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931B1 - 차량용 내장재 부품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931B1
KR102394931B1 KR1020210143979A KR20210143979A KR102394931B1 KR 102394931 B1 KR102394931 B1 KR 102394931B1 KR 1020210143979 A KR1020210143979 A KR 1020210143979A KR 20210143979 A KR20210143979 A KR 20210143979A KR 102394931 B1 KR102394931 B1 KR 10239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unctional means
interior material
concave portion
ski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지현
권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부품으로서,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탑승자의 신체 접촉시 쿠션감 및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이 부여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 부품{Interior material component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부품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탑승자의 신체 접촉시 쿠션감,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이 부여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에 대한 것이다.
차량 내부에 배치되어 탑승자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내장재에는 쿠션감, 소프트감, 디자인적인 심미감 등 다양한 기능성이 요구된다. 특히, 차량 고급화에 따라 수요자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와 같은 기능성이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내장재의 스킨은 가죽이나 합성 수지 등이 적용되는데, 이러한 스킨 재질 그 자체는 쿠션감 등의 기능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기에 스킨 하면에 별도의 쿠션재 등을 추가하여 쿠션감 등의 기능성을 보강하고 있다.
나아가서 내장재의 스킨 자체에 구조물을 형성시켜서 쿠션감 등의 기능성을 부여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일례로서 스킨 부재의 하면에 미세 돌기들을 형성하고, 스킨 표면의 가압시 돌기들이 휨 변형됨으로써 쿠션감을 부여하는 구조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세 돌기 구조를 갖는 스킨의 경우, 돌기가 휨 방향성을 갖고 변형됨으로 인해 특정 방향으로 가압시 충분한 쿠션감이 발휘되지 못하며, 반복적인 휨 변형으로 인해 돌기 자체가 휘어져 기능성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등록공보 제5651806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20-13866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쿠션감과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내장재 부품을 제공하자고 한다.
특히, 미세 돌기 구조를 적용한 스킨 부재의 경우, 돌기가 휨 방향성을 갖고 변형됨으로 인해 돌기의 정해진 휨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가압시 충분한 쿠션감 등의 기능성이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아울러 돌기의 반복적인 휨 변형으로 인해 돌기 자체가 휘어져 기능성을 상실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일실시예는,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내장재의 일부를 구성하되, 외부로 노출되어 탑승자의 신체와 가압 접촉되는 상면과,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오목부가 배열되어 상기 상면의 가압에 따라 상기 오목부가 하방을 향해 변형되는 기능성이 부여된 기능성 수단을 갖는 하면을 포함하는 스킨 부재; 및 상기 스킨 부재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킨 부재를 지지하는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성 수단은, 상기 스킨 부재의 하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오목부; 상기 오목부 간의 사이에서 상기 오목부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 및 상기 오목부의 내부와 상기 기재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복수의 상기 지지 다리 각각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오목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하나의 상기 지지 다리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세 개의 오목부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하나의 상기 지지 다리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네 개의 오목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성 수단은, 상기 오목부의 하단 면적 또는 상기 오목부의 함몰 깊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절되어 기능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서로 다른 하단 면적과 함몰 깊이를 갖는 두 종류 이상의 오목부가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오목부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상기 오목부는, 다각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인접한 오목부 간에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능성 수단은, 인접한 지지 다리 사이가 서로 연결되어 인접한 오목부 간을 이격시켜 분리 배치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스킨 부재의 하면과 상기 기재 사이에 배치된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성 수단은, 상기 스킨 부재의 상면 가압에 따라 상기 지지 다리가 상기 완충 부재를 가압하여 변형시키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지지 다리의 지지를 받아 중심부가 하방을 향해 변형되면서 기능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감과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차량의 내장재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스킨 표면이 특정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돌기 구조 등의 휨 방향성으로 인해 쿠션감 등의 기능성이 적절히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가압 방향과 무관하게 일정한 쿠션감 등의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도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가압시 동작 관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에서 기능성을 조절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탑승자의 접촉시 쿠션감,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이 부여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부품은, 도어트림, 트렁크 측벽, 인스트루먼트패널 등 차량용 내장 부품이나, 그 내장 부품에 장착되는 오너먼트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차량 이외에도 일정 수준의 쿠션감,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이 요구되는 물건 표면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도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차량 도어(10)에는 도어 트림(11), 암레스트(15) 등이 구비되며, 도어 트림(11)의 차량 내부측 표면과 암레스트(15)의 표면은 탑승자가 직접적으로 접촉되기에 쿠션감이나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을 갖는 내장재 부품이 적용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도어 트림(11) 표면, 암레스트(15) 표면 등에 적용되어 쿠션감,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을 부여하는 내장재 부품을 제시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차량용 내장재 부품(100)은, 스킨 부재(110), 기재(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킨 부재(110)는 일정 수준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스킨 부재(11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탑승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스킨 부재(110)의 하면에는 기능성 수단(120)이 구비될 수 있다. 기능성 수단(120)은 스킨 부재(110)의 하면 전체 영역에 걸쳐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쿠션감이나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이 요구되는 일부 영역에 한정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기능성 수단(120)은 스킨 부재(110)의 하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복수의 오목부(121)를 포함하며, 스킨 부재(110)의 상면 가압에 따라 오목부(121)가 하방을 향해 변형되면서 가압하는 외력을 흡수함으로써 쿠션감 등의 기능성이 부여될 수 있다.
아울러 기능성 수단(120)은, 복수의 지지 다리(125)와 복수의 캐비티 공간(1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다리(125)는 오목부(121)의 일부분을 이루면서 인접한 오목부(121) 간의 사이에 형성되어 오목부(121)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스킨 부재(110)의 가압시 오목부(121)는 지지 다리(125)의 지지를 받으면서 중심부위가 하방의 캐비티 공간(123)을 향해 변형될 수 있다.
복수의 오목부(121)가 일률적인 패턴으로 배열된 경우, 지지 다리(125)는 각 측면이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오목부(121)가 랜덤하게 분산되어 배열된 경우, 지지 다리(125)는 인접한 오목부(121)의 측면에 대응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지지 다리(125)는 오목부(121)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어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 다리(125)는 휨 방향성이 설정되지 않으며 가압시 특정 방향으로 휨 변형되지 않는다. 이러한 지지 다리(125)의 형태로 인해 스킨 부재(110)의 가압시에도 지지 다리(125)는 변형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오목부(121)를 지지할 수 있다.
캐비티 공간(125)은 오목부(121)의 내부와 기재(1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캐비티 공간(125)은 오목부(121)와 지지 다리(125)의 형태에 따라 그 모양과 크기가 변형될 수 있다.
캐비티 공간(125)은 빈 공간일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탄성력을 갖거나 자유롭게 형태가 변형되는 물질로 채워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비티 공간(125)은 액체나 젤 물질로 채워질 수도 있다.
기재(150)는 스킨 부재(110)의 하면에 접촉되어 스킨 부재(110)를 지지할 수 있다. 내장재 부품이 장착되는 부위 형태에 대응되어 기재(1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차량의 암레스트에 적용되는 내장재 부품의 경우, 암레스트 형상에 대응되어 기재(150)가 마련될 수 있고, 도어 트림에 적용되는 내장재 부품의 경우, 도어 트림의 형상에 대응되어 기재(15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기재(150)의 형상에 따라 스킨 부재(110)의 형상도 변형될 수 있다. 즉, 기재(150) 상에 스킨 부재(110)가 접촉되어 설치됨으로써 기재(150)의 형태에 대응되어 스킨 부재(110)의 형태가 변형되며, 기재(150)에 의해 스킨 부재(11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상기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스킨 부재(110)의 하면과 기재(150) 사이에는 완충 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 부재(13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서 스폰지나 섬유 등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완충 부재(130)는 스킨 부재(110)의 하면에 마련된 기능성 수단(120)과 접촉되며, 완충 부재(130)를 통해 기능성 수단(120)의 기능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기능성 수단(120)의 지지 다리(125)가 완충 부재(130)에 맞닿아 위치되며, 스킨 부재(110)의 가압시 지지 다리(125) 자체는 변형되지 않으므로 가압 외력에 따라 지지 다리(135)가 완충 부재(130)를 하방으로 밀어 완충 부재(130)가 변형됨으로써 지지 다리(125)에 가해지는 외력이 완충 부재(130)에 흡수될 수 있다.
즉, 스킨 부재(110)의 가압시 오목부(121)는 지지 다리(125)의 지지를 받으면서 하방의 캐비티 공간(123)을 향해 변형될 수 있고, 지지 다리(125)는 그 자체가 휨 변형되지 않으므로 완충 부재(130)를 변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스킨 부재(110)의 가압에 따라 오목부(121)가 하방의 개비티 공간(123)을 향해 변형되면서 1차적으로 외력을 흡수할 수 있고, 지지 다리(125)가 완충 부재(130)를 하방으로 밀어 변형시키면서 2차적으로 외력이 흡수되므로 쿠션감 등의 기능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기능성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앞서 살펴본 상기 도 4 및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가압시 동작 관계를 도시한다.
상기 도 6은 기능성 수단(120)의 오목부(121)를 통해 기능성이 부여되는 동작 과정이다.
상기 도 6의 (a)와 같이 스킨 부재(110)의 상면이 탑승자의 신체 등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도 6의 (b)와 같이 가압되는 스킨 부재(110)의 상면 부위에 대응되는 스킨 부재(110)의 하면에 배치된 오목부(121)가 가압에 따라 하방의 캐비티 공간(123)으로 휨 변형되면서 가압에 따른 외력이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오목부(121)는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며, 오목부(121)의 복원력으로 인해 가압에 따라 변형된 스킨 부재(110)의 형태가 원래의 모습으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도 7은 완충 부재(130)를 통해 기능성이 부여되는 동작 과정이다.
상기 도 7의 (a)와 같이 스킨 부재(110)의 상면이 탑승자의 신체 등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도 7의 (b)와 같이 가압되는 스킨 부재(110)의 상면 부위에 대응되는 스킨 부재(110)의 하면에 배치된 지지 다리(125)가 가압에 따라 하방으로 밀리게 된다.
지지 다리(125)가 하방으로 밀리면서 그 하부에 배치된 완충 부재(130)가 지지 다리(125)에 의해 변형되면서 가압에 따른 외력이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완충 부재(130)는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며, 완충 부재(130)의 복원력으로 인해 가압에 따라 변형된 스킨 부재(110)의 형태가 원래의 모습으로 복귀될 수 있다.
스킨 부재(110)의 기능성 수단(120)은 작은 크기의 오목부(121)들과 지지 다리(125)들이 배열된 형태로서, 탑승자의 신체에 의해 스킨 부재(110)가 가압되면 다수의 오목부(121)와 다수의 지지 다리(125)가 동시에 동작하게 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도 8에 도시된 손가락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을 가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스킨 부재(110)의 상면을 손가락으로 가압시 다수의 오목부(121a, 121b, 121c)에 대하여 동시에 가압에 따른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도 8과 같이 손가락으로 스킨 부재(110)의 상면 가압으로 인해 세 개의 오목부(121a, 121b, 121c)가 가압되는 경우, 세 개의 오목부(121a, 121b, 121c)가 점차적으로 휨 변형될 수 있다. 이때 가압에 따른 외력이 가장 집중되는 오목부(121b)가 가장 크게 휨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세 개의 오목부(121a, 121b, 121c)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125a, 125b)는 가압에 따른 외력으로 인해 하방으로 밀리면서 완충 부재(130)를 가압하게 된다. 지지 다리(125a, 125b)의 가압에 따라 지지 다리(125a, 125b)와 접하는 완충 부재(130)의 일부분이 휨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은 탑승자의 신체에 의해 그 표면이 가압되는 경우, 가압되는 면적과 외력의 크기에 따라 기능성 수단의 오목부가 하방으로 휨 변형되고 아울러 지지 다리에 의해 완충 부재가 휨 변형됨으로써 쿠션감과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이 발휘될 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은 쿠션감과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 정도가 조절될 수 있는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에서 기능성을 조절하는 개념을 도시한다.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기능성 정도는 기능성 수단의 오목부에 대한 하단 면적 또는 함몰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도 9와 같이 반구형 형태로 오목부(221a, 221b)를 형성하는 경우, 오목부(221a, 221b)의 하단 면적에 대응되는 직경 L1, L2와 오목부(221a, 221b)의 함몰 깊이 D1, D2를 조절하여 오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기능성 수단에 의해 발휘되는 기능성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도 9의 (a)에 도시된 오목부(221a)의 하단 면적에 대응되는 직경 L1과 함몰 깊이 D1과 대비하여 상기 도 9의 (b)에 도시된 오목부(221b)의 하단 면적에 대응되는 직경 L2과 함몰 깊이 D2가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쿠션감과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은 더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오목부의 하단 면적 또는 함몰 깊이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 자체를 상실할 수 있으므로, 오목부의 하단 면적과 함몰 깊이 간의 비율을 고려하여 오목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차량용 내장 부품의 기능성 수단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0의 실시예는, 스킨 부재(310)의 하면 상에 기능성 수단(320)의 오목부(321)가 행과 열의 격자 배열로 배치된 경우이다.
지지 다리(325)를 중심으로 네 개의 오목부(321a, 321b, 321c, 321d)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오목부(321a, 321b, 321c, 321d) 간은 일정 간격씩 이격된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다리(325)는 인접한 오목부(321a, 321b, 321c, 321d) 간을 구획하는 일정 두께의 연장부(327a, 327b, 327c, 327d)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다리(325)의 연장부(327a, 327b, 327c, 327d) 각각은 인접한 지지 다리와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327a, 327b, 327c, 327d)의 두께는 인접한 오목부(321a, 321b, 321c, 321d) 간의 이격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다리(325)의 연장부(327a, 327b, 327c, 327d)를 통해 오목부(321a, 321b, 321c, 321d)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도 11의 실시예는, 상기 도 10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스킨 부재(330)의 하면 상에 기능성 수단(340)의 오목부(341)가 행과 열의 격자 배열로 배치된 경우이다.
상기 도 11의 실시예에서도 지지 다리(345)를 중심으로 네 개의 오목부(341a, 341b, 341c, 341d)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인접한 오목부(341a, 341b, 341c, 341d) 간의 끝단이 서로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한 오목부(341a, 341b, 341c, 341d) 간을 구획하는 지지 다리(345)의 연장부(347a, 347b, 347c, 347d)는 외측을 향해 점점 얇아져 끝단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다리(345)의 연장부(347a, 347b, 347c, 347d)를 통해 오목부(341a, 341b, 341c, 341d)를 보다 촘촘하게 형성시킴으로써 기능성 감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
도 12의 실시예는 스킨 부재(360)의 하면 상에 기능성 수단(360)의 오목부(361)가 인접한 행 간에 열이 어긋난 배열로 배치된 경우이다.
지지 다리(365)를 중심으로 세 개의 오목부(361a, 361b, 361c)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오목부(361a, 361b, 361c) 간은 일정 간격씩 이격된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다리(365)는 인접한 오목부(361a, 361b, 361c) 간을 구획하는 일정 두께의 연장부(367a, 367b, 367c)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다리(365)의 연장부(367a, 367b, 367c) 각각은 인접한 지지 다리와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367a, 367b, 367c)의 두께는 인접한 오목부(361a, 361b, 361c) 간의 이격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 13의 실시예는, 상기 도 1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스킨 부재(370)의 하면 상에 기능성 수단(380)의 오목부(381)가 인접한 행 간에 열이 어긋난 배열로 배치된 경우이다.
상기 도 13의 실시예에서도 지지 다리(385)를 중심으로 세 개의 오목부(381a, 381b, 381c)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인접한 오목부(381a, 381b, 381c) 간의 끝단이 서로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한 오목부(381a, 381b, 381c) 간을 구획하는 지지 다리(385)의 연장부(387a, 387b, 387c)는 외측을 향해 점점 얇아져 끝단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10 내지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기능성 수단의 오목부를 규칙적인 배열로 배치시켰으나, 필요에 따라 기능성 수단의 오목부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기능성 수단의 오목부 형태는 반구형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부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4의 변형예에서는 스킨 부재(410)의 하면에 형성되는 기능성 수단(420)의 오목부(421)를 다각면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오목부(421)는 수평 단면이 오각형 형상으로서 스킨 부재(410)의 내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단면이 줄어들며, 오목부(421)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어 캐비티 공간(423)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 다리(425)는 인접한 오목부(421)의 배치 형태에 대응되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오목부(421)의 오각형 단면적과 함몰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기능성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도 14의 변형예에서는 오목부(421)를 행 간에 상하 반전시키고 열을 어긋나도록 배열하여 배치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오목부의 배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쿠션감과 소프트감 등의 기능성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차량의 내장재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스킨 표면이 특정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돌기 구조 등의 휨 방향성으로 인해 쿠션감 등의 기능성이 적절히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가압 방향과 무관하게 일정한 쿠션감 등의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내장재 부품,
110 : 스킨 부재,
120 : 기능성 수단,
121 : 오목부,
123 : 캐비티 공간,
125 : 지지 다리,
130 : 완충 부재,
160 : 기재.

Claims (13)

  1.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내장재의 일부를 구성하되,
    외부로 노출되어 탑승자의 신체와 가압 접촉되는 상면과,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깊이가 줄어드는 오목부가 배열되어 상기 상면의 가압에 따라 상기 오목부의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 부분이 하방을 향해 변형되는 기능성이 부여된 기능성 수단을 갖는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수단은 상기 오목부의 하단 면적 또는 상기 오목부의 함몰 깊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절되어 기능성이 조절되는 스킨 부재; 및
    상기 스킨 부재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킨 부재를 지지하는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상기 스킨 부재의 하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오목부;
    상기 오목부 간의 사이에서 상기 오목부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 및
    상기 오목부의 내부와 상기 기재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복수의 상기 지지 다리 각각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오목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하나의 상기 지지 다리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세 개의 오목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하나의 상기 지지 다리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네 개의 오목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서로 다른 하단 면적과 함몰 깊이를 갖는 두 종류 이상의 오목부가 교번하여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다각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인접한 오목부 간에 접촉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인접한 지지 다리 사이가 서로 연결되어 인접한 오목부 간을 이격시켜 분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부재의 하면과 상기 기재 사이에 배치된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단은,
    상기 스킨 부재의 상면 가압에 따라 상기 지지 다리가 상기 완충 부재를 가압하여 변형시키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지지 다리의 지지를 받아 중심부가 하방을 향해 변형되면서 기능성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부품.
KR1020210143979A 2021-10-26 2021-10-26 차량용 내장재 부품 KR10239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79A KR102394931B1 (ko) 2021-10-26 2021-10-26 차량용 내장재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79A KR102394931B1 (ko) 2021-10-26 2021-10-26 차량용 내장재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931B1 true KR102394931B1 (ko) 2022-05-09

Family

ID=8158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79A KR102394931B1 (ko) 2021-10-26 2021-10-26 차량용 내장재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9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1806B1 (ko) 1971-02-02 1981-12-08
JP2007112374A (ja) * 2005-10-24 2007-05-1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内装材
JP5651806B2 (ja) * 2012-03-07 2015-01-14 豊田鉄工株式会社 重ね合わせ複合部品
KR101934556B1 (ko) * 2017-09-26 2019-01-0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JP2020138667A (ja) 2019-02-28 2020-09-03 南条装備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1806B1 (ko) 1971-02-02 1981-12-08
JP2007112374A (ja) * 2005-10-24 2007-05-1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内装材
JP5651806B2 (ja) * 2012-03-07 2015-01-14 豊田鉄工株式会社 重ね合わせ複合部品
KR101934556B1 (ko) * 2017-09-26 2019-01-0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JP2020138667A (ja) 2019-02-28 2020-09-03 南条装備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309B2 (en) Support structure
JP5651806B2 (ja) 重ね合わせ複合部品
KR102394931B1 (ko) 차량용 내장재 부품
EP2998109B1 (en) Multilayer composite interior component
CN107848468B (zh) 重叠复合内装部件
JP7054930B2 (ja) 車両用内装材
US10160404B2 (en) Multilayer composite interior component
JP5851387B2 (ja) 重ね合わせ複合部品
US20160207277A1 (en) Multilayer composite interior component
CN101731880A (zh) 儿童座椅
TWI721922B (zh) 反作用力產生構件及按鍵裝置
US20070020437A1 (en) Textured structure for object surface
JP5649392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JP2014125122A (ja) 重ね合わせ複合部品
EP3150441B1 (en) Overlaid composite interior component
WO2021124692A1 (ja) 照明カバー及び表示装置
KR102356009B1 (ko) 몰핑 영역의 스트레스 해소 구조를 갖는 내장재 부품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JP5326428B2 (ja) 車両用シート
JP5418757B2 (ja) 鍵盤装置
JP2000177468A (ja) 車両用内装部品の緩衝構造
JP2010184085A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
KR102356008B1 (ko) 몰핑 영역의 인장력을 강화한 내장재 부품 및 이를 적용한 몰핑 서피스 구조물
CN107531190B (zh) 用于车辆内饰的储藏箱
CN105826111A (zh) 按键结构
EP4309971A1 (en) Steering w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