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705B1 - 환기 인클로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기 인클로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705B1
KR102396705B1 KR1020207011626A KR20207011626A KR102396705B1 KR 102396705 B1 KR102396705 B1 KR 102396705B1 KR 1020207011626 A KR1020207011626 A KR 1020207011626A KR 20207011626 A KR20207011626 A KR 20207011626A KR 102396705 B1 KR102396705 B1 KR 102396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relief valve
fluid
flow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438A (ko
Inventor
스콧 앨런 포드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00060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 F16K15/147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the closure elements having specially formed slits or being of an elongated easily collapsibl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6Drip trays for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2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material injected between a non-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harden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증기 압축 시스템(14)의 인클로저(140)에 관한 것이고, 컴포넌트(142)는 인클로저(140) 내에 배치된다. 컴포넌트(142)는 증기 압축 시스템(14)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되고 유체의 흐름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인클로저(140)는 인클로저(140)의 부분(179) 내 구멍(182) 및 인클로저(140)의 구멍(182) 내에 배치된 릴리프 밸브(152)를 포함하고, 릴리프 밸브(152)는 유체의 흐름을 제1 방향(200)으로 릴리프 밸브(152) 내 통로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통로는 인클로저(140)의 내부 구역(145)으로부터 인클로저(140)의 외부의 환경(144)으로 연장된다. 릴리프 밸브(152)는 제2 방향으로의 통로를 통한 제2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200)과 반대이다.

Description

환기 인클로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제62/564,091호(발명의 명칭: "SYSTEMS AND METHODS FOR VENTING ENCLOSURE", 출원일: 2017년 9월 27일)의 우선권 및 이득을 주장하고, 상기 기초출원은 모든 목적을 위해 전문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가열, 환기, 공기 조화 및 냉동(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HVAC&R)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HVAC&R 장치의 인클로저(enclosure)를 환기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 부문은 아래에 설명 및/또는 주장되는, 본 기법의 다양한 양상과 관련될 수 있는 기술의 다양한 양상을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의도된다. 이 논의는 독자에게 배경 정보를 제공하여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의 더 나은 이해를 용이하게 할 때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서술이 어떤 종류의 허용이 아닌, 이러한 견지에서 읽혀지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가열, 환기, 공기 조화 및 냉동(HVAC&R) 시스템은 환경(예를 들어, 건물, 주택 또는 다른 구조물)을 열적으로 조절(예를 들어, 냉동)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HVAC&R 시스템은 열 에너지(예를 들어, 열)를 HVAC&R 시스템과 환경 간에서 전달하는, 열 교환기, 예컨대, 응결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서, 인클로저는 모터와 같은, 증기 압축 시스템의 컴포넌트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는 다양한 컴포넌트, 예컨대,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를 수용할 수 있다. 인클로저 내 컴포넌트는 가압될 수 있고, 일부 경우에서, 유체(예를 들어, 냉매)는 인클로저로 배출될 수 있다.
전형적인 인클로저는 인클로저의 덮개판 내에 복수의 루버(louver)(예를 들어, 절삭된 슬롯 및/또는 스탬핑된 슬롯)를 포함할 수 있다. 루버는 인클로저 내 유체를 환경으로 환기시킬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루버는 제작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고, 오염물질(예를 들어, 먼지)이 루버를 통해 따라서 인클로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추가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영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GB 2322440 (공개일자: 1998.08.26)
본 개시내용은 증기 압축 시스템의 인클로저에 관한 것이고, 컴포넌트는 인클로저 내에 배치된다. 컴포넌트는 증기 압축 시스템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되고 유체의 흐름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인클로저는 인클로저의 부분 내 구멍 및 인클로저의 구멍 내에 배치된 릴리프 밸브(relief valve)를 포함하고, 릴리프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제1 방향으로 릴리프 밸브 내 통로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통로는 인클로저의 내부 구역으로부터 인클로저의 외부의 환경으로 연장된다. 릴리프 밸브는 제2 방향으로의 통로를 통한 제2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인클로저 내 컴포넌트를 가진 증기 압축 시스템용 인클로저에 관한 것이고, 컴포넌트는 증기 압축 시스템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유체의 흐름을 제1 용적 유량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인클로저는 인클로저의 구멍 내에 배치된 릴리프 밸브를 포함하고, 릴리프 밸브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포함한다. 릴리프 밸브는 제1 방향으로 제2 유체의 흐름을 배출하고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제3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인클로저는 릴리프 밸브 위에 배치되고 릴리프 밸브를 인클로저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착 브래킷(mounting bracket)을 더 포함하되, 장착 브래킷은 장착 브래킷 내에 개구를 포함하고, 개구는 릴리프 밸브의 유입부 위에 배치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컴포넌트가 인클로저의 내부 구역 내에 배치된 인클로저에 관한 것으로,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내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밀봉부를 포함한다. 밀봉부는 컴포넌트 내 압력이 문턱값을 초과할 때 파열되도록 구성되고, 컴포넌트는 밀봉부가 파열될 때 유체의 흐름을 인클로저의 내부 구역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릴리프 밸브는 인클로저의 구멍 내에 배치되고 유체의 흐름을 내부 구역으로부터 수용하고 유체의 흐름을 외부 환경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인클로저는 또한 릴리프 밸브를 인클로저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고, 장착 브래킷은 개구를 포함하고 개구는 유체의 흐름을 내부 구역으로부터 릴리프 밸브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도면을 참조할 때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상업 환경에서 가열, 환기, 공기 조화 및 냉동(HVAC&R)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건물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증기 압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의 증기 압축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의 증기 압축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의 증기 압축 시스템의 컴포넌트 또는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는 인클로저의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5의 인클로저의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5의 인클로저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5 내지 도 7의 인클로저에 연결될 수 있는 릴리프 밸브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5 내지 도 7의 인클로저에 연결될 수 있는 릴리프 밸브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6의 인클로저의 장착 브래킷을 예시하는, 도 6의 선(10-10)의 확대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특정한 실시형태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 설명된 실시형태는 단지 현재 개시된 기법의 예이다. 부가적으로, 이 실시형태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서, 실제 구현예의 모든 특징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실제 구현예의 개발에서, 임의의 엔지니어링 또는 설계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수많은 구현-특정 결정이 개발자의 특정한 목적, 예컨대, 시스템-관련 제한 및 사업-관련 제한의 준수를 달성하도록 이루어져야 하고, 이는 하나의 구현예로부터 또 다른 구현예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발 노력이 복잡할 수 있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내용의 이득을 가진 당업자에게 설계, 제조 및 제작의 일상적인 일일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가열, 환기, 공기 조화 및 냉동(HVAC&R) 시스템은 열 에너지(예를 들어, 열)를 HVAC&R 시스템과 환경 간에서 전달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증기 압축 시스템은 증기 압축 시스템의 컴포넌트, 예컨대, 처리 회로망을 물리적 손상 및/또는 오염물질(예를 들어, 대기로부터의 먼지)에 대한 노출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인클로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인클로저는 가압될 수 있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컴포넌트에 연결될 수 있고/있거나 인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클로저는 가압된 컴포넌트로부터 (예를 들어, 모터 피드스루(motor feedthrough)에 기인하여) 인클로저의 내부 구역으로의 유체의 배출을 수용할 수 있다. 전형적인 인클로저는 인클로저의 부분, 인클로저의 덮개판, 또는 둘 다 내에서 절삭 및/또는 스탬핑될 수 있는 루버(예를 들어, 천공부, 개방된 슬롯)를 포함할 수 있다. 루버는 유체를 인클로저 내로부터 외부 환경(예를 들어, 대기)으로 환기시킬 수 있고 인클로저가 과가압되는 것에서 방지할 수 있다. 유감스럽게도, 루버는 (예를 들어, 기계 가공 비용에 기인하여) 생산하기에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고/있거나 오염물질(예를 들어, 먼지)이 루버를 통해 인클로저의 내부 구역으로 진입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는 오염물질이 인클로저에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유체를 인클로저 내로부터 외부 환경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부 경우에서, 릴리프 밸브는 인클로저를 환기시키도록 사용되는 전형적인 디바이스(예를 들어, 루버)보다 감소된 비용이 든다. 릴리프 밸브는 인클로저의 하부 부분(예를 들어, 인클로저의 밑면)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오염물질이 릴리프 밸브 주위에 축적되고/되거나 릴리프 밸브의 개구로 (예를 들어, 중력에 기인하여)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구성은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조작자가 릴리프 밸브와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릴리프 밸브의 우발적인 제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릴리프 밸브는 적정한 정압이 인클로저 내에서 유지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는 부가적으로 오염물질이 인클로저로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전형적인 상업 환경을 위한 건물(12) 내 가열, 환기, 공기 조화 및 냉동(HVAC&R) 시스템(10)을 위한 환경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HVAC&R 시스템(10)은 건물(12)을 냉각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는, 냉각된 액체를 공급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14)을 포함할 수 있다. HVAC&R 시스템(10)은 또한 따뜻한 액체를 공급하여 건물(12)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16) 및 공기를 건물(12)을 통해 순환시키는 공기 분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분배 시스템은 또한 공기 복귀 배관(18), 공기 공급 배관(20) 및/또는 공기 핸들러(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공기 핸들러(22)는 도관(24)에 의해 보일러(16) 및 증기 압축 시스템(14)에 연결되는 열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핸들러(22) 내 열 교환기는 HVAC&R 시스템(10)의 작동 모드에 따라, 보일러(16)로부터 가열된 액체 또는 증기 압축 시스템(14)으로부터 냉각된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HVAC&R 시스템(10)이 건물(12)의 각각의 층에 개별적인 공기 핸들러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HVAC&R 시스템(10)은 층 사이에 또는 층 간에 공유될 수 있는 공기 핸들러(22)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HVAC&R 시스템(1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증기 압축 시스템(14)의 실시형태이다. 증기 압축 시스템(14)은 냉매를 압축기(32)로 시작되는 회로를 통해 순환시킬 수 있다. 회로는 또한 응결기(34), 팽창 밸브(들) 또는 디바이스(들)(36), 및 액체 냉각기 또는 증발기(38)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 압축 시스템(14)은 아날로그 대 디지털(analog to digital: A/D) 변환기(42), 마이크로프로세서(44), 비휘발성 메모리(46) 및/또는 인터페이스 보드(48)를 가진 제어 패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증기 압축 시스템(14)에서 냉매로서 사용될 수 있는 유체의 일부 예는 수소화불화탄소(HFC) 기반 냉매, 예를 들어, R-410A, R-407, R-134a, 하이드로플루오로 올레핀(HFO), 암모니아(NH3) 같은 "천연" 냉매, R-717, 이산화탄소(CO2), R-744 또는 탄화수소 기반 냉매, 수증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냉매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압축 시스템(14)은 중간 압력 냉매, 예컨대, R-134a에 비해서, 저압 냉매로서 또한 지칭되는, 1 대기압에서 섭씨 약 19도(화씨 66도)의 기준 끓는점을 가진 냉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기준 끓는점"은 1 대기압에서 측정되는 끓는점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압축 시스템(14)은 가변속 드라이브(variable speed drive: VSD)(52), 모터(50), 압축기(32), 응결기(34), 팽창 밸브 또는 디바이스(36) 및/또는 증발기(38)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모터(50)는 압축기(32)를 구동시킬 수 있고 가변속 드라이브(VSD)(52)에 의해 전력 공급받을 수 있다. VSD(52)는 AC 전력원으로부터 특정한 고정된 라인 전압 및 고정된 라인 주파수를 가진 교류(alternating current: AC) 전력을 수용하고, 가변 전압 및 주파수를 가진 전력을 모터(50)에 제공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모터(50)는 AC 또는 직류(direct current: DC) 전력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력 공급받을 수 있다. 모터(50)는 VSD에 의해 또는 직접적으로 AC 또는 DC 전력원으로부터 전력 공급받을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전기 모터, 예컨대, 전환형 자기 저항 모터, 유도 모터, 전자적으로 정류된 영구 자석 모터 또는 또 다른 적합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32)는 냉매 증기를 압축하고 증기를 배출 통로를 통해 응결기(34)로 전달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압축기(32)는 원심 압축기일 수 있다. 압축기(32)에 의해 응결기(34)로 전달된 냉매 증기는 열을 응결기(34) 내 냉각 유체(예를 들어, 물 또는 공기)로 전달할 수 있다. 냉매 증기는 냉각 유체와의 열 전달의 결과로서 응결기(34)에서 냉매 액체로 응결될 수 있다. 응결기(34)로부터의 액체 냉매는 팽창 디바이스(36)를 통해 증발기(38)로 흐를 수 있다. 도 3의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응결기(34)는 물을 냉각시키고 냉각 유체를 응결기로 공급하는, 냉각탑(56)에 연결된 관 다발(54)을 포함한다.
증발기(38)로 전달된 액체 냉매는 응결기(34)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냉각 유체일 수 있거나 아닐 수 있는, 또 다른 냉각 유체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증발기(38) 내 액체 냉매는 액체 냉매로부터 냉매 증기로의 상변화를 겪을 수 있다. 도 3의 예시된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38)는 냉각 부하(62)에 연결된 공급 라인(60S) 및 복귀 라인(60R)을 가진 관 다발(58)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38)의 냉각 유체(예를 들어, 물, 에틸렌 글리콜, 염화칼슘 브라인, 염화나트륨 브라인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체)는 복귀 라인(60R)을 통해 증발기(38)에 진입하고 공급 라인(60S)을 통해 증발기(38)를 나간다. 증발기(38)는 냉매와의 열 전달을 통해 관 다발(58) 내 냉각 유체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증발기(38) 내 관 다발(58)은 복수의 관 및/또는 복수의 관 다발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증기 냉매가 증발기(38)를 나가고 흡입 라인에 의해 압축기(32)로 복귀되어 사이클을 완료한다.
도 4는 중간 회로(64)가 응결기(34)와 팽창 디바이스(36) 사이에 통합된 증기 압축 시스템(14)의 개략도이다. 중간 회로(64)는 응결기(34)에 직접적으로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 라인(68)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입 라인(68)은 응결기(34)에 간접적으로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된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라인(68)은 중간 용기(70)의 상류에 배치된 제1 팽창 디바이스(6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중간 용기(70)는 플래시 탱크(예를 들어, 플래시 중간 냉각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중간 용기(70)는 열 교환기 또는 "표면 이코노마이저(surface economizer)"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중간 용기(70)는 플래시 탱크로서 사용되고, 제1 팽창 디바이스(66)는 응결기(34)로부터 수용된 액체 냉매의 압력을 낮추도록(예를 들어, 액체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구성된다. 팽창 과정 동안, 액체의 일부는 증발할 수 있고, 따라서, 중간 용기(70)는 제1 팽창 디바이스(66)로부터 수용된 액체로부터 증기를 분리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중간 용기(70)는 중간 용기(70)에 진입할 때 액체 냉매가 겪은 압력 강하에 기인하여(예를 들어, 중간 용기(70)에 진입할 때 겪은 용적의 신속한 증가에 기인하여) 액체 냉매의 추가의 팽창을 제공할 수 있다. 중간 용기(70) 내 증기는 압축기(32)에 의해 압축기(32)의 흡입 라인(74)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중간 용기 내 증기는 압축기(32)의 중간 스테이지(예를 들어, 흡입 스테이지가 아님)로 인출될 수 있다. 중간 용기(70)에 수집된 액체는 팽창 디바이스(66) 및/또는 중간 용기(70) 내 팽창에 기인하여 응결기(34)를 나가는 액체 냉매보다 더 낮은 엔탈피에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중간 용기(70)로부터의 액체는 라인(72)에서 제2 팽창 디바이스(36)를 통해 증발기(38)로 흐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클로저는 증기 압축 시스템(14)의 컴포넌트에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클로저는 모터(50) 옆에 배치될 수 있고 모터(50)의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클로저는 모터(5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전기 컴포넌트, 예컨대, 모터 제어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클로저는 오염물질(예를 들어, 먼지)이 인클로저 내 전기 컴포넌트 주위에 축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클로저는 유체(예를 들어, 냉매)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는 증기 압축 시스템(14)의 컴포넌트, 예컨대, 모터(50)에 연결될 수 있는 인클로저(140)의 실시형태의 정면도를 예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클로저(140)는 모터(50)의 제어 장치(142), 제어 패널(40), 및/또는 증기 압축 시스템(14)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를 수용할 수 있다. 제어 장치(142)는 모터(50)의 부분(예를 들어, 단부 캡)에 연결될 수 있고 모터(50)의 매개변수를 작동 및/또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42)는 모터(50)의 회전력을 조정하고/하거나, 모터(50)의 속도를 조정하고/하거나, 모터(50)의 자기 베어링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모터(50)는 증기 압축 시스템(14) 내 냉매를 사용하여 열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가 모터(50)의 하우징을 통해 순환될 수 있어서 모터(50)를 냉각(예를 들어, 열을 제거)한다. 일부 경우에서, 제어 장치(142)의 적어도 일부가 모터(50)의 하우징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서, 냉매가 제어 장치(142)를 통해 인클로저(140)에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142)의 내부 구역(141)(미도시)은 증기 압축 시스템(14)의 냉매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부 구역(141)은 증기 압축 시스템(14) 내 냉매의 압력과 실질적으로 같은 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내부 구역(141) 내 압력은 냉매의 압력 미만 또는 초과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 케이스(143)는 가압된 내부 구역(141)과 외부 환경(144)(예를 들어, 대기) 및/또는 인클로저(140) 내 공간(145) 간의 압력 밀봉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 케이스(143)는 제어 장치(142)의 내부 구역(141) 및/또는 모터(50)를 외부 환경(144)으로부터 밀폐하여 밀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142)의 내부 구역(141)은 증기 압축 시스템(14)의 냉매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것은 제어 장치(142) 내 냉매와 외부 환경(144)(및/또는 인클로저(140) 내 공간(145)) 간의 압력차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142)는 하나 이상의 연결기(148)(예를 들어, 와이어, 도관, 배관, 또는 또 다른 적합한 연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연결 포트(146)(예를 들어, 접근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기(148)는 제어 장치(142), 모터(50), 및/또는 제어 장치(142)의 서브컴포넌트를 작동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포트(146)는 연결기(148)가 제어 장치(142)의 내부 구역(141)에 진입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연결 포트(146)는 제어 장치(142)의 내부 구역(141) 내 가압된 냉매가 연결 포트(146)를 통해 외부 환경(144)(및/또는 인클로저(140) 내 공간(145))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밀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150)는 접착제(예를 들어, 결합 접착제) 및/또는 패스너(fastener)(예를 들어, 볼트, 나사 또는 또 다른 패스너)를 통해 연결 포트(146)에 연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밀봉부(150)는 연결 포트(146)에 프레스 피팅(press fit)될 수 있고 연결 포트(146)와 밀봉부(150) 간의 마찰력을 통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장치(142)에 연결된 컴포넌트(예를 들어, 모터(50))가 작동 시 중단 또는 비정상을 겪을 수 있어서, 제어 장치(142)의 내부 구역(141) 내 압력이 증가되게 한다. 이 내부 압력의 상승은 연결 포트(146)와 밀봉부(150) 간의 연결력을 초과하는 힘을 밀봉부(150)에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포트(146)의 밀봉부(150)가 밀봉 해제(예를 들어, 파열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제어 장치(142)의 내부 구역(141) 내로부터 가압된 유체(예를 들어, 냉매) 가 인클로저(140)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유체가 연결 포트(146)로부터 배출될 수 있어서 인클로저(140)의 공간(145) 내 압력이 증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인클로저(140) 내 압력은 주위 환경(144)의 압력을 초과할 수 있다(예를 들어, 14.7psi 초과).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클로저(140) 내 압력은 인클로저(140)가 과-가압되게 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인클로저(140)는 연결 포트(146)에 더하여 또는 대신에 증기 압축 시스템(14)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 또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 흐름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밸브, 파이프, 도관, 흐름 조절기, 흐름 센서, 또는 증기 압축 시스템(14)의 다른 디바이스가 인클로저(14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작동 동안 유체(예를 들어, 냉매)의 흐름을 배출하여 인클로저(140) 내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릴리프 밸브(152)가 인클로저(140)에 연결될 수 있고 인클로저(140) 내로부터 유체 및/또는 압력을 해제할 수 있고/있거나 인클로저(140)의 과-가압을 방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인클로저(140)의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인클로저(140)는 제어 장치(142)를 수용하는 인클로저 케이스(15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140)는 오염물질(예를 들어, 먼지)이 인클로저(140)에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밀봉부(예를 들어, 개스킷), 예컨대, 제1 밀봉부(160) 및 제2 밀봉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밀봉부(160)는 증기 압축 시스템(114)의 장착면(164)과 인클로저 케이스(15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장착면(164)은 모터(50)의 부분 및/또는 하우징, 압축기(32), 및/또는 증기 압축 시스템(14)의 또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밀봉부(162)는 인클로저 케이스(158)와 덮개판(16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덮개판(166)은 구멍, 천공부 및/또는 루버를 포함하지 않는, 중실형의 일체형 컴포넌트일 수 있다. 제1 밀봉부(160) 및 제2 밀봉부(162)는 인클로저 케이스(158)의 제1 플랜지(168) 및 제2 플랜지(170)에 각각 놓일 수 있다. 직사각형 인클로저(140)가 본 실시형태에 예시되지만, 인클로저(140)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 또는 단면, 예컨대, 타원형, 원형, 삼각형 또는 또 다른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1 밀봉부(160), 인클로저 케이스(158), 제2 밀봉부(162), 및/또는 덮개판(166)은 패스너(예를 들어, 볼트(172), 접착제)를 통해 장착면(164)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볼트(172)는 덮개판(166)으로부터 인클로저 케이스(158)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장착면(164) 내에 배치된 나사산 형성된 구멍(17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172)가 전체 인클로저(140)를 통해 연장되어 덮개판(166), 인클로저 케이스(158), 밀봉부(160 및 162), 및 장착면(164)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볼트(172)의 제1 세트는 제1 플랜지(168)로부터 나사산 형성된 구멍(174)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인클로저 케이스(158) 및 제1 밀봉부(160)를 장착면(16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172)의 제2 세트는 덮개판(166) 및 제2 밀봉부(162)를 인클로저 케이스(158)의 제2 플랜지(17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덮개판(166)은 인클로저(40)를 장착면(164)으로부터 제거하는 일 없이 인클로저 케이스(15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위에서 제시된 볼트(172)의 제1 세트와 볼트(172)의 제2 세트의 조합은 인클로저(140), 인클로저 케이스(158), 및/또는 덮개판(166)을 장착면(164)에 연결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클로저 케이스(158)는 인클로저(140)의 하단부(178)의 근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구멍(176)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멍(176)은 인클로저 케이스(158)의 하단판(179)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서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76)은 제어 장치(142)에 연결되는 연결기(14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연결기 구멍(180) 및/또는 릴리프 밸브(15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환기 구멍(18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기 구멍(180)은 오염물질(예를 들어, 먼지) 및/또는 유체(예를 들어, 공기)이 연결기 구멍(180)을 통해 인클로저(14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봉재(예를 들어, 실리콘)를 사용하여 밀봉될 수 있다. 연결기 구멍(180)을 인클로저(140)의 하단부(178)의 근처에 배치하는 것은 오염물질이 연결기 구멍(180)을 통해 인클로저(140)에 진입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연결기 구멍(180)을 하단부(178)의 근처에 배치하는 것은 (예를 들어, 조작자가 실수로 연결기(148)와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연결기(148)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연결기 구멍(180)이 도 7의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인클로저 케이스(158)의 하단판(179) 내에 배치되지만, 연결기 구멍(180)은 인클로저 케이스(158)의 임의의 다른 부분 내에, 예컨대, 상단부(184) 및/또는 측면부(186)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릴리프 밸브(152)는 도 8의 예시된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덕-빌(duck-bill)(예를 들어, 이중 슬릿)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릴리프 밸브(152)는 도 9의 예시된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덕-빌 형상(예를 들어, 단일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릴리프 밸브(152)는 제1 단부 부분(190)(예를 들어, 유입부) 및 제2 단부 부분(192)(예를 들어, 유출부)을 포함할 수 있다. 릴리프 밸브(152)는 제1 단부 부분(190)의 근처에 플랜지(194) 및 제2 단부 부분(192)의 근처에 하나 이상의 슬릿(196)(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덕-빌)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단부 부분(190)은 원형 형상일 수 있거나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194)는 릴리프 밸브(152)의 중심축(198)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릴리프 밸브(152)의 제1 단부 부분(190)은 인클로저(14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릴리프 밸브(152)의 제2 단부 부분(192)은 인클로저(14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릴리프 밸브(152)가 내부 유체 통로를 포함할 수 있어서 유체(예를 들어, 냉매)가 릴리프 밸브(152)의 제1 단부 부분(190)의 유입부로 흐를 수 있고 릴리프 밸브(152)의 제2 단부 부분(192) 내 슬릿(196)을 통해 나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슬릿(196)은 릴리프 밸브(152)의 제1 단부 부분(190)(예를 들어, 인클로저(140) 내 압력)과 제2 단부 부분(192)(예를 들어, 환경(144) 내 압력) 간의 압력차에 응답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부 부분(190)과 제2 단부 부분(192) 간의 압력차가 문턱값을 초과할 때 슬릿(196)은 개방될 수 있고 유체(예를 들어, 냉매)가 내부 유체 통로를 통해 흐르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단부 부분(190)과 제2 단부 부분(192) 간의 압력차가 문턱값 미만일 때, 슬릿(196)은 폐쇄될 수 있고 유체가 내부 통로를 통해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단부 부분(190)과 제2 단부 부분(192) 간의 압력차가 실질적으로 0일 때 슬릿(196)은 폐쇄되고 유체가 릴리프 밸브(152)를 통해 흐르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릴리프 밸브(152)는 제2 단부 부분(192)(예를 들어, 인클로저(140)의 외부 부분)으로부터 제1 단부 부분(190)(예를 들어, 인클로저(140) 내 부분)으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오염물질이 인클로저(14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슬릿(196)은 문턱값을 초과할 때까지 개방 및/또는 유체의 흐름의 허용에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클로저(140)의 내부 구역과 외부 환경(144) 간의 압력차가 문턱값(예를 들어, 10psi) 미만일 때 슬릿(196)은 폐쇄되고 유체가 인클로저(140)로부터 흐르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단 인클로저(140) 내 압력이 문턱값(예를 들어, 10psi)을 초과한다면, 슬릿(196)은 개방될 수 있고 인클로저(140) 내 유체가 릴리프 밸브(152)를 통해 인클로저(140)로부터 외부 환경(144)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약간의 정압이 인클로저(140)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약간의 정압은 오염물질이 인클로저(140) 내 결함(예를 들어, 인클로저 케이스(158) 내 구멍 또는 크랙)을 통해 인클로저(140)에 진입하는 위험을 부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약간의 정압이 인클로저(140) 내 유체가 결함에도 연속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어서, 오염물질(예를 들어, 먼지)이 결함을 통해 인클로저(140)에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릴리프 밸브(152)를 인클로저(140)의 하단부(178)의 근처에 배치하는 것은 릴리프 밸브(152) 주위의 오염물질 구축을 감소시킬 수 있고/있거나 오염물질이 (예를 들어, 중력에 기인하여) 슬릿(196)으로 떨어져 이에 따라 인클로저(140)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릴리프 밸브(152)를 하단부(178)의 근처에 배치하는 것은 또한 (예를 들어, 조작자가 실수로 릴리프 밸브(152)와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릴리프 밸브(152)의 의도하지 않은 제거 또는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환기 구멍(182)은 인클로저 케이스(158)의 다른 부분 내에, 예컨대, 상단부(184) 및/또는 측면부(186)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선(10-10)을 따라 취한 인클로저(140)의 확대 사시도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릴리프 밸브(152)는 축(201)을 따라 제1 방향(200)으로 환기 구멍(182)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환기 구멍(182)은 원형일 수 있고 릴리프 밸브(152)의 원형의 제1 단부 부분(190)에 대한 밀봉부(예를 들어, 프레스 피팅부)를 수용 및/또는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릴리프 밸브(152)의 플랜지(194)는 릴리프 밸브(152)가 제1 방향(200)으로 환기 구멍(182)을 통해 횡단하는 것(예를 들어, 제1 방향(200)으로 인클로저(14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194)는 하단판(179)의 내부면(202)에 놓일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클로저(140) 내 유체는 인클로저(140) 내로부터 릴리프 밸브(152)의 제1 단부 부분(190), 릴리프 밸브(152)의 제2 단부 부분(192) 내 슬릿(196)을 통해 외부 환경(144)으로 흐를 수 있다.
도 10의 예시된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래킷(204)은 릴리프 밸브(152) 위에 배치될 수 있고 내부면(202)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206)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릴리프 밸브(152)의 플랜지(194)는 장착 브래킷(204)과 인클로저 케이스(158)의 내부면(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플랜지(194)와 인클로저 케이스(158)의 내부면(202) 사이에 밀봉부(예를 들어, 프레스 피팅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장착 브래킷(204)은 패스너, 예컨대, 볼트(172), 와셔(208), 및/또는 너트(210)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장착 브래킷(204)은 접착제(예를 들어, 결합 접착제, 용접)를 통해 지지부(206)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릴리프 밸브(152)의 플랜지(194)가 하단판(179)의 내부면(202)과 장착 브래킷(2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어서, 릴리프 밸브(152)를 인클로저 케이스(158)에 고정시킨다.
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 구멍(180)을 통해 연장되는 연결기(148)는 밀봉재를 사용하여 밀봉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재는 인클로저(140) 내로부터의 유체가 연결기 구멍(180)을 통해 외부 환경(144)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는 인클로저(140)로부터 릴리프 밸브(152)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장착 브래킷(204)은 릴리프 밸브(152)와 유체 연통하는 개구(212)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212)는 유체가 릴리프 밸브(152)로 흐르게 하면서, 여전히 장착 브래킷(204)에 충분한 표면적을 제공하여 릴리프 밸브(152)를 내부면(202)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인클로저(140) 내 유체는 개구(212) 및 릴리프 밸브(152)를 통해 흐름으로써 외부 환경(144)으로 배출될 수 있다. 릴리프 밸브(152)는 제어 장치(142)의 밀봉부(150)가 제거 또는 분리되고 제어 장치(142) 내(예를 들어, 내부 구역(141))로부터 그리고/또는 제어 장치 뒤로부터 가압된 유체(예를 들어, 냉매)가 인클로저(140)에 진입할 때 인클로저(140) 내로부터 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구(212) 및/또는 릴리프 밸브(152)는 밀봉부(150)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분리될 때 연결 포트(146)로부터 누출될 수 있는 냉매의 용적 유량보다 더 큰 유체의 용적 유량을 수용 및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연결 포트(146)의 개구의 면적 및 제어 장치(142)의 내부 구역(141)과 외부 환경(144) 간의 압력차는 연결 포트(146)로부터 인클로저(140)로 배출될 수 있는 유체의 유량을 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인클로저(140) 내 개구(212) 및 릴리프 밸브(152)는 적어도 이 유량 또는 더 많은 유량을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인클로저(140)가 과-가압을 방지하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일의 릴리프 밸브(예를 들어, 릴리프 밸브(152) 중 하나의 릴리프 밸브)가 연결 포트(146)로부터 누출될 수 있고/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인클로저(140) 내에서 타깃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냉매의 용적 유량보다 더 큰 유체의 용적 유량을 인클로저(140)로부터 배출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가의 릴리프 밸브, 또는 다수의 추가의 릴리프 밸브가 인클로저(140)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인클로저(140)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유체의 총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클로저(140)에 연결된 릴리프 밸브의 수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인클로저(140)가 가압되는 경우에 임의의 특정한 릴리프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각각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릴리프 밸브(152)를 통한 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릴리프 밸브(152)가 더 효과적으로 작동되고 릴리프 밸브(152)의 마모(예를 들어, 재료 피로)를 감소시키게 할 수 있다. 오직 2개의 릴리프 밸브(152)가 예시된 실시형태에 도시되지만, 인클로저(140)는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5개보다 많은 릴리프 밸브(15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특정한 실시형태는 예로서 나타나고, 이 실시형태가 다양한 변경 및 대안적인 형태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청구범위는 개시된 특정한 형태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본 개시내용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 등가물 및 대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더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증기 압축 시스템의 인클로저(enclosure)로서,
    상기 인클로저 내 컴포넌트로서, 상기 증기 압축 시스템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되고, 유체의 흐름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컴포넌트;
    상기 인클로저의 부분 내의 구멍;
    상기 인클로저의 상기 구멍 내에 배치된 릴리프 밸브(relief valve)-상기 릴리프 밸브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상기 릴리프 밸브 내 통로를 통해 제1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인클로저의 내부 구역으로부터 상기 인클로저의 외부의 환경으로 연장되고, 상기 릴리프 밸브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통로를 통한 유체의 제2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임-; 및
    상기 릴리프 밸브를 인클로저에 결합하고 상기 릴리프 밸브를 상기 인클로저의 표면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릴리프 밸브 및 상기 표면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는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장착 브래킷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수용하고 상기 통로 안으로 상기 유체의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인클로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릴리프 밸브의 제1 단부 부분을 통해 그리고 상기 릴리프 밸브의 제2 단부 부분을 향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인클로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부분은 상기 인클로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상기 인클로저의 외부에 배치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인클로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부분은 원형이고, 상기 제1 단부 부분은 상기 릴리프 밸브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인클로저의 상기 표면과 접촉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인클로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는 상기 인클로저 내 압력이 문턱값 미만일 때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인클로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인클로저 내부에 배치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인클로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인클로저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판을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인클로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중실형의 일체형 컴포넌트이고, 상기 덮개판은 천공부, 루버(louver), 슬롯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지 않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인클로저.
  9. 증기 압축 시스템용 인클로저로서,
    상기 인클로저 내 컴포넌트로서, 상기 증기 압축 시스템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유체의 흐름을 제1 용적 유량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컴포넌트;
    상기 인클로저의 구멍 내에 배치된 릴리프 밸브로서, 유입부 및 유출부를 포함하고, 제1 방향으로 제2 유체의 흐름을 배출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제3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릴리프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밸브 위에 배치되고 상기 릴리프 밸브를 상기 인클로저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착 브래킷(mounting bracket)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인클로저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릴리프 밸브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릴리프 밸브 및 상기 표면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장착 브래킷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릴리프 밸브의 상기 유입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부 내로 상기 제2 유체의 흐름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증기 압축 시스템용 인클로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유체의 흐름의 상기 제1 용적 유량보다 더 큰 용적 유량으로 상기 제2 유체의 흐름을 수용 및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압축 시스템용 인클로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는 상기 제1 유체의 흐름의 상기 제1 용적 유량보다 더 큰 용적 유량으로 상기 제2 유체의 흐름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압축 시스템용 인클로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는 단일의 덕-빌(duck-bill) 형상 또는 이중 덕-빌 형상을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용 인클로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의 추가의 구멍 내에 배치된 추가의 릴리프 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릴리프 밸브 및 상기 추가의 릴리프 밸브는 상기 제1 유체의 흐름의 상기 제1 용적 유량보다 더 큰 용적 유량으로 상기 제2 유체의 흐름을 집합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압축 시스템용 인클로저.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인클로저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증기 압축 시스템용 인클로저.
  15. 인클로저로서,
    상기 인클로저의 내부 구역 내에 배치된 컴포넌트로서,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컴포넌트 내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컴포넌트 내 상기 압력이 문턱값을 초과할 때 파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밀봉부가 파열될 때 유체의 흐름을 상기 인클로저의 상기 내부 구역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컴포넌트;
    상기 인클로저의 구멍 내에 배치된 릴리프 밸브로서, 상기 유체의 흐름을 상기 내부 구역으로부터 수용하고 상기 유체의 흐름을 외부 환경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릴리프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밸브를 상기 인클로저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장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클로저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릴리프 밸브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릴리프 밸브 및 상기 표면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유체의 흐름을 상기 내부 구역으로부터 상기 릴리프 밸브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인클로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증기 압축 시스템으로부터의 냉매인, 인클로저.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는 제2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유체의 흐름은 상기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인클로저의 상기 내부 구역으로 흐르는, 인클로저.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인클로저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판을 포함하는, 인클로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중실형의 일체형 컴포넌트이고, 상기 덮개판은 천공부, 루버, 슬롯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지 않는, 인클로저.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증기 압축 시스템의 모터를 위한 제어유닛인, 증기 압축 시스템의 인클로저.
KR1020207011626A 2017-09-27 2018-09-25 환기 인클로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96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64091P 2017-09-27 2017-09-27
US62/564,091 2017-09-27
PCT/US2018/052693 WO2019067459A1 (en) 2017-09-27 2018-09-25 SYSTEMS AND METHODS FOR ENCLOSURE VENTI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438A KR20200060438A (ko) 2020-05-29
KR102396705B1 true KR102396705B1 (ko) 2022-05-12

Family

ID=6385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626A KR102396705B1 (ko) 2017-09-27 2018-09-25 환기 인클로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49604B2 (ko)
EP (1) EP3688379A1 (ko)
JP (2) JP2020535375A (ko)
KR (1) KR102396705B1 (ko)
CN (1) CN111051791B (ko)
TW (1) TWI782099B (ko)
WO (1) WO201906745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2440A (en) * 1997-02-21 1998-08-26 Arctic Circle Limited Apparatus for refrigeration and/or air conditioning
US20170252524A1 (en) * 2016-03-02 2017-09-07 Pari GmbH Spezialisten für effektive Inhalation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3282A (en) * 1949-04-13 1953-06-23 Albert D Greene Electronic equipment cooling means
DE3146030A1 (de) 1981-11-20 1983-05-2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Ueberdruckventil fuer behaelter
JPH10220828A (ja) * 1997-02-07 1998-08-21 Toshiba Corp 蓄熱容器
JP2001045601A (ja) 1999-07-27 2001-02-16 Hitachi Ltd 自動車駆動装置
US6422255B1 (en) * 2000-08-03 2002-07-23 Bombardier Motor Corporation Of America Multi-function valve having a movable seat and needle
CN2516867Y (zh) 2001-09-22 2002-10-16 马强 水载体冷热交换器
US6448637B1 (en) * 2001-11-28 2002-09-10 Intersil Americas Inc. Hermetically sealed integrated circuit package incorporating pressure relief valve for equalizing interior and exterior pressures when placed in spaceborne environment
JP2003336953A (ja) 2002-05-16 2003-11-28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動機の制御装置
JP2006196853A (ja) 2004-12-13 2006-07-27 Daikin Ind Ltd ヒートポンプ装置
JP2008157587A (ja) 2006-12-26 2008-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WO2008111356A1 (ja) 2007-03-09 2008-09-18 Asahi Rubber Inc. 過剰圧力開放弁及びそれを有する開放弁ユニット
GB2453126B (en) 2007-09-26 2013-02-06 Intelligent Energy Ltd Fuel cell system
DE102011112576A1 (de) * 2011-09-08 2013-03-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Druckausgleichselement, Gerät mit Druckausgleichselement und Verfahren zum Druckausgleich
JP5814068B2 (ja) 2011-10-07 2015-11-17 オートモーティブエナジーサプライ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駆動用バッテリパック
JP2015106491A (ja) 2013-11-29 2015-06-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安全弁付き二次電池
JP2017054865A (ja) * 2015-09-07 2017-03-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
US20170176066A1 (en) 2015-12-21 2017-06-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ndenser with external subcooler
CN206281241U (zh) * 2016-09-28 2017-06-27 北京海天恒通科技有限公司 一种恒湿机及展示柜
CN206430396U (zh) * 2016-12-30 2017-08-22 甘肃新悦制冷设备有限公司 节能环保制冷机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2440A (en) * 1997-02-21 1998-08-26 Arctic Circle Limited Apparatus for refrigeration and/or air conditioning
US20170252524A1 (en) * 2016-03-02 2017-09-07 Pari GmbH Spezialisten für effektive Inhalation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51791A (zh) 2020-04-21
US11549604B2 (en) 2023-01-10
TWI782099B (zh) 2022-11-01
CN111051791B (zh) 2022-11-18
EP3688379A1 (en) 2020-08-05
TW201932766A (zh) 2019-08-16
WO2019067459A1 (en) 2019-04-04
KR20200060438A (ko) 2020-05-29
JP2020535375A (ja) 2020-12-03
JP2022009385A (ja) 2022-01-14
US20200232571A1 (en)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795B1 (ko) 전자 기기 냉각 시스템
US9291166B2 (en) Motor cooling system
US11441813B2 (en) Indoor unit of refrigeration apparatus
US10443910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11841148B2 (en) Window-type air conditioner
KR102014466B1 (ko) 칠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칠러시스템
WO2018025356A1 (ja) ドレンパン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04185765A (zh) 制冷装置
US20180067039A1 (en) Environmental test chamber
JP6886396B2 (ja) 安定なカスケード直接膨張冷凍システムを有する気候試験室
KR102396705B1 (ko) 환기 인클로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3154622B (zh) 热介质转换机以及搭载该热介质转换机的空调装置
CN208312763U (zh) 热泵单元
US11047593B2 (en) Air conditioning housing system
CN114829845B (zh) 具有流体箱的空调器
CN114251878A (zh) Hvac系统的冷凝器布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