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949B1 - 타이밍 제어를 이용한 홀 센서 칩 - Google Patents

타이밍 제어를 이용한 홀 센서 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949B1
KR102394949B1 KR1020177010123A KR20177010123A KR102394949B1 KR 102394949 B1 KR102394949 B1 KR 102394949B1 KR 1020177010123 A KR1020177010123 A KR 1020177010123A KR 20177010123 A KR20177010123 A KR 20177010123A KR 102394949 B1 KR102394949 B1 KR 102394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nsor element
clock pulse
sensor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438A (ko
Inventor
원-치아 양
카젠드라 타파
잉-탕 조
칭-유 차이
리차드 로빈슨
Original Assignee
다이오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다이오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0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36Means reducing energy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Hall/M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센서 디바이스는 자극을 측정하고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요소; 신호를 다중 비트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ADC가 신호를 변환할 때 센서 요소를 스위칭 오프시키고, 디지털 신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후 ADC를 스위칭 오프시키는 타이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밍 제어를 이용한 홀 센서 칩{HALL SENSOR CHIP WITH TIMING CONTROL}
본 발명은 타이밍 제어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센서 시스템은 외부 자극들을 받을 때, 센서 시스템의 출력에서 직접적으로 판독될 수 있거나, 또는 더 처리된 후 다운스트림(downstream) 시스템으로 향할 수 있는 신호들을 생성한다. 현대의 센서 시스템이 감지하도록 설계된 다양한 자극은 소리, 온도, 무게, 위치, 전류와 전압, 빛, 색, 움직임 속도, 자기장, 압력, 2, 3차원의 기하학적 형상, 그리고 피, 소변 등과 같은 용액에서의 이물질 등을 포함한다. 현대의 센서들 중 홀 효과(Hall-effect) 센서들(홀 센서들)은 자기장의 존재를 감지하고, 자기장의 세기 또는 자기장으로 변환될 수 있는 다른 측정 가능한 항목을 측정하도록 설계된다.
알려진 제1 타입의 홀 센서 시스템은 연속적으로 자기장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타입의 홀 센서들을 통해, 센서 시스템의 감지 부분(예를 들어, 홀 플레이트)과 데이터 처리 부분은 연속적인 측정 및 출력을 유지하기 위해 전원이 연속적으로 켜져 있다. 대부분의 선형 홀 센서들은 이러한 제1 타입에 속한다.
알려진 제2 타입의 홀 센서 시스템은 산발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자기장을 측정한다. 선형 홀 센서와는 대조적으로, 이러한 제2 타입의 홀 센서는 간헐적인 자기장 판독만이 요구되는 응용에 적합하다. 이러한 타입의 홀 센서는 측정이 요구되는 짧은 주기들 동안을 제외하고, 보통 전원이 꺼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들 짧은 주기 동안, 센서의 감지 부분과 데이터 처리 부분에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측정이 이루어지고, 측정 데이터가 처리되며, 디스플레이된다. 위 주기 범위를 제외하곤 어떠한 측정도 이루어지지 않고, 어떠한 측정 정보도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기존의 홀 센서들을 연구하였고, 기존의 홀 센서들이 모두 심각한 결함들을 갖는다는 점을 인지하였다. 제1 타입의 홀 센서 즉, 선형 홀 센서는 전력 효율이 매우 좋지 않다. 이러한 타입의 센서로부터는, 데이터 출력을 쉽게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장점이 특정한 응용에서 요구되는 점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제1 타입의 센서는 높은 전력 소모로 인해 배터리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들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선택이다.
제2 타입의 홀 센서는 데이터 가용성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을 갖는다. 제2 타입의 홀 센서는 시스템이 연속적으로 전원이 켜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은 아니기에 전력 효율은 좋으나,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 데이터는 외부에 대해 이용 가능하지 않고, 이러한 점으로 인해, 이 센서는 다수의 응용들에 대해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들 결함들이 자기 센서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수의 다른 센서 시스템들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전력 효율과 데이터 가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력 소비는 매우 낮게 유지되고, 측정된 데이터는 다음 측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접근 가능하게 유지되는 새로운 센서 시스템을 발명하였다. 이들 장점은 센서 시스템의 다른 기능 블록들로 인가되는 전력의 지능형 관리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홀 센서 시스템의 형태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한편 본 발명이 배경기술 항목에 언급된 다수의 다른 센서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센서 시스템은 다수의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고, 이들 기능 블록들은 전원 공급 블록과, 전원 공급 블록으로부터 상이한 레벨들로 전력을 공급 받는 측정 및 데이터 처리 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홀 센서 시스템은 자기장을 측정하고, 자기장을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인 홀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홀 플레이트로부터의 신호는 증폭 이후, 주로 아날로그이다. 현대의 전자 장비를 경유하여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센서 시스템은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대-디지털 컨버터(ADC) 블록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시스템은 메모리부를 구비한다. 메모리 블록은 ADC에 후속하고, 메모리 블록은 컨버터 출력으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보관하는 레지스터들을 포함한다.
디지털 데이터의 추가적인 처리가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응용에 대해 디지털 신호는 다시 아날로그 형태로 되돌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의 아날로그 형태로의 변환은 ADC와 메모리부에 후속하는 디지털-대-아날로그 컨버터(DAC) 블록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예시적인 센서 시스템에서, 자기장의 측정 이후, 그리고 전압 신호가 증폭되고 ADC에서 고정된 후, 홀 플레이트는 턴 오프된다. 따라서, 홀 플레이트는 전압 신호가 ADC 블록에서 처리되는 동안 어떠한 전력도 소비하지 않게 된다.
이후, ADC는 신호 변환이 완료된 후 턴 오프될 수 있으며, 직접 출력을 위해 또는 DAC 블록에서 추가적으로 처리되도록 디지털 데이터가 메모리 블록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시스템은 종래의 선형 홀 스위치에 비해 적은 전력을 소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시스템은 종래의 홀 스위치에 비해,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측정 자기장 정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센서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센서 시스템의 동작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시간 흐름도.
용어의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는 대체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의미를 갖는다. 아래의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설명과 관련하여 실무자에게 추가적인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논의된다. 동일한 것이 하나 이상의 방식들로 설명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대안적인 언어 및 유의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센서 요소는 환경 내에서 이벤트 또는 변화를 감지하고, 대응하는 출력 또는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센서 요소는 통상, 감지된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전기 신호 또는 시각적인 표시를 제공한다. 일부 센서 요소는, 온도에 응답하여 알려진 전압을 생성하는 열전대(thermocouple), 광에 응답하는 CCD, 그리고 자기장에 응답하는 홀 센서와 같이, 작동에 전력을 필요로 한다. 다른 센서 요소들은 수은 유리 온도계, 인간의 눈, 그리고 나침반과 같이 작동에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계측 증폭기(instrumentation amplifier)는 측정 및 시험 장비에서 사용에 적합한 차동 증폭기의 하나의 종류를 나타낸다. 계측 증폭기는 주로, 입력 버퍼 증폭기들을 구비하여, 입력 임피던스 매칭의 필요성을 없앤 차동 증폭기의 하나의 종류이다. 추가적인 특성들은 매우 낮은 DC 오프셋, 낮은 드리프트(drift), 낮은 잡음, 매우 높은 개-루프 이득, 매우 높은 공통 모드 제거비, 그리고 매우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포함한다. 계측 증폭기는 높은 정확도와 안정성을 갖는 회로가 요구되는 곳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증폭기는 주로 홀 플레이트 센서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아날로그 신호는, 해당 신호의 시간적 변화가, 다른 특정한 시간 가변량(time varying quantity)을 나타내는 연속적인 신호이다.
디지털 신호는 이산값(discrete value)들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연속적인 신호(수량화된 신호)의 하나의 종류이다. 디지털 신호는 이산값들이 2개의 가능한 논리값들을 갖는 디지털 신호인 논리 신호와 일반적으로 유사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외부 자극은, 센서 요소에 의해 감지 또는 측정하여 측정된 값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디바이스의 외부 환경을 의미한다. 측정 가능한 자극들의 예시는 소리, 온도, 무게, 위치, 전류와 전압, 빛, 색, 움직임 속도, 자기장, 압력, 2, 3차원의 기하학적 형상, 그리고 피, 소변 등에서의 이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신호 컨버터는 신호의 특성을 일 표현(representation)에서 다른 표현으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 신호 컨버터의 기술 분야에서, 가장 잘 알려진 종류의 신호 컨버터들은 아날로그-대-디지털 컨버터(ADC) 및 디지털-대-아날로그 컨버터(DAC, 108)이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전원 공급부는 AC 또는 DC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전원 공급부는 발전기, 배터리들, 태양 전지 등으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대부분의 전자 디바이스들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가변 전류에서 고정된 전압의 형태 또는 가변 전압에서 고정된 전류의 형태인 DC 전력이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메모리부는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 또는, 논리 래치 또는 플래쉬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같은 전자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클록은 주기적인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디바이스이다. 클록 신호는 클록 주기들 또는 초당 사이클의 개수로 정의되는 주파수를 갖는다. 클록 신호는 주로 온-타임(on-time) 상태와 같은 클록 주기의 부분과 오프-타임(off-time) 상태와 같은 주기의 나머지 부분을 갖는 구형파로 나타난다. 클록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은 온-타임 대 주기의 비율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비활성화된 상태인 디바이스를 활성화시킨다는 은 디바이스가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설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준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활성화는 디바이스로의 전력 공급 전압을 감소된 레벨에서 미리 설정된 레벨로 상승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디바이스를 비활성화시킨다는 것은 예를 들어 전력 절약을 위해 디바이스가 설계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활성화는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전력 전압을 미리 설정된 레벨보다 낮게 낮춤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미리 설정된 레벨은 0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샘플 또는 샘플링을 수행하는 것은 센서 요소가 자극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샘플링은 온도와 같은 자극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속도와 같은 방향이 부가된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거나, 자기장, 전압 또는 전류와 같은 극성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샘플링은 주로 클록-샘플링 클록에 의해 제어된다. 샘플링 레이트는 측정 분해능의 결정 인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제1 실시예 : 자기장 센서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양상들을 구현한 예시적인 센서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센서 시스템은 집적 회로(IC) 칩(101)을 포함하고, 집적 회로 칩(101)은 자기장을 측정하는 홀 효과 센서를 구비한 센서 요소(102)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홀 효과 센서는 IC 칩(101)에 통합된 구성이지만, 다른 시스템들에서 홀 효과 센서는 독립형 칩일 수 있다. 전류가 홀 효과 센서를 통해 흐르고, 자기장이 전류 경로에 수직일 때, 전류는 오른손 법칙에 따라 방향을 바꾸고, 센서에서 전압이 생성될 것이다. 생성된 전압의 크기와 이의 극성은 자기장과 전류 흐름의 크기 및 방향의 함수이다.
집적 회로에서 홀 효과 센서는 소형화되고, 생성된 전압 신호는 보통 작아서,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계측 증폭기(103)는 센서 요소(102)에 통합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센서 요소(102)에서 생성된 전압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전압 신호는 아날로그-대-디지털 컨버터(ADC, 104)를 통과한다. ADC(104)의 분해능은 ADC의 출력에서 다수의 비트들로 표현되고, 1 비트 내지 12 비트 또는 1비트 내지 12 이상의 비트들 사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예시에서 분해능은 설명을 위해 8 비트로 선택되었다.
메모리 요소(106)는 ADC에 후속하고, ADC(104)의 출력을 저장한다. 메모리는 바람직하게 래치 또는 EEPROM들과 같은 비휘발성이지만,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도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04)에 저장된 디지털 정보는 출력부(30)에서의 센서 시스템(100)의 최종 출력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시스템은 측정된 자기장의 아날로그 출력이 요구될 때, 메모리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을 다른 출력(20)에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털 대 아날로그 컨버터(DAC)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자기장의 측정이 요구될 때, EN 핀(10)에서 센서 시스템(101) 외부의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 제어기 요소(110)를 추가로 포함한다. 타이밍 제어기 요소(110)는 전원 공급부(105)로부터 전달된 전력을 제어하는 온/오프 제어부(1102)와, 온/오프 작동을 타이밍하는 클록(1104)을 구비한다. 센서 시스템(101)의 다양한 구성들을 시기 적절하게 턴-온 또는 턴-오프시킴으로써, 시스템은, 종래기술의 감지 시스템에 비해, 전력 효율성을 더 높히도록 한다. 타이밍 제어 유닛(110)의 기능은 다음의 예시들에서 설명된다.
제2 실시예 : 자기장 센서 시스템의 타이밍 제어
센서 시스템이 매우 높은 전력 효율을 달성하게 하는 타이밍 제어는 도 2에 도시되고, 이는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자기 센서 시스템(100)에 통합된다. 시스템 동작은 인에이블링(EN) 클록(201)으로 개시된다. 클록(201)의 주파수는 자기장이 측정되어야 할 빈도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시에서, 클록(201)의 상승 엣지는 자기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센서 요소의 출력에서 아날로그 전압 신호의 형태로 제시하도록 센서 요소(102)를 트리거시킨다. 클록(201)의 하강 엣지를 트리거로서 대신 사용하는 것도 실현 가능하다.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할 시, 타이밍 제어기(110)는 블록 생성기(1104)에서 클록 신호(203)를 생성한다. 클록 신호(203)의 상승 엣지는 자기장을 샘플링하기 위해 센서 요소(102)를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클록 펄스(203)의 지속기간은 센서 요소(203)가 자기장의 샘플(들)을 획득하고, 필요한 경우 생성된 전압 신호를 증폭기에서 증폭시키고, 이를 센서 요소(102)에 후속하는 ADC(104)에 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량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전원 공급부(105)로부터 센서 요소(102)로의 전류는 약 2.7mA 이고, 이는 홀 센서를 바이어싱하고, 증폭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클록 펄스(2031)의 단부에서, ADC(102)가 센서 요소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하는 동안, 타이밍 제어기(110)에서 온/오프 제어기(1102)로부터의 신호는 스위치(1021)를 개방시키고, 전원 공급부(105)로부터 센서 요소(102)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스위치(1021)는 펄스 길이(2032) 동안 개방 상태로 유지되고, 센서 요소(102)에서는 적은 전력이 소비된다.
클록 생성기(1104)는 제2 클록 신호(205)를 더 생성하여, ADC(104)를 활성화시키고, ADC(104)가 펄스 주기(2051) 동안 활성화 모드로 동작한다. ADC(104)는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어, 센서 요소(102)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106)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예시적인 시스템(100)에서, ADC를 활성화 모드로 유지시키는 전류는 0.3mA이다. 데이터가 메모리(104)에 저장될 때, 온/오프 제어기(1102)는 펄스(2051)의 하강 엣지에서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스위치(1041)를 개방시키고, 전원 공급부(105)로부터 ADC(104)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펄스 길이(2052) 동안, 스위치(1041)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ADC(104)에서는 적은 전력이 소비된다.
이제, 메모리(106)는 자기장의 측정 정보를 포함하고, 센서 시스템(100)의 외부로 데이터를 전달할 준비가 된다. 현대의 메모리 디바이스는 전력 효율이 매우 좋기에, 메모리는 활성화 모드로 유지되어 데이터가 중단 없이 이용 가능하다.
메모리(106)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선택적인 DAC(108)도 마찬가지로 적은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시스템(100)에서 이 DAC(108)는 활성화 모드로 유지된다. 메모리(106)와 DAC(108) 모두에 의해 소비되는 전체 전력은 단지 8 μA 이다. 이는 시스템의 다른 구성들에 비해 무시해도 좋을 만한 수치이다. 메모리(106)와 DAC(108) 모두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시스템은 측정된 자기장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센서 시스템으로서,
    외부 자극에 응답하여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센서 요소;
    상기 센서 요소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다중 비트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1 신호 컨버터;
    상기 센서 요소 및 상기 컨버터에 순차적으로 전력을 공급 하도록 구성된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센서 요소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센서 요소를 활성화 시키는 제1 클록 엣지 및 상기 제1 클록 엣지에 인접하고 상기 센서 요소를 비활성화 시키는 제2 클록 엣지를 갖는 제1 클록 펄스로 상기 센서 시스템의 활성화 모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타이밍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부는 상기 제1 클록 펄스에 중첩되고, 상기 센서 요소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신호 컨버터를 활성화 시키는 제1 클록 엣지, 및 상기 신호 컨버터를 비활성화 시키는 제2 인접 클록 엣지를 갖는 제2 클록 펄스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타이밍부는 상기 센서 요소가 상기 신호를 상기 제1 신호 컨버터로 전달한 후, 및 상기 제1 클록 펄스의 상기 제2 클록 엣지가 상기 센서 요소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활성화 모드를 종료한 후에 상기 신호 컨버터의 활성화를 유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센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비트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록 펄스는,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다중 비트 디지털 신호를 저장한 후,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신호 컨버터로의 전력을 스위칭 오프하는 스위치를 트리거하도록 더 구성되는 센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요소는 홀 센서 및 증폭기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 상기 증폭기, 상기 제1 신호 컨버터, 상기 메모리부는 집적 회로 칩의 부분들인 센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비트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2 신호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연결된 제1 출력 터미널과 상기 제2 신호 컨버터에 연결된 제2 출력 터미널을 더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인에이블링(enabling) 클록을 더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10. 센서 시스템 동작 방법으로서,
    센서 요소에 외부 자극을 가하는 단계;
    제1 클록 펄스의 제1 클록 엣지를 통해 상기 센서 시스템을 활성화 모드로 시작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자극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 요소에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록 펄스와 중첩되는 제2 클록 펄스의 제1 클록 엣지를 통해 신호 컨버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신호를 다중 비트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록 펄스의 인접 클록 엣지를 통해 상기 센서 요소를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 상기 활성화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 이후, 상기 시스템에서 변환된 신호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는 상기 센서 요소로의 전력을 스위칭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동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비트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비트 디지털 신호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후, 상기 신호 컨버터로의 전력을 스위칭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동작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요소는 홀 센서 및 증폭기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동작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는 하나의 집적 회로 칩 내에서 수행되는 센서 시스템 동작 방법.
  16. 센서 시스템으로서,
    외부 자극에 응답하여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센서 요소;
    상기 센서 요소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다중 비트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신호 컨버터;
    전원 공급부; 및
    제1 클록 펄스의 엣지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센서 요소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센서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타이밍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제1 클록 펄스와 중첩되는 제2 클록 펄스의 엣지를 통해 상기 센서 요소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신호 컨버터를 활성화 시키고 상기 신호 컨버터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더 구성되는 센서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록 펄스는 상기 제1 클록 펄스의 시작 이후 및 상기 제1 클록 펄스가 종료되기 전에 시작하는 센서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록 펄스는 상기 제2 클록 펄스의 시작 이후 및 상기 제2 클록 펄스가 종료되기 전에 종료하는 센서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록 펄스는 메모리부를 더 활성화시키는 센서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록 펄스의 종료는 상기 메모리부를 비활성화 시키지 않는 센서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록 펄스의 시작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 요소로부터 생성된 상기 신호의 형태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신호 컨버터를 더 활성화 시키는 센서 시스템.
KR1020177010123A 2014-11-07 2015-11-19 타이밍 제어를 이용한 홀 센서 칩 KR102394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6858P 2014-11-07 2014-11-07
US62/076,858 2014-11-07
US14/929,157 US10191505B2 (en) 2014-11-07 2015-10-30 Hall sensor chip with timing control
US14/929,157 2015-10-30
PCT/US2015/058693 WO2016073386A1 (en) 2014-11-07 2015-11-19 Hall sensor chip with timing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438A KR20170104438A (ko) 2017-09-15
KR102394949B1 true KR102394949B1 (ko) 2022-05-09

Family

ID=5590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123A KR102394949B1 (ko) 2014-11-07 2015-11-19 타이밍 제어를 이용한 홀 센서 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91505B2 (ko)
KR (1) KR102394949B1 (ko)
WO (1) WO2016073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7598B2 (ja) * 2018-04-06 2022-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ス遮断装置
JP7232677B2 (ja) * 2019-03-19 2023-03-03 東洋計器株式会社 水使用状況監視システム
US11652492B2 (en) 2020-12-30 2023-05-16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Signal chain with embedded power management
US11942960B2 (en) 2022-01-31 2024-03-26 Analog Devices, Inc. ADC with precision reference power saving mo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3723A1 (en) * 2009-12-07 2011-06-09 Austriamicrosystems Ag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Sensor Arrangement
US20130076351A1 (en) * 2011-09-26 2013-03-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etering device and mete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0647A3 (en) * 1993-04-14 1995-09-06 Namco Controls Corp Magnetically activated proximity switch.
JP3602166B2 (ja) 1994-09-13 2004-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センサ装置
US5884894A (en) * 1996-08-20 1999-03-23 Valtek, Inc. Inner-loop valve spool positioning control apparatus
DE102006022283A1 (de) * 2006-05-11 2007-11-15 Micronas Gmbh Monolithische Sensoranordnung bzw. Verfahren zum Ansteuern einer monolithischen Sensoranordnung
US7414389B2 (en) 2006-06-14 2008-08-19 Intel Corporation Low-power battery pack with hall-effect sensor
US7768254B1 (en) 2007-10-23 2010-08-03 Exaflop Llc Server power measurement
JP2009156699A (ja) * 2007-12-26 2009-07-16 Toshiba Corp 磁気検出回路
KR101081591B1 (ko) * 2010-02-25 2011-11-09 삼성전기주식회사 가변 히스테리시스 홀 집적회로
US8633687B2 (en) 2010-12-21 2014-01-21 Robert Bosch Gmbh Hall Effect sensor with reduced offset
AU2012322015A1 (en) * 2011-10-12 2014-05-15 Cequent Performance Products, Inc. Current sensing electrical converter
CN103733082B (zh) * 2012-05-11 2016-06-22 旭化成微电子株式会社 磁检测装置以及磁检测方法
US9389295B2 (en) * 2013-09-10 2016-07-12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Hall effect sensor system with diagnostic capabilities
US9462375B2 (en) * 2014-06-09 2016-10-04 Robert Bosch Gmbh Feedback delay reduction in force feedback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3723A1 (en) * 2009-12-07 2011-06-09 Austriamicrosystems Ag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Sensor Arrangement
US20130076351A1 (en) * 2011-09-26 2013-03-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etering device and mete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91505B2 (en) 2019-01-29
US20160132066A1 (en) 2016-05-12
WO2016073386A1 (en) 2016-05-12
KR20170104438A (ko) 2017-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949B1 (ko) 타이밍 제어를 이용한 홀 센서 칩
TWI397678B (zh) 用於監視溫度的系統與方法
Tan et al. An energy-efficient 15-bit capacitive-sensor interface based on period modulation
US96255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magnetic fields
TWI470254B (zh) Magnetic sensor circuit
US10349846B2 (en) Photoelectric sensor, photoelectric measurement method and heart rate measurement equipment
ATE504804T1 (de) Azimut-messeinrichtung und azimut-messverfahren
CN101738588A (zh) 传感器电路
CN107076807B (zh) 具有时序控制的霍尔传感器芯片
KR101156504B1 (ko) 바이오센서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JP5508233B2 (ja) 二重積分型a/d変換器
JP2009229123A (ja) 無線温度センサ
JP7295516B2 (ja) 磁気センサ及び生体磁気計測装置
EP3056871B1 (en) Detection apparatus
RU2547882C2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среды
Palmowski et al. A set of low-power microcontroller-based modules used for testing of small energy measurement methods
US20230341348A1 (en) Circuitry for electrochemical cells
WO2021145428A1 (ja) センサ用出力装置
Vera et al. A programmable plug&play interface for WSN applications
KR100725162B1 (ko) 저전력 센서 인터페이스회로
CN116046125A (zh) 一种低功耗电子秤
Lentka et al. On the use of a charge balancing method for low energy measurements
Hotra et al. Algorithms of semiconductor magnetic field sensor devices power consumption minimization
JP2012112665A (ja) センサ装置
CN103728040A (zh) 一种基于热电偶的开关柜内温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