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377B1 -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및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및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377B1
KR102398377B1 KR1020200042852A KR20200042852A KR102398377B1 KR 102398377 B1 KR102398377 B1 KR 102398377B1 KR 1020200042852 A KR1020200042852 A KR 1020200042852A KR 20200042852 A KR20200042852 A KR 20200042852A KR 102398377 B1 KR102398377 B1 KR 102398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leg
auxiliary
pile
offsh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300A (ko
Inventor
유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베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베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베츠
Priority to KR1020200042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37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켓레그를 해저면에 안착시킨 후, 상기 자켓레그 각각의 내부로 자켓파일을 삽입하여 상기 해저면에 관입시킨 해양 자켓 구조물의 철거 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켓파일 내부를 빈공간으로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해양 자켓 구조물의 상부 탑사이드 설비를 제거한 후, 자켓 파일 내부 빈공간으로 절단기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절단기를 통해 해저면에서 특정 깊이에서 상기 자켓파일은 내부에서 외부로 절단하는 단계; 절단된 상기 해양 자켓 구조물 전체를 인양하여 재설치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이동된 해양 자켓 구조물을 해저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자켓 파일 각각의 내부로 신규 자켓파일을 삽입하여 해저면에 관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및 시공 방법{Offshore jacket structure system for the full reuse after decommission and the field work procedure}
본 발명은 해저 지반에 파일로 고정하여 설치되는 해양 자켓 구조물을 국제 규격에 부합하도록 철거함과 동시에 제 삼의 위치에 그대로 재설치가 가능한, 구조 시스템의 구성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 자켓 구조물은 해저 지층에 관입된 파일과 일체화되어 설치된다. 즉 해양 자켓 구조물의 시공은 해양 자켓 구조물의 하부 구조인 자켓 레그를 해저면에 안착시킨 후, 자켓 레그 내부로 자켓 파일을 삽입하여 하단을 해저면에 관입시킨 후, 자켓파일과, 자켓레그 사이를 그라우팅하여 고정하고, 자켓파일 내부를 채움콘크리트로 충진시킨다. 이때, 해저면 내에 암반 등의 단단한 지층이 존재하는 경우, 천공 후 앵커파일(핀파일)을 관입한 후, 자켓파일과 앵커파일 사이를 크라우팅하여 고정하고 채움콘트리트 처리를 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해양 자켓 구조물의 철거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 철거 단계별 해양 자켓 구조물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해저면에 관입된 자켓 파일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해양 자켓 구조물(1)을 철거할 때,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켓과 해저지반이 연결된 유정이나, 전기시설을 철거하고(S1), 도 2c에 도시된 바와 해양 자켓 구조물 상부의 탑사이드 시설(2)을 철거한 후(S2),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면에서 절단기(6)를 통해 상부의 자켓 구조물(1)을 철거한 후(S3), 해저면에 관입되어 있는 잔존 자켓 파일(40)을 제거(S4)하는 공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해저면에 설치된 자켓파일(40)은 국제규격에 따라 해저면에서 3 ~ 5m 깊이까지 제거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자켓 구조물을 설치할 때는 자켓레그(10) 내부에 자켓파일(40)을 도3의 ALT I처럼 해저면으로 관입하고, 파일의 내부를 채움 콘크리트(4)로 처리한다. 단단한 지층에서는 자켓파일(40)을 항타로 관입하기가 어려우므로 ALT III처럼 자켓파일(40) 내부를 천공하고 앵커 파일을 설치 후 앵커파일과 자켓 파일 사이를 그라우트 처리하고, 나머지 부분은 채움 콘크리트(5)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4a는 해저면에 관입된 자켓파일 상단을 제거하기 위해 석션파일이 설치된 단면도, 도 4b는 셕션파일에 의해 자켓파일 상단 주변부 해저지반이 제거된 상태의 단면도, 도 4c는 와이어 절단기를 통해 자켓파일이 제거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해저면에 관입된 자켓파일(40)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셕션파일(3) 등을 통해 자켓파일(40) 외부 해저 지반을 제거한 후, 잠수부를 해저면으로 투입하여, 외부에서 와이어 절단기 등을 통해 자켓파일(40)과 채움콘크리트(4)를 모두 제거해야한다.
즉, 종래의 자켓 구조물(1)은 자켓파일(40) 내부가 채움 콘크리트(4)로 채워져 있으므로, 자켓 구조물(1)을 철거시 해저면에서 자켓파일(40)을 외부에서 절단하고, 추가적으로 자켓파일(40)을 해저면에서 3-5m 더 굴취하기 위한 공종을 수행해야 한다. 더욱이 철거된 자켓 구조물(1)을 그대로 재활용한 사례는 없으며, 대부분 고철로 처리되어 자원의 낭비가 심각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6924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4113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756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6928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켓 구조물과 자켓파일을 일체화해서 철거가 가능한 구조적인 구성과, 철거된 자켓 구조물을 재설치 장소에 재활용할 때 필요한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켓 구조물 철거와 동시에 국제 규격에 부합한 수준의 해저 파일 제가 동시에 달성될 수 있고, 철거된 자켓 구조물을 재설치 장소에 매우 경제적인 비용과 시간으로 제 설치가 가능하며, 원 구조물 설계시 하나 이상의 설치 장소를 반영해서 설계가 가능한,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콘크리트 채움 공정의 삭제로 인해 해저면과의 지지력, 고정력 저하를 방시하기 위해, 복수의 보조자켓이 설치된 해양자켓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자켓레그를 해저면에 안착시킨 후, 상기 자켓레그 각각의 내부로 자켓파일을 삽입하여 상기 해저면에 관입시킨 해양 자켓 구조물에 대해, 철거 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켓파일 내부를 빈공간으로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해양 자켓 구조물의 상부 탑사이드 설비를 제거한 후, 자켓파일 내부 빈공간으로 절단기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절단기를 통해 해저면 특정 깊이에서 상기 자켓파일은 내부에서 외부로 절단하는 단계; 절단된 상기 해양 자켓 구조물 전체를 인양하여 재설치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이동된 해양 자켓 구조물을 해저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자켓 파일 각각의 내부로 신규 자켓파일을 삽입하여 해저면에 관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켓파일과 상기 신규 자켓파일 사이를 그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라우팅 단계에서 상기 신규 자켓파일과 상기 자켓파일 사이에 전단연결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양 자켓 구조물은, 자켓레그 각각에서 외측으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자켓레그; 및 상기 보조자켓레그와 상기 자켓레그를 연결하는 보조자켓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켓파일은 상기 자켓레그와 상기 보조자켓레그 각각에 삽입되어 해저면에 관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자켓레그는 상단 보조자켓레그와, 중단 보조자켓레그와 하단 보조자켓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자켓 연결부재는 상기 상단 보조자켓 레그를 상기 자켓레그에 연결시키는 상단 보조자켓 연결부재와, 상기 중단 보조자켓 레그를 상기 자켓레그에 연결시키는 중단 보조자켓 연결부재와, 상기 하단 보조자켓 레그를 상기 자켓레그에 연결시키는 하단 보조자켓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보조자켓 연결부재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단 보조자켓와 상기 자켓레그 사이에 구비되는 판형태의 쉐어플레이트와, 상기 쉐어플레이트 상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평면방향인 웹플레이프와 상기 웹플레이프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최상단과 최하단 각각에 상기 하단 보조자켓과 상기 자켓레그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요크 플레이트와 상기 요크플레이트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커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켓 구조물과 자켓파일을 일체화해서 철거가 가능한 구조적인 구성과, 철거된 자켓 구조물을 재설치 장소에 재활용할 때 필요한 시공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및 시공 방법에 따르면, 자켓 구조물 철거와 동시에 국제 규격에 부합한 수준의 해저 파일 제가 동시에 달성될 수 있고, 철거된 자켓 구조물을 재설치 장소에 매우 경제적인 비용과 시간으로 재설치가 가능하며, 원 구조물 설계시 하나 이상의 설치 장소를 반영해서 설계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자켓 구조물에 따르면, 자켓 레그에 설치된 복수의 보조자켓을 통해, 내부 콘크리트 채움 공정의 삭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해저면과의 지지력, 고정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해양 자켓 구조물의 철거 방법의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d는 각 철거 단계별 해양 자켓 구조물의 정면도,
도 3은 해저면에 관입된 자켓 파일의 단면도,
도 4a는 해저면에 관입된 자켓파일 상단을 제거하기 위해 석션파일이 설치된 단면도,
도 4b는 셕션파일에 의해 자켓파일 상단 주변부 해저지반이 제거된 상태의 단면도,
도 4c는 와이어 절단기를 통해 자켓파일이 제거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자켓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의 시공 방법의 흐름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켓 파일 내부로 절단기를 투입하여 내부에서 외부로 자켓파일을 절단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b는 자켓파일 절단 후, 전체를 인양한 상태의 단면도,
도 7c는 철거한 해양 자켓 구조물을 재설치위치에 안착, 관입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7d는 도 7c에서 자켓파일 내부로 신규 자켓파일은 삽입, 관입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7e는 도 7d에서 자켓파일과 신규 자켓파일 사이를 그라우팅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자켓 구조물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자켓 구조물의 부분 평단면도,
도 10a는 도 9의 A-A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B-B 단면도,
도 10c는 도 10b의 D-D 단면도,
도 10d는 도 10a의 C-C 단면도,
도 10e는 도 10d의 E-E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자켓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5는 재활용을 위한 시공방법이 아닌 최초 해양자켓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자켓레그(10)를 갖는 해양 자켓 구조물을 설치 장소로 이동시킨 후, 자켓레그(10)를 해저면에 안착시키게 된다(S11).
그리고 안착된 자켓레그(10) 내부 각각으로 자켓파일(40)을 삽입하여 해저면으로 관입시키게 된다(S12).
그리고 자켓파일(40)과, 자켓레그(10) 사이를 그라우팅(5)하게 된다(S13). 이러한 그라우팅 단계에서 자켓파일(40)과 자켓레그(10) 사이에 전단연결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자켓파일(40) 내부공간에 모래 채움 등을 진행하게 된다(S14).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종래와 달리, 자켓파일(40) 내부에 채움콘크리트(4)를 타설하지 않는다.
이러한 채움콘크리트(4)의 삭제로 인한 고정력, 지지력은 보조 자켓레그(20)를 포함하게 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자켓 구조물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자켓 구조물의 부분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자켓 구조물은, 자켓레그(10) 각각에서 외측으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자켓레그(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자켓 연결부재(30)를 통해 이러한 보조자켓레그(20)와 자켓레그(1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자켓파일(40)은 자켓레그(10)와 보조자켓레그(20) 각각에 삽입되어 해저면에 관입되게 된다.
그리고 보조자켓레그(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보조자켓레그(23)와, 중단 보조자켓레그(22)와 하단 보조자켓레그(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연결된 자켓레그 형태를 대신하여 분할된 형태를 적용하여 경량화, 및 재료의 절약이 가능하다.
또한 보조자켓 연결부재(30)는 상단 보조자켓 레그(23)를 자켓레그(10)에 연결시키는 상단 보조자켓 연결부재(33)와, 중단 보조자켓 레그(22)를 자켓레그(10)에 연결시키는 중단 보조자켓 연결부재(32)와, 하단 보조자켓 레그(21)를 자켓레그(10)에 연결시키는 하단 보조자켓 연결부재(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a는 도 9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0b는 도 10a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c는 도 10b의 D-D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d는 도 10a의 C-C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e는 도 10d의 E-E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하단 보조자켓 연결부재(31)는 쉐어플레이트(34)와, 웹플레이프(35)와 플랜지(36), 요크플레이트(37)와 스커트 플레이트(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쉐어플레이트(34)는 판형태로, 수직방향으로 하단 보조자켓(21)와 자켓레그(10) 사이에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도 10a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플레이트(35)는 쉐어플레이트(34) 상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플레이트(35) 양단에는 플랜지(36)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요크플레이트(37)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과 최하단 각각에 하단 보조자켓(21)과 자켓레그(10)를 연결 감싸도록 형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요크플레이트(37)의 외주면에는 스커트 플레이트(38)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시공된 해양 자켓 구조물에 대한 철거와 재활용을 위한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100)의 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자켓레그(10) 내부에 설치되는 자켓파일(40) 내부를 빈공간으로 유지한다(S21). 만약 자켓파일(40) 내부에 모래로 속채움을 한 경우, 펌프 등으로 통해 모래를 제거하여 자켓파일(40) 내부를 빈공간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부 탑사이드(2) 시설을 철거하고(S22), 자켓파일(40) 내부로 절단기(6)를 투입한다(S23).
즉, 종래와 같이 해저면 상에서 상부 해양 자켓 구조물의 자켓레그(10)와 자켓파일(40)을 먼저 절단한 후, 해저면에 관입된 자켓파일(40)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자켓파일(40) 주변부 해저지반을 제거하고 와이어 절단기(6)를 자켓파일(40) 외부로 투입하여 외부에서 자켓파일(40)과 채움콘크리트(4)를 절단하는 과정없이 절단기(6)를 자켓파일(40) 내부로 간단히 투입하여 해저면 3 ~ 5m 깊이에서 내부에서 외부로 자켓파일(40)을 절단하게 된다(S24).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켓 파일 내부로 절단기를 투입하여 내부에서 외부로 자켓파일을 절단하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절단된 해양 자켓 구조물을 통째로 인양하여, 제3의 위치 즉 재설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S25). 도 7b는 자켓파일 절단 후, 전체를 인양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재설치 위치로 이동한 후, 그대로 해저면 상에 자켓파일(40)은 안착시키게 된다(S26). 해저면의 표층은 연약하기 때문에 절단된 자켓파일(40) 부위는 그대로 해저면에 안착, 관입된다. 도 7c는 철거한 해양 자켓 구조물을 재설치위치에 안착, 관입시킨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자켓파일(40)의 내부로 신규 자켓파일(50)을 삽입하여, 해저면에 관입시키게 된다(S27). 즉, 신규 자켓파일(50)의 외경은 구 자켓파일(40)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도 7d는 도 7c에서 자켓파일 내부로 신규 자켓파일은 삽입, 관입시킨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신규 자켓파일(50)과 구 자켓파일(40) 사이공간을 그라우트(5)로 고정한다(S28) 도 7e는 도 7d에서 자켓파일과 신규 자켓파일 사이를 그라우팅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신규 자켓파일(50) 내부공간으로 모래 등을 충진시킬 수 있다(S29).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일체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전단연결재가 신규 자켓파일(50) 외부 및 자켓파일(4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해양 자켓 구조물을 철거하고 제 설치함에 따라 자켓레그(10) 내부는 나이테처럼 신규로 설치되는 자쳇파일의 층이 증가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재설치가 가능한 회수는 2-3회 정도가 최대일 것으로 판단되나, 이 회수를 초과할 경우는 이미 해양 자켓 구조물의 수명이 도달한 것으로 기대된다.
자켓레그(10)와 자켓파일(40) 사이에 그라우트(5)로 충전하지 않았던 해양 자켓 구조물은 재설치 장소에 설치 전 자켓 파일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해양 자켓 구조물
2:상부 탑사이드 시설
3:셕션파일
4:채움 콘크리트
5:그라우트
6:절단기
10:자켓레그
11:연결부재
20:보조자켓레그
21:하단 보조자켓레그
22:중단 보조자켓레그
23:상단 보조자켓레그
30:보조자켓 연결부재
31:하단 보조자켓 연결부재
32:중단 보조자켓 연결부재
33:상단 보조자켓 연결부재
34:쉐어 플레이트
35:웹플레이트
36:플랜지
37:요크플레이트
38:스커트 플레이트
40:자켓파일
50:신규 자켓파일
100: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Claims (5)

  1. 자켓레그를 해저면에 안착시킨 후, 상기 자켓레그 각각의 내부로 자켓파일을 삽입하여 상기 해저면에 관입시킨 해양 자켓 구조물에 대해, 철거 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켓파일 내부를 빈공간으로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해양 자켓 구조물의 상부 탑사이드 설비를 제거한 후, 자켓파일 내부 빈공간으로 절단기를 삽입,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절단기를 통해 해저면 특정 깊이에서 상기 자켓파일을 내부에서 외부로 절단하는 단계;
    절단된 상기 해양 자켓 구조물 전체를 인양하여 재설치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이동된 해양 자켓 구조물을 해저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자켓 파일 각각의 내부로 신규 자켓파일을 삽입하여 해저면에 관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자켓파일과 상기 신규 자켓파일 사이를 그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우팅 단계에서 상기 신규 자켓파일과 상기 자켓파일 사이에 전단연결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의 시공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 자켓 구조물은,
    자켓레그 각각에서 외측으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자켓레그; 및
    상기 보조자켓레그와 상기 자켓레그를 연결하는 보조자켓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켓파일은 상기 자켓레그와 상기 보조자켓레그 각각에 삽입되어 해저면에 관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자켓레그는 상단 보조자켓레그와, 중단 보조자켓레그와 하단 보조자켓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자켓 연결부재는 상기 상단 보조자켓 레그를 상기 자켓레그에 연결시키는 상단 보조자켓 연결부재와, 상기 중단 보조자켓 레그를 상기 자켓레그에 연결시키는 중단 보조자켓 연결부재와, 상기 하단 보조자켓 레그를 상기 자켓레그에 연결시키는 하단 보조자켓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보조자켓 연결부재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단 보조자켓와 상기 자켓레그 사이에 구비되는 판형태의 쉐어플레이트와, 상기 쉐어플레이트 상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평면방향인 웹플레이프와 상기 웹플레이프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최상단과 최하단 각각에 상기 하단 보조자켓과 상기 자켓레그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요크 플레이트와 상기 요크플레이트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커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KR1020200042852A 2020-04-08 2020-04-08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및 시공 방법 KR102398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852A KR102398377B1 (ko) 2020-04-08 2020-04-08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및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852A KR102398377B1 (ko) 2020-04-08 2020-04-08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및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300A KR20210125300A (ko) 2021-10-18
KR102398377B1 true KR102398377B1 (ko) 2022-05-16

Family

ID=7827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852A KR102398377B1 (ko) 2020-04-08 2020-04-08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및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3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349A (ja) * 1998-09-02 2000-03-07 Nippon Steel Corp 回転圧入鋼管杭を用いたジャケットとその施工方法
CN104963327A (zh) * 2015-07-09 2015-10-07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导管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636A (en) * 1975-04-30 1976-10-26 Brown & Root,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nchoring a submerged structure to a waterbed
KR100969288B1 (ko) 2008-05-28 2010-07-09 석정건설주식회사 해상에서 모래나 쇄석다짐말뚝 시공 시 바다물의 혼탁을방지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래나 쇄석다짐말뚝을시공하는 방법(psc공법)
KR101541135B1 (ko) 2013-09-13 2015-08-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일제거장치
KR101377560B1 (ko) 2013-11-01 2014-03-27 (주) 금강지오테크 대구경 기초파일 시공을 위한 슬라임 제거장비 및 공법
KR101696031B1 (ko) * 2014-09-26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해상풍력발전 하부구조물
KR101669249B1 (ko) 2015-02-03 2016-10-25 김덕수 대구경 기초파일 시공을 위한 슬라임 제거장치 및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349A (ja) * 1998-09-02 2000-03-07 Nippon Steel Corp 回転圧入鋼管杭を用いたジャケットとその施工方法
CN104963327A (zh) * 2015-07-09 2015-10-07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导管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300A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3475B2 (en) 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 for offshore wind turbine foundation with piling performed later
JP5199166B2 (ja) 現場造成による基礎杭構造及び基礎杭の構築方法
US20160340852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fixing hollow column for supporting marine structures and offshore platforms to a seabed
JP2017503101A5 (ko)
US5028171A (en) Reusable offshore platform with skirt piles
JP5986429B2 (ja) ケーソ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5976373B2 (ja) 杭基礎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102398377B1 (ko) 철거 후 전체계 재활용을 위한 해양 자켓 구조물 및 시공 방법
KR20220084989A (ko) 경사형 작동로드를 갖는 굴착일체형 해저관입파일 절단장비 및 그 작동방법
KR20090120997A (ko) 수중 구조물의 축조 공법
JP2008208533A (ja) ケーソン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6445892B2 (ja) 沈設構造物の構築方法及び沈設構造物
JP2017214722A (ja) 基礎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基礎構造物
KR102388594B1 (ko) 해양자켓구조물 설치를 위한 스태빙시스템 및 그 스태빙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자켓구조물 설치방법
CN115478534A (zh) 地基混凝土灌注桩钻孔用钢护筒装置及施工方法
CN112302052B (zh) 一种竖井施工体系及其施工方法
JP5367452B2 (ja) 地下壁体構築方法および地下壁体
JP4475116B2 (ja) 立坑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4316118A (ja) ケーソンの沈設方法
JP2017197910A (ja) 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土留壁構造
JP6710999B2 (ja) 既設構造物の仮受け工法
JP2011179239A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築造方法
JP2006177097A (ja) 地下水位以深における既存杭の鉛直載荷試験方法
JP4437234B2 (ja) 既製杭の埋設方法
JP4529529B2 (ja) 水中構造物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