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709B1 - 흡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흡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709B1
KR102397709B1 KR1020160004994A KR20160004994A KR102397709B1 KR 102397709 B1 KR102397709 B1 KR 102397709B1 KR 1020160004994 A KR1020160004994 A KR 1020160004994A KR 20160004994 A KR20160004994 A KR 20160004994A KR 102397709 B1 KR102397709 B1 KR 102397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absorbing
absorbing
flow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5399A (ko
Inventor
박선화
정영수
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4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7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2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흡음 장치는 하나 이상의 흡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 모듈에는, 외주면부, 상기 외주면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면부 및 상기 외주면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면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챔버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다수의 유동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유동홀은, 상기 외주면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1유동홀; 및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유동홀이 포함된다.

Description

흡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SOUND-ABSORB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흡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작동 시 압축기의 구동에 의한 소음, 패널의 진동에 의한 소음, 전자 장치에 의한 소음 등 여러가지 소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에서 압축기에 의한 소음이 전체 소음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압축기에서는 20~90Hz의 기본 주파수를 갖는 소음과 하모닉 성분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소음이 함께 발생한다. 이러한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고객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는 작동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음을 저감시키는 방음장치가 설치된다. 일례로, 종래 공기조화기의 경우 압축기에 흡음재 또는 차음재가 부착되거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방진재가 부착된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2-0047699호(공개일자: 2002년 6월 22일)에는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압축기의 구동소음을 줄이도록 압축기의 주위에 방음장치가 설치된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음장치는 겹층의 방음재가 상호 접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선행문헌의 방음장치는 압축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는 있으나, 압축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동 소음 등 압축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높은 수준의 소음 저감 성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조화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한 흡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등에서 다방향으로 전파되는 소음을 적절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흡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용량에 따라서 공기 조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소음의 세기에 따라 적절한 소음 저감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흡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 따른 흡음 장치는 하나 이상의 흡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 모듈에는, 외주면부, 상기 외주면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면부 및 상기 외주면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면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챔버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다수의 유동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유동홀은, 상기 외주면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1유동홀; 및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유동홀이 포함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배관;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흡음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 장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흡음 모듈이 구비되고, 각각의 흡음 모듈은, 외주면부 및 상기 외주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차폐하는 밑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챔버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다수의 유동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유동홀은, 상기 외주면부에 형성되는 제1유동홀과, 상기 밑면부에 형성되는 제2유동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흡음 모듈 중에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흡음 모듈은 각 흡음 모듈에 형성된 제2유동홀이 서로 연통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에 의하면, 복수의 흡음 모듈에 구비된 유동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소음 저감 효과를 극대화하여 종래의 흡음 장치에 비하여 소음 저감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음 장치는 원기둥형 구조로 다방면의 흡음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소음 저감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음 장치는 복수의 흡음 모듈을 적층한 구조이므로, 주변 소음의 세기의 따라 흡음 모듈의 개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음 장치는 설치 공간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흡음 모듈의 개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음 장치는 파이프에 선용접 함으로써 설치 가능하므로, 흡음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한 고정면을 요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흡음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흡음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흡음 장치에 형성되는 제2유동홀의 개수 및 배치를 변화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각 형상에 따른 소음 저감 성능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흡음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가 냉매 배관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흡음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흡음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1)는 외주면부(10) 및 밑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외주면부(10)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밑면부(20)는 판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밑면부(20)는 상기 외주면부(1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면부와 상기 외주면부(1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밑면부(20)와 상기 외주면부(1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부재가 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주면부(10)와 상기 밑면부(20)를 포괄하여 하우징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밑면부(20)와 상기 외주면부(10)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서로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밑면부(20)와 상기 외주면부(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흡음 장치(1) 내부에는 상기 외주면부(10)와 상기 밑면부(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챔버(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밑면부(20)와 상기 외주면부(10)에는 다수의 유동홀(11, 21)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유동홀(11, 21)은 상기 공기 챔버(30)와 상기 흡음 장치(1)의 외부 공기의 유동 통로를 제공한다. 즉, 상기 흡음 장치(1)의 외부 공기는 상기 다수의 유동홀(11, 21)을 통해 상기 공기 챔버(30)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공기 챔버(30)의 공기는 상기 다수의 유동홀(11, 21)을 통해 상기 흡음 장치(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유동홀(11, 21)과 상기 공기 챔버(30)에 의해 공명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음 장치(1) 주변에서 발생한 소음은 상기 흡음 장치(1)의 구조에 의한 공명의 원리에 의해 감음될 수 있다.
상기 흡음 장치(1)에 의한 주변의 소음의 저감은 주변 공기가 상기 다수의 유동홀(11, 21)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급격한 관경 확대로 인한 유속 감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흡음 장치(1)는 단면 불연속부의 음 에너지 반사에 의해 감음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상기 흡음 장치(1)의 소음 성능은 전달 손실(Transmission Loss, TL)로 평가할 수 있으며, 그 값이 클 수록 흡음량(감음량)이 큰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전달 손실(TL) 값은 아래의 수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아래의 전달 손실(TL)은 공기가 입구단을 통해 관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로 가정하여 계산한 것이다.
Figure 112016004428379-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쓰인 인자는 아래와 같다.
TL: 전달 손실, m: 면적비 [m=S2/S1], k: 파수 [k=2πf/C], L: 관 내부의 유효 길이, S1: 입구단 단면적, S2: 관 내부 단면적, f : 소음의 진동수(Frequency), C : 유체 속 음파속도
상기 다수의 유동홀(11, 21)은 소정의 패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유동홀(11, 21)은 상기 외주면부(10)에 형성되는 제1유동홀(11)과 상기 밑면부(20)에 형성되는 제2유동홀(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동홀(11)은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부(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동홀(11)은 상기 외주면부(10)의 중간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동홀(21)은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밑면부(20)에 원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제 2 유동홀(21)에는, 상기 밑면부(20)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 1 홀(21a)과, 상기 제 1 홀(21a)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홀(21b)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제 2 홀(21b)은 상기 제 1 홀(21a)을 중심으로 원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홀(21a)에서부터 각각의 제 2 홀(21b)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다. 즉, 상기 제 1 홀(21a)에서부터 각각의 제 2 홀(21b)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2 홀(21b)이 이루는 원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 2 홀(21b)은 서로 일정한 폭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유동홀(21)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음 장치(1)는 도시된 것과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방향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흡음 장치(1)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흡음 장치(1)가 직육면체와 같이 옆면이 각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진 부분에서의 공기의 유입이 저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흡음 장치(1)가 이와 같은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음 장치(1)의 재질에는 큰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흡음 장치(1)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흡음 장치(1)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주변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흡음 장치(1)의 가공성과 설치/고정을 위해서는 강철(Steel) 또는 구리(Cu)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흡음 장치(1)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외기 내부의 냉매배관에서 흐르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 열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음 장치(1)는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내열성을 충분히 갖춘 재질로 제작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유동홀(21)의 변화에 따른 상기 흡음 장치(1)의 성능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흡음 장치에 형성되는 제2유동홀의 개수 및 배치를 변화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각 형상에 따른 소음 저감 성능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4의 (a)는 상기 밑면부(20)에 상기 제2유동홀(21)이 없는 경우이고, 도 4의 (b)는 상기 제2유동홀(21)이 상기 밑면부(20)의 중심에 하나만 형성된 경우이고, 도 4의 (c)는 도 1과 같이 제2유동홀(21)이 제1실시 예와 같이 상기 밑면부(20)의 중심 및 원형으로 배치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 (b), (c) 모두 상기 제1유동홀(11)이 상기 외주면부(1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경우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고주파 대역에서는 (a), (b) 해석 모델이 (c) 해석 모델에 비해 전달 손실(TL) 값이 높게 나타나지만, 저주파 대역에서는 (c) 해석 모델이 (a), (b) 해석 모델에 비해 전달 손실(TL) 값이 높게 나타난다. 여기서, 대략 500HZ 이하의 영역을 저/중 주파수 대역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대역에서는 (a), (b) 해석 모델이 (c) 해석 모델에 비해 소음 성능이 좋고, 저주파 대역에서는 (c) 해석 모델이 (a), (b) 해석 모델에 비해 소음 성능이 좋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운전에 의한 진동 및 냉매 유속에 의한 배관 진동이 소음 발생의 주요 원인에 해당하며, 압축기 및 배관 진동에 의한 소음은 저주파 대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저주파 대역에서의 소음을 줄이게 되면 전체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기 및 배관의 진동에 의한 소음의 주파수는 대략 20~90Hz로 저/중 주파수 대역에 속하므로 (c) 해석 모델이 (a), (b) 해석 모델에 비해 효과적인 소음 저감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음 장치(1)를 복수 개로 구비하여 적층함으로써 더 큰 감음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적층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흡음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100)는 복수의 흡음 모듈(110, 1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음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흡음 모듈(110, 120)이 상하로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음 모듈(110, 120)은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하거나, 별도의 체결 장치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음 모듈(110, 120)은 제1흡음 모듈(110)과 제2흡음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음 모듈(120)은 외주면부(121) 및 상기 외주면부(121)의 상하측에 구비된 밑면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외주면부(121)에는 제1유동홀(122)이 형성되고, 상기 밑면부(123)에는 제2유동홀(1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흡음 모듈(120)의 내부 공간에는 공기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음 모듈(120)은 상기 제1실시 예의 흡음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은 상기 제2흡음 모듈(110)과 대부분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은 외주면부(111), 밑면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외주면부(111)에는 제1유동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밑면부(113)에는 제2유동홀(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의 내부 공간에는 공기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은 상부에 구비된 밑면부(116)에 유동홀이 없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의 상부 밑면부(116)를 통해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의 상부 밑면부(116)를 차폐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은 상기 흡음 장치(10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음 장치(1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유동홀이 구비되지 않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흡음 모듈(12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흡음 장치(100)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흡음 모듈(12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소음 저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자는 소음 발생량에 따라 본 실시 예의 흡음 장치(100)에 포함되는 제2흡음 모듈(12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의 외주면부(111)와, 상기 제2흡음 모듈(120)의 외주면부(121)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외주면부(111, 121)와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의 상부 밑면부(116)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흡음 장치(100)의 하우징을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각 유동홀(112, 122)을 통해 공기가 상기 흡음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배출됨에 따라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의 제1유동홀(112)과 상기 제2흡음 모듈(120)의 제1유동홀(122)은 각각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며,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의 제1유동홀(112)과 상기 제2흡음 모듈(120)의 제1유동홀(122)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의 각각의 제1유동홀(112)은 상기 제2흡음 모듈(120)의 복수의 제1유동홀(122) 중에서 두 개의 인접한 유동홀(122)의 중간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공기가 각 유동홀(112, 122)을 통해 상기 흡음 장치(100)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의 제2유동홀(114)과 상기 제2흡음 모듈(120)의 제2유동홀(124)은 서로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며,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의 제2유동홀(114)과 상기 제2흡음 모듈(120)의 제2유동홀(124)은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흡음 모듈(110)의 공기 챔버와 상기 제2흡음 모듈(120)의 공기 챔버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흡음 모듈(110, 120)의 제2유동홀(114, 124)가 다른 경우인 제3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200)는 제2실시 예의 흡음 장치(100)와 비교하여 밑면부에 형성된 유동홀의 개수에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앞선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200)는 제1흡음 모듈(210)의 밑면부(213)에 형성된 제2유동홀(214)과 제2흡음 모듈(220)의 밑면부(223)에 형성된 제2유동홀(224)이 하나씩만 형성된다.
상기 제1흡음 모듈(210)의 제2유동홀(214)과, 상기 제2흡음 모듈(220)의 제2유동홀(224)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흡음 모듈(210)의 공기 챔버와 상기 제2흡음 모듈(220)의 공기 챔버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음 모듈(210)의 상면부(216)는 제2실시 예와 같이 유동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가 냉매 배관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300)는 압축기(310), 유동전환부(320), 실외열교환기(330), 팽창밸브(340), 기액분리기(350), 오일분리기(360), 흡음 장치(370) 및 다수의 냉매배관(301, 3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내 냉각 시의 사이클 구동을 중심으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모두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300)는 상기 각 구성요소가 수용되는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10)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 모터 등에 의해 구동되어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10)의 전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오일분리기(360)는 상기 압축기(310)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오일분리기(360)에서 분리된 오일은 상기 압축기(310)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사이클에서 오일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냉동사이클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부(320)는 상기 오일분리기(360)의 출구측에 구비된다. 상기 오일분리기(360)에서 오일이 분리된 냉매는 상기 유동전환부(3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상기 실외열교환기(33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30)는 상기 압축기(3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30)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밸브(3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압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340)를 통과한 냉매는 제1냉매배관(301)을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로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로 유입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에 의해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에서 유출된 냉매는 제2냉매배관(302)을 통해 상기 실외기(3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냉매배관(302)을 통해 유입된 냉매는 상기 유동전환부(320)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35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기(350)는 유입된 냉매를 기체 상태의 냉매와 액체 상태의 냉매로 분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기체 상태의 냉매가 상기 압축기(310)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실외기(300)에서는 각 구성 요소의 작동에 의한 자체 소음과, 상기 제1 및 제2냉매배관(301, 302) 등 배관의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한다. 상기 흡음 장치(370)는 상기 실외기(3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흡음 장치(370)는 상기 제1 내지 제3실시 예에 따른 흡음 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흡음 장치(370)는 상기 실외기(300)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음 장치(370)는 상기 압축기(310)의 출구측 배관(30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압축기(310)의 구동 소음과, 상기 압축기(310)의 출구측 배관(303)의 진동 소음이 상기 실외기(300)에서 발생되는 소음중 가능 큰 비율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상기 흡음 장치(370)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흡음 장치(370)는 상기 압축기(310)의 출구측 배관(303)에 용접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음 장치(370)는 상기 압축기(310)의 출구측 배관(303)과 선용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음 장치(370)는 상기 압축기(310)의 출구측 배관(303) 사이의 용접부(305)는 상기 압축기(310)의 출구측 배관(3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음 장치(370)에는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동홀(3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음 장치(370)가 선용접 됨에 따라, 상기 유동홀(372)이 차폐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음 장치(370) 주변에서의 공기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음 장치(370)에 의한 소음 저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흡음 장치(370)의 설치 위치는 상기 압축기(310)의 출구측 배관(303)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흡음 장치(370)는 상기 제1 또는 제2냉매배관(310, 302)에 설치되거나, 상기 실외기(300)의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Claims (14)

  1. 하나 이싱의 흡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 모듈에는,
    외주면부, 상기 외주면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면부 및 상기 외주면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면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챔버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다수의 유동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유동홀은,
    상기 외주면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1유동홀, 및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2유동홀을 포함하며,
    상기 흡음 모듈이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흡음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며,
    상기 각각의 흡음 모듈에 구비된 제1유동홀은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유동홀은 상기 외주면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흡음 모듈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흡음 모듈에 각각 구비된 제1유동홀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흡음 모듈 중에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흡음 모듈은 각 흡음 모듈에 형성된 제2유동홀이 서로 연통하도록 결합되는 흡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흡음 모듈에 구비되는 제 2 유동홀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흡음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동홀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 2 유동홀에는,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 1 홀과
    상기 제 1 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홀이 포함되는 흡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과 각각의 제 2 홀간에 거리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흡음 모듈 중 상측에 배치된 흡음 모듈의 하면부는 하측에 배치된 흡음 모듈의 상면부와 결합하고,
    상기 외주면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 공간과 상기 공기 챔버를 구획하는 흡음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모듈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흡음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음 모듈 중 최상단에 위치한 흡음 모듈의 상단에 구비된 밑면부와, 상기 복수의 흡음 모듈 중 최하단에 위치한 흡음 모듈의 하단에 구비된 밑면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되는 흡음 장치.
  12.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배관;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흡음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 장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흡음 모듈이 구비되고,
    각각의 흡음 모듈은,
    외주면부, 상기 외주면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면부 및 상기 외주면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면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챔버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다수의 유동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유동홀은,
    상기 외주면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1유동홀; 및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유동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흡음 모듈 중에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흡음 모듈은 각 흡음 모듈에 형성된 제2유동홀이 서로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흡음 모듈 중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흡음 모듈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게 제 1 유동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배관은 상기 압축기의 토출 측에 연결되고,
    상기 흡음 장치는 상기 냉매 배관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장치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 배관에 선용접되어 결합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004994A 2016-01-14 2016-01-14 흡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397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994A KR102397709B1 (ko) 2016-01-14 2016-01-14 흡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994A KR102397709B1 (ko) 2016-01-14 2016-01-14 흡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399A KR20170085399A (ko) 2017-07-24
KR102397709B1 true KR102397709B1 (ko) 2022-05-13

Family

ID=5942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994A KR102397709B1 (ko) 2016-01-14 2016-01-14 흡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7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8748A (ja) * 2009-01-20 2010-08-05 Yamaha Corp 吸音体及び音響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437Y1 (ko) * 1999-02-02 200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장치용 소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8748A (ja) * 2009-01-20 2010-08-05 Yamaha Corp 吸音体及び音響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399A (ko)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845368U (zh) 脉动和振动控制装置
EP2472191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2009014228A (ja) 冷凍装置
JP6173820B2 (ja) ガス圧縮機用の熱交換器
WO2016208372A1 (ja) 建設機械
WO2013046591A1 (ja) 室外機
JP2005233179A (ja) 圧縮機の吸入管構造
JP2013053771A (ja) 室外機
KR101870414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JP2013088003A (ja) 室外機
JP2013053827A (ja) 室外機
KR102397709B1 (ko) 흡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208671430U (zh) 制冷循环装置以及具备该制冷循环装置的电气设备
JP4982401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11247379B (zh) 制冷循环装置用单元、制冷循环装置及电气设备
JP2013104608A (ja) 室外機
JP6399068B2 (ja) アキュムレータ
JP2016050684A (ja) 空気調和機および圧縮機
JPH07502831A (ja) 流体貫流式の消音器
CN102829581A (zh) 用于压缩机组制冷系统的带消声功能的气体分流/汇流器
US20210372675A1 (en) Oil separator with integrated muffler
KR20170062124A (ko) 오일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10226520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US11175077B2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and electric apparatus including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7072642B2 (ja) 電気機器の筐体、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