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370B1 - 종이받침대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종이받침대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370B1
KR102396370B1 KR1020210062571A KR20210062571A KR102396370B1 KR 102396370 B1 KR102396370 B1 KR 102396370B1 KR 1020210062571 A KR1020210062571 A KR 1020210062571A KR 20210062571 A KR20210062571 A KR 20210062571A KR 102396370 B1 KR102396370 B1 KR 102396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dle tube
pipe
space
paper suppor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석
오현지
Original Assignee
오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석 filed Critical 오종석
Priority to KR1020210062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3/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13/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65D15/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 B65D15/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with curved, or partially curved, walls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43Lids held in closed position by application of separate elements, e.g. clips, s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종이받침대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는 별도의 플라스틱 재질없이 종이로만 제조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종이받침대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PAPER STAND PACKAG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종이받침대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는 별도의 플라스틱 재질없이 종이로만 제조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지관은 긴 관체 형상의 종이 관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 외면에 원사, 필름, 원단, 원지, 비닐, 테이프 등을 권취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러한 지관은 주로 여러 겹의 지관원지를 나선방향으로 감아 원통의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지관은 화장품이나 다양한 미용제품 또는 고급스러운 느낌의 포장용기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지관을 이용한 포장용기는 수요자의 미적 수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욱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구조를 구현하는 방향으로 다채롭게 변화하고 있다.
한편, 최근 플라스틱 사용의 증가로 인한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친환경 소재에 대한 수요 및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포장용기로 사용되는 지관은 종이 외에도 내부에 포장되는 물품(화장품, 음료수병 등)을 고정시키기 위해, 내부에 스폰지, PVC, PS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스폰지나 PVC 등은 환경호르몬 배출 가능성이 있어 식품류 및 유아용품 등을 포장하는 포장재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제품의 수출입 시 환경유해 제품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일부 국가에서는 수출입 자체가 불가한 경우도 있다. 더불어, 제품의 포장용기를 배출할 시 종이와 플라스틱을 분리 배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번거로움을 느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별도의 플라스틱 재질없이 종이로만 제조된 종이받침대 패키지를 개발하였으며,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를 사용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된 포장재와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13876호는 체결구조 강화를 위한 종이컵 뚜껑, 그리고 이를 구비한 종이컵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종이로만 이루어진 종이받침대 패키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이로만 이루어진 종이받침대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선대(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중환판(120)을 삽입시키는 단계; 중지관(14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상선대(130)를 삽입시키는 단계;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지관(150)의 상부에 상기 중환판(120)이 삽입된 중선대(110)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중선대(110)의 외측에 상기 상선대(130)가 삽입된 중지관(140)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받침대 패키지(100)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중선대(11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공간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두께의 돌기가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환판(120)은 상기 중선대(110)의 내측공간에 형성된 돌기에 걸리도록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지관(14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일측 단부가 커링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선대(130)는 상기 중지관(1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커링에 걸리도록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선대(13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공간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돌기가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지관(150)의 상부에 중선대(110)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선대(110)의 외측에 중지관(140)을 결합시키는 단계;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지관(150); 상기 하지관(150)의 상부에 결합된 중선대(110); 및 상기 중선대(110)의 외측에 결합된 중지관(140);을 포함하고, 상기 중선대(11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중환판(120)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중지관(14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상선대(13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인 종이받침대 패키지(100)를 제공한다.
상기 하지관(150)은 하부 바닥면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중선대(110) 및 중지관(14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지관(150) 및 중지관(140)의 직경은 상기 중선대(110)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받침대 패키지는 순수 종이로만 제조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며, 분리배출의 필요없이 종이로만 분리수거가 가능하여 매우 간편한 것일 수 있다.
또한, 기존 플라스틱 재질 사용시 한계점으로 지적되던 원단 색상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인쇄방식으로 인해 여라가지 디자인 및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되어야 하는 플라스틱 재질에 비해, 목형으로 재단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절감되는 효과(약 1/5 절감 가능)가 있으며, 상선대에 간단히 돌기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내부에 포장되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것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하지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중선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내부에 포장되는 제품의 외관상 나타나는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주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한 포장재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받침대 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들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선대의 내부에 중환판을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지관의 내부에 상선대를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관의 상부에 중선대 및 중지관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종이받침대 패키지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중선대(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중환판(120)을 삽입시키는 단계;
중지관(14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상선대(130)를 삽입시키는 단계;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지관(150)의 상부에 상기 중환판(120)이 삽입된 중선대(110)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중선대(110)의 외측에 상기 상선대(130)가 삽입된 중지관(140)을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종이받침대 패키지(100)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종이받침대 패키지(100)의 제조방법을 종래 포장재와 대비하여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상기 도 1은 종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한 포장재(1)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받침대 패키지(100)를 제조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들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3 내지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받침대 패키지(100)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한편, 도 2 내지 5에 나타낸 종이받침대 패키지(100)의 각 구성들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일부 형태의 변형 또는 구성요소의 치환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종이받침대 패키지(100) 및 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은 종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한 포장재(1)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종래 기술을 우선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사용되던 포장재(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하지관(10), 받침대(20) 및 중지관(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하지관(10) 상에 내부에 포장되는 제품을 안착시킬 받침대(20)를 결합시키고, 상기 하지관(10)의 상부 및 받침대(20)의 외측에 중지관(30)을 결합시켜 완성된 포장재(1)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20)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스폰지, PVC 또는 PC 등을 사용하게 되며, 제품의 형태에 맞게끔 이의 내측 형태를 설계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상기 받침대(20)는 상기와 같은 재질들을 성형하기 위해, 금형을 사용하게 되며, 이는 제조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들은 환경호르몬 배출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폐기할 경우, 종이로 이루어진 하지관(10) 및 중지관(30)을 분리하여 폐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순수 종이로만 제조하며, 내부에 포장되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있는 종이받침대 패키지(100)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우선,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100)의 제조방법은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100)를 제조하기 위한, 중선대(110), 중환판(120), 상선대(130), 중지관(140) 및 하지관(150)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구성들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우선 상기 중선대(11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중환판(120)은 원형의 판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선대(13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중지관(14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지관(150)은 하부 바닥면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100)의 제조방법은 중선대(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중환판(120)을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 3의 (a)는 중선대(110) 및 중환판(120)을 각각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의 (b)는 상기 중환판(120)을 중선대(110)에 삽입시킨 형태를 나타낸 상면 사진이며, 도 3의 (c)는 상기 중환판(120)을 중선대(110)에 삽입시킨 형태를 나타낸 하면 사진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중선대(11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중환판(120)은 원형의 판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환판(120)이 상기 중선대(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환판(120)의 직경은 상기 중선대(110)의 단면 직경보다 다소 작게 설계되어 상기 공간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중선대(110)의 내측 공간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두께의 돌기가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불연속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는 일정한 높이(깊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중선대(110)를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는 중선대(110)의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되되, 일정한 간격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간격은 내부에 삽입되는 중환판(120)을 지지하기에 적당한 정도면 크게 제한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중선대(110)의 내측공간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내부에 삽입되는 중환판(120)이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중환판(120)은 내부에 포장되는 제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선대(110)는 하기 후술할 하지관(15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내부에 포장되는 제품의 외관상 나타나는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선대(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100)의 제조방법은 중지관(14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상선대(130)를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 4의 (a)는 상선대(130) 및 중지관(140)을 각각 나타낸 사진이고, 도 4의 (b)는 상기 상선대(130)를 중지관(140)에 삽입시킨 형태를 나타낸 상면 사진이며, 도 4의 (c)는 상기 상선대(130)를 중지관(140)에 삽입시킨 형태를 나타낸 하면 사진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중지관(14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상선대(13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선대(130)가 상기 중지관(14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선대(130)의 직경은 상기 중지관(140)의 단면 직경보다 다소 작게 설계되어 상기 공간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중지관(140)은 일측 단부가 커링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링되어 있는 부분은 단면 직경이 상기 상선대(130)의 직경보다 작게 설계됨으로써 상기 상선대(130)를 상기 중지관(140)에 삽입시 상기 커링에 의해 상기 상선대(130)가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선대(130)의 삽입은 커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중지관(140)의 타측 단부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상선대(130)가 더욱 용이하게 삽입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상선대(13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공간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돌기가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선대(130)는 상기 중선대(110)와 상기 중지관(1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지관(1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커링과 커링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중선대(110)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는 내부에 포장되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포장되는 제품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끔 설계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탄력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의 형태 또는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제품의 고정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100)의 제조방법은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지관(150)의 상부에 상기 중환판(120)이 삽입된 중선대(110)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중선대(110)의 외측에 상기 상선대(130)가 삽입된 중지관(140)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 5의 (a)는 하지관(150)의 상부에 중선대(110)를 결합시킨 형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5의 (b)는 중선대(110)의 외측에 중지관(140)을 결합시킨 형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지관(150)의 상부에 중선대(110)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선대(110)의 외측에 중지관(140)을 결합시키는 단계;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종이를 단단히 접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지관(150)은 하부 바닥면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하부 바닥면의 밀폐는 하환판을 삽입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하지관(150)의 개방된 상부에 중환판(120)이 삽입된 중선대(110)가 결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지관(150)의 단면 직경은 상기 중선대(110)의 단면 직경보다 다소 크게 설계되어 상기 하지관(150)의 상부로 상기 중선대(110)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하지관(150)의 내면 및/또는 중선대(110)의 외면에 도포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선대(110)가 하지관(150)에 삽입 및 결합되는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내부에 포장되는 제품의 외관상 나타나는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주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중선대(110)의 단면 직경은 상기 중지관(140)의 단면 직경보다 다소 작게 설계되어 상기 중지관(140)의 내측에 상기 중선대(110)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중선대(110)의 외면 및/또는 중지관(140)의 내면에 도포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하지관(150)의 단면 직경 및 중지관(140)의 단면 직경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따라서 최종적으로 중지관(140)이 결합된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100)는 외측면이 돌출부분없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지관(150); 상기 하지관(150)의 상부에 결합된 중선대(110); 및 상기 중선대(110)의 외측에 결합된 중지관(140);을 포함하고,
상기 중선대(11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중환판(120)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중지관(14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상선대(13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인 종이받침대 패키지(100)를 제공한다.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본원의 제 1 측면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제 2 측면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100)를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받침대 패키지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일부 형태의 변형 또는 구성요소의 치환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100)는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지관(15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지관(150)은 하부 바닥면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하부 바닥면의 밀폐는 하환판을 삽입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하지관(150)의 개방된 상부에 하기 후술할 바와 같이 중환판(120)이 삽입된 중선대(110)가 결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지관(150)의 단면 직경은 상기 중선대(110)의 단면 직경보다 다소 크게 설계되어 상기 하지관(150)의 상부로 상기 중선대(110)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100)는 상기 하지관(150)의 상부에 결합된 중선대(11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선대(11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중환판(120)이 삽입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중선대(11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중환판(120)은 원형의 판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환판(120)이 상기 중선대(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환판(120)의 직경은 상기 중선대(110)의 단면 직경보다 다소 작게 설계되어 상기 공간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중선대(110)의 내측 공간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두께의 돌기가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불연속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는 일정한 높이(깊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중선대(110)를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는 중선대(110)의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되되, 일정한 간격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간격은 내부에 삽입되는 중환판(120)을 지지하기에 적당한 정도면 크게 제한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중선대(110)의 내측공간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내부에 삽입되는 중환판(120)이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중환판(120)은 내부에 포장되는 제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선대(110)는 상기 하지관(150)의 내측으로 삽입 및 결합되는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내부에 포장되는 제품의 외관상 나타나는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하기 후술할 상선대(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종이받침대 패키지(100)는 상기 중선대(110)의 외측에 결합된 중지관(14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지관(14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상선대(13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중지관(14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상선대(13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선대(130)가 상기 중지관(14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선대(130)의 직경은 상기 중지관(140)의 단면 직경보다 다소 작게 설계되어 상기 공간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중지관(140)은 일측 단부가 커링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링되어 있는 부분은 단면 직경이 상기 상선대(130)의 직경보다 작게 설계됨으로써 상기 상선대(130)를 상기 중지관(140)에 삽입시 상기 커링에 의해 상기 상선대(130)가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선대(130)의 삽입은 커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중지관(140)의 타측 단부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상선대(130)가 더욱 용이하게 삽입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상선대(13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공간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돌기가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선대(130)는 상기 중선대(110)와 상기 중지관(1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지관(1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커링과 커링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중선대(110)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는 내부에 포장되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포장되는 제품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끔 설계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탄력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의 형태 또는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제품의 고정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지관(150)의 상부에 결합된 중선대(110); 및 상기 중선대(110)의 외측에 결합된 중지관(140);은 각각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하지관(150)의 내면 및/또는 중선대(110)의 외면에 도포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중선대(110)의 외면 및/또는 중지관(140)의 내면에 도포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지관(150) 및 중지관(140)의 단면 직경은 상기 중선대(110)의 단면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지관(150)의 상부로 상기 중선대(110)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중지관(140)의 내측에 상기 중선대(110)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하지관(150)의 단면 직경 및 중지관(140)의 단면 직경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받침대 패키지(100)는 외측면이 돌출부분없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플라스틱 포장재 10: 하지관
20: 받침대 30: 중지관
100: 종이받침대 패키지 110: 중선대
120: 중환판 130: 상선대
140: 중지관 150: 하지관

Claims (10)

  1. 중선대(110)의 내측공간 하측에 형성된 돌기에 걸리도록 중환판(120)을 삽입시키는 단계;
    중지관(1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커링에 걸리도록 상선대(130)를 삽입시키는 단계;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지관(150)의 상부에 상기 중환판(120)이 삽입된 중선대(110)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중선대(110)의 외측에 상기 상선대(130)가 삽입된 중지관(140)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선대(13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간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돌기가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선대(130)는,
    상기 중선대(110)와 상기 중지관(1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지관(1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커링과 커링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중선대(110)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종이받침대 패키지(100)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선대(11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공간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두께의 돌기가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종이받침대 패키지(100)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지관(14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일측 단부가 커링되어 있는 것인 종이받침대 패키지(100)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지관(150);
    상기 하지관(150)의 상부에 결합된 중선대(110); 및
    상기 중선대(110)의 외측에 결합된 중지관(140);
    을 포함하고,
    상기 중선대(110)는 내측공간 하측에 형성된 돌기에 걸리도록 중환판(120)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중지관(140)은 일측 단부에 형성된 커링에 걸리도록 상선대(13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상선대(13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간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돌기가 중심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선대(130)는,
    상기 중선대(110)와 상기 중지관(1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지관(1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커링과 커링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중선대(110)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종이받침대 패키지(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관(150)은 하부 바닥면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중선대(110) 및 중지관(14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인 종이받침대 패키지(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관(150) 및 중지관(140)의 직경은 상기 중선대(110)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받침대 패키지(100).
KR1020210062571A 2021-05-14 2021-05-14 종이받침대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6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571A KR102396370B1 (ko) 2021-05-14 2021-05-14 종이받침대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571A KR102396370B1 (ko) 2021-05-14 2021-05-14 종이받침대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370B1 true KR102396370B1 (ko) 2022-05-09

Family

ID=8158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571A KR102396370B1 (ko) 2021-05-14 2021-05-14 종이받침대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3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347U (ko) * 1990-03-19 1991-12-11
JPH0740962A (ja) * 1993-07-26 1995-02-10 Yoshihiro Tsumoto ファイバードラム
JP2004042977A (ja) * 2002-07-12 2004-02-12 Nobuo Hosomizu 平巻紙管を用いた容器
JP3120347U (ja) * 2006-01-13 2006-03-30 山口化成工業株式会社 積み重ね容器
KR101624299B1 (ko) * 2016-03-15 2016-05-25 주식회사 아미니 화장품 포장박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347U (ko) * 1990-03-19 1991-12-11
JPH0740962A (ja) * 1993-07-26 1995-02-10 Yoshihiro Tsumoto ファイバードラム
JP2004042977A (ja) * 2002-07-12 2004-02-12 Nobuo Hosomizu 平巻紙管を用いた容器
JP3120347U (ja) * 2006-01-13 2006-03-30 山口化成工業株式会社 積み重ね容器
KR101624299B1 (ko) * 2016-03-15 2016-05-25 주식회사 아미니 화장품 포장박스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20347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15904B (en) Valves for packaging containers
US8592014B2 (en) Tri-layer food container
CN105966735B (zh) 储物凳
KR101262104B1 (ko) 타원형 단면 튜브와 그 제품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제조를위한 장치
US20100224637A1 (en) Heat insulated container
US20030077102A1 (en) Article comprising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article
JP2019511425A5 (ko)
US20200140186A1 (en) Ground coffee drip bag
JP2009539715A (ja) 装飾スリーブを備えたコンテナ又はディスペンサー
US20110058756A1 (en) Decorative gift bag insert
KR102396370B1 (ko) 종이받침대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5245268B2 (en) Dispensing system for flexible containers such as pouches, sachets, packets or bag-in-boxes.
US20140209602A1 (en) Flexible plastic packaging box
US10486890B2 (en) Low bulk, center-pull bag dispenser with end-forms
JP3953992B2 (ja) 断熱性紙製容器
US7721922B2 (en) Receptacle
JP2000142834A (ja) 簡易容器
CA2082858A1 (fr) Receptable utilisable pour la presentation, la decoration, voire la protection d'articles divers, tels notamment les plantes en pot
JPH0255302B2 (ko)
CN112757693A (zh) 低成本易运输的无缝镜面包装技术
KR200364022Y1 (ko) 식음료용 포장용기
CN213139451U (zh) 用于物体或物料贮存的容器
JP2506538Y2 (ja) キャップシ―ル
JP7410566B2 (ja) 容器
JP5878437B2 (ja) 紙製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