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421B1 - 장애인용 콘센트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421B1
KR102396421B1 KR1020210171899A KR20210171899A KR102396421B1 KR 102396421 B1 KR102396421 B1 KR 102396421B1 KR 1020210171899 A KR1020210171899 A KR 1020210171899A KR 20210171899 A KR20210171899 A KR 20210171899A KR 102396421 B1 KR102396421 B1 KR 102396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tact member
outlet
support plate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비호
박민준
김주환
Original Assignee
한비호
박민준
김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비호, 박민준, 김주환 filed Critical 한비호
Priority to KR102021017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몸이 불편하신 분들이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플러그의 단자가 끼움 결합되는 삽입공이 관통되고 내부에 자석이 마련된 지지블럭을 내부에 설치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수납되어 단자가 맞닿는 접촉부재와, 상기 지지블럭과 접촉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접촉부재를 플러그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선택적으로 끌어당기는 전자석과,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벽면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연결선을 통해 전자석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져, 편의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콘센트{Sucket for the handicapped}
본 발명은 장애인용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이 불편하신 분들이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한 장애인용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Receptacle)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콘센트는 벽면 등에 매입 설치되는 매입형 콘센트와, 유동성이 있는 이동형 콘센트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동형 콘센트의 경우에는 멀티 탭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일면에 플러그의 접속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삽입공의 내측으로 전원이 연결되면서 접속핀과 접촉되어 전류를 통과시키는 접속단자가 고정되며, 삽입공을 통해 플러그의 접속핀이 삽입되면 접속핀과 접속단자의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는 플러그를 콘센트 측으로 밀어넣어 결합시킨 상태에서 분리시 그 플러그를 외측으로 강하게 잡아당겨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그 많은 힘에 의해 콘센트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콘센트의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2203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밑판에 지레밭임부가 있고 그 위에 스위치와 밀대가 연결된 지레가 있어 스위치를 누르면 지레에 의해 밀대가 플러그를 밀어내어 콘센트와 분리되게 한 콘센트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지렛대원리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인해 플러그를 뽑는 힘과 유사한 힘으로 눌어야 하기 때문에 몸이 불편한 사람들은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2203호.(2002년01월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이 불편하신 분들이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러그의 단자가 끼움 결합되는 삽입공이 관통되고 내부에 자석이 마련된 지지블럭을 내부에 설치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수납되어 단자가 맞닿는 접촉부재와, 상기 지지블럭과 접촉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접촉부재를 플러그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선택적으로 끌어당기는 전자석과,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벽면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연결선을 통해 전자석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설치되어 플러그를 선택적으로 잡아주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러그를 감싸게 수납되는 안내부재에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가압볼이 각각 위치되며 상기 가압볼이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홈이 복수개 형성된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장애인용 콘센트는 몸이 불편하신 분들이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플러그의 단자가 끼움 결합되는 삽입공이 관통되고 내부에 자석이 마련된 지지블럭을 내부에 설치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수납되어 단자가 맞닿는 접촉부재와, 상기 지지블럭과 접촉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접촉부재를 플러그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선택적으로 끌어당기는 전자석과,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벽면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연결선을 통해 전자석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져, 편의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장애인용 콘센트를 나타낸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장애인용 콘센트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장애인용 콘센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장애인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장애인용 콘센트의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장애인용 콘센트를 나타낸 전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장애인용 콘센트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장애인용 콘센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장애인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장애인용 콘센트의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콘센트10 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몸체부 100와 지지판 200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부 100는 측면이 개구된 원통형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몸체부 100는 측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도 가능하다.
이러한, 몸체부 100에는 플러그 1의 단자 2가 끼움 결합되는 삽입공 111이 관통되고 내부에 자석 113이 마련된 지지블럭 110을 내부에 설치한다.
나아가, 상기 몸체부 100에 수납되어 단자 2가 맞닿는 접촉부재 120를 마련한다. 상기 접촉부재 120는 동작공간 115에서 좌우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지지블럭 110과 접촉부재 120 사이에 설치되어 접촉부재 120를 플러그 1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부재 130를 마련한다. 이러한, 탄성부재 130는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인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몸체부 100에는 상기 접촉부재 120를 선택적으로 끌어당기는 전자석 140이 내입된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 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벽면에 설치되는 지지판 200을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 2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연결선 220을 통해 전자석 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210를 마련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1가 끼움된 상태에서 스위치 210를 누르면 전자석 1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그리하면 전자석 140에 밀착되어 있던 접촉부재 120가 자석 113의 자력과 탄성부재 130의 탄성력을 통해 플러그 1의 단자 2를 가압하여 플러그 1가 인출된다. 스위치 210를 한번더 누르거나 플러그 1를 삽입하면 전자석 140에 전력을 공급하여 접촉부재 120가 전자석 140에 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장애인용 콘센트 10는 몸이 불편하신 분들이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플러그 1의 단자 2가 끼움 결합되는 삽입공 111이 관통되고 내부에 자석 113이 마련된 지지블럭 110을 내부에 설치한 몸체부 100와, 상기 몸체부 100에 수납되어 단자 2가 맞닿는 접촉부재 120와, 상기 지지블럭 110과 접촉부재 120 사이에 설치되어 접촉부재 120를 플러그 1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부재 130와, 상기 접촉부재 120를 선택적으로 끌어당기는 전자석 140과, 상기 몸체부 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벽면에 설치되는 지지판 200과, 상기 지지판 2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연결선 220을 통해 전자석 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210로 이루어져,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 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플러그 1를 선택적으로 잡아주는 고정부 3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부 300는 상기 플러그 1를 감싸게 수납되는 안내부재 310에 복수개의 걸림홈 31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 311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가압볼 320이 각각 위치되며 상기 가압볼 320이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홈 331이 복수개 형성된 회전부재 3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부 300는 회전부재 330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안착홈 331의 경사면을 타고 가압볼 320이 걸림홈 311 측으로 일부 돌출되면서 플러그 1의 외측을 잡아준다. 또한, 회전부재 33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안착홈 331의 경사면을 타고 가압볼 320이 걸림홈 311에서 빠져나와 플러그 1의 가압력을 해제한다. 즉, 고정부 300를 통해 플러그 1가 빠져나올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플러그 2 : 단자
10 : 장애인용 콘센트
100 : 몸체부 110 : 지지블럭
111 : 삽입공 113 : 자석
120 : 접촉부재 130 : 탄성부재
140 : 전자석
200 : 지지판 210 : 스위치
220 : 연결선
300 : 고정부 310 : 안내부재
311 : 걸림홈 320 : 가압볼
330 : 회전부재 331 : 안착홈

Claims (3)

  1. 플러그의 단자가 끼움 결합되는 삽입공이 관통되고 내부에 자석이 마련된 지지블럭을 내부에 설치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수납되어 단자가 맞닿는 접촉부재와,
    상기 지지블럭과 접촉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접촉부재를 플러그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선택적으로 끌어당기는 전자석과,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벽면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연결선을 통해 전자석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설치되어 플러그를 선택적으로 잡아주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러그를 감싸게 수납되는 안내부재에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가압볼이 각각 위치되며 상기 가압볼이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홈이 복수개 형성된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콘센트.
KR1020210171899A 2021-12-03 2021-12-03 장애인용 콘센트 KR10239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899A KR102396421B1 (ko) 2021-12-03 2021-12-03 장애인용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899A KR102396421B1 (ko) 2021-12-03 2021-12-03 장애인용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421B1 true KR102396421B1 (ko) 2022-05-10

Family

ID=8159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899A KR102396421B1 (ko) 2021-12-03 2021-12-03 장애인용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4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203Y1 (ko) 2001-10-05 2002-03-18 남건우 플러그 인출장치가 있는 콘센트
KR100950600B1 (ko) * 2009-07-13 2010-05-03 주식회사 그린나라 콘센트
KR20130005935U (ko) * 2012-04-03 2013-10-14 문태호 전기 플러그와 콘센트
KR102098394B1 (ko) * 2019-03-30 2020-04-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러그 인출형 단자를 지닌 콘센트
KR20210094768A (ko) * 2020-01-22 2021-07-30 고철희 플러그를 인출시키기 용이한 콘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203Y1 (ko) 2001-10-05 2002-03-18 남건우 플러그 인출장치가 있는 콘센트
KR100950600B1 (ko) * 2009-07-13 2010-05-03 주식회사 그린나라 콘센트
KR20130005935U (ko) * 2012-04-03 2013-10-14 문태호 전기 플러그와 콘센트
KR102098394B1 (ko) * 2019-03-30 2020-04-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러그 인출형 단자를 지닌 콘센트
KR20210094768A (ko) * 2020-01-22 2021-07-30 고철희 플러그를 인출시키기 용이한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695B1 (en) Fastener structure
US10096938B2 (en) Quick-disconnect power adapters
US9083110B2 (en) Quick-disconnect power adapters
US7361045B1 (en) Locking device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KR101013036B1 (ko) 전자 장치의 전자기 커넥터
JP2001196133A (ja) コネクタの嵌合方法及びこの嵌合方法によるコネクタ
KR102396421B1 (ko) 장애인용 콘센트
TW200517569A (en) Latch with a switch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JP4100357B2 (ja) マグネット式コンセントアダプタ
EP4213312A1 (en) Connector
KR20000015207A (ko)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KR200419127Y1 (ko) 플러그 및 콘센트
KR200461009Y1 (ko) 원터치 플러그 분리 콘센트
KR20080028650A (ko) 커넥터
KR20160025358A (ko) 원터치 멀티탭
KR101442537B1 (ko) 레버 지그 및 커넥터 장치
JP2008066196A (ja) 差込式端子台
EP1037326A3 (en) Lever 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CN206789807U (zh) 应用于插线板的辅助拔离装置
KR200258988Y1 (ko)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
KR200219034Y1 (ko) 전기 접속기구
CN113991346B (zh) 一种滑轨接触式防触电插座系统
JPH0621190Y2 (ja) 電源キャップ
CN110943346B (zh) 插座结构、电源接头及该电源接头的插拔连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