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322B1 - 수도꼭지 연결구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322B1
KR102398322B1 KR1020200076856A KR20200076856A KR102398322B1 KR 102398322 B1 KR102398322 B1 KR 102398322B1 KR 1020200076856 A KR1020200076856 A KR 1020200076856A KR 20200076856 A KR20200076856 A KR 20200076856A KR 102398322 B1 KR102398322 B1 KR 10239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packing
hose
elastic ba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8491A (ko
Inventor
김학주
Original Assignee
김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주 filed Critical 김학주
Priority to KR1020200076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32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5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n extendable wate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꼭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최근 들어 짧아지고 있는 수도꼭지에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수도꼭지와의 사이에 밀폐력을 높여주어 누수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도꼭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도꼭지의 하부에 연결되는 수도꼭지 연결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호스의 단부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꼭지 연결구 {A joint for a faucet}
본 발명은 수도꼭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최근 들어 짧아지고 있는 수도꼭지에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수도꼭지와의 사이에 밀폐력을 높여주어 누수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도꼭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산업현장에 시설되어 사용되는 수도는 밸브의 차단 여부로서 필요한 만큼 그 자리에서 물을 급수받아 바로 사용하거나 혹은 필요로 하는 지점까지 호스를 길게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일정길이의 호스를 수도꼭지에 끼워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호스를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 사용함에 있어서, 수도꼭지로부터 호스가 쉽게 빠져버리는 폐단이 있기 때문에 호스의 연결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에서 호스 연결구를 수도꼭지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호스 연결구(100)를 수도꼭지(1)의 출구(1a)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몸체(101) 하부에 호스(H) 연결을 위한 닛블(102)이 일체로 형성되고, 닛블(102)이 형성된 상부에는 수나사부(103)가 형성되고, 수나사부(103)가 형성된 상부 내측 중앙에는 안내홈부(104)가 마련되며, 안내홈부(104) 내에는 수도꼭지(1)의 출구(1a)측 단부 측을 밀착 수용하기 위한 패킹(P)이 압입 설치되며, 상기 안내홈부(104)의 외측에는 암나사부(104a)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104a)에는 수도꼭지에 호스 연결구(1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105)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링(105)은 외측둘레에 체결공(105a)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05a)에는 패킹(P)에 압입된 수도꼭지의 외측둘레를 지지하는 체결나사(S)가 각각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체결나사(S)는 4방향에서 각각 체결되어 수도꼭지(1)에 호스 연결구(100)를 지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호스 연결구(100)의 닛블(102)에 내경이 끼워지는 호스(H)는 그 외측으로부터 조임링(106)이 위치되고, 조임링(106) 외측에는 수나사부(103)에 체결되어 조임링(106)의 하부 외측둘레를 가압하여 호스(H)를 밀착지지시키기 위한 체결캡(107)이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조임링은 외측둘레가 상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링 형태로서, 일측이 절단되고, 외측둘레에는 다수의 절결부가 형성된 형상으로서 체결캡의 체결시 체결캡의 경사진 내부 직경에 의해 조임링 하단측을 가압하여 호스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호스 연결구는 드라이버 공구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조임링을 수도꼭지에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각 4방향에서 체결되는 체결나사의 체결깊이 정도가 다를 경우, 상기 패킹에 압입된 수도꼭지 부분의 지지력에 편차를 주게 되어 물 사용시 일부의 물이 상기 패킹을 통해 조임링의 상부로 불필요하게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체결나사의 4방향 체결이 균일하게 이루어져야 패킹에 압입된 수도꼭지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실질적으로 체결나사의 체결되는 깊이의 편차는 오히려 패킹의 지지력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어 누수를 발생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4방향에서 각각 체결나사의 체결은 수도꼭지 표면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1-0005896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하부쪽에 호오스 연결구가 형성된 결속통체(10)에 있어서, 그 상부에 내측주벽보다 높고 선단부가 내향으로 만곡진 내,외측 주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취시켜 내,외측의 이중협지편(11),(12)을 형성시키고 이중협지편에는 내측주벽의 외주연에 상,하보강돌조(21')가 일정하게 형성된 내,외측 이중주벽(21,(22)에 패킹(20)을 이중협지편(11),(12)의 사이와 내측면에 연접되도록 끼우고 외측협지편의 나사에 내측경사면을 가진 체결너트(1)로서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1-0005896호에 기재된 기술은 수도꼭지의 파손을 방지하는 장점은 있으나, 이중협지편(11,12)이 패킹(20)의 상단만을 내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고정력이 저하되며, 이중협지편(11,12)이 체결너트(1)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수도꼭지와 접하는 부분이 줄어들어 전체적인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수도꼭지의 길이가 짧아지는 추세로서 수도꼭지가 패킹(20) 및 이중협지편(11,12)과 결합되는 부분이 줄어들어 수도꼭지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3542호의 수도꼭지 연결구를 출원하였으나 결합력과 밀폐력을 더욱 높이기 위한 방법을 연구 중이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1-000589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354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 들어 짧아지고 있는 수도꼭지에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수도꼭지와의 사이에 밀폐력을 높여주어 누수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도꼭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바의 내측에 수도꼭지와의 밀폐력을 높여주기 위한 패킹을 구비하되, 패킹의 상부에는 탄성바에 대응되는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탄성바와 제1조임너트의 작용으로 수도꼭지의 상부를 가압하고, 패킹의 하부에는 둘레에 돌기가 형성되어 몸체에 결합 시 수도꼭지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수도꼭지의 전체면이 가압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수도꼭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조임너트가 제1결합부의 하방에서 상측으로 결합됨으로써 제1조임너트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바의 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수도꼭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도꼭지의 하부에 연결되는 수도꼭지 연결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호스의 단부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도꼭지 연결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의 외측에 구비되어 제1결합부에 나사결합되는 제1조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바는 상단이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제1 및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조임너트의 내주면 상단은 상기 탄성바의 상단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바의 내측에는 패킹이 더 구비되되, 상기 패킹은 상부 외측에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킹의 상단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의 하부 외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은 상기 돌기의 돌출된 정도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가 형성된 안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안착돌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안착돌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 중심부에는 단턱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호스 연결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몸체의 하면 중심부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호스에 삽입되는 연결돌부와, 상기 호스의 외측을 가압하는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제2결합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조임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근 들어 짧아지고 있는 수도꼭지에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수도꼭지와의 사이에 밀폐력을 높여주어 누수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바의 내측에 수도꼭지와의 밀폐력을 높여주기 위한 패킹을 구비하되, 패킹의 상부에는 탄성바에 대응되는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탄성바와 제1조임너트의 작용으로 수도꼭지의 상부를 가압하고, 패킹의 하부에는 둘레에 돌기가 형성되어 몸체에 결합 시 수도꼭지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수도꼭지의 전체면이 가압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조임너트가 제1결합부의 하방에서 상측으로 결합됨으로써 제1조임너트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바의 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수도꼭지 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개선된 수도꼭지 연결구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수도꼭지 연결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구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구를 수도꼭지에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구를 수도꼭지에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최근 들어 짧아지고 있는 수도꼭지에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수도꼭지와의 사이에 밀폐력을 높여주어 누수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도꼭지 연결구(5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110)이 형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도꼭지(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수도꼭지 연결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호스(20)의 단부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단면의 형상을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도꼭지 연결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210)와, 상기 제1결합부(210)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탄성바(220)와, 상기 탄성바(220)의 외측에 구비되어 제1결합부(210)에 나사결합되는 제1조임너트(2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21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제1조임너트(23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바(220)는 상단이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제1 및 제2경사부(222,2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조임너트(230)의 내주면 상단은 상기 탄성바(220)의 상단을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2경사부(224)에 대응되도록 경사면(232)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1조임너트(230)를 제1결합부(210)에 결합할수록 경사면(232)에 의해 탄성바(220)의 제2경사부(224)가 가압되어 탄성바(220)가 내측으로 가압되어 제1경사부(222)가 수도꼭지(20)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조임너트(230)는 상기 제1결합부(210)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결합되면서 탄성바(220)를 가압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탄성바(220)의 중앙부에 수도꼭지(10)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종래기술의 공개특허 제10-2019-0123542호에서는 조임너트(500)가 제1결합부(310)의 상측에서 결합됨으로써 결합 전에는 조임너트(500)에 의해 제1결합부(310)가 일부 가려지게 되어 수도꼭지 연결 시 시야가 가려지고, 조임너트(500)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바(320)의 부분이 다소 짧은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결합부(210)의 하방에서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1조임너트(230)에 의해 수도꼭지(10)에 결합 시 시야방해가 없고, 제1조임너트(230)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바(220)의 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외주면 중심부에는 단턱홈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제1조임너트(230)의 결합 이동 시 간섭이 없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바(220)의 내측에는 패킹(24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패킹(240)은 고무, 합성수지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수도꼭지(20)의 외측에 밀착되어 밀폐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패킹(240)은 상부 외측에 오목부(242)가 형성되는데, 상기 오목부(242)는 상기 탄성바(220)의 제1경사부(222)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조임너트(230)에 의한 탄성바(220)의 가압 시 제1경사부(222)가 패킹(240)의 오목부(242)를 가압하여 수도꼭지(10)의 상단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240)의 상단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재(244)가 형성되어 수도꼭지(20)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킹(240)의 하부 외주면에는 돌기(246)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기(246)가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조임너트(230)에 의한 탄성바(220)의 가압에 따라 패킹(240)의 내주면이 수도꼭지(10)의 하단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246')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246')의 돌출된 정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결합홈(1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킹(240)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가수록 내측으로 경사가 형성된 안착돌부(248)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는 상기 안착돌부(248)의 형상에 대응되어 안착돌부(248)가 안착되는 안착부(120)가 형성되어 패킹(240)이 몸체(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호스 연결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하면 가장자리에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제2결합부(310)와 상기 몸체(100)의 하면 중심부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돌부(320)와 상기 연결돌부(32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결합부(310)에 착탈되는 제2조임너트(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돌부(320)의 중심부에는 상기 관통공(110)이 위치하고, 연결돌부(320)가 호스(20)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110)을 통하여 수도꼭지(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상기 호스(20)와 제2조임너트(340)의 사이에는 조임부재(3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조임부재(3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탄성편(332)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332)의 단부는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2결합부(310)에 나사 결합으로 제2조임너트(340)를 결합할 때, 상기 제2조임너트(340)의 내주면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면(342)에 의해 상기 탄성편(332)이 호스(20) 방향으로 가압되어 호스(2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구(50)에 의하면, 최근 들어 짧아지고 있는 수도꼭지(10)에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수도꼭지(10)와의 사이에 밀폐력을 높여주어 누수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탄성바(220)의 내측에 수도꼭지(10)와의 밀폐력을 높여주기 위한 패킹(240)을 구비하되, 패킹(240)의 상부에는 탄성바(220)에 대응되는 부분에 오목부(242)가 형성되어 탄성바(220)와 제1조임너트(230)의 작용으로 수도꼭지(10)의 상부를 가압하고, 패킹(240)의 하부에는 둘레에 돌기(246)가 형성되어 몸체(100)에 결합 시 수도꼭지(10)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수도꼭지(10)의 전체면이 가압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제1조임너트(230)가 제1결합부(210)의 하방에서 상측으로 결합됨으로써 제1조임너트(230)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바(220)의 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도꼭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최근 들어 짧아지고 있는 수도꼭지에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수도꼭지와의 사이에 밀폐력을 높여주어 누수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도꼭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10: 수도꼭지 20: 호스
50: 수도꼭지 연결구 100: 몸체
110: 관통공 112: 결합홈
120: 안착부 200: 수도꼭지 연결부
210: 제결합부 220: 탄성바
222: 제1경사부 224: 제2경사부
230: 제1조임너트 232: 경사면
240: 패킹 242: 오목부
244: 가이드부 246: 돌기
248: 안착돌부 300: 호스 연결부
310: 제2결합부 320: 연결돌부
330: 조임부재 332: 탄성편
340: 제2조임너트 342: 경사면

Claims (11)

  1.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면 중심부에는 단턱홈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의 내측에 구비되는 패킹과, 상기 탄성바의 외측에 구비되어 제1결합부에 나사결합되는 제1조임너트를 포함하여 수도꼭지의 하부에 연결되는 수도꼭지 연결부;
    상기 몸체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몸체의 하면 중심부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호스에 삽입되는 연결돌부와, 상기 호스의 외측을 가압하는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제2결합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조임너트로 이루어져 호스의 단부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바는 상단이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제1 및 제2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은 상부 외측에 상기 탄성바의 제1경사부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어 제1조임너트에 의한 탄성바의 가압 시 제1경사부가 패킹의 오목부를 가압하여 수도꼭지의 상단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패킹의 하부 외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의 돌출된 정도보다 작게 형성된 결합홈이 상기 돌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임너트의 내주면 상단은 상기 탄성바의 상단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연결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상단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연결구.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가 형성된 안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안착돌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안착돌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연결구.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76856A 2020-06-24 2020-06-24 수도꼭지 연결구 KR102398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856A KR102398322B1 (ko) 2020-06-24 2020-06-24 수도꼭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856A KR102398322B1 (ko) 2020-06-24 2020-06-24 수도꼭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491A KR20210158491A (ko) 2021-12-31
KR102398322B1 true KR102398322B1 (ko) 2022-05-16

Family

ID=7917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856A KR102398322B1 (ko) 2020-06-24 2020-06-24 수도꼭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002B1 (ko) * 2023-02-02 2023-09-07 권영탁 수도꼭지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4924B2 (ja) 1994-06-20 2003-12-08 沈 仲山 蛇口装置のホース接続具
KR200452046Y1 (ko) 2009-03-02 2011-01-28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101509979B1 (ko) * 2013-11-21 2015-04-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수도꼭지와 급수호스 간의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259Y1 (ko) 1989-09-21 1992-02-20 한윤수 수도꼭지 연결구
JPH11166682A (ja) * 1997-10-17 1999-06-22 Chuzan Chin ワンタッチ放水可能なホースジョイント
KR102130793B1 (ko) 2018-04-24 2020-07-06 김학주 수도꼭지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4924B2 (ja) 1994-06-20 2003-12-08 沈 仲山 蛇口装置のホース接続具
KR200452046Y1 (ko) 2009-03-02 2011-01-28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101509979B1 (ko) * 2013-11-21 2015-04-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수도꼭지와 급수호스 간의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491A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5048A (ko) 관 조인트
KR102398322B1 (ko) 수도꼭지 연결구
KR102130793B1 (ko) 수도꼭지 연결구
KR200310678Y1 (ko) 에어/전동 겸용 구동밸브의 누수 방지 장치
KR200452046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200482060Y1 (ko) Pb 파이프 연결 소켓 장치
KR102084957B1 (ko) 원터치 피팅 이음새 장치
US6199717B1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supplying water under pressure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CN210487836U (zh) 用于电表箱的防水接头
CN210194778U (zh) 一种下水管接头及应用有该接头的下水管组件
KR200212005Y1 (ko) 급수관 연결구
KR200482061Y1 (ko) Pb 파이프 연결 소켓
KR101274062B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의 개선구조 및 호스-커플링장치의 이용방법
KR200342609Y1 (ko) 수도꼭지 연결용 커플링.
KR100443195B1 (ko) 급수관 연결구
KR100281807B1 (ko) 수도꼭지의 호스 연결기
JP2000213650A (ja) 管継手用パッキンおよび該パッキンを用いた管継手
KR102528144B1 (ko) 이종관 연결구
KR0126729Y1 (ko) 세탁기용 급수호오스 연결구
KR200294295Y1 (ko) 세탁기용 급수호스 연결구
JPH0222550Y2 (ko)
KR200344939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 구조
WO2006126774A1 (en) Holder for pipe fittings
KR19990010213U (ko) 급수호스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