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195B1 - 급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급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195B1
KR100443195B1 KR1020040026325A KR20040026325A KR100443195B1 KR 100443195 B1 KR100443195 B1 KR 100443195B1 KR 1020040026325 A KR1020040026325 A KR 1020040026325A KR 20040026325 A KR20040026325 A KR 20040026325A KR 100443195 B1 KR100443195 B1 KR 100443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upply
supply pipe
flange
hos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풍근
백승도
최기득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첨단엔프라
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첨단엔프라, 한영수 filed Critical (주)첨단엔프라
Priority to KR1020040026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195B1/ko
Priority to PCT/KR2004/001924 priority patent/WO2005075875A1/en
Priority to JP2006516965A priority patent/JP2006520456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n element which is hinged on one end of the pipe-ends and which is maintained in locked position by a screw tightened against the other pipe-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급수관 연결구는 호스가 결합되며 유체 공급관에서 호스까지 유체 흐름 통로를 제공하는 접속 본체와, 상기 접속 본체를 유체 공급관의 말단에 고정하는 클램프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 본체는 상기 유체 공급관과 연결 시 기밀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는 패킹으로서, 상기 유체 공급관의 말단이 삽입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상부에서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커버 플랜지를 구비하는 패킹을 구비한다. 본체는 유체 흐름 통로구멍을 제공하는 하우징으로서, 상부에 상기 패킹이 안착되며 상기 커버 플랜지의 아래에 위치하는 받침 플랜지를 구비하는 패킹 안착부와, 상기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 결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한다. 또한 본체는 상기 패킹의 커버 플랜지의 상부와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고리형 덮개를 더 구비한다. 상기 클램프 장치는 상기 고리형 덮개에 덮이는 커버 플랜지와 받침 플랜지가 삽입되도록 각각이 내주면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 공급관의 말단을 무는 조가 구비된 조임링과, 상기 조임링에 연결되어 조임링이 상기 유체 공급관을 물어 결합하게 하기에 적합한 조임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급수관 연결구 {WATER PIPE COUPLING}
본 발명은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도꼭지 등의 급수관에 호스 등을 연결하는 경우에 수도꼭지에 고정되는 체결력과 물이 흘러나오지 않게 하는 기밀성을 개선한 급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수도꼭지에 호스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확실하고 견고하고 기밀성이 유지되는 연결을 위해서는 별도의 급수관 연결구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세탁기와 연결되는 호스를 수도 꼭지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연결구에는 예를 들면 수압 17.5 kgf/cm2을 견디는 연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종래의 급수관 연결구는 연결구를 수도꼭지에 결합할 때 네방향에서 체결나사를 조여서 수도꼭지에 고정한다. 따라서 그 고정 작업이 불편하고, 잘못 작업하게 되면 기밀성이 유지되지 못하고 누수의 문제가 생기기 쉽다. 또한 종래의 급수관 연결구는 납작한 고리형 패킹을 사용하여 수도꼭지의 말단과 밀착시킴으로서 기밀성을 유지하는 구성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성은 패킹을 눌러주는 힘의 크기가 약해지거나 불균등한 힘의 분포가 생길 때 기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수도꼭지 말단에 삽입하는 구성의 급수관 연결구가 제시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수도꼭지와 결합이 불편하고 기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관과 호스 사이를 손쉽게 연결하면서도 기밀성이 잘 유지되는 급수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버의 작동에 의해 손쉽게 조여지고 급수관에 강하게 결합되는 클램프장치를 구비한 급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수관의 말단부가 삽입되는 패킹과 클램프장치 사이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급수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스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급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급수관 연결구의 단면도로서 급수관과 연결 호스 사이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의 급수관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로서 일부 부품은 내부가 보이도록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의 급수관 연결구에서 조임 링의 홈에 삽입된 하우징, 패킹, 고리형 덮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5는 도1의 급수관 연결구에서 고리형 덮개를 성형하는 공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도1의 급수관 연결구에서 고리형 덮개를 성형하는 공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7의 (a) 및 (b)는 도1의 급수관 연결구에서 조임 링의 홈의 다른 예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8은 도1의 급수관 연결구에서 조임 링과 조의 결합을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a)는 삽입 전의 상태를 도시하며, (b)는 삽입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에서 하우징, 패킹, 고리형 덮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에서 조임 링의 홈에 삽입된 하우징, 패킹, 고리형 덮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급수관 연결구 12: 호스 14: 수도꼭지
16: 접속 본체 18: 클램프장치 20: 하우징
22: 패킹 24: 고리형 덮개 26: 콜레트
28: 캡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의 흐름이 연장되도록 호스를 유체 공급관과 연결하기 위하여 유체 공급관의 말단에 결합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로서,
호스가 결합되며 유체 공급관에서 호스까지 유체 흐름 통로를 제공하는 접속 본체와,
상기 접속 본체를 유체 공급관의 말단에 고정하는 클램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본체는
상기 유체 공급관과 연결 시 기밀을 제공하기 위한 패킹으로서, 상기 유체 공급관의 말단이 삽입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상부에서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커버 플랜지를 구비하는 패킹과,
유체 흐름 통로구멍을 제공하는 하우징으로서, 상부에 상기 패킹이 안착되며 상기 커버 플랜지의 아래에 위치하는 받침 플랜지를 구비하는 패킹 안착부와, 상기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 결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패킹의 커버 플랜지의 상부와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고리형 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 장치는
상기 고리형 덮개에 덮이는 커버 플랜지와 받침 플랜지가 삽입되도록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제1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 공급관의 말단을 무는 조가 구비된 조임링과,
상기 조임링에 연결되어 조임링이 상기 유체 공급관을 물어 결합하게 하기에 적합한 조임 장치를 구비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형 덮개는 상기 커버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커버플랜지의 가장자리와 상기 받침 플랜지의 하면을 덮도록 림과 상기 림으로부터 꺾여 연장되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를 구비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형 덮개는 상기 커버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커버 플랜지의 가장자리와 림과 상기 림으로부터 꺾여 연장되는 상부 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받침 플랜지의 하면이 노출되며, 상기 조임링의 상기 제1 홈의 상면에는 상기 고리형 덮개가 접촉된다.
상기 조임링의 제1 홈의 상면 및 하면이 수평면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조임링의 제1 홈은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가 경사면일 수도 있고 양면이 모두 경사면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커버 플랜지는 그 가장자리에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스 연결부는 상기 호스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 말단과, 상기 호스 연결 말단의 외측으로 삽입된 호스의 외측을 둘러싸며 발을 갖는 콜레트와, 상기 콜레트를 감싸며 상기 콜레트의 발을 호스 쪽으로 가압하는 캡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콜레트의 발의 안쪽면에는 호스를 가압하도록 뾰족하게 돌출된 돌기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임링은 서로 결합하는 한 쌍의 반원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반원 지지체는 제1 홈의 상측에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링은 상기 반원 지지체의 제2 홈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조를 구비하며, 상기 죔 장치는 상기 반원 지지체 사이를 결합하여 조여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반원 지지체는 일단부는 힌지 핀에 연결되며, 다른 단부는 조임 장치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임 장치는 레버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레버 기구는 상기 한 쌍의 반원 지지체의 다른 단부 사이를 통과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볼트의 머리에 힌지 연결되는 레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체 공급관 연결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림과 림의 일단부에서 안쪽으로 꺾인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고리형 덮개의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 플랜지와 상기 받침 플랜지를 상기 고리형 덮개 안쪽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림의 단부를 안쪽으로 꺾어 변형시킴으로써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중 다른 하나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커버 플랜지와 상기 받침 플랜지가 상기 고리형 덮개에 의해 덮이도록 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중 다른 하나를 성형하는 단계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사이드 펀치를 이동시켜 성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10)은 호스(12)와 급수관인 수도꼭지(14) 사이의 물의 통로를 형성하는 접속 본체(16)과, 이 접속 본체(16)이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수도꼭지(14)와 결합되는 클램프장치(18)을 구비한다.
접속 본체(16)은 하우징(20)과 패킹(22)와 고리형 덮개(24)를 구비한다. 또한, 접속 본체(16)은 호스(12)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콜레트(26)과 캡(28)을 구비한다. 하우징(20)은 대체로 원통형으로서 중앙에 수도꼭지(14)와 호스(12) 사이에 물이 지나가는 통로 구멍(30)을 제공한다. 하우징(20)은 상부의 패킹 안착부(32)와 하부의 호스 연결부(34)를 구비한다. 패킹 안착부(32)는 통로 구멍(30)의 위쪽에 패킹(22)가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20)은 통로 구멍(30)보다 내경이 크게 확장되어 패킹 삽입 공간(35)를 형성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벽(36)을 구비한다. 외벽(36)의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향한 받침 플랜지(38)이 마련된다. 외벽(36)의 아래쪽 외측면에는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요철(39)가 마련된다. 한편, 외벽(36)의 안쪽 패킹 삽입 공간(35)에는 높이가 낮은 내벽(40)이 마련된다. 내벽(40)의 내측면은 통로 구멍(30)과 이어지며, 이어지는 부분에서는 테이퍼져서 연장되다가 위로 다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결국 내벽(40)은 확장된 내경을 갖는다.
하우징(20)의 아래 부분인 호스연결부(34)에서는 후술하는 캡(28)이 끼워지도록 수나사(42)가 마련된다. 하우징(20)은 수나사가 마련된 부분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호스삽입단(44)가 마련된다. 호스삽입단(44)는 대체로 호스(12)가 확장되면서 잘 끼워질 수 있도록 끝단에서 위쪽으로 가면서 외경이 약간씩 커지도록 테이퍼진 테이퍼면(46)을 가지며, 위쪽은 테이퍼지다가 안쪽으로 들어가서 형성된 걸림턱(48)을 구비한다. 하우징(20)은 플라스틱 수지(바람직하기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한다.
계속해서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패킹(22)는 대체로 깔때기형인 몸통(50)과, 몸통(50)의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빙둘러서 형성된 커버 플랜지(52)를 구비한다. 이 패킹(22)는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깔때기형 몸통(50)의 두께 및 내면의 경사는 수도꼭지(14)가 몸통(50) 내로 끼워졌을 때, 도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에 의해, 패킹에 요구되는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몸통(50)의 하단부는 하우징(20)의 패킹 안착부(32)에 마련된 내벽(40)의 상단에 얹어지고 내벽(40) 안쪽에 끼워져 들어가도록 단이 진 받침단부(54)가 마련된다. 물론 몸통(50)의 하단부에는 통로구멍(30)으로 연결되는 관통구멍(56)이 마련된다. 커버 플랜지(52)는 하우징(20)의 받침 플랜지(38) 위에 얹어진다. 커버 플랜지(52)는 받침 플랜지(38)을 감싸도록 아래로 꺾여 연장된 테두리(58)을 구비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고리형 덮개(24)는 하우징(20)의 받침 플랜지(38) 위에 커버 플랜지(52)를 얹힌 상태에서 이 플랜지들(38,52)를 덮는다. 이 고리형 덮개(2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림(rim)과, 림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여 그 단면이 대체로 'ㄷ'자형을 이룬다(도4 참조). 이 고리형 덮개(24)는 소성변형이 가능한 예를 들면, 동 또는 동합금과 같은 금속 판재로 제조된다. 도3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고리형 덮개(24)를 조립된 상태를 그대로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고리형 덮개(2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공정을 거쳐 조립된다.
다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체(16)에는 호스 삽입단(44)에 끼워지는호스(12)를 요구되는 수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콜레트(collet)(26)과 캡(28)이 제공된다. 콜레트(26)에는 아래쪽으로 또 중심을 향하여 모아지도록 연장되며 홈(60)에 의해 서로 분리된 다수의 발(62)를 구비한다. 이 발(62)의 하단부 안쪽은 호스(12)를 강하게 압력을 가하여 누를 수 있도록 가압 돌출부(64)가 마련된다. 이 가압 돌출부(64)는 뾰족하게 처리되어 강한 압력을 호스(12)에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발(62)의 외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캡(28)은 콜레트(26)을 덮어 빠지지 않도록 하며 콜레트(26)의 발(62)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캡(28)은 도2 및 도3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는 하우징(20)의 수나사(42)와 결합하는 암나사(66)이 형성되어 있다. 하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빙둘러서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융기부(68)을 구비한다. 캡(28)을 회전시켜 나사결합하면 캡(28)이 상승하면서 융기부(68)이 발(62)의 외측 경사면을 타고 가면서 발(62)를 안쪽으로 변형시킨다. 그러면, 발(62)에 형성된 돌출부(64)가 호스(12)를 가압하여 호스(12)가 높은 수압에서도 빠지지 않게 된다.
계속해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체(16)을 수도꼭지(14)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18)은 조임링(70)과, 레버기구(72)를 구비한다. 조임링(70)은 힌지핀(74)로 회전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제1 반원 지지체(76)와 제2 반원 지지체(78)을 구비한다. 제1 반원 지지체(76)의 한쪽 끝단은 두께방향으로 중간에 홈(80)이 마련되고 홈(80) 양편에 돌출부(82)가 마련된다. 제2 반원지지체(78)의 한쪽 끝단에는 중간에 돌출부(84)가 마련된다. 이 돌출부(84)는 홈(80)에 끼워지고, 돌출부(82,84)에는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구멍이 마련되고 이 구멍에 힌지핀(74)가 끼워진다. 한편, 각 지지체(76,78)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파인 위쪽 홈(92)와 아래쪽 홈(94)가 형성된다. 두 지지체(76,78)이 결합되었을 때 이 위쪽 홈(92)와 아래쪽 홈(94)는 고리형 홈을 형성한다.
각 지지체(76,78)의 돌출부(82,84)가 형성된 반대편으로는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86,88)을 구비한다. 이 연장부(86,88)에는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90)이 마련된다. 이 연장부(86,88)을 맞대 놓으면 구멍이 서로 연결되고 이 구멍(90)으로는 후술하는 레버기구(72)의 볼트(96)이 통과한다.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기구(72)는 클램프 레버(98)과, 클램프 레버(98)에 힌지 핀(100)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볼트(96)과, 구멍을 통하여 돌출된 볼트 끝에 고정되는 너트(102)를 구비한다. 이러한 레버기구(72)의 클램프 레버(98)의 볼트와의 결합부에서 지지체(76)에 닿게 되는 곡면에 적절한 형상을 부여하면, 레버(98)을 회전시켜 벌린 상태에서는 지지체(76,78) 사이가 벌어지고, 레버(98)을 회전시켜 오므린 상태에서는 지지체(76,78) 사이가 꽉 조여지게 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레버기구(72)는 통상의 클램프에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음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하측 홈(94)에는 고리형 덮개(24)에 의해 덮인 하우징(20)과 패킹(22)의 각 플랜지(38,52)가 삽입되며, 양 지지체(76,78) 사이를 조일 때 이 부분이 하측 홈(94)로 들어간다. 만일 고리형 덮개(24)가 없는 경우에는 패킹(22)의 플랜지(38)이 홈(94)의 내면과 직접 닿게 되는데 큰 마찰력으로 인하여 홈(94)에 삽입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플랜지(38,52)는 고리형 덮개(24)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리형 덮개(24)를 플랜지(38,52)와 결합시키는 공정의 일 예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도5의 (a)를 참조하면, 먼저, 'ㄷ'자형 고리형 덮개(24)로 성형될 재료, 즉 도면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림(Rim)과 상부 플랜지가 마련된 'ㄱ'자형 단면을 갖는 고리형상 덮개 재료 내에 패킹(22)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패킹(22)와 테두리(58) 내에 하우징(20)을 위치시킨다. 고리형상의 덮개 재료, 패킹(22)와 하우징(20)의 플랜지(38,52)의 치수를 적절히 설정하면 패킹(22) 재료의 탄성에 의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3개의 부품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104) 위에 가조립된 3개의 부품을 상하 역전시켜 배치하여 위치시킨다. 이어서 상부의 펀치(106)을 내려 하우징(20)에 압력을 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이드 펀치(108)을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시켜 'ㄷ'자형 단면의 고리형 덮개(24)로 성형한다. 도5의 (b)에서는 사이드 펀치가 두 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세 개 또는 네 개 이상일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사이드 펀치(108)을 이용하여 성형을 하면, 후술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하우징의 외표면 형상과 관계없이 성형이 가능하다.
고리형 덮개(24)로 플랜지(38,52)를 덮는 공정의 변형예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먼저 도5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20), 패킹(22),고리형 덮개의 재료를 가조립한 후, 다이(104a) 위에 위치시킨다. 다만 도5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하우징(20)이 아래로 내려가도록 배치한다. 한편, 다이(104a)에는 고리형 덮개의 재료의 변형을 위해 내측 모서리가 파여 있다. 이어서 상부의 펀치(106a)를 내려 고리형 덮개 재료의 상부 플랜지 부분을 누르면, 덮개 재료는 변형되어 'ㄷ'자형 단면의 고리형 덮개(24)로 성형된다. 한편 도6에 도시된 공정에 따르면, 하우징(20)을 다이(104a) 내의 공동에 끼워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20)의 외벽의 형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한이 따를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4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다른 변형예가 도7의 (a) 및 (b)에 도시되어 있다. 도7의 (a)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지지체(76a,78a)의 하부 홈(94a)의 단면 형상이 도4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르다. 하부 홈(94a)는 위쪽 면은 안쪽으로 들어갈수록(즉 홈의 바닥쪽으로 갈수록) 아래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또 아래쪽 면은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위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7의 (b)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지지체(76b,78b)의 하부 홈(94b)는 위쪽 면은 수평으로 형성되고 아래쪽 면은 안쪽으로 들어갈수록(즉 홈의 바닥쪽으로 갈수록) 위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하부 홈(94a 또는 94b)가 경사진 면을 가지는 경우 고리형 덮개(24a 또는 24b)에 덮인 플랜지(38a,52a 또는 38b,52b)가 하부 홈(94a 또는 94b)에 각각 더욱 강하게 끼이도록 결합될 수 있어 기밀성 유지에 유리하다.
다시 도1 내지 도3 및 도8을 참조하면, 클램프 장치(18)은 지지체(76,78)의 상부 홈(92)에 각각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한 쌍의 조(jaws)(110)을 구비한다. 각각의 조(110)은 반원형의 판형상으로서 중앙부에는 원호형 홈이 파여 있다. 이 원호형 홈에는 중앙쪽을 향하여 뾰족하게 돌출한 돌기(112)가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여러 개(도면에서는 3개) 배치된다. 원호형 홈의 크기 및 돌기(112)의 높이는 끼워지는 수도꼭지(14)의 크기에 맞추어 정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조(110)은 강성이 있는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두꺼운 두께(예를 들면 1 내지 2 mm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조(110)에는 결합구멍(114)가 마련된다. 도8의 (a) 및 (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결합구멍(114)는 조(110)을 상부홈(92)에 삽입할 때, 상부 홈(92) 내에 마련된 반구형 돌기(116)에 끼워진다. 이렇게 끼워진 조(110)은 쉽게 빠지지 않는다. 도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조(110)을 삽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체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할 때 미리 준비된 조를 금형 내에 위치시키고 인서트 사출 성형할 수도 있다. 이 인서트 사출 성형 시에는 결합구멍을 두 개 이상으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변형예에서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쌍의 조를 층층이 배치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지지체의 상부에는 이들 조가 삽입되는 홈이 대응하는 수만큼 마련된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는 접속 본체와 클램프 장치를 구비한다. 클램프 장치는 하부 홈의 구성만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접속 본체에서도 하우징(20c)의 받침 플랜지(38c)와, 패킹(22c)의 커버 플랜지(52c)의결합 구조 및 고리형 덮개(24c)의 구성만 제1 실시예와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9 및 도10의 (a)를 참조하면, 고리형 덮개(24c)는 림과 림의 상단에서 꺾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구비하여 그 단면이 'ㄱ'자 형상을 이룬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상이하다. 한편, 도10의 (a) 및 (b)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22c)의 커버 플랜지(52c)의 테두리(58c)는 하우징(20a)의 받침 플랜지(38c)의 두께를 모두 덮지는 않도록 그 폭이 정해진다. 고리형 덮개(24c)에 패킹(22c)를 끼우고 다시 그 패킹(22c)의 커버 플랜지(52c) 부분에 하우징(20c)의 받침 플랜지(38c)를 끼운 후 이들을 클램프 장치에 구비된 지지체(76c,78c 또는 76d,78d)의 하부 홈(94c 또는 94d)에 삽입한다. 이 때, 도10의 (a) 및 (b)에 도시한 하부 홈(94c,94d)의 구성은 각각 도7의 (a)와 (b)에 도시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0의 (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홈(94c)의 상부 경사면에는 고리형 덮개(24c)가 닿게 되고 하부 경사면에는 하우징(20c)의 받침 플랜지(38c)가 닿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10의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홈(94d)의 상부면에는 고리형 덮개(24c)가 닿게 되고 하부 경사면에는 하우징(20c)의 받침 플랜지(38c)가 닿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고리형 덮개(24c)에 대해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급수관 연결구는 세탁기 급수호스의 연결용, 화원의 급수호스 연결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연결구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유체의 흐름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앞에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이 모두 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호스 사이를 손쉽게 연결하면서도 기밀성이 잘 유지되는 급수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클램프장치를 구비하여 레버의 작동에 의해 손쉽게 조여지고 급수관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급수관의 말단부가 삽입되는 패킹과 클램프장치 사이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기밀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호스의 결합 구조가 개선되어 호스를 손쉽게 연결하면서도 기밀성이 잘 유지된다.

Claims (16)

  1. 유체의 흐름이 연장되도록 호스를 유체 공급관과 연결하기 위하여 유체 공급관의 말단에 결합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로서,
    호스가 결합되며 유체 공급관에서 호스까지 유체 흐름 통로를 제공하는 접속 본체와,
    상기 접속 본체를 유체 공급관의 말단에 고정하는 클램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본체는
    상기 유체 공급관과 연결 시 기밀을 제공하기 위한 패킹으로서, 상기 유체 공급관의 말단이 삽입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상부에서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커버 플랜지를 구비하는 패킹과,
    유체 흐름 통로구멍을 제공하는 하우징으로서, 상부에 상기 패킹이 안착되며 상기 커버 플랜지의 아래에 위치하는 받침 플랜지를 구비하는 패킹 안착부와, 상기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 결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패킹의 커버 플랜지의 상부와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고리형 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 장치는
    상기 고리형 덮개에 덮이는 커버 플랜지와 받침 플랜지가 삽입되도록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제1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 공급관의 말단을 무는 조가 구비된 조임링과,
    상기 조임링에 연결되어 조임링이 상기 유체 공급관을 물어 결합하게 하기에 적합한 조임 장치를 구비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
  2. 제1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덮개는 상기 커버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커버 플랜지의 가장자리와 상기 받침 플랜지의 하면을 덮도록 림과 상기 림으로부터 꺾여 연장되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
  3. 제2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의 제1 홈은 상기 고리형 덮개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가 각각 접촉하는 상면 및 하면이 수평면인 유체 공급관 연결구.
  4. 제2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의 제1 홈은 상기 고리형 덮개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가 각각 접촉하는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가 경사면인 유체 공급관 연결구.
  5. 제2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의 제1 홈은 상기 고리형 덮개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가 각각 접촉하는 상면 및 하면 모두가 경사면인 유체 공급관 연결구.
  6. 제1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덮개는 상기 커버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커버 플랜지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림과 상기 림으로부터 꺾여 연장되는 상부 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받침 플랜지의 하면이 노출되며
    상기 조임링의 상기 제1 홈의 상면에는 상기 고리형 덮개가 접촉되며 상기 하면에는 받침 플랜지가 접촉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
  7. 제6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의 제1 홈은 상기 고리형 덮개의 상부 및 상기 받침 플랜지가 각각 접촉하는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가 경사면인 유체 공급관 연결구.
  8. 제6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의 제1 홈은 상기 고리형 덮개의 상부 및 상기 받침 플랜지가 각각 접촉하는 상면 및 하면 모두가 경사면인 유체 공급관 연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랜지는 그 가장자리에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를 구비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호스 연결부는
    상기 호스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 말단과,
    상기 호스 연결 말단의 외측으로 삽입된 호스의 외측을 둘러싸며 발을 갖는 콜레트와,
    상기 콜레트를 감싸며 상기 콜레트의 발을 호스 쪽으로 가압하는 캡을 구비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
  11. 제10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콜레트의 발의 안쪽면에는 호스를 가압하도록 뾰족하게 돌출된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은 서로 결합하는 한 쌍의 반원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반원 지지체는 제1 홈의 상측에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링은 상기 반원 지지체의 제2 홈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조를 구비하며, 상기 죔 장치는 상기 반원 지지체 사이를 결합하여 조여주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
  13. 제12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원 지지체는 일단부는 힌지 핀에 연결되며, 다른 단부는 조임 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
  14. 제13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임 장치는 레버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레버 기구는 상기 한 쌍의 반원 지지체의 다른 단부 사이를 통과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볼트의 머리에 힌지 연결되는 레버를 구비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
  15.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림과 림의 일단부에서 안쪽으로 꺾인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고리형 덮개의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 플랜지와 상기 받침 플랜지를 상기 고리형 덮개 안쪽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림의 단부를 안쪽으로 꺾어 변형시킴으로써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중 다른 하나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커버 플랜지와 상기 받침 플랜지가 상기 고리형 덮개에 의해 덮이도록 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의 유체 공급관 연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중 다른 하나를 성형하는 단계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사이드 펀치를 이동시켜 성형하는 유체 공급관 연결구의 제조 방법.
KR1020040026325A 2004-02-07 2004-04-16 급수관 연결구 KR100443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325A KR100443195B1 (ko) 2004-04-16 2004-04-16 급수관 연결구
PCT/KR2004/001924 WO2005075875A1 (en) 2004-02-07 2004-07-30 Fluid coupling device
JP2006516965A JP2006520456A (ja) 2004-02-07 2004-07-30 流体継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325A KR100443195B1 (ko) 2004-04-16 2004-04-16 급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3195B1 true KR100443195B1 (ko) 2004-08-05

Family

ID=3735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325A KR100443195B1 (ko) 2004-02-07 2004-04-16 급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531B1 (ko) 2005-06-17 2007-07-25 김용락 수도전 고정구
WO2008056865A1 (en) * 2006-11-07 2008-05-15 Yuk Nam Choi Pipe coupling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531B1 (ko) 2005-06-17 2007-07-25 김용락 수도전 고정구
WO2008056865A1 (en) * 2006-11-07 2008-05-15 Yuk Nam Choi Pipe coupling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75875A1 (en) Fluid coupling device
US5920035A (en) High pressure seal
KR100959735B1 (ko) 유체파이프의 분기지관 접속구조
KR101873862B1 (ko) 파이프 이지 결속장치
KR20100117187A (ko) 파이프 연결구
KR100443195B1 (ko) 급수관 연결구
KR102084957B1 (ko) 원터치 피팅 이음새 장치
KR102130793B1 (ko) 수도꼭지 연결구
CN1329688C (zh) 液体联接装置及其制造方法
KR200318911Y1 (ko) 파이프 고정 장치
KR20080006642U (ko) 경사진 고정날을 갖는 상수도관 이탈방지용 압륜 스파이크
KR102398322B1 (ko) 수도꼭지 연결구
KR100443196B1 (ko) 급수관 연결구
KR101948846B1 (ko) 급수전용 연결소켓
KR200492191Y1 (ko) 조임표시형 배관연결장치
CN100410577C (zh) 用于连接洗衣机供水软管的装置
KR20170044300A (ko) 원터치식 수도관 연결장치
KR101239405B1 (ko) 급수호스 홀더
KR200475077Y1 (ko) 관 연결구
KR101237792B1 (ko) 파이프 커넥터
KR20110094866A (ko) 파이프 연결구
KR200275587Y1 (ko) 중압 천공기용 t형 분기관
KR200389197Y1 (ko) 정수기 케이스의 패킹 결합구조
KR200415264Y1 (ko) 세탁기용 급수호스 결합장치
JP2747450B2 (ja)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端末連結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