 전부 압출시켰다. "스파게티" 형태로 압출된 물질을 워터 배쓰에서 냉각시키고, 공기 중에 건조시키고, 초퍼를 이용하여 과립화시켰다. 얻어진 과립의 일부를 240℃에서 100 바로 5분 동안 압축 성형시켜 20x20x2 cm의 치수를 갖는 플라크를 얻었고, 이를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작업하는 열 전도도 분석에 주어지게 하였고, 얻어진 데이터는 표 1에 보고되어 있다.
얻어진 과립의 일부를 200℃에서 100 바로 5분 동안 압축 성형시켜 15x40x4 mm의 치수를 갖는 시편을 얻었고, 이를 표준 ISO 306:2004의 방법 A50(1 kg - 50℃/h)에 따라 작업하는 비커트 연화 온도 측정에 주어지게 하였는데, 이는 126℃였다.
압출 동안, 심지어 약 5시간의 압출기 작업 후에도 다이 플레이트 상에서 다이 빌드 업의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Perkin Elmer Pyris 시차 주사 열량기를 통해 상 전이 엔탈피를 알아내려는 목적으로, 얻어진 과립의 일부를 또한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시차 주사 열량계))에 주어지게 하였다. 이러한 목적상, 불활성 질소 분위기에서 20℃/min 냉각 및 5℃/min 가열의 주사 속도로 10 mg의 과립을 분석하였고, 얻어진 결과는 도 1에 보고되어 있는데, 이로부터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얻어진 폴리머 조성물이 융합에서 151.6 J/g 및 결정화에서 170.7 J/g의 상 전이 엔탈피를 갖는다는 것이 추측될 수 있다.
실시예 4(본 발명)
80부피%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Versalis spa로부터의 Eraclene® MR 80 U), 10부피%의 활석(종횡비 = 15; 최대 치수 : 35 ㎛)(Imerys - FGRM) 및 10부피%의 보론 니트라이드(종횡비 = 30; 최대 치수 : 20 ㎛)(보론 니트라이드 냉각 충전제 소판 등급 15/400) 및 3000 ppm의 플루오로폴리머(DuPont로부터의 Viton® FreeflowTM GB)를 3 mm의 직경, 20 mm의 길이 및 2.15 kg/h의 개별 압출 홀 당 유량으로 되어 있는 원통형 홀을 갖는 다이 플레이트가 장착된 동회전식 이축 압출기(D = 30 mm; L/D = 28)에 투입하였다. 200℃의 일정한 온도 프로파일에서, 26 바의 일정한 압력 프로파일에서, 개별 홀 당 2.15 kg/h의 유량으로, 및 100 rpm의 스크류 회전 속도로 작동시켜 전부 압출시켰다. "스파게티" 형태로 압출된 물질을 워터 배쓰에서 냉각시키고, 공기 중에 건조시키고, 초퍼를 이용하여 과립화시켰다. 얻어진 과립의 일부를 240℃에서 100 바로 5분 동안 압축 성형시켜 20x20x2 cm의 치수를 갖는 플라크를 얻었고, 이를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작업하는 열 전도도 분석에 주어지게 하였고, 얻어진 데이터는 표 1에 보고되어 있다.
얻어진 과립의 일부를 200℃에서 100 바로 5분 동안 압축 성형시켜 15x40x4 mm의 치수를 갖는 시편을 얻었고, 이를 표준 ISO 306:2004의 방법 A50(1 kg - 50℃/h)에 따라 작업하는 비커트 연화 온도 측정에 주어지게 하였는데, 이는 126℃였다.
압출 동안, 심지어 약 5시간의 압출기 작업 후에도 다이 플레이트 상에서 다이 빌드 업의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표 1
Figure 112019030374001-pct00001
표 1에 보고된 데이터로부터, 플루오로엘라스토머의 존재[실시예 3(본 발명) 및 실시예 4(본 발명)]는 실시예 2(비교)에 비해 계속 변하지 않는 열 전도도로 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실시예 2(비교)는 실시예 3(본 발명)(1.70 kg/h임)과 실시예 4(본 발명)(2.15 kg/h임) 둘 모두의 개별 홀 당 압출 유량에 비해 더 낮은 개별 홀 당 압출 유량(1.50 kg/h임)을 나타낸다는 것이 추측될 수 있다. 게다가, 플루오로엘라스토머의 존재[실시예 3(본 발명) 및 실시예 4(본 발명)]는 심지어 5시간의 압출기 작업 후에도 다이 플레이트 상에서 다이 빌드 업이 방지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추측될 수 있다.

Claims (9)

  1. (a) 50부피% 내지 99부피%의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b) 1부피% 내지 50부피%의 상이한 열 전도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충전제;
    (a) + (b)의 합이 100부피%이고, 상기 (a) + (b)의 합에 대해 (c) 100 ppm 내지 4000 ppm의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b) 상이한 열 전도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충전제가
    (b1) 15 W/mK 또는 그 미만의 열 전도도를 갖는 충전제; 및
    (b2) 50 W/mK 또는 그 초과의 열 전도도를 갖는 충전제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가
    -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 중밀도 폴리에틸렌(medium-density polyethylene: MDPE);
    -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ery-low-density polyethylene: VLDPE), 극저밀도 폴리에틸렌(ultra-low-density polyethylene: ULDPE)(이들은 화학식 CH2=CH-R(여기서, R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기를 나타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α-올레핀과 에틸렌의 코폴리머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 (b1)가 활석 [H2Mg3(SiO3)4], 칼슘 카보네이트 (CaCO3),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Mg(OH)2], 운모, 바륨 옥사이드 (BaO), 베마이트 [g-AlO(OH)], 다이아스포어 [g-AlO(OH)], 깁사이트 [Al(OH)3], 바륨 설페이트 (BaSO4), 규회석 (CaSiO3), 지르코늄 옥사이드 (ZrO2), 실리콘 옥사이드 (SiO2), 유리 섬유,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 [MgOxAl2O3(여기서, x = 1.5 내지 2.5], 백운석 [CaMg(CO3)2], 점토, 하이드로탈사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 (b2)가 보론 니트라이드 (BN), 알루미늄 니트라이드 (AlN), 마그네슘 실리콘 니트라이드 (MgSiN2), 실리콘 카바이드 (SiC), 그라파이트, 세라믹 코팅된 그라파이트, 팽창된 그라파이트, 그라핀, 탄소 섬유, 탄소 나노튜브 (CNT), 그라파이트화된 카본 블랙,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 (b1) 및 상기 충전제 (b2)가
    - 5 내지 1000의 범위의 종횡비; 및/또는
    - 0.1 ㎛ 내지 1000 ㎛의 범위의 3개의 치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갖고,
    상기 종횡비가 상기 충전제의 직경과 두께 사이의 비율로 정해지는, 폴리머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조성물이 4:1 내지 1:2 범위의 부피비로 (b1)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및 (b2)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폴리머 (c)가 플루오로엘라스토머, 플루오로엘라스토머 및 에틸렌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혼합물, 플루오로엘라스토머 및 에틸렌의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 에너지 저장(thermal energy storage: TES)을 위한 상 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
KR1020197008565A 2016-09-28 2017-09-27 폴리머 조성물 및 상 변화 물질로서의 이의 용도 KR102398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097191 2016-09-28
IT102016000097191A IT201600097191A1 (it) 2016-09-28 2016-09-28 Composizione polimerica e suo utilizzo come materiale a cambiamento di fase
PCT/IB2017/055879 WO2018060867A1 (en) 2016-09-28 2017-09-27 Polymer composition and its use as a phase change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771A KR20190060771A (ko) 2019-06-03
KR102398952B1 true KR102398952B1 (ko) 2022-05-17

Family

ID=5815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565A KR102398952B1 (ko) 2016-09-28 2017-09-27 폴리머 조성물 및 상 변화 물질로서의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208544B2 (ko)
EP (1) EP3519495B1 (ko)
KR (1) KR102398952B1 (ko)
CN (1) CN109790335A (ko)
ES (1) ES2946543T3 (ko)
FI (1) FI3519495T3 (ko)
HU (1) HUE061594T2 (ko)
IT (1) IT201600097191A1 (ko)
PL (1) PL3519495T3 (ko)
WO (1) WO2018060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4032B (zh) * 2018-09-14 2021-04-13 江苏理工学院 一种多元复合填充粒子改性导热pe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MX2023000793A (es) * 2020-07-30 2023-04-1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structuras multicapa, laminados y artículos relacionado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0294A1 (en) 1995-09-15 1997-03-20 Dyneon Llc Extrudable thermoplastic hydrocarbon compositions
US20030144370A1 (en) * 2000-12-19 2003-07-31 Stewart Charles W. Extrusion aid combination
US20120217434A1 (en) 2011-02-25 2012-08-30 L Abee Roy Thermally conductive and electrically insulative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a thermally insulative filler and uses thereof
US20130172462A1 (en) 2012-01-03 2013-07-04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yolefins with organoclay and fluoropolymer additiv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11178A1 (en) 1999-12-22 2001-06-22 Evgueni E. Rozenbaoum Extrusion aid combination
US20070298765A1 (en) 2006-06-27 2007-12-27 Richard Dickinson Public services access point (PSAP) designation of preferred emergency call routing method via internet or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JP5007017B2 (ja) 2004-06-30 2012-08-2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EP1797155B1 (en) 2004-08-23 2015-10-07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4893672A (zh) 2015-05-21 2015-09-09 沈阳建筑大学 高密度聚乙烯/石蜡复合相变材料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0294A1 (en) 1995-09-15 1997-03-20 Dyneon Llc Extrudable thermoplastic hydrocarbon compositions
US20030144370A1 (en) * 2000-12-19 2003-07-31 Stewart Charles W. Extrusion aid combination
US20120217434A1 (en) 2011-02-25 2012-08-30 L Abee Roy Thermally conductive and electrically insulative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a thermally insulative filler and uses thereof
US20130172462A1 (en) 2012-01-03 2013-07-04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yolefins with organoclay and fluoropolymer addi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90335A (zh) 2019-05-21
US20190359803A1 (en) 2019-11-28
WO2018060867A1 (en) 2018-04-05
HUE061594T2 (hu) 2023-07-28
EP3519495B1 (en) 2023-03-29
KR20190060771A (ko) 2019-06-03
EP3519495A1 (en) 2019-08-07
US11208544B2 (en) 2021-12-28
IT201600097191A1 (it) 2018-03-28
ES2946543T3 (es) 2023-07-20
FI3519495T3 (fi) 2023-05-25
PL3519495T3 (pl)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2424B2 (ja) 熱可塑性材料用充填剤濃縮物
Cai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studies of halogen-free flame retardant form-stable phase change materials based on paraffin/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es
EP1838802B1 (en) Phase change material (pcm) compositions for thermal management
JP6076973B2 (ja) 相変化物質を含む微小毛細管フィルム
KR102398952B1 (ko) 폴리머 조성물 및 상 변화 물질로서의 이의 용도
JPH08283456A (ja) 高熱伝導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フィルム
CN106467666B (zh) 聚酰胺组合物
CN109503970A (zh) 一种高阻燃等级hips复合材料
Zubkiewicz et al.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halloysite nanotubes nanocomposites with enhanced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TW201137009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high heat dissipation function, and molded products thereof
BR112017005655B1 (pt) Composição e artigo
CN106029746A (zh) 新型泡沫材料
KR20170106390A (ko) 실리카와 흑연의 조합물 및 비닐 방향족 중합체 발포체의 열전도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그 조합의 용도
CA2565784C (en) Polymer melt additiv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WO2001007522A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CN107739482A (zh) 基于石墨烯的高性能聚氯乙烯管材及其制备方法
TWI766027B (zh) 低摩擦係數乙烯類組合物
WO2021060278A1 (ja) 3次元造形用材料、3次元造形物、及び3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
US20020086927A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DK2892954T3 (en) NANO COMPOSITE COMPOSITION
Marega et al. Perkalite as an innovative filler for isotactic polypropylene-based nanocomposites
CN110382647A (zh) 层叠膜、图像显示装置用层叠体及图像显示装置
Sanetuntikul et al. A Circular Economy Use of Post-Consumer Polypropylene Packaging for Low Thermal Conductive and Fire-Retardant Building Material Applications
EP2857194B1 (en) Multiwall sheets
JP6756637B2 (ja) 蓄熱繊維および蓄熱ペ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