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659B1 -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659B1
KR102397659B1 KR1020200097515A KR20200097515A KR102397659B1 KR 102397659 B1 KR102397659 B1 KR 102397659B1 KR 1020200097515 A KR1020200097515 A KR 1020200097515A KR 20200097515 A KR20200097515 A KR 20200097515A KR 102397659 B1 KR102397659 B1 KR 10239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us
mugunghwa
extract
hce
gold nano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247A (ko
Inventor
김연주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생명공학 filed Critical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to KR102020009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65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5Nanoparticles, nano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68Gold

Abstract

본 발명은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궁화 캘러스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LPS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에 대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은 생체 적합성 및 약물 전달력이 우수하여 염증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gold nanoparticles containing Hibiscus syriacus callus extract}
본 발명은,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항염증 효과가 있는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반응은 세포 또는 조직의 손상이나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 등의 외부감염원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 활성화, 염증 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평상시의 염증 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 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해서 일어나면 오히려 점막 손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 등의 질환을 이끈다.
이러한 천연 물질 중 최근 몇 년간, 세계적으로 식물 추출물이 주목받고 있으며, 식물 추출물은 신체에 낮은 독성을 가지지만, 강한 항암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활성 성분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식물종으로부터 효과적인 항염증제 및 항암제를 찾는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인체에 효능이 뛰어나면서 독성이 낮은 천연물로부터 항암성분 및 항염증 성분의 탐색과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National cancer institute)에서는 1982년까지 주로 식물체에 대하여 항암검색을 실시하여 약 30,000여종의 식물의 110,000개의 식물 추출물에 대하여 항암검색을 실시한 결과 탁서스브레비폴리아(Tazusbrebifolia)로부터 탁솔(taxol)과 감프토테카아커미나테(Camtotheca acuminate)로부터 캄프토테신(camptothecin)을 발견하였다.
히비스커스 속(Hibiscus sp.)은 전세계에 분포되어 있으며 그 수가 약 220여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히비스커스 속 식물은 항당뇨, 항비만, 항염증제, 항암, 항균, 간 보호 및 심장 보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는 유기산, 플라보노이드, 페놀 화합물, 트리 테르펜 유도체 및 피토스테리오드와 같은 잠재적인 생리활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히비스커스속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로셀(roselle)은 전통 약초로서, 전세계 약 300여종이 포함되는 다년생 관목 또는 나무로서, 전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국화인 무궁화(Mugunghwa; Hibiscus syriacus L.)는 대표적인 히비스커스 속 식물로서, 국내에서만 약 200 여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무궁화 목근피(Hibiscus syriacus bark)는 무궁화의 뿌리 및 줄기 껍질 부분으로 예로부터 한방에서 소염, 항균 등의 효능을 가진 약용식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궁화가 우리나라의 국화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무궁화의 재배 및 육종에 관한 연구만 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무궁화를 이용한 다양한 생리활성 연구가 미흡하며, 특히 염증질환의 치료제로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종래에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이용해 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한국 등록특허, 10-1977954), 이는 생체 적합성 및 약물 전달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현저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금 나노입자에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담지시키는 경우 더 나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무궁화(Hibiscus syriacus)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무궁화 캘러스로부터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금과 반응시켜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및
c) 상기 혼합물을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궁화(Hibiscus syriacus)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LPS(Lipopolysaccharides)에 의해 유도된 염증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일산화질소(NO)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iNOS, TNF-α, IL-1β 및 IL-6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무궁화 캘러스로부터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금과 반응시켜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물을 원심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의 농도는 1 mg/mL 내지 10 mg/mL이고, 상기 금의 농도는 0.05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반응은 30℃ 내지 100℃ 및 pH 1 내지 pH 6 조건에서 5분 내지 100분 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종래의 단순하게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만 사용하는 것보다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므로, 염증의 치료제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단,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이하 HCE_Hibiscus Callus Extract라 한다)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이하 GNP-HCE:Gold Nano Particle Hibiscus Callus Extract라 한다)를 제조하기 위한 세부 조건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는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 농도, 도 1의 B는 금염의 농도, 도 1의 C는 온도, 도 1의 D는 반응시간, 도 1의 E는 pH, 도 1의 F는 상기 5가지 요건을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의 대량생산을 위해 최적의 반응조건을 확립한 결과이다.
도 2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무궁화 캘러스의 발달 사진 및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GC/MS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의 물성을 관찰한 결과로서, 도 3의 A 내지 도 3의 D는 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분석한 결과이고, 도 3의 E는 원소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이며, 도 3의 F는 전자 회절 분석 결과이고, 도 3의 G는 X 선 회절 분광법(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분석 결과이며, 도 3의 H 내지 도 3의 I는 Raman 분광 결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의 크기 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 분석 결과로서, 도 4의 A는 농도별로 확인한 결과이며, 도 4의 B는 부피별로 확인한 결과, 도 4의 C는 수량적 분포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 금 나노입자 및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분석한 결과로서, 도 5의 A는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의, 도 5의 B는 무궁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 도 5의 C는 금 나노입자의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석 FT-IR 분석 결과이고, 도 5의 D는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 및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의 화합결합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세포 생존도(Cell viability)에 관한 것으로서, 도6의 A는 HaCaT 세포에 HCE, HLE(이하 HLE_Hibiscus Leaf Extract라 한다) 및 GNP-HCE을 각각 처리했을 때,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도를 나타낸 결과이며, 도 6의 B는 RAW 264.7 세포에 HCE, HLE, GNP-HCE을 각각 처리했을 때, 세포 생존도를 나타낸 결과이고, 도 6의 C는 일산화질소(NO)의 발생 정도를 확인한 것으로, LPS, HCE, GNP-HCE, HLE를 각각 처리한 경우 일산화질소의 수준을 처리 농도에 따라 일산화질소의 생성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6의 D는 HCE, GNP-HCE, GNP의 처리에 따른 세포 용혈(hemolysis) 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ROS 수준을 측정한 결과로서, 도 7의 A는 세포를 고해상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며, 도 7의 B는 ROS 염색을 통해 ROS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고, 도 7의 C는 Mito-Sox 염색을 통해 ROS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며, 도 7의 D는 LPS만 처리된 세포 및 LPS가 처리된 세포에 상이한 농도를 가진 HCE 및 GNP-HCE를 처리한 세포를 Hoechst 33258 형광을 통해 세포를 관찰한 결과이고, 도 7의 E는 상기 ROS 염색시 그 형광의 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F는 상기 Mito-Sox 염색시 그 형광의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세포 내 섭취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8의 A는 GNP-HCE의 세포내 섭취를 고해상도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검경한 결과이고, 도 8의 B는 GNP-HCE 처리된 RAW 264.7 세포를 Lyso-Tracker 및 Hoechst 33258 형광을 통해 관찰한 것이며, 도 8의 C는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검경한 세포사진이며, 처리된 GNP-HCE가 LPS에 의한 세포내 비정상적인 vacule의 크기를 감소시켜 세포의 상태를 정상화 시켜주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RAW 264.7 세포에 대조군, LPS만 처리된 세포 및 LPS가 처리된 세포에 상이한 농도를 가진 HCE 및 GNP-HCE를 처리한 세포에서 각각의 처리가 NF-κB p65의 핵으로의 전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LPS 처리된 세포에 GNP-HCE를 처리하는 경우 항염증 효과의 신호전달 경로를 개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RAW 264.7 세포에 대조군, LPS만 처리된 세포 및 LPS가 처리된 세포에 상이한 농도를 가진 HCE 및 GNP-HCE를 처리한 세포의 mRNA의 발현 정도를 비교한 결과로서, 도 11의 A는 HO-1, 도 11의 B는 Nrf-2, 도 11의 C는 IL-6, 도 11의 D는 TNF-α, 도 11의 E는 iNOS, 도 11의 F는 IL-1β의 mRNA의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는 세포에 대조군, LPS만 처리된 세포 및 LPS가 처리된 세포에 상이한 농도를 가진 HCE 및 GNP-HCE를 처리한 세포의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β-actin와 비교한 결과로서, 도 12의 A 및 도 12의 C는 p-IκBα, IκBα, p-IKKα/β, IKKα, p-NF-κB, NF-κB의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도 12의 B 및 도 12의 D는 p-p38, p38, p-ERK, ERK, p-JNK, JNK의 단백질 발현양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3은 대조군, LPS만 처리된 세포 및 LPS가 처리된 세포에 상이한 농도를 가진 HCE 및 GNP-HCE를 처리한 세포의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β-actin와 비교한 결과로서, 도 13의 A의 경우에는 p-PI3K, p-AKT, AKT, p-mTORC1, mTORC1를, 도 13의 B의 경우에는 PI3K, AKT 및 mTORC1의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생체 활성도와 항염증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항염증제 및 기존의 무궁화 추출물에 비해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의 개발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궁화(Hibiscus syriacus)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추출물”은 물질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은 무궁화 속(Hibiscus)에 속하는 무궁화(Hibiscus syriacus)의 캘러스를 농축하여 얻은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캘러스"는 정상적인 기관형성이나 조직분화를 일으키는 능력을 잃은 전형성능(totipotency)이 뛰어난 무정형의 조직 또는 세포덩어리로서, 식물체에서 잘라낸 조직을 옥신(Auxin)이나 싸이토키닌(Cytokinins)을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하거나 식물체에 상처를 내거나 또는 식물체의 상구를 옥신으로 처리하였을 때 생기는 조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LPS(Lipopolysaccharides)에 의해 유도된 염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증용 조성물"은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상기 염증은 각종 염증 매개 인자 및 면역세포와 관련된 효소, 예컨대 NO을 생성하거나, iNOS, COX의 활성화,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 예컨대, iNOS, TNF-α, IL-1β 및 IL-6의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의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을 수반하며, 홍반, 통증, 부종, 발열, 신체의 특정 기능의 저하 또는 상실 등의 증상에 의해 외적으로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일산화질소(NO)를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NOS, TNF-α, IL-1β 및 IL-6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해 무궁화(Hibiscus syriacus) 캘러스 추출물의 항염증 용도를 규명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HCE) 및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GNP-HCE)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세포독성이 없어,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실시 예 4-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HCE 및 GNP-HCE를 처리하는 경우에 농도에 의존적으로 NF-κB 및 두 개의 MAPK pathway(p38 및 JNK)가 모두 발현 및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 예 4-4 및 4-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무궁화(Hibiscus syriacus)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LPS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에 따른 무궁화(Hibiscus syriacus) 캘러스 추출물은 염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로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인 경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무궁화(Hibiscus syriacus) 캘러스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 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축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축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 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kg 당 1 내지 5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형태인 경우, 특정보건용 식품,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및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으로 제조 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은 경우에 따라, 기능성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으로 혼용될 수 있으며,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캅셀, 가루,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디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 톨루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무궁화(Hibiscus syriacus) 캘러스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 대상의 상태, 구체적인 병증의 종류, 진행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식품의 전체 함량으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무궁화 캘러스로부터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금과 반응시켜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물을 원심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에 이용되는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무궁화 캘러스 파우더)의 농도는 0.1 mg/mL 내지 10 mg/mL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mg/mL 내지 8 mg/mL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mg/mL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에 이용되는 금 농도는 0.05 mM 내지 1.0 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0.8 mM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에 이용되는 반응 온도는 3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에 이용되는 반응 시간은 5분 내지 100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70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에 이용되는 pH는 1 내지 6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조된 무궁화 캘러스에 캘러스 부피의 10배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65℃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진공여과, 농축 및 오븐 건조 과정을 거쳐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그 후 상기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의 농도, 반응 온도, 반응 시간, 금의 농도 및 pH의 범위를 달리하여 각각 최적의 조건을 확인한 결과,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의 농도 4 mg/mL, 반응 온도 80℃, 반응 시간 60분, 금의 농도 0.5 mM 및 pH 2.5일 때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의 수득률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4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GC/MS), 자외선 분광법(Ultraviolet spectroscopy), 전계방사형 투과전자 현미경(Field emission-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E-TEM), 고해상도 투과전자 현미경(High resolution-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전자 회절 분석(Selected area election diffraction),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Energy-dispersive X-ray), 원소 분산 분석법(Elemental distribution analysis) 및 푸리에 변환 적외선(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을 활용하여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의 화합물의 성분 및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의 물성 및 제조를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 등을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실험 준비 및 수행 방법
1-1. 화학 물질 및 시약
쥐 대식세포(RAW 264.7)(Murine macrophage cells)는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으로부터 얻었다. DMEM(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FBS(Fetal bovine serum) 및 Penicillin-streptomycin은 모두 GenDEPOT에서 구입하였다. 3-(4,5-디메틸티아졸-2-일)-2,5 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dimethyl sulfoxide(DMSO), 크리시마린(Crisimarin), 히스피둘린(hispidulin), 크리스마틴(Crismartin) 및 2,2-디페닐-1-피크릴하이드라지일(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은 Sigma-Aldrich에서 구입하였고, Cambridge의 Cellular ROS Detection Analysis Kit가 실험을 위해 사용되었다. p38/p-p38, ERK/p-ERK, NF-κB/p-NF-κB, IκBα/p-IκBα 및 β-actin에 대한 1차 항체와 항-마우스/토끼의 IP에 대한 2차항체인 IgG(HRP)는 모두 Abcam에서 구매하였다. iNOS, TNF-α, NF-κB, IL-1β, IL-6, IL-10, Arg-I, PI3K, AKT, RHEB, TSC1, mTORC1 및 GAPDH의 프라이머는 마크로젠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된 모든 화학물질 및 시약은 상용화되어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
1-2. 무궁화 캘러스의 유도 및 수득
삼천리 품종의 무궁화(Hibiscus syriacus)의 잎(leave)을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1분간 표면 살균 하였으며, 에탄올 살균 후 3% 차아 염소산 나트륨 용액으로 10분간 추가 살균하였다. 살균된 무궁화 잎은 고압 멸균된 증류수로 10회 세척하여, 여과지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무궁화 잎은 무균적으로 0.5 cm의 조각으로 절편하고, 추가적으로 상처를 입혔으며, 캘러스를 유도하기 위하여, 30 g/L의 수크로즈(sucrose), 1 mg/L의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0.5 mg/L의 BA, 0.5 g/L의 MES 및 8 g/L의 식물 한천(plant agar)을 포함하는 pH 5.7의 멸균된 식물 우디 고체 배지(Woody plant media, WPM)에 절편된 무궁화 잎을 올려 23℃, 40% 습도 및 명조건 하에서 캘러스가 형성될 때까지 1차 배양 하였다.
캘러스가 유도되었을 때, 캘러스를 수득하고, 수득된 캘러스는 30 g/L의 수크로즈, 1 mg/L의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및 0.5 mg/L의 BA를 포함하는 pH 5.7의 멸균된 식물 우디 액체 배지에서, 100 rpm, 23℃ 암조건에서 4주간 2차 진탕배양 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캘러스는 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수득된 캘러스를 4℃에서 보관하여 추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1-3.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 제조
수득된 캘러스에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37℃의 진탕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된 혼합물은 여과하여, 추출물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무궁화 캘러스 에탄올 추출물은 40℃의 회전 증발기로 에탄올을 증발시켰으며, 증발 후 남은 추출물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용해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Hibiscus syriacus callus extract)을 얻었으며, 4℃에 보관하여 추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1-4.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및 최적화된 수득 방법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및 최적화 방법은 기존의 공지된 논문(Maxim. Nanoscale Res Lett, 2017 12(1): p. 4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GNP-HCE)를 최적화 하는 것은 샘플(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의 농도,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Gold(III)chloride trihydrate(HAuCl4ㆍ3H2O)(GNP)의 농도, 반응 온도, 반응 시간, pH 값이라는 5가지 요소가 중요하다.
1 mg/mL 내지 10 mg/mL, 바람직하게는 2 mg/mL 내지 8 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4 mg/mL의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파우더, HCE powder)을 0.05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0.8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M의 최종 농도를 가지는 Gold(III) chloride trihydrate를 포함하는 1 mL의 증류수에 섞고, 섞인 혼합물의 pH를 1 내지 6, 바람직하게 pH 1 내지 4,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2.5로 조정한다. 혼합물은 그 후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의 온도로, 5분 내지 100분, 바람직하게 10분 내지 70분, 더욱 바람직하게 60분 가열했다(도 1). 그 후에 20분 동안 1,2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최종적으로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수득하였다. 얻은 금 나노입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하나는 추후 세포에 처리하기 위해 4℃에 보관하였고, 다른 그룹은 밤새 공기중에 건조되었고, 합성된 나노입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득된 금 나노입자는 실온에서 상이한 시간 간격으로 UV-Vis 분광 광도계에 의해 7일동안 관찰되었다.
1-5 통계학적 분석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실험은 모두 3차례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데이터는 평균±표준 오차로 표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소프트웨어 버전 22.0 및 GraphPad Prism version 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일원 분산 분석(ANOVA)에 이어 P < 0.05, P< 0.01 및 P< 0.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시예 2.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금 나노입자의 특성 확인
2-1.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의 화합물 확인
캘러스를 4주간 배양한 뒤, 캘러스를 확인한 결과(도 2) 우디 고체 배지(B2N2)는, 2,4-D(1 mg/L) 및 BA(0.5 mg/L)가 첨가된 D1BA 0.5배지보다 상당히 성장한 캘러스를 보여주었다. 캘러스 추출물의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서 65분 동안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GC/MS)을 수행하였고(도 2), 그 결과 확인된 추출물에 함유된 물질들을 하기 표 1에 나열하였다.
Number Class Compound Name Area % RT Formula
1 Fatty acid Phosphoric acid 10.61 23.11 H3PO₄
2   2-Butenedioic acid (E) (Fumaric acid) 3.13 25.31 C4H4O4
3   Butanedioic acid (Succinic acid) 2.98 28.90 C4H6O4
4   Propanoic acid 1.49 16.77 C3H6O2
5   Butanoic acid (Butyric acid) 1.33 30.20 C4H8O2
6   Benzoic acid 1.28 22.60 C7H6O2
7   D-Gluconic acid 1.11 49.89 C6H12O7
8   1,2,3-Propanetricarboxylic acid 1.05 41.96 C6H8O6
9   9,12-Octadecadienoic acid (Linoleic acid) 0.97 14.36 C18H32O2
10   Hexadecanoic acid (Palmitic acid) 0.67 51.54 C16H32O2
11   9,12,15-Octadecatrienoic acid (alpha-Linolenic acid) 0.63 14.87 C18H30O2
12   Acetic acid 0.43 17.28 C2H4O2
13   Nonanoic acid 0.24 25.66 C9H18O2
14   Hexanedioic acid (Adipic acid) 0.33 60.24 C6H10O4
15 Food D-Fructose 5.01 44.41 C6H12O6
16 D-Ribofuranose 2.66 39.99 C5H10O5
17 Auxin 3-Isopropyl-2-phenyl-indole 4.89 19.29 C17H17N
18 Amino Acids L-Proline 0.74 29.96 C5H9NO2
19 Glycine 0.62 24.18 C2H5NO₂
20 l-Threonine 0.41 23.82 C4H9NCO2
21 Alanine 0.33 27.44 C3H7NO2
22 Serine 0.23 22.78 C3H7NO3
23 Alcohol Inositol 1.69 52.96 C6H12O6
2-2. 금 나노입자의 특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 함유한 금 나노입자(GNP-HCE)의 제조가 잘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외선 분광법(Ultraviolet spectroscopy)을 통해 300 nm 내지 800 nm의 파장범위에서 확인 하였고, 전계방사형 투과전자 현미경(Field emission-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E-TEM), 고해상도 투과 전자 현미경(High resolution-tra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전자 회절 분석(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Energy-dispersive X-ray) 및 원소 분산 분석법(Elemental distribution analysis)을 200kV에서 작동하는 JEOL사의 JEM-2100F를 활용해서 관찰했고, 푸리에 변환 적외선(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도 활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입자의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의 A 내지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현미경 분석을 통해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의 표면 및 금 입자의 분산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고르게 분포된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의 제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의 E에서는 원소 분석법을 통해 제조된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의 구성 원소를 확인했다.
또한, 도 3의 F에서 전자회절 분석, 도 3의 G에서 X선 회절 분광법 및 도 3의 H 내지 I에서 Raman 분광을 통해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의 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4에서 입자의 크기 분포도를 확인했으며, 도 5에서 푸리에 변환 적외선을 통해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 및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 간 분자 구조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실험의 수행을 통해, 실시예 2에서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의 제조가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세포 배양(Cell culture) 및 생존율 확인
3-1. 세포 배양(Cell culture)
쥐 대식세포인 RAW 264.7은 10%의 열 비활성화된 FBS(heat-inactivated FBS)와 1%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첨가된 DMEM 배지에서 배양되었다. 배양 환경은 37℃ 및 5%의 이산화탄소의 환경으로 가습 인큐베이터(humidified incubator)를 활용하여 조성하였다.
3-2. HCE 및 GNP-HCE의 세포 독성 확인
독성 분석 실험을 위해, 세포들(HaCaT, RAW 264.7)(1Х104 cells/well)은 96웰 플레이트에 분주 후, 24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시험관내 세포 독성은 24시간 동안 다양한 농도의 HCE 및 GNP-HCE를 처리한 후에 분석되었다. 그 후, 100μL의 MTT 용액(0.5mg /mL)을 첨가하고 3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다음, 100μL의 DMSO를 첨가하여 포르마잔 결정(Formazan crystals)을 용해시켰다. 플레이트는 오비탈 쉐이커(Orbital shaker)에 의해 실온에서 15분 동안 혼합되었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Filter Max F5)에 의해 570nm에서 흡광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의 A 및 B에서 HaCaT 세포와 RAW 264.7 세포에 대해서 세포 독성 및 생존율 실험을 했을 때, 도 6의 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HCE, HLE 및 GNP-HCE만 각각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율에 영향이 없어,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 6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LPS를 처리한 경우에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나, HCE, HLE 및 GNP-HCE를 처리하는 경우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고, GNP-HCE는 HCE 및 HLE 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3. HCE 및 GNP-HCE 처리시 일산화 질소 수준의 감소 확인
RAW 264.7 세포는 96 웰플레이트에서 배양되었으며 각각 HCE; GNP-HCE; LPS(1 μg/mL) 및 HCE; LPS(1 μg/mL) 및 GNP-HCE; 를 처리하여 3, 6, 12, 24, 36,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00 μL의 배양 상층액을 다른 96 웰플레이트로 옮긴 후 100 μL의 그리스(Griess) 시약과 반응 시킨 후, 15분 동안 인큐베이션 하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관찰 하였다. 아질산 나트륨의 표준 곡선은 아질산염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그 결과 도 6의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산화질소는 LPS를 처리할 때 증가하며, HCE, HLE 및 GNP-HC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처리하는 경우에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GNP-HCE를 처리하는 경우가 다른 경우보다 보다 낮은 농도로 높은 일산화질소 억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4. 혈액 적합성 분석(Hemocompatibility assay)
건강한 인간으로부터 채취된 혈액(10 mL)은 EDTA 튜브에 모아졌으며, 채취 후 3시간 뒤에 사용되었다. 0.1 mg/mL 내지 1 mg/mL 농도의 SGNPs 및 GSGNPs는 10분 동안 배양되었으며, 실리콘화된 튜브(siliconized tube)에서 10 mL의 혈액(식염수와 1:9 비율로 희석됨)과 1, 6, 12, 24시간 동안 37℃의 온도에서 배양되었다. 배양 후에 1,500 rpm으로 10분동안 원심분리 되었으며, 상층액의 흡광도는 UV-Vis 분광 광도계(UV 1800)에 의해 545 nm에서 측정되었고, 그 결과는 도 6의 D에 나타내었다. 용혈도를 통해 SGNP, HCE보다 세포 내 GSGNPs가 특이적으로 잘 흡수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확인
4-1. HCE 및 GNP-HCE 처리시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감소 확인
세포내 ROS는 Cellular ROS Detection Assay Kit(Ex/Em 490/525 nm)으로 측정되었다. RAW 264.7 세포는 6-웰플레이트에서 22-mm 커버슬립(coverslips)에서 HCE와 GNP-HCE를 각각 상이한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 μL의 산화 스트레스 감지 시약(녹색) 및 슈퍼옥사이드(superoxide)감지 시약(주황색)을 추가한 1 mL의 새로운 배지로 기존의 배지를 바꿔주면서 배양하였다. 그 후, 30분 동안 배양하고, LSM 510 및 510 META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을 활용하여 형광을 관찰 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ROS 수치는 세포에 LPS를 처리했을 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HCE 또는 GNP-HCE를 처리하는 경우에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GNP-HCE를 처리하는 경우에 ROS를 억제해, 낮은 농도로 유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ROS 억제 효과는 HCE가 100 μg/mL, 200 μg/mL의 농도로 처리되는 것보다 GNP-HCE가 60 μg/mL, 90 μg/mL의 농도로 처리되는 것이 ROS의 수치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이 함유된 금 나노입자를 처리하는 것이,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처리하는 것보다 항염증 효과가 좋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4-2. HCE 및 GNP-HCE의 처리 시간에 따른 세포내 섭취(uptake) 확인
RAW 264.7 세포는 6-웰플레이트에서 22-mm 커버슬립에서 상이한 농도의 GNP-HCE로 처리된 후, 24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RAW 264.7 세포는 Mito-TrackeTM Green FM(Ex/Em 490/516 nm) 및 Lyso-Tracker™ Green DND-26(Ex/Em 504/511 nm)를 포함하는 1 mL의 예열 배지와 함께 배양하였다. 30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Leica DM IRB 역 형광 현미경에 의해 형광분석을 수행하였다. 투과전자 현미경과 비교해, 세포내 섭취(uptake)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GNP-HCE를 처리한 후, 30분 및 3시간이 지나고 섭취 정도를 확인했을 때,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GNP-HCE의 세포내 섭취가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4-3. 면역 형광 분석(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통한 HCE 및 GNP-HCE의 LPS 유발 세포자살(apoptosis)의 억제 효과 확인
HCE 및 GNP-HCE가 NF-κB p65의 핵전위에 미치는 영향은 면역 형광 분석에 의해 관찰 되었다. RAW 264.7 세포는 4%의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로 고정되고, 0.1%의 트리톤-X(Triton-X)를 사용하여, 20분 동안 투과화(Permeabilization) 되었다. 그 뒤에 PBS로 3회 세척한 후, 실온에서 PBS에 함유된 2%의 BSA로 차단되었다. 500배로 희석된 NF-κB p65의 항체는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와 컨쥬게이트 되어 있는 2차 항체와 함께 3시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 하였다. PBS로 세척한 후, Hoechst 33258 시약을 처리하였고, Leica fluorescence microscope을 통해 형광을 관찰하였고, Image J software를 통해 형광을 정량화 하였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Hoechst 33258로 핵을 염색하고 관찰을 할 때, HCE 및 GNP-HCE를 LPS와 같이 처리한 그룹은 LPS만 처리한 그룹보다 Hoechst 33258의 파란색 점이 상당히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HCE 및 GNP-HCE는 LPS에 의해 유발된 염색질 중합(chromatin condensation)에 의해 유도된 세포자살(apoptosis)를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LPS는 NF-κB p65의 세포핵으로의 전위(Translocation)을 유도하는데, HCE 또는 GNP-HCE, 특히 GNP-HCE를 처리하는 경우에, NF-κB를 염색한 초록색 형광이 Hoechst 33258로 염색된 파랑색 형광부위에서 그 숫자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한 바, HCE 또는 GNP-HCE, 특히 GNP-HCE가 LPS에 의해 유도된 NF-κB의 전위를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 했다.
4-4. qRT-PCR(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을 통한 염증 인자 mRNA의 발현 감소 확인
RAW 264.7 세포를 HCE 또는 GNP-HCE로 전처리 하고 1시간이 지난 뒤에, LPS(1 μg/mL)를 처리하여 24시간을 배양하였다. 세포의 전체 RNA는 Trizol reagent kit instructions(Invitrogen)에 의해 수집되었다. 500 ng의 전체 RNA를 amfiRivert cDNA Synthesis Platinum Enzyme Mix(GenDEPOT)를 활용하여 역전사 하였다. 역전사 반응은 1 분 동안 60 ℃, 5 분 동안 25℃, 45 분 동안 45℃, 1 분 동안 85℃로 가열하는 순서에 따라 CFX96TM Real Time RT-PCR System with SYBR PremixExTaqTM II(TaKaRa)에 의해 수행되었다. qRT-PCR은 20 μl의 반응 부피(Reaction volume)에 포함된 50 ng cDNA를 amfiSure qGreen Q-PCR Master Mix(GenDEOT)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qRT-PCR에 사용된 염증 관련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는 하기 표 2에 열거 하였다. 비교 대상인 하우스키핑 유전자는 글라이세라이드-3-포스페이트 탈수소 효소(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와 베타액틴(β-actin)을 사용하였다.
Primer Sequence
GAPDH Forward 5'-ACCACAGTCCATGCCATCAC-3'
Reverse 5'-CCACCACCCTGTTGCTGTAG-3'
iNOS Forward 5'-AATGGCAACATCAGGTCGGCCATCACT-3'
Reverse 5'-GCTGTGTGTCACAGAAGTCTCGAACTC-3'
TNF-α Forward 5'-AGCCCACGTCGTAGCAAACCACCAA-3'
Reverse 5'-AACACCCATTCCCTTCACAGAGCAAT-3'
IL-1β Forward 5'-TGCAGAGTTCCCCAACTGGTACATC-3'
Reverse 5'-GTGCTGCCTAATGTCCCCTTGAATC-3'
IL-6 Forward 5'-GTTCTCTGGGAAATCGTGGA-3'
Reverse 5'-TGTACTCCAGGTAGCTATGG-3'
IL-10 Forward 5'-TAGAGCTGCGGACTGCCTTCA-3'
Reverse 5'-GGTCTTCAGCTTCTCACCCAG-3'
Arg1 Forward 5'-ACTGAGGAATGCTGGTCTGGTGGA-3'
Reverse 5'-GCTTCCAACTGCCATACTGTGGTC-3'
Ikkα Forward 5'-GGCCTGTGATGTTCCTGAAGAATT-3'
Reverse 5'-TCGAATCCCAGACCCTATATCACT-3'
NF-κB Forward 5'-TATTTCAACCACAGATGGCACTGC-3'
Reverse 5'-CAGATTTTGACCTGAGGGTAAGAC-3'
HMOX1 Forward 5'-GAATGCTGAGTTCATGAGGAACTT-3'
Reverse 5'-GCCTTGCGGTGCAGCTCT-3'
Nrf2 Forward 5'-GGTTGCCCACATTCCCAAATC-3'
Reverse 5'-CAAGTGACTGAAACGTAGCCG-3'
PIK3CA Forward 5'-AGCTGTGGATCTTAGGGACCTCA-3'
Reverse 5'-ACCATGACTGTGTACCAGAACAA-3'
AKT1 Forward 5'-TACTACGCCATGAAGATCCTCAA-3'
Reverse 5'-TCTGGAAAGAGTACTTCAGGGCT-3'
AKT2 Forward 5'-TCCATGTAGACTCTCCAGATGAGA-3'
Reverse 5'-GACAGCTACCTCCATCATCTCAGA-3'
FOXO3 Forward 5'-TACTTCAAGGATAAGGGCGACA-3'
Reverse 5'-GCTCTTGGTATACTTGTTGCTA-3'
TSC1 Forward 5'-AGTGACTGGATCCAAGGACCATGA-3'
Reverse 5'-CGATGAGGAAAGCGGGCTGAGATT-3'
RHEB Forward 5'-TTGTTGGATATGGTGGGG-3'
Reverse 5'-GCATTCCAAGATTCTGCC-3'
Rps6kb1 Forward 5'-CTCCCTACCTCACACAAGAAGCTC-3'
Reverse 5'-GAAGTTCTTCCCAGTTAATGTGTC-3'
상기 실시예 4-3에서 HCE 또는 GNP-HCE의 처리 그 중에서도 GNP-HCE를 처리하는 경우, NF-κB p65의 전위를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존의 면역형광 분석법으로 확인했기에, qRT-PCR을 통해 도 10의 모식도에 개시된 바와 같이, NF-κB의 신호전달 경로에 있는 TNF-α, IL-6, IL-1β, NO, 및 iNOS의 발현 또한 억제된다는 사실 및 GNP-HCE의 처리는 항염증의 중요한 이펙터(effector)인 Nrf2와 일산화질소의 전반적인 생산을 억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HO-1의 발현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도 11).
4-5. 웨스턴 블롯 분석(Western blot analysis)을 통한 염증 인자 발현의 감소 확인
RAW 264.7 세포는 60-mm 접시에서 24시간 동안 성장한 후, HCE (100 또는 200 μg/mL), GNP-HCE(60 및 90 μg/mL)를 처리했다. 그 후, 세포 펠릿을 수집하여 1시간동안 PierceTM RIPA Buffer(Thermo Fisher Scientific)에 의해 용해시켰다. 세포 용해물은 및 4℃에서 20분 동안 12,000rpm으로 원심분리 하여 준비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소 혈청 알부민과 Protein Assay Dye Reagent Concentrate(Bio-Rad)를 이용해 정량화 하였다. 단백질(50 μg)은 10%의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에 로딩 되었고, Electrophoresis Chamber System and iBlot 2 Dry Blotting System(Thermo Fisher Scientific)을 사용하여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막으로 옮겨졌다. 4℃에서 1차 항체와 밤새 배양한 후, 막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TBST(Tris-Buffered Saline)(150 mmol/L NaCl, 50 mmol/L Tris-HCL, PH 7.5 및 0.1% Tween 20)의 5%의 탈지유로 차단하였다. TBST로 3차례 세척한 후, 막을 horseradish peroxidase와 결합된 2차 항체와 1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면역 반응성 밴드(Immunoreactive bands)는 West-Q Pico ECL Solution(GenDEPOT)에서 나타났고, Alliance MINI HD9 AUTO Western Blot Imaging System(UVltec Limited)에 의해 이미지화 되고, Image J software에 의해 정량화 하였다.
그 결과, LPS만 처리한 세포에 비해 HCE 또는 GNP-HCE를 처리한 세포의 경우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κBα, p-IKKα/β, p-NF-κB의 발현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또한 HCE 또는 GNP-HCE를, 특히 GNP-HCE를 처리한 경우에, 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MAPK 패밀리인 JNK1/2, ERK1/2 및 p38MAPK의 단백질 발현이 LPS만 처리한 세포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어 정상수준으로 회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GNP-HCE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LPS만 처리한 세포에 비해 HCE 또는 GNP-HCE를 처리한 세포의 경우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GNP-HCE를 처리한 그룹의 경우 LPS만 처리한 그룹에 비해, PI3K, AKT, mTORC1가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GNP-HCE의 처리는 세포에서 염증 제거를 위한 자가 대식작용(Autophagy)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상기 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무궁화(Hibiscus Syriacus)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무궁화(Hibiscus Syriacus)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는,
    a) 무궁화 캘러스로부터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된 4mg/mL의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0.5mM의 금(Gold(III) chloride trihydrate)과 80℃ 및 pH 2.5 조건에서 60분 동안 반응시켜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물을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LPS(Lipopolysaccharides)에 의해 유도된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일산화질소(NO)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NOS, TNF-α, IL-1β 및 IL-6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무궁화(Hibiscus Syriacus)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무궁화(Hibiscus Syriacus)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는,
    a) 무궁화 캘러스로부터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된 4mg/mL의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0.5mM의 금(Gold(III) chloride trihydrate)과 80℃ 및 pH 2.5 조건에서 60분 동안 반응시켜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물을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097515A 2020-08-04 2020-08-04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97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515A KR102397659B1 (ko) 2020-08-04 2020-08-04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515A KR102397659B1 (ko) 2020-08-04 2020-08-04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247A KR20220017247A (ko) 2022-02-11
KR102397659B1 true KR102397659B1 (ko) 2022-05-13

Family

ID=8026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515A KR102397659B1 (ko) 2020-08-04 2020-08-04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6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844B1 (ko) * 2019-06-17 2019-10-21 (주)에스디생명공학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844B1 (ko) * 2019-06-17 2019-10-21 (주)에스디생명공학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Nanomedicine, 2019, 14, pp.2945-295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247A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pta et al. Neuroprotective potential of ellagic acid: a critical review
US7579023B2 (en) Method of preparation and composition of a water soluble extract of the bioactive component of the plant species Uncaria for enhancing immune, anti-inflammatory, anti-tumor and DNA repair processes of warm blooded animals
JP4205943B2 (ja) 天然および合成hcaのバイオアベイラブルな組成物
US2006005723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pharmaceutical/nutraceutical agent and a bio-enhancer obtained from Glycyrrhiza glabra
TW200800140A (en) Antimicrobial agent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TW201043144A (en) A method for producing a nutraceutical composition and the nutraceutical produced by the method
CN105482129B (zh) 抗癌萃取物及化合物
JP2008526737A (ja) 虚血性疾患及び退行性脳疾患の予防と治療のためのイネ科植物抽出物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Tatli et al. Traditional us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Verbascum species
Okwu et al. Evaluation of the phytochemical composition of mango (Mangifera indica Linn) stem bark and leaves
JP5327958B2 (ja) 優れた抗癌活性の漆抽出物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抗癌薬剤組成物
JP4686173B2 (ja) ポリフェノールおよび/またはビタミンcを含有するアセロラ処理物
CN113332244A (zh) 一种抗病毒口腔喷剂及制备方法
JP2009500446A (ja) ケヨノミの抽出物を含む肝臓疾患予防及び治療効果を有する薬剤学的組成物
JP2001342142A (ja) 泌尿器系疾患予防治療用組成物
KR100976241B1 (ko) 알코올분해 및 숙취해소용 돌나물 분획물
KR20170082249A (ko) 참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치료 부작용에 따른 소화기능장애, 백혈구 감소증 및 골수부전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97659B1 (ko)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23400B1 (ko)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JP2005023000A (ja) 抗菌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食品製剤及び消毒剤
KR100807809B1 (ko) 히비스커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용 약학조성물
KR101645721B1 (ko)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유향 함유 조성물
WO2006115202A1 (ja) ニコチンの毒性軽減組成物
Upase et al. A review on Phytosome loaded with novel herbal drug and their formulation, standardization and applications
WO2022025852A1 (en) Gel formulation prepared with okra fruit extract and use of the gel formulation as a wound hea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