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437B1 -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 Google Patents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437B1
KR102397437B1 KR1020217007435A KR20217007435A KR102397437B1 KR 102397437 B1 KR102397437 B1 KR 102397437B1 KR 1020217007435 A KR1020217007435 A KR 1020217007435A KR 20217007435 A KR20217007435 A KR 20217007435A KR 102397437 B1 KR102397437 B1 KR 102397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axial force
measurement
sett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0443A (ko
Inventor
고지 니시가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for measuring force,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23P19/065Arrangements for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screw or nut setting machines
    • B23P19/066Arrangements for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screw or nut setting machines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1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46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screws and nuts, screw-gears or c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axial thrust in a rotary shaft, e.g. of propulsion pl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etermining value of torque or twisting moment for tightening a nut or other member which is similarly stress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etermining value of torque or twisting moment for tightening a nut or other member which is similarly stressed
    • G01L5/24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etermining value of torque or twisting moment for tightening a nut or other member which is similarly stressed using acoustic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파라미터에 의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신뢰성 높게 설정할 수 있는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은, 측정용 나사(11)를 측정용 나사구멍(13a)에 나사맞춤시키는 나사맞춤 단계와, 나사맞춤 단계에서의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파라미터 취득 단계와, 측정용 나사의 축력에 기초하여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하는 바닥 닿음 판정 단계와, 바닥 닿음 판정 단계에서의 판정 결과와 파라미터를 대조하여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설정하는 판정 기준 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본 발명은, 나사 조임에서의 바닥 닿음 불량을 판정하기 위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사 조임 장치에 의한 나사 조임에서, 바닥 닿음 등의 들뜸이 생긴 경우, 축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체결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나사의 좌면과 피체결물 사이에 틈이 있는 경우에는, 바닥 닿음이 생기는 것을 검지할 수 있는데, 나사의 좌면과 피체결물 사이에 틈이 없는 경우에도 바닥 닿음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바닥 닿음은, 나사의 축력을 계측함으로써 검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축력계 붙이 너트런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축력계 붙이 너트런너는, 볼트 머리 부분을 전자력에 의해 세로 진동시키는 진동 생성체 및 이 세로 진동을 검출하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진동 검출체를 가진 프로브를 구비한다. 축력계 붙이 너트런너는, 진동 생성체에 의해 볼트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그 진동을 진동 검출체로 검출하며, 그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로 처리하여 공진 진동수를 산출하고, 볼트 축력(볼트 체결력)과 대응시킨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축력계 붙이 너트런너는, 축력을 계측하기 위한 프로브를 구비하기 때문에, 통상의 너트런너와 비교하여 부품수 및 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너트런너의 부품수 및 비용을 증대시키지 않고 바닥 닿음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축력계를 구비하지 않는 통상의 너트런너에서 얻어지는 계측값에 기초한 파라미터에 의해 바닥 닿음 검출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진동 생성체에 의해 볼트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그 진동을 진동 검출체로 검출하며, 그 검출 신호를 제어장치로 처리하여 공진 진동수를 산출하고, 볼트 축력과 대응시킴으로써 축력을 계측하고 있다. 이 경우, 간접적으로 축력을 계측하고 있으므로, 그 계측 결과의 정밀도는 낮아, 잘못 판정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04-291217호 공보(2004년 10월 21일 공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파라미터에 의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신뢰성 높게 설정할 수 있는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은, 나사 조임에서의 바닥 닿음에 대해 판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으로서, 소정 깊이의 측정용 나사 구멍을 가진 나사 구멍 부재와, 상기 측정용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된 측정용 나사의 좌면(座面)과 상기 나사 구멍 부재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을 계측하는 축력 계측 장치를 구비하는 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용 나사를 상기 측정용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시키는 나사맞춤 단계와, 상기 나사맞춤 단계에서의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파라미터 취득 단계와, 상기 좌면과 상기 나사 구멍 부재 사이에 인가되는 상기 측정용 나사에 의한 축력을 상기 축력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하는 축력 계측 단계와, 상기 축력에 기초하여,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하는 바닥 닿음 판정 단계와, 상기 바닥 닿음 판정 단계에서의 판정 결과와, 상기 파라미터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파라미터를 대조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에 의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설정하는 판정 기준 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에 의하면, 파라미터에 의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신뢰성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준 설정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나사 조임된 체결용 나사의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좌면이 피체결물로부터 들떠 있는 상태, (b)는 좌면이 피체결물에 접촉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a) 및 (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4종류의 나사에 대해, 로드 셀에 의해 축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에 의해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의 설정을 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기준 설정 장치가 참조하는 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실시의 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라고도 표기함)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 적용예
도 2는, 피체결물(102)이 체결용 나사(101)에 의해 체결물(103)에 체결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좌면이 피체결물(102)로부터 들떠 있는 상태, (b)는 좌면이 피체결물(102)에 접촉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나사 조임에서, 실수로, 본래 사용해야 할 나사보다 긴 나사를 사용했을 경우, 나사 구멍이 얕은 경우, 및 나사 구멍에 이물질이 들어가 있는 경우 등에, 나사 조임 도중에 나사의 선단이 나사 구멍의 바닥에 접촉하는, 바닥 닿음이라고 불리는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불량이 발생하면, 나사의 선단이 나사 구멍의 바닥에 도달함으로써, 규정의 토크가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 나사가 충분한 체결력을 발휘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용 나사(101)의 좌면이 피체결물(102)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면, 좌면과 피체결물(102) 사이의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리(d)가 측정 가능하면, 바닥 닿음이 발생되어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용 나사(101)의 좌면이 피체결물(102)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바닥 닿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도 2의 (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거리(d)에 의해서는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할 수 없다.
도 3의 (a) 및 (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용 나사(101)가 체결물(103)에 대해 길이(L)만큼 나사맞춤되고, 체결물(103)에 피체결물(102)을 체결시킨 상태에서의, 체결용 나사(101)의 축력을 측정한다. 그렇지만, 실제로 체결용 나사(101)가 체결물(103)에 피체결물(102)을 체결시킨 상태에서는, 축력을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 등의 고가의 장치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는 축력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측정 정밀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용 나사(11)에 의해 나사 구멍 부재(13)에 피체결물(102)을 체결시킨 상태에서의 축력을, 피체결물(102)과 나사 구멍 부재(13) 사이에 배치한 로드 셀(14)(축력 계측 장치)에 의해 측정한다. 나사 구멍 부재(13)는, 소정 깊이의 측정용 나사 구멍(13a)을 갖는다. 로드 셀(14)은, 측정용 나사 구멍(13a)에 나사맞춤된 측정용 나사(11)의 좌면(11a)과 나사 구멍 부재(13)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을 계측한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하면, 측정용 나사(11)의 좌면(11a)과 나사 구멍 부재(13)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 즉 축력을 직접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도 4는, 4종류의 나사에 대해, 로드 셀(14)에 의해 축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그래프에서는, 세로축이 축력을 나타내고, 가로축이 복수회 측정했을 때의 분포(확률 밀도)를 나타낸다. 도 4에는, 왼쪽에서부터 차례로 이하의 축력이 나타내어져 있다.
(A) 충분한 체결력을 갖는 것이 이미 알려진, 샘플로서의 측정용 나사(11)의 축력
(B) 나사 조임의 결과, 좌면이 피체결물에 접촉해 있는 나사의 축력(1)
(C) 나사 조임의 결과, 좌면이 피체결물에 접촉해 있는 나사의 축력(2)
(D) 나사 조임의 결과, 좌면이 피체결물에 접촉하지 않은 나사의 축력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에서는, 도 4에 나타낸 4 종류의 그래프 중, (A) 또는 (B)의 그래프와 같은 축력을 가진 나사의 축력에 대해서는 바닥 닿음 없음으로 판정한다. 한편, (C) 또는 (D)의 그래프와 같은 축력을 가진 나사의 축력에 대해서는 바닥 닿음 있음으로 판정한다.
(B) 및 (C)의 나사의 축력은 모두, 좌면이 피체결물에 접촉해 있기 때문에, 좌면과 피체결물 사이의 거리(d)에 의해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축력에 의해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B)의 축력을 가진 나사에는 바닥 닿음이 없고, (C)의 축력을 가진 나사에는 바닥 닿음이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에서는, 나사 조임에서의 파라미터와 축력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바닥 닿음의 유무를 대조함으로써, 그 파라미터에 의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시도한다. 그리고,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그 파라미터가 바닥 닿음의 유무에 대해 판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2 구성예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준 설정 시스템(1)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설정 시스템(1)은, 측정용 나사(11), 피체결물(102), 계측 시스템(2) 및 플랜지붙이 와셔(15)를 구비한다. 또한, 기준 설정 시스템(1)은, 파라미터에 대해 기준을 설정하는 기준 설정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측정용 나사(11)의 나사 조임을 행하는 나사 조임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한다. 계측 시스템(2)은, 상술한 나사 구멍 부재(13) 및 로드 셀(14)을 구비한다.
플랜지붙이 와셔(15)는, 측정용 나사(11)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로드 셀(14)의 상하에 배치되는 환상(環狀)의 부재이다. 따라서, 로드 셀(14)은, 상측에 배치된 플랜지붙이 와셔(15)를 개재하여 피체결물(102)에 접촉하고, 하측에 배치된 플랜지붙이 와셔(15)를 개재하여 나사 구멍 부재(13)에 접촉한다.
측정용 나사(11)는, 체결용 나사(101)와 비교하여, 로드 셀(14) 및 플랜지붙이 와셔(15)의 두께 부분만큼 길다. 또한, 측정용 나사(11)가 나사 구멍 부재(13)에 나사맞춤되는 길이(L)는, 체결용 나사(101)가 체결물(103)에 나사맞춤되는 길이(L)와 같다. 따라서, 측정용 나사(11)의 나사 조임의 공정에서의 파라미터, 및 나사 조임 완료시의 축력은, 체결용 나사(101)의 나사 조임의 공정에서의 파라미터, 및 나사 조임 완료시의 축력과 각각 같아진다.
나사 조임 장치는, 측정용 나사(11)를 측정용 나사 구멍(13a)에 나사맞춤시키는 나사 조임을 행한다. 나사 조임 장치는, 기준 설정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기준 설정 장치는, 나사 조임에서의 바닥 닿음에 대해 판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을 실행한다.
§3 동작예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에 의해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의 설정을 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드라이버의 축방향에서의 위치의 최대값을, 기준을 설정하는 파라미터로 하고 있다. 도 5에서, 가로축은 측정용 나사(11)의 좌면의, 피체결물(102)로부터의 들뜸, 세로축은 나사 조임 공정에서의 드라이버의 축방향에서의 위치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측정용 나사(11)의 좌면의, 피체결물(102)로부터의 들뜸에 대해, 단순히 「좌면의 들뜸」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그래프에서는, 데이터점이 존재하는 영역은, 영역 R1과 R2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영역 R1은 영역 R11과 R12로 구분되어 있다.
영역 R2는, 좌면의 들뜸이 0mm보다도 큰 데이터점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이다. 데이터점이 영역 R2에 포함되는 나사에서는, 모두 바닥 닿음이 발생하였다.
영역 R1은, 좌면의 들뜸이 0mm인 데이터점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이다. 데이터점이 영역 R1에 포함되는 나사 중, 데이터점이 영역 R11에 포함되는 나사에서는, 모두 바닥 닿음이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데이터점이 영역 R12에 포함되는 나사에서는, 모두 바닥 닿음이 발생하였다.
영역 R11과 R12는, 드라이버의 축방향에서의 위치의 최대값에 대해, 문턱값(TH)을 경계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영역 R2에 포함되는 데이터점도, 드라이버의 축방향에서의 위치의 최대값은 모두 문턱값(TH) 미만이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의 축방향에서의 위치의 최대값이 문턱값(TH) 이상인지 여부에 의해, 나사가 체결력을 갖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기준 설정 장치는, 드라이버의 축방향에서의 위치의 최대값에 대해, 문턱값(TH)을 바닥 닿음 판정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설정 장치는, 드라이버의 축방향에서의 위치의 최대값 외에, 그 위치의 평균값 또는 최소값에 대해서도, 나사 조임에서의 축력에 대해 판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에 의해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설정해도 된다. 또한, 기준 설정 장치는, 드라이버의 축방향에서의 이동 속도, 회전 속도 또는 회전량의, 평균값,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대해서도, 나사 조임에서의 축력에 대해 판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하여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설정해도 된다.
또, 파라미터의 종류에 따라서는, 문턱값(TH)과 같은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설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기준 설정 장치는, 그 파라미터에 대해, 나사의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적절하지 않다고 평가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기준 설정 장치는, 나사 조임 장치에 의해, 측정용 나사(11)를 측정용 나사 구멍(13a)에 나사맞춤시킨다(S1, 나사맞춤 단계). 그 다음에, 기준 설정 장치는, 나사 조임의 공정에서의 파라미터를 취득한다(S2, 파라미터 취득 단계). 이어서, 기준 설정 장치는, 측정용 나사(11)의 좌면과 나사 구멍 부재(13) 사이에 인가되는, 측정용 나사(11)에 의한 축력을, 로드 셀(14)에 의해 계측한다(S3, 축력 계측 단계). 또한, 기준 설정 장치는, 계측한 축력에 기초하여,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한다(S4, 바닥 닿음 판정 단계).
그 후, 기준 설정 장치는, 파라미터의 취득 및 바닥 닿음의 측정을, 소정 수의 나사에 대해 실행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5). 파라미터의 취득 및 바닥 닿음의 측정을, 소정 수의 나사에 대해 실행했을 경우(S5에서 "예"), 기준 설정 장치는, 바닥 닿음 판정 단계에서의 판정 결과와, 파라미터를 대조함으로써, 파라미터에 의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설정한다(S6, 판정 기준 설정 단계). 한편, 파라미터의 취득 및 바닥 닿음의 측정을, 소정 수의 나사에 대해 실행하지 않은 경우(S5에서 "아니오"), 기준 설정 장치는, 다른 나사에 대해 다시 한번 단계 S1~S4를 실행한다. 소정 수에 대해서는, 기준 설정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판정 기준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타당한 수를 적당히 설정되면 되고, 예를 들어 35로 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에 의하면, 기준 설정 장치는, 파라미터에 의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신뢰성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기준 설정 장치가 참조하는 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준 설정 장치는, 상술한 바닥 닿음 판정 단계에서, 측정용 나사(11)가 측정용 나사 구멍(13a)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길이와 바닥 닿음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축력의 범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를 참조하여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해도 된다. 도 7에는, 측정용 나사(11)가 측정용 나사 구멍(13a)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길이가 L1인 경우에, 바닥 닿음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축력의 하한이 F1인 것, 즉 바닥 닿음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축력의 범위가 F1 이상인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측정용 나사(11)가 측정용 나사 구멍(13a)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길이가 L2인 경우에, 바닥 닿음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축력의 하한이 F2인 것, 즉 바닥 닿음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축력의 범위가 F2 이상인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나사의 체결에 의한 축력은, 나사가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길이에 따라 변화한다. 기준 설정 장치는, 도 7에 나타내는 표를 참조하여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함으로써, 나사가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길이에 대응한 바닥 닿음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이 표에서는, 바닥 닿음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는 축력의 범위를 고려하고 있으므로, 축력의 불균일에 의한 바닥 닿음의 유무의 판정에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4 변형예
기준 설정 시스템(1)의 기준 설정 장치는, 집적 회로(IC칩) 등에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기준 설정 시스템(1)은, 각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컴퓨터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로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로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등 외에, 테이프, 디스크, 카드, 반도체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회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그 프로그램을 전송 가능한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개재하여 상기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 프로그램이 전자(電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매립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당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마무리)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은, 나사 조임에서의 바닥 닿음에 대해 판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으로서, 소정 깊이의 측정용 나사 구멍을 가진 나사 구멍 부재와, 상기 측정용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된 측정용 나사의 좌면과 상기 나사 구멍 부재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을 계측하는 축력 계측 장치를 구비하는 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용 나사를 상기 측정용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시키는 나사맞춤 단계와, 상기 나사맞춤 단계에서의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파라미터 취득 단계와, 상기좌면과 상기 나사 구멍 부재 사이에 인가되는 상기 측정용 나사에 의한 축력을 상기 축력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하는 축력 계측 단계와, 상기 축력에 기초하여,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하는 바닥 닿음 판정 단계와, 상기 바닥 닿음 판정 단계에서의 판정 결과와, 상기 파라미터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파라미터를 대조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에 의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설정하는 판정 기준 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우선, 측정용 나사를 측정용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시키는 나사맞춤 단계에서의 파라미터가 취득된다. 또한, 측정용 나사의 좌면과 나사 구멍 부재 사이에 인가되는 측정용 나사에 의한 축력에 기초하여, 바닥 닿음의 유무가 판정된다.
여기서, 축력은, 측정용 나사의 좌면과 상기 나사 구멍 부재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을 계측함으로써 측정되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측정을 행할 수 있다. 이 정밀도가 높은 축력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바닥 닿음 판정이 행해지고, 이 판정 결과와, 파라미터를 대조함으로써, 파라미터에 의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이 설정된 파라미터에 의한 바닥 닿음 판정은,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파라미터에 의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신뢰성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은, 상기 바닥 닿음 판정 단계에서, 상기 측정용 나사가 상기 측정용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길이와 바닥 닿음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는 축력의 범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를 참조하여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한다.
나사의 체결에 의한 축력은, 나사의 재질 및 좌면의 마찰 계수 등의 조건이 동일한 경우, 나사가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길이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나사가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길이에 대응한 바닥 닿음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바닥 닿음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는 축력의 범위를 고려하고 있으므로, 축력의 불균일에 의한, 바닥 닿음의 유무의 판정에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프로그램은, 상기 파라미터 취득 단계와, 상기 축력 계측 단계와, 상기 바닥 닿음 판정 단계와, 상기 판정 기준 설정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2 계측 시스템
11 측정용 나사
11a 좌면
13 나사 구멍 부재
13a 측정용 나사 구멍
14 로드 셀(축력 계측 장치)

Claims (3)

  1. 나사 조임에서의 바닥 닿음에 대해 판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으로서,
    소정 깊이의 측정용 나사 구멍을 가진 나사 구멍 부재와, 상기 측정용 나사구멍에 나사맞춤된 측정용 나사의 좌면(座面)과 상기 나사 구멍 부재 사이에 인가되는 압축력을 계측하는 축력 계측 장치를 구비하는 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용 나사를 상기 측정용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시키는 나사맞춤 단계와,
    상기 나사맞춤 단계에서의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파라미터 취득 단계와,
    상기 좌면과 상기 나사 구멍 부재 사이에 인가되는 상기 측정용 나사에 의한 축력을 상기 축력 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하는 축력 계측 단계와,
    상기 축력에 기초하여,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하는 바닥 닿음 판정 단계와,
    상기 바닥 닿음 판정 단계에서의 판정 결과와, 상기 파라미터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파라미터를 대조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에 의한 바닥 닿음 판정 기준을 설정하는 판정 기준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닿음 판정 단계에서, 상기 측정용 나사가 상기 측정용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길이와 바닥 닿음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할 수 있는 축력의 범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를 참조하여 바닥 닿음의 유무를 판정하는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
  3. 청구항 1에 기재된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로서, 상기 파라미터 취득 단계와, 상기 축력 계측 단계와, 상기 바닥 닿음 판정 단계와, 상기 판정 기준 설정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217007435A 2018-10-29 2019-09-25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397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03048 2018-10-29
JP2018203048A JP6973352B2 (ja) 2018-10-29 2018-10-29 底付き判定基準設定方法
PCT/JP2019/037510 WO2020090293A1 (ja) 2018-10-29 2019-09-25 底付き判定基準設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443A KR20210040443A (ko) 2021-04-13
KR102397437B1 true KR102397437B1 (ko) 2022-05-12

Family

ID=7046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435A KR102397437B1 (ko) 2018-10-29 2019-09-25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59898B2 (ko)
EP (1) EP3875935A4 (ko)
JP (1) JP6973352B2 (ko)
KR (1) KR102397437B1 (ko)
CN (1) CN112654847B (ko)
WO (1) WO202009029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821B1 (ko) 2006-03-01 2011-09-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나사 조임 제어 시스템 및 나사 조임 제어 방법
CN105606289A (zh) 2016-03-17 2016-05-25 西北工业大学 一种螺栓拧紧力矩系数测量装置
KR101842048B1 (ko) 2016-10-11 2018-05-14 (주)이큐브시스템 나사의 축력 및 마찰토크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4582A (ja) * 1984-08-07 1986-03-04 マツダ株式会社 ナツトランナ−における塑性締め良否判定方法
JPS6291609U (ko) 1985-11-29 1987-06-11
JP2944004B2 (ja) 1991-04-30 1999-08-30 日立建機株式会社 超音波ボルト軸力測定装置
DE4400709B4 (de) * 1993-01-13 2005-06-23 Denso Corp., Kariya Schraubenfestziehvorrichtung
US5549169A (en) * 1993-01-13 1996-08-27 Nippondenso Co., Ltd. Screw tightening apparatus
JP2953292B2 (ja) 1994-02-07 1999-09-27 株式会社デンソー ねじ締め装置
US6782594B2 (en) * 1997-12-30 2004-08-31 Ralph S. Shoberg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ting a tension load in the threaded fastener
US6501211B1 (en) * 2001-07-13 2002-12-31 Masoud Nasrollahzadeh Ultra-sonic transducer assembly incorporated into a printed circuit board for determining tension forces in a bolt
JP3719240B2 (ja) * 2002-08-30 2005-11-2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ボルトの軸力測定装置
JP4329377B2 (ja) * 2003-03-28 2009-09-09 センサ・システム株式会社 軸力計付きナットランナー
FR2871231B1 (fr) 2004-06-02 2006-09-15 Skf Ab Procede de controle de la mise sous tension d'une tige, du type vis ou goujon d'assemblage,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DE102005044917A1 (de) 2005-09-20 2007-04-19 As Tech Industrie- Und Spannhydraulik Gmbh Anordnung zur Erfassung von Messgrößen in Schraubverbindungen
JP2011073105A (ja) * 2009-09-30 2011-04-14 Fujitsu Peripherals Ltd ネジのネジ込み量の管理方法および装置
JP5618406B2 (ja) * 2010-02-01 2014-11-05 有限会社井出計器 ネジ締付け診断装置及び電動ドライバ
JP5733122B2 (ja) * 2011-09-12 2015-06-10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螺子締め装置および螺子浮き判定方法
CN103364129B (zh) * 2013-07-31 2015-09-09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螺纹紧固件轴力测量方法及其测量装置
JP6166222B2 (ja) * 2014-05-20 2017-07-19 株式会社ダイセル フランジ締結スキル判定装置及びフランジ締結スキル判定プログラム
JP6291609B1 (ja) * 2017-03-24 2018-03-14 日東工器株式会社 自動設定可能な電動ドライバ制御装置
CN108458825A (zh) * 2018-02-28 2018-08-28 易克威系统株式会社 螺丝的轴向力和摩擦扭矩测量装置及利用该装置的测量方法
JP7443931B2 (ja) * 2020-05-27 2024-03-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ネジ締め装置、およびネジ締め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821B1 (ko) 2006-03-01 2011-09-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나사 조임 제어 시스템 및 나사 조임 제어 방법
CN105606289A (zh) 2016-03-17 2016-05-25 西北工业大学 一种螺栓拧紧力矩系数测量装置
KR101842048B1 (ko) 2016-10-11 2018-05-14 (주)이큐브시스템 나사의 축력 및 마찰토크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0293A1 (ja) 2020-05-07
US20210346995A1 (en) 2021-11-11
EP3875935A1 (en) 2021-09-08
JP6973352B2 (ja) 2021-11-24
KR20210040443A (ko) 2021-04-13
CN112654847A (zh) 2021-04-13
JP2020071056A (ja) 2020-05-07
US11759898B2 (en) 2023-09-19
EP3875935A4 (en) 2022-09-28
CN112654847B (zh)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380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rack detection in a metallic material
US8372252B2 (en) Method for setting a distance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US20110112796A1 (en) Curvature-Based Edge Bump Quantification
JP2018124205A (ja) 劣化診断方法、劣化診断システム及びセンサ
KR102397437B1 (ko) 바닥 닿음 판정 기준 설정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Moctezuma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coustic emission hit detection methods using time features
JP5332306B2 (ja) プレス工程の荷重変曲点検出方法及び装置
US20110196628A1 (en) Deterioration detection circuit
CN105527978B (zh) 提离值控制装置及控制方法
US20060047453A1 (en) Quality analysis including cumulative deviation determination
US7038446B1 (en) Dual coil probe for detecting geometric differences while stationary with respect to threaded apertures and fasteners or studs
US11117228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US11449690B2 (en) Card reader and control method therefof
JP7096544B2 (ja) ねじ締付装置及びねじ締付方法
Tangjitsitcharoen et al. Hybrid monitoring of chip formation and straightness in CNC turning by utilizing daubechies wavelet transform
US11519796B2 (en) Stress-induced magnetic field signal acquisition method and stress measurement method based thereon
JPH029554A (ja) 切削用工具損傷検出装置
KR102606705B1 (ko) 나사 체결 불량 판정 장치, 나사 체결 장치, 나사 체결 불량 판정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WO2022107807A1 (ja) 厚み測定装置および厚み測定方法
CN113297538B (zh) 一种非铁磁性材料应力损伤监测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JP2020085515A (ja) 振動特性検出装置、および振動特性検出方法
US116562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dimension of semiconductor structure
US20230408352A1 (en) Rotary member inspection method and rotary member inspection apparatus
US20080231636A1 (en) Method of recognizing waveforms and dynamic fault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10823082A (zh) 一种尾柄颈部壁厚原位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