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459B1 -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youngia sonchifolia extract - Google Patents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youngia sonchifolia extra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459B1
KR102394459B1 KR1020170083835A KR20170083835A KR102394459B1 KR 102394459 B1 KR102394459 B1 KR 102394459B1 KR 1020170083835 A KR1020170083835 A KR 1020170083835A KR 20170083835 A KR20170083835 A KR 20170083835A KR 102394459 B1 KR102394459 B1 KR 102394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hitening
godeulbaegi
ski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3226A (en
Inventor
방미애
정기호
정종기
정보람
신보연
김숙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7008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459B1/en
Publication of KR2019000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2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4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조성물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항산화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식품 및 약용으로 오랫동안 사용된 고들빼기를 이용한 것이어서 내성이나 안전성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미백 조성물은 미백 화장품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Godeulbaegi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o a method for producing an extract of Godeulbaegi having excellent whitening effec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whitening effect and excellent antioxidant effect, as well as a long time used for food and medicine, so there is no problem related to tolerance or safety, so the whitening composi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whitening cosmetics. can be widely used as

Description

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YOUNGIA SONCHIFOLIA EXTRACT}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fern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YOUNGIA SONCHIFOLIA EXTRACT}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 구체적으로 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plant extract, specifically, an extract of Godeul-baegi as an active ingredient.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 케라틴 및 헤모글라빈의 농도 및 분포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자외선 등의 환경적 조건, 피로, 스트레스 등의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상기 피부색과 관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멜라닌이다.A person's skin color is determined by the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melanin, keratin, and hemoglobin inside the skin.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kin color is melanin.

멜라닌(흑색소, Melanin)은 인간 피부의 색을 나타내고 피부를 보호하고, 자외선(UV)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색소이다. 상기 멜라닌은 피부의 표피(epidermis)의 기저층(basal layer)에 있는 멜라노사이트 세포(melanocyte cells)에 의해 생산된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에 타이로시나제(tyrosinase, EC:1.14.18.1)가 작용하여 도파, 도파퀴논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상기 타이로시네이즈는 구리원자를 포함하는 금속이온 함유 모노옥시제나제(a copper-containing monooxygenase)중 하나로, 상기한 바와 같이, 멜라닌 생합성 경로(melanin biosynthesis pathway)에 있어서 중요한 효소(key enzyme)이다.Melanin (melanin) is a representative pigment that represents the color of human skin, protects the ski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skin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UV) rays. The melanin is produced by melanocyte cells in the basal layer of the epidermis of the skin. Melanin is produced through a non-enzymatic oxidation reaction after tyrosinase (EC: 1.14.18.1) acts on tyrosine, a kind of amino acid, to convert it into dopa and dopaquinone. The tyrosinase is one of a copper-containing monooxygenase containing a copper atom. As described above, it is an important enzyme in the melanin biosynthesis pathway. .

상기 멜라노사이트 세포에 의해 합성된 멜라닌은 주변 각질세포로 전이되어 사람의 피부색을 나타낸다.The melanin synthesized by the melanocyte cells is transferred to the surrounding keratinocytes to represent the color of human skin.

상기 멜라닌이 피부에서 필요이상으로 과도하게 생성되면, 피부색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또는 점 등을 발생시키고, 과색소침착증 등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피부내의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색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할 수 있다.When the melanin is excessively produced in the skin, it darkens the skin color, causes spots, freckles, or spots, and causes hyperpigmentation, resulting in cosmetically undesirable results. Therefore, inhibiting the synthesis of melanin pigment in the skin not only brightens the skin color to realize skin whitening, but also improves skin hyperpigmentation such as spots and freckles caused by ultraviolet rays, hormones, and genetic causes.

최근, 미에 대한 관심과 자기관리에 대한 욕구의 증가와 함께 피부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기미나 점과 같은 피부의 잡티제거를 위해 피부 미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또 다른 측면에서 야외에서의 레저활동을 즐기는 인구의 증가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as interest in skin increases along with an increase in interest in beauty and self-care, research on skin whitening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o remove skin blemishes such as spots and spots, and in another aspect, outdoor With the increase of the population enjoying leisure activities in the cit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to prevent melanin pigmentation caused by UV rays.

상기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의 감소는 타이로시네이즈를 저해하거나, 자외선(UV)에 의한 노출을 감소시키거나, 멜라노사이트 세포를 저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중에서 기존 미백용 화장품과 관련해서는 타이로시네이즈를 저해할 수 있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였다.The reduction in the biosynthesis of the melanin pigment may be performed by inhibiting tyrosinase, reducing exposure to ultraviolet (UV) light, or inhibiting melanocyte cells. Among the above methods, in relation to the existing cosmetic for whitening, a component capable of inhibiting tyrosinase was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미백용 화장품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화학성분인 하이드로퀴논이나 아스콜빈산, 코직산, 글루타치온과 같은 타이로시나제에 대해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피부 외용 연고나, 크림, 에센스 등의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 미백을 실현하거나,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하였다.In relation to the above whitening cosmetics, conventionally, substances havi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yrosinase such as hydroquinone, ascorbic acid, kojic acid, and glutathione, which are chemical components, are formulated in cosmetics such as ointments, creams, and essences for external use on the skin. By doing so, skin whitening was realized or skin hyperpigmentation such as spots and freckles was improved.

그러나, 이러한 성분들은 주로 합성물질로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거나, 그 효능의 측면이나 화장품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변질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However, these ingredients are mainly synthetic materials, and safety issues are raised, or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when used with cosmetics or in terms of efficacy.

구체적으로,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자극이 심하여 배합량을 극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알러지(allergy) 유발이나 피부암 유도 등과 같은 문제가 제기되어 그 사용자체가 전면 금지되는 국가도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피부과의 처방이 필요한 약용으로 분류되어, 병원이나 약국에서 판매되는 외용 조성물에 한해서 전체 조성물 중 1% 미만의 농도를 첨가될 수 있는 것으로 규제되고 있다.Specifically, hydroquinone not only has a problem in that it has to be limited to a very small amount due to severe skin irritation, but also has recently raised issues such as allergy or skin cancer induction. It is also classified as a drug that requires a dermatologist's prescription, and it is regulated th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1% of the total composition can be added only to external compositions sold in hospitals or pharmacies.

또한, 비타민 C 유도체인 아스콜빈산(ascorbic acid)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이나 변취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고 그에 따라 미백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scorbyl-palmitate, Ascorbyl-dipalmitate, Ascorbyl stearare 또는 Ascorbyl magnesium phosphate 등의 유도체가 개발되고 있으나 특수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으면 피부 속으로 침투가 어렵다는 문제가 단점으로 제시되고 있다.In addition, ascorbic acid, a vitamin C derivative, is easily oxidized, and cosmetics containing it have problems such as discoloration or discoloration, which lowers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th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hitening effect is lowered. Recently, derivatives such as ascorbyl-palmitate, ascorbyl-dipalmitate, ascorbyl stearare, or ascorbyl magnesium phosphate have been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but unless a special technique is used, it is difficult to penetrate into the skin.

또한, 코직산은 경구 투여시 발암 가능성이 있어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더 필요하며,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경피 흡수에도 문제점이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아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kojic acid has the potential to be carcinogenic when administered orally, so further verification of safety is required. Thiol-based compounds such as glutathione and cysteine not only have a characteristic unpleasant odor, but also have a problem in transdermal absorption, and glycosides and derivatives thereof It also has a high polarity, making it difficult to use as a cosmetic ingredient.

또한, 기존의 천연재료로부터 분리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은 주로 페놀 구조(phenol structure)를 가지거나 금속 킬레이트 효소(metal chelating agent)로, 상기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들은 활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독성(high toxicity)과 불충분한 투과성(insufficient penetrative ability)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In addition, substances havi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solated from existing natural materials mainly have a phenol structure or are a metal chelating agent, and the substances having inhibitory activity are low in activity. Nevertheless, its use is limited due to high toxicity and insufficient penetrative ability.

따라서, 이제까지의 미백제보다 효능이 뛰어나고 좀 더 안전한 미백용 화장품의 유효성분 일 예로, 멜라닌 자체를 분해할 수 있는 성분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research on ingredients capable of decomposing melanin itself, as an example of an active ingredient for whitening cosmetics that is more effective and safer than whitening agents so far.

KR 10-2004-0018733AKR 10-2004-0018733A KR 10-0527602BKR 10-0527602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피부 미백에 효과적이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의 유효성분 및 그 최적 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ctive ingredient and an optimal content of a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substance that is effective for skin whitening and has almost no side effects. d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들빼기 추출물(Youngia sonchifoli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 Youngia sonchifolia )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들빼기 동결건조물의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The extract of Godeulpagi may be preferably a hot water extract, more preferably a hot water extract of a freeze-dried product of Godeulbaegi.

상기 미백 조성물은 미백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또는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The whitening composition may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a whitening effect or a cosmetic having a whitening effect, and in this regard, it may be a skin extern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whitening or a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고들빼기 추출물(Youngia sonchifoli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 은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들빼기 동결건조물의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ract of Godeulbagi ( Youngia ) sonchifolia ) as an active ingredien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skin whitening. The extract of Godeulpagi may be preferably a hot water extract, more preferably a hot water extract of a freeze-dried product of Godeulpagi.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고들빼기 추출물(Youngia sonchifoli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xtracts from sonchifolia ) as an active ingredient,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고들빼기 동결건조물의 열수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수에서 세척한 고들빼기를 -20℃에서 건조한 후, 마쇄하여 고들빼기 마쇄물을 제조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 준비 단계; 및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에 물을 첨가하고 80℃ 내지 120℃에서 열수 추출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Godeulpagi extract is a hot water extract, preferably a hot water extract of the Godeulbaegi freeze-dried product, more preferably, dried Godeulpagi washed in running water at -20° C., followed by grinding to prepare a godeulbaegi milled product; And it may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water to the extract sample and extracting the extract with hot water at 80°C to 120°C.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유수에서 세척한 고들빼기를 -20℃에서 건조한 후, 마쇄하여 고들빼기 마쇄물을 제조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 준비 단계; 및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에 물을 첨가하고 80℃ 내지 120℃에서 열수 추출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미백 효과가 우수한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mple preparation step for preparing a godeulbagi extract by grinding the godeulbaegi washed in running water at -20°C, and then grinding to prepare a grinded plant; And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n extract of Godeulbaegi having excellent whitening effect, comprising adding water to the extract sample and extracting it with hot water at 80°C to 120°C.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효성분이란 미백 조성물, 구체적으로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미백 효과를 제공하는 성분을 의미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an active ingredient refers to a component that provides a whitening effect in a whitening composition, specifically,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cosmetic composi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prevention means any action of suppressing the symptoms of a specific disease or delaying the progression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개선 행위를 의미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treatment refers to any improvement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cially changes the symptoms of a specific disease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개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통풍을 포함한 특정 질환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an individual refers to all animals, such as humans, monkeys, dogs, goats, pigs, or mice, with diseases in which symptoms of specific diseases including gout can be improved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administration means providing a give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by any suitable method.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eans that it is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d does not normally cause allergic reactions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s, dizziness, or similar reactions when administered to animals, preferably humans. do.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부작용이나 내성 등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없는 천연물질 유래의 미백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구하던 중, 여러 식물 중에서 미백 효과, 구체적으로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효과가 우수한 고들빼기 추출물은 기존의 미백활성 조성물에 사용된 성분인 하이드로퀴논이나 코직산과 같이 안전성에 문제가 있거나, 글루타치온 또는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과 같이 불쾌한 냄새 등으로 인한 제형 상의 문제가 있지 아니한 것을 확인하였고,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미백 조성물 내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고들빼기 추출물은 추출용매의 측면에서 수용매만을 용매로 사용하는 열수 추출법이 미백 효과가 가장 우수하고, 추출대상인 고들빼기 분말을 제조함에 있어서, 고들빼기 건조과정은 동결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Whil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researching a material having whitening activity derived from a natural substance that does not have side effects or stability problems such as tolerance, the extract of Godeulbarae, which is excellent in whitening effect, specifically,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among various plants has bee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afety problem, such as hydroquinone or kojic acid, which are ingredients used in the whitening active composition of Additional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whitening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and in terms of the extraction solvent,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using only an aqueous solvent as a solvent has the best whitening effect, In preparing the powder, it was confirmed that freeze-drying was the most excellent in the drying process of Godeul-baegi, and based on thi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고들빼기(Youngia sonchifoli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미백 조성물은 약학 용도 또는 화장품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Godeulpagi ( Youngia sonchifolia ) relates to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Godeulpagi extract may be a hot water extract. The whitening composition may be used for pharmaceutical or cosmetic purposes.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미백 조성물은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whitening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skin whitening or a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구체적으로 유수에서 세척한 고들빼기를 -20℃에서 건조한 후, 마쇄하여 고들빼기 마쇄물을 제조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 준비 단계; 및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에 물을 첨가하고 8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10℃에서 열수 추출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The Godeulbaegi extract is a hot water extract, specifically, dried Godeulpagi washed in running water at -20°C, and then ground to prepare a Godeulbagi extract sample preparation step; And it may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water to the extract sample of Godeulbaegi and extracting it with hot water at 80°C to 120°C, preferably at 110°C.

상기 고들빼기(Youngia sonchifolia)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이년생 초본식물로, 씬나물 또는 고채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고들빼기는 줄기는 곧고 가지를 많이 치며 붉은 자줏빛을 띠고, 잎은 달걀 모양이며, 뿌리부근에서 나는 잎은 털이 없고, 길이 2.3 내지 6 cm로 밑이 넓어져 줄기를 감싸며, 불규칙하게 패인 톱니가 있으며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꽃은 노란색으로 5월 내지 7월 피는데, 가지 끝에 두상화가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화관은 노란색이고 끝이 갈라지며, 열매는 수과로 검은색에 납작한 원뿔형으로 6월에 익는다. The Godeulpagi ( Youngia ) sonchifolia ) is a dicotyledonous bicotyledonous plant belonging to the Asteraceae of the order Asteraceae, and is also called cinnamon or gochae. The stem is straight, branched, reddish-purple, the leaves are egg-shaped, the leaves growing from the root are hairless, the length is 2.3 to 6 cm, and the base is widened to surround the stem, and there are irregularly dented saw teeth. The size becomes smaller as it goes up, and the flowers are yellow and bloom from May to July. The capillary flowers hang at the end of the branches in corolla, the corolla is yellow and the ends are split, and the fruits are a black, flat cone-shaped fruit. ripen in the month

상기 고들배기는 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분포하고, 산기슭과 들이나 밭 근처에서 자생하며 농가에서 재배하기도 하였다. 상기 고들빼기의 어린 잎과 뿌리는 김치를 담그거나 나물로 먹으며, 민간에서는 풀 전체를 약재로 쓰기도 하였다.The Godeulbaegi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south central part of Korea, grows wild in the foothills of mountains and near fields or fields, and was also cultivated in farmhouses. The young leaves and roots of Godeul-ppaegi are made with kimchi or eaten as greens, and in folklore, the whole grass has been used as a medicine.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한 용매 추출물,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한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에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수득한 정제물일 수 있다.The extract may be a solvent extract extracted with an extraction solvent, a fraction obtained by adding a fractionation solvent to an extract prepared by extraction with an extraction solvent, or a purified product obtained by performing chromatography on the fraction.

상기 추출용매는 천연물 추출에 사용될 수 있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핵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탄소수 3내지 5의 케톤 등의 중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organic solvent, or a mixture thereof, preferably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mixtures thereof that can be used for extracting natural products. The organic solvent is a linear or branched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a polar solvent such as ethyl acetate or acetone, a non-polar solvent such as nucleic acid or dichloromethane, a neutral solvent such as a ketone having 3 to 5 carbon atoms, or these It may be a mixed solvent, preferably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or an aqueous alcohol solution, more preferably water.

상기 분획용매는 물, 탄소수 5 내지 7의 알칸, 부탄올을 포함한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fractionation solvent may be water, an alkane having 5 to 7 carbon atoms, a linear or branched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including butanol,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chloroform, hexane, or a mixture thereof.

본 발명의 고들빼기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의 제조는 불순물을 제거한 고들빼기의 건조물, 바람직하게는 고들빼기 동결건조물을 분쇄한 분쇄물에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가하고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용매를 이용한 추출법은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또는 초음파 분쇄 추출법,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법일 수 있다.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a plant extract. More specifically, the preparation of the extract of Godeulbaegi was performed by adding an extraction solvent, preferably water, to the pulverized product obtained by pulverizing the dried product of Godeulpagi, preferably the freeze-dried product of Godeulbagi, from which impurities were removed. The extraction method using the solvent may be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a cold extraction method, a hot extraction method, a pressure extraction method, a reflux extraction method or an ultrasonic pulverization extraction method, preferably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또한,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의 분획물의 제조는 상기 추출법으로 제조한 추출물 즉, 조추출물 또는 조추출액에 분획용매를 가한 후에 분획용매의 극성에 따라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층분리에 의한 분리법 또는 분획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에 추출용매와 극성이 상이한 분획용매를 가한 후에, 예를 들어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의 분획용매를 상기 기재와 동일한 순서로 가한 후에 층분리된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paration of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Godeulbaegi can be performed by adding a solvent to the extract prepared by the above extraction method, that is, the crude extract or the crude extract, and then obtaining the fraction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fractionation solvent. The method for obtaining the fraction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ion method by layer separation or a fractiona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after adding a fractionation solvent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extraction solvent to the extract, for example, hexane,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ation solvents are added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above, followed by layer-separated hexane fraction , a chloroform fraction, a methylene chloride fraction, an ethyl acetate fraction, a butanol fraction and a water fraction.

상기 층분리에 의한 분획법은 상기 용매의 비극성의 정도에 따라 그 순서대로 추출물에 가하고, 각 적용시마다 층 분리에 의해 얻어지는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일 수 있고, 일 예로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에 헥산을 첨가하여 층분리가 된 헥산층을 분획하여 얻은 헥산 분획물; 상기 헥산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층에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층분리가 된 메틸렌클로라이드층을 분획하여 얻은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상기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층에 에틸렌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층분리가 된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획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층인 물 분획물 순차적으로 수득하는 방법일 수 있다.The fractionation method by layer separation may be a method of adding to the extract in that ord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nonpolarity of the solvent, and obtaining a fraction obtained by layer separation for each application, for example, by adding hexane to the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a hexane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layer-separated hexane layer; a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methylene chloride layer separated by the addition of methylene chloride to the layer remaining after separating the hexane fraction; The ethyl acetate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layer-separated ethyl acetate layer by adding ethylene acetate to the layer remaining after separating the methylene chloride fraction and the water fraction remaining after separating the ethyl acetate fraction may be sequentially obtained.

상기 분획물의 정제를 위한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등의 다양한 크로마토 그래피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Chromatography for purification of the fraction is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such as various chromatography using can be done by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분획과정 또는 정제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고들빼기 추출물은 통상적 방법으로 건조된 추출물의 건조물과 통상적 방법으로 농축된 추출물의 농축물, 상기 추출물, 건조물 또는 농축물의 희석액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수득한 고들빼기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동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ract may be concentrated or the solvent may be removed by performing extraction, fractionation, or purification, followed by fil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or additional concentration and/or freeze-drying. Therefore, the extract of Godeulbaegi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a dried product of the extract dried by a conventional method, a concentrate of the extract concentrated by a conventional method, and a diluted solution of the extract, dried product or concentrate. The obtained Godeulbaegi extract may be stored in a deep freezer until use.

구체적으로,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유수에서 세척한 고들빼기를 -20℃에서 건조한 후, 마쇄하여 고들빼기 마쇄물을 제조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 준비 단계; 및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에 물을 첨가하고 80℃ 내지 120℃에서 열수 추출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thod for obtaining the extract of Godeulbaegi includes a step of preparing a sample of Godulpagi extract, which is washed in running water, dried at -20°C, and then ground to prepare a milled product; And it may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water to the extract sample and extracting the extract with hot water at 80°C to 120°C.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미백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은 유수에서 세척한 고들빼기를 -20℃에서 건조한 후, 마쇄하여 고들빼기 마쇄물을 제조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 준비 단계; 및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에 물을 첨가하고 80℃ 내지 120℃에서 열수 추출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Godeul-baegi extract,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whitening composition, is dried in running water at -20°C, and then grinded to prepare a Godeul-baegi extract sample preparation step; And it may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water to the extract sample and extracting the extract with hot water at 80°C to 120°C.

상기 멜라닌이란 흑갈색의 색소로서 피부, 털 또는 눈 등에 존재한다. 일정량 이상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자외선의 침투를 차단하여 인체를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해주며, 상기 멜라닌의 양에 의해 피부색이 결정된다.The melanin is a black-brown pigment and is present in the skin, hair, or eyes. In a way that absorbs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ultraviolet rays, it blocks the penetration of ultraviolet rays to protect the human body, maintain body temperature, and skin color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melanin.

상기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생산되는 경우에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변이 유발되는 한편, 반대로 외부 환경 요인 등에 의해 과잉 생산되는 경우,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초 침착 및 피부 잡티의 원인이 되어 미용적인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피부암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When the melanin is produced abnormally low, skin lesions such as vitiligo are induced, whi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overproduc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etc., it causes pigmentation such as spots and freckles and skin blemishes, resulting in cosmetic problems. In addition, it is closely related to skin cancer and can be a cause of disease.

따라서, 상기 멜라닌을 분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은 미백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응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white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decomposing the melanin can be applied as a skin extern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whitening or a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고들빼기 열수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들빼기 동결건조물의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고들빼기 동결건조물의 열수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오랫동안 식용으로 사용되어온 고들빼기와 물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부작용이나 독성 등의 안전성이 문제되지 아니하고, 추출수율도 우수하므로, 상기 미백 조성물은 여러 측면에서 우수한 상품성을 갖는다.The Godeulpagi extract prepar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a hot water extract of Godeulpagi, more preferably a hot water extract of a freeze-dried product of Godeulpagi.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lyophilized product of Godeulpaegi has excellen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related to melanin production, and above all, because it uses Godeulbaegi and water, which have been used for food for a long time, safety such as side effects or toxicity is not a problem, and the extraction yield Also, the whitening composition has excellent marketability in various aspects.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extract of Godeulpaegi as an active ingredient. The extract of Godeulbaegi may be preferably a hot water extract.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skin extern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whitening may further include appropriat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skin extern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whitening may be formulat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respectively, and is preferably formulated as a cream, gel, patch, spray, ointment, warning agent, lotion, liniment agent, pasta agent or cataplasma agent.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일 수 있다.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external sk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whitening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oligosaccharid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이 제제화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가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skin whitening is formulated, commonly used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or surfactants may be used.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의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The formulat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skin whitening may include a sterile aqueous solution, a non-aqueous solution, a suspension, an emulsion, a freeze-dried formulation, and a suppository.

상기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또는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non-aqueous solvent or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may be used. In addition,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or glycerogelatin may be used.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1일 0.000001 내지 100 ㎎/㎏(유효성분/체중)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유효성분/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의 외용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되거나 수 회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The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skin whitening varies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and weight, the degree of disease, drug form, administration route and period,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n exampl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t 0.000001 to 100 mg/kg (active ingredient/body weight) per day based on the active ingredient, preferably 0.001 to 10 mg/kg (active ingredient/body weight). However, the abov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The external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skin whitening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administrations.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고들빼기 열수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수에서 세척한 고들빼기를 -20℃에서 건조한 후, 마쇄하여 고들빼기 마쇄물을 제조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 준비 단계; 및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에 물을 첨가하고 80℃ 내지 120℃에서 열수 추출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comprising the extract of Godeulpaegi as an active ingredient. The Godeulpagi extract is preferably a Godeulpagi hot water extract, more preferably a Godeulpagi extract sample preparation step of washing the Godeulpagi washed in running water at -20°C, and then grinding to prepare a milled product; And it may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water to the extract sample and extracting the extract with hot water at 80°C to 120°C.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고들빼기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과 관련하여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하고 안전성이 인정되어,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The active ingredien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the extract of Godeulpagi, has excellen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relation to melanin production and has been recognized for safety, so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cosmetics and face washes having a whitening effect. Products to which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added include, for example, cosmetics such as various creams, lotions, and skins, and cleansing agents, face washes, soaps, treatments, and cosmetics.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류,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polymer peptides, polymer polysaccharides, sphingolipids, and seaweed extract.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또는 비타민 C이거나, 이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 또는 이들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The water-soluble vitamins can maintai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included in any form as long as they can be formulated in cosmetics. Specifically,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pyridoxine, pyridoxine hydrochloride, vitamin B12, pantothenic acid, nicotinic acid, nicotinic acid amide , folic acid or vitamin C, salts thereof (thiamine hydrochloride, sodium ascorbate, etc.) or derivatives thereof (sodium ascorbic acid-2-phosphate, magnesium ascorbic acid-2-phosphate, etc.) . The water-soluble vitamin may be obtain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a microorganism transformation method, a purification method from a microbial culture, an enzymatic method or a chemical synthesis method.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일 수 있고,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The oil-soluble vitamins can maintai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ny type of compound that can be formulated in cosmetics. Specifically, vitamin A, carotene, vitamin D2, vitamin D3, vitamin E (D-alpha tocopherol, D-alpha tocopherol) , D-alpha tocopherol), and their derivatives (ascorbine palmitate, ascorbine stearate, ascorbine dipalmitate, acetate-alpha tocopherol, nicotinic acid-alpha tocopherol vitamin E, D-pantothenyl alcohol, D- pantothenyl alcohol, pantothenyl ethyl ether, etc.). The oil-soluble vitamin can be obtain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a microorganism transformation method, a purification method from a microbial culture, an enzymatic method or a chemical synthesis method.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또는 케라틴 등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후, 정제과정을 거쳐 취득할 수 있으며,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polymer peptide can maintai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included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be formulated in cosmetics, and specifically, it may be collagen, hydrolyzed collagen, gelatin, elastin, hydrolyzed elastin or keratin. The polymer peptide can be obtained through a purification process after being obtain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a purification method from a culture solution of a microorganism, an enzyme method, or a chemical synthesis method. It can also be purified from and used.

상기 고분자 다당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또는 콘드로이틴 황산 등일 수 있고, 그들의 염(나트륨염 등)등 일 수 있다. 상기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high molecular weight polysaccharide can maintai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ny compound that can be formulated in cosmetics, specifically hydroxyethyl cellulose, xanthan gum, sodium hyaluronate or chondroitin sulfate, and their salts (sodium salt, etc.). The chondroitin sulfate or a salt thereof may be purified and used from mammals or fish.

상기 스핑고 지질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일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The sphingolipid may maintai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ny compound that can be formulated in cosmetics, and specifically may be ceramide, phytosphingosine, or sphingoglycolipid. The sphingo lipid may be purified by a conventional method from mammals, fish, shellfish, yeast or plants, or may be obtained by chemical synthesis.

상기 해초 엑기스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일 수 있고, 상기 해초 엑기스에는 상기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포함된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수득될 수 있다.The seaweed extract can maintai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include any that can be formulated in cosmetics, specifically brown algae extract, red algae extract, green algae extract, etc., and the seaweed extract includes a color purified from the seaweed extract. Also included are ginan, arginic acid, sodium alginate, potassium alginate, and the like. The seaweed extract may be obtained by purification from seaweed by a conventional method.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은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안료 및 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또는 정제수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ingredients commonly formulated in cosmetics. More specifically, the other ingredients commonly formulated in the cosmetic are oil and fat components, moisturizers, emollients, surfactant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organic powders, UV absorbers, preservatives, bactericides, antioxidants, plant extracts, pH adjusters , alcohol, color, fragrance, blood circulation promoter, cooling agent, limiting agent, or purified water.

상기 유지 성분은 구체적으로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또는 식물 유지 등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at and oil component may be an ester-based fat, hydrocarbon-based fat, silicone-based fat, fluorine-based fat, animal fat, or vegetable fat.

상기 에스테르계 유지는 일 예로,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 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릴 또는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일 수 있다.The ester-based oils and fats are, for example, tri-2-ethylhexanoate glyceryl, 2-ethylhexanoate cetyl, isopropyl myristate, but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ethyl stearate, octyl palmitate, isostearic acid Socetyl, butyl stearate, ethyl linoleate, isopropyl linoleate, ethyl oleate, isocetyl myristate, isostearyl myristate, isostearyl palmitate, octyldodecyl myristate, isocetyl isostearate, sebacic acid Diethyl, diisopropyl adipate, isoalkyl neopentanoate, tri(capryl, capric acid) glyceryl, tri-2-ethylhexanoate trimethylolpropane, triisostearate trimethylolpropane, tetra-2- Pentalyslitol ethyl hexanoate, cetyl caprylate, decyl laurate, hexyl laurate, decyl myristate, myristyl myristate, cetyl myristate, stearyl stearate, decyl oleate, ricinoleic acid Cetyl, isostearyl laurate, isotridecyl myristate, isocetyl palmitate, octyl stearate, isocetyl stearate, isodecyl oleate, octyldodecyl oleate, octyldodecyl linoleate, isostearate isopropyl, cetostearyl 2-ethylhexanoate, stearyl 2-ethylhexanoate, hexyl isostearate, ethylene glycol dioctanoate, ethylene glycol dioleate, propylene glycol dicapric acid, di(capryl, capric acid) prop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caprylate, neopentyl glycol dicapric acid, neopentyl glycol dioctanoate, glyceryl tricaprylate, glyceryl triundecyl acid, glyceryl triisopalmitate, glyceryl triisostearate, octyldode neopentanoate Thread, isostearyl octanoate, octyl isononanoate, hexyldecyl neodecanoate, octyldodecyl neodecanoate, isocetyl isostearate, isostearyl isostearisostearate, octyldecyl isostearate, polyglycerol oleic acid ester, Polyglycerol isostearate, triisocetyl citrate, triisoalkyl citrate, triisooctyl citrate, lauryl lactate, myristyl lactate, cetyl lactate, octyldecyl lactate, triethyl citrate, acetyl triethyl citrate, acetyl tributyl citrate , trioctyl citrate, diisostearyl malate, 2-ethylhexyl hydroxystearate, di2-ethylhexyl succinate, diisobutyl adipate, diisopropyl sebacate, Dioctyl sebacate, cholesteryl stearate, cholesteryl isostearate, cholesteryl hydroxystearate, cholesteryl oleate, dihydrocholesteryl oleate, phytsteryl isostearate, phytsteryl oleate, 1,2-stealoylhydroxystearate isocetyl, 1,2-stealoylhydroxystearate stearyl, or 1,2-stealoylhydroxystearate isostearyl.

상기 탄화 수소계 유지는 일 예로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또는 와셀린 등일 수 있다.The hydrocarbon-based oil may be, for example, squalene, liquid paraffin, alpha-olefin oligomer, isoparaffin, ceresin, paraffin, liquid isoparaffin, polybudene, microcrystalline wax or petrolatum.

상기 실리콘계 유지는 일 예로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일 수 있다.The silicone-based fat is, for example, polymethylsilicone, methylphenylsilicone, methylcyclopolysiloxane, octamethylpolysiloxane, decamethylpolysiloxane, dodecamethylcyclosiloxane, dimethylsiloxanemethylcetyloxysiloxane copolymer, dimethylsiloxane methylstealloxysiloxane copolymer, It may be an alkyl-modified silicone oil or an amino-modified silicone oil.

상기 불소계 유지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일 수 있다.The fluorine-based oil may be perfluoropolyether or the like.

상기 동물 유지 또는 식물 유지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또는 경화피마자유 등일 수 있다.The animal oil or vegetable oil is avocado oil, almond oil, olive oil, sesame oil, rice bran oil, bird flower oil, soybean oil, corn oil, rapeseed oil, sesame oil, palm kernel oil, palm oil, castor oil, sunflower oil, grape seed oil, Cottonseed oil, palm oil, kukui nut oil, wheat germ oil, rice germ oil, shea butter, cranberry colostrum, marker damia nut oil, meadow home oil, egg yolk oil, tallow, horse oil, mink oil, orange rafi oil, jojoba oil, candelabra wax , carnauba wax, liquid lanolin, or hydrogenated castor oil.

상기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The surfactant may be specifically an anionic surfactant, a cationic surfactant, or an amphoteric surfactant.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또는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The anionic surfactant is, for example, fatty acid soap, alpha-acyl sulfonate, alkyl sulfonate, alkyl allyl sulfonate, alkyl naphthalene sulfonate, alkyl sulfate, POE alkyl ether sulfate, alkylamide sulfate, alkyl phosphate, POE alkyl ginseng Salt, alkylamide phosphate, alkyloyl alkyl taurine salt, N-acyl amino acid salt, POE alkyl ether carboxylate, alkyl sulfosuccinate, alkyl sulfoacetate sodium, acylated hydrolyzed collagen peptide salt or perfluoroalkyl phosphate ester etc.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또는 라놀린 유도체 제4급 암모늄염 등일 수 있다.The cationic surfactant is, for example, alkyltrimethylammonium chloride, stearyltrimethylammonium chloride, stearyltrimethylammonium bromide, cetostearyltrimethylammonium chloride, distearyldimethylammonium chloride, stearyld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 behenyl bromide trimethylammonium, benzalkonium chloride, diethylaminoethylamide stearate, dimethylaminopropylamide stearate, or a quaternary ammonium salt of a lanolin derivative.

상기 양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또는 아미드아민형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일 수 있다.The amphoteric surfactant is, for example, a carboxybetaine type, an amidebetaine type, a sulfobetaine type, a hydroxysulfobetaine type, an amidesulfobetaine type, a phosphobetaine type, an aminocarboxylate type, an imidazoline derivative type or an amide It may be an amine-type amphoteric surfactant or the like.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및 이들의 복합 안료 등일 수 있다.The pigment may be an organic pigment, an inorganic pigment, and a complex pigment thereof.

상기 무기안료는 일 예로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일 수 있다.The inorganic pigment is, for example, silicic acid, silicic anhydride, magnesium silicate, talc, sericite, mica, kaolin, bengala, clay, bentonite, titanium coated mica, bismuth oxychloride, zirconium oxide, magnesium oxide, zinc oxide, titanium oxide, oxide aluminum, calcium sulfate, barium sulfate, magnesium sulfate,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iron oxide, ultramarine blue, chromium oxide, chromium hydroxide, calamine, and complexes thereof.

상기 유기안료는 일 예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 오렌지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일 수 있다.The organic pigment is, for example, polyamide, polyester, polypropylene, polystyrene, polyurethane, vinyl resin, urea resin, phenol resin, fluororesin, silicon resin, acrylic resin, melamine resin, epoxy resin, polycarbonate resin, divinyl It may be a benzene-styrene copolymer, silk powder, cellulose, CI pigment yellow, CI pigment orange, and complexes thereof.

상기 유기 분체는 일 예로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 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사불화에틸렌 등일 수 있다.The organic powder may include, for example, metal soap such as calcium stearate; Alkyl phosphate metal salts, such as zinc sodium cetylate, zinc laurylate, and calcium laurylate; acylamino acid polyvalent metal salts such as calcium N-lauroyl-beta-alanine, zinc N-lauroyl-beta-alanine, and calcium N-lauroyl glycine; amidesulfonic acid polyvalent metal salts such as calcium N-lauroyl-taurine and calcium N-palmitoyl-taurine; N such as N-epsilon-lauroyl-L-lysine, N-epsilon-palmitoylizine, N-alpha-paritoylolnithine, N-alpha-lauroylarginine, N-alpha-hydrogenated beef fatty acid acylarginine, etc. -acyl basic amino acids; N-acyl polypeptides such as N-lauroylglycylglycine; alpha-amino fatty acids such as alpha-aminocaprylic acid and alphaaminolauric acid; It may be polyethylene, polypropylene, nylon, polymethyl methacrylate, polystyrene, ethylene tetrafluoride, or the like.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it may be prepared as an emulsion, cream, lotion, pack, foundation, lotion, cosmetic liquid, hair cosmetic,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is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e lotion, nourishing lotion, massage cream, nourishing cream, moisture cream, hand cream, foundation, essence, nourishing essence, It may be formulated in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ack, soap, cleansing fo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body lotion and body clean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fiber, vegetable fiber,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oxide as a carrier component Zinc or the like may be used.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propellants such as hydrohydrocarbons, propane/butane or dimethyl ether.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or emulsion, a solvent, solvat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for exampl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 of sorbitan may be used.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as a carrier component,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are suspended such as agent,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and the like can be used.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 taurate, sarco Cinate,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 alkylamidobetaine, fatty alcohol, fatty acid glyceride,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inoline derivative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and the like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은 미백 효과가 우수한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n extract of Godeulbaegi having excellent whitening effect.

상기 미백 효과가 우수한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방법은 유수에서 세척한 고들빼기를 -20℃에서 건조한 후, 마쇄하여 고들빼기 마쇄물을 제조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 준비 단계; 및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에 물을 첨가하고 80℃ 내지 120℃에서 열수 추출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for preparing an extract of Godeulbaegi having excellent whitening effect includes: preparing a sample of Godeulbaegi extract, which is washed in running water, dried at -20°C, and then ground to prepare a milled product of Godeulbaegi; and adding water to the sample of the extract of Godeulbaegi and extracting the extract with hot water at 80°C to 120°C.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고들빼기 추출물은 미백 효과와 관련하여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식용으로 사용되어온 고들빼기와 가장 안전한 용매인 물을 이용한 것이므로 부작용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고, 안전성도 인정되며,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미백을 포함한 멜라닌과 관련된 다양한 용도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xtract of Godeulbaegi,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excellen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relation to the whitening effect, but also uses Godeulbaegi, which has been used for food for a long time, and water, which is the safest solvent, so there are problems such as side effects. is not generated, safety is recognized,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nvironmentally friendly, so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uses related to melanin, including skin white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들빼기 추출물의 추출용매 및 고들빼기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고들빼기를 열풍건조법으로 건조하여 제조한 고들빼기 분말을 대상으로 한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즉, ABTS 라디칼 소거능(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b는 고들빼기를 동결건조법으로 건조하여 제조한 고들빼기 분말을 대상으로 한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즉, ABTS 라디칼 소거능(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들빼기 추출물의 추출용매 및 고들빼기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가로축은 건조법 및 추출용매에 따른 결과이고, 세로축은 타이로시나아제 활성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1 shows the antioxidant effect according to the extraction solvent and drying method of Godeulpagi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show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effect, that i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IG. 1b is the antioxidant effect of the extract, that i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It is a graph showing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 is a graph showing the antioxidant effect according to the extraction solvent and drying method of the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axis is the result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 and the extraction solvent, and the vertical axis is an experiment on tyrosinase activity This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모든 실험결과는 최소한 3회 이상 반복하여 평균치로 표시하였고, 각 군과의 비교는 ANOVA test를 이용하여 각각 p<0.05인 경우를 유의성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All experimental results were repeated at least 3 times and expressed as the average value, and the comparison with each group was judged to be significant when p <0.05, respectively, using the ANOVA test.

[[ 실시예Example . 고들빼기 추출물의 최적 미백 효과 확인]. Confirmation of the optimal whitening effect of the extract

실시예Example 1.고들빼기 추출물의 제조 1. Preparation of extract

본 실험에서 사용된 고들빼기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The extracts from Godeulbaragi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prepared in the following way.

고들빼기 시료는 전라남도 영광지역의 인근 농가에서 재배한 고들빼기를 수집한 후, 유수에서 세척하고, - 20℃에서 냉동고를 이용하여 동결건조 또는 60℃에서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열풍건조한 다음 마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들빼기 분쇄물인 시료에 추출용매, 구체적으로 정제수, 50% 에탄올 수용액 또는 100%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정제수의 경우에는 고들빼기 시료 10 g을 물 200 mL에 첨가하고 110℃에서 6시간 동안 열수추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상기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고들빼기 시료 10 g을 에탄올 또는 50% 에탄올 수용액 200 mL에 첨가하고 6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For the sample of Godeulbaegi, after collecting the godeulbaegi grown at a nearby farmhouse in Yeonggwang, Jeollanam-do, washed in running water, freeze-dried using a freezer at - 20℃ or hot-air dried using a hot air dryer at 60℃, and then pulverized using a grinder. was prepared. It was prepared by adding an extraction solvent, specifically purified water, 50% aqueous ethanol solution, or 100% ethanol aqueous solution, to the sample, which is a pulverized product prepared by each of the above methods, and extracting it. In the case of the purified water, 10 g of the Godeulbaegi sample was added to 200 mL of water and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at 110°C for 6 hours. It was carried out by adding to 200 mL of an aqueous solution and extracting at 60° C. for 24 hours.

상기 각각의 방법으로 제조된 용매 추출물은 여과지(NO.2 Whatman)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수득한 여과액을 회전 감압농축을 행하여 농축하는 방법으로 농축물을 제조하고, 상기 농축물을 동결건조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동결건조하여 최종 수득한 각각의 추출물은 -20℃ 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The solvent extracts prepared by each of the above methods were filtered using filter paper (NO.2 Whatman), and then the resulting filtrate was concentrated by rotary vacuum concentration to prepare a concentrate, and the concentrate was freeze-dried. was prepared by the method Each extract finally obtained by lyophilization was stored at -20°C and used in the experiment.

상기 고들빼기 시료 제조법(건조조건) 및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수율(FD yield)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able 1 below shows the extraction yield (FD yield) by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Godeulbaeggi sample (dry conditions) and the extraction solvent.

건조조건drying conditions 용매종류solvent type 수득량(g)Yield (g) 수율(%)transference number(%) 열풍건조
(60℃)
hot air dry
(60℃)
수용매water solvent 2.902.90 29.029.0
50% 에탄올 수용액50% ethanol aqueous solution 2.752.75 27.527.5 100% 에탄올100% ethanol 0.730.73 7.37.3 동결건조
(-20℃)
freeze drying
(-20℃)
수용매water solvent 4.024.02 40.240.2
50% 에탄올 수용액50% ethanol aqueous solution 3.923.92 39.839.8 100% 에탄올100% ethanol 0.750.75 7.57.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열풍건조법 보다는 동결건조법의 경우 추출수율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추출용매의 경우 수용매를 이용한 열수 추출법에서 수율이 가장 높고, 100%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법의 경우에는 추출수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shown in Tab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ion yield was higher in the freeze drying method than in the hot air drying method as a whole, and in the case of the extraction solvent, the yield was the highest in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using an aqueous solvent, and in the case of the extraction method using 100% ethanol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ion yield was significantly reduced.

상기 각각의 추출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elanoma(B16F10) 세포를 이용한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Melanoma(B16F10) 세포를 96 well plate에 5 x 104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긱 각각의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를 농도 별로 조제하여 처리하고 37℃ 및 5% CO2 incubator에서 5일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5 mg/mL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 0.02 mL를 첨가하고 4시간 배양한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well당 dimethyl sulfoxide(DMSO)를 0.2mL씩 넣어 formazan crystal 생성물을 용해시킨 후, ELISA reader로 57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장률을 측정하였다.To confirm the safety of each extract, a cytotoxicity experiment using Melanoma (B16F10) cells was performed. Specifically, Melanoma (B16F10) cells were aliquoted to 5 x 10 4 cells/well in a 96 well plate and cultured for 24 hours. Incubated in 2 incubator for 5 days. After the incubation, 0.02 mL of MTT solution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5 mg/mL was added and incubated for 4 hours, the culture solution was removed, and 0.2 mL of dimethyl sulfoxide (DMSO) was added to each well to dissolve the formazan crystal product, By measuring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570 nm with an ELISA reader, the cell growth rate was measured.

상기 세포 생장률을 측정한 결과, 모든 종류의 고들빼기 건조법 및 추출용매에 상관 없이, 추출시료를 25 μg/mL, 50 μg/mL 및 100 μg/mL에서 모두 아무런 시료를 넣지 않은 대조군(con)과 대비한 세포 생장률이 유사하여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ell growth rate, the extraction sample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con) in which no sample was added at 25 μg/mL, 50 μg/mL, and 100 μg/mL, regardless of all kinds of drying methods and extraction solv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cytotoxicity because the cell growth rate was similar.

실시예Example 2. 고들빼기 추출물 종류에 따른 항산화활성의 측정 2. Measur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the type of extract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고들빼기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ABTS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ABTS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의 측정은 2 mM 농도의 ABTS와 3.5 mM 농도의 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하여 3차 증류수 10 ml에 용해시킨 후, 3차 증류수 290 ml을 첨가하여 30배 희석시키고, 밤샘(overnight) 반응시켜 ABTS 라디칼 생성을 유도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들빼기 추출물을 Sodium phosphate buffer(0.1M, pH6.8)에 각각의 농도로 첨가하여 제조된 고들빼기 추출물 10 μL와 ABTS 라디칼 용액 290 μL를 넣어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억제율과 대조하기 위하여, 아무런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con)의 소거능과 비교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 obtained in Example 1 was measured using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pecifically, the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by mixing ABTS with a concentration of 2 mM and potassium persulfate with a concentration of 3.5 mM, dissolved in 10 ml of tertiary distilled water, and then diluted 30 times by adding 290 ml of tertiary distilled water, Overnight reaction was induced to generate ABTS radicals. 10 µL of Godeul-baegi extract prepared in Example 1 was added to sodium phosphate buffer (0.1M, pH6.8) at respective concentrations, and 290 µL of ABTS radical solution were added and reacted fo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Absorbance was measured at 750 nm. In order to contrast with the ABTS radical inhibition rate of the extract, the results of comparison with the scavenging ability of the control (con) to which no sample was added are shown in FIG. 1 .

상기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들빼기를 열풍건조법으로 건조시킨 경우, 50%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한 경우,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100% 에탄올의 경우 항산화 활성이 거의 확인되지 않은 반면, 고들빼기를 동결건조법으로 건조시킨 경우, 열수추출과 50% 에탄올 수용액의 경우 항산화 활성이 감소된 반면, 100% 에탄올의 경우 항산화 활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FIG. 1a, when dried godeulbaegi by hot air drying method, when 50% ethanol aqueous solution was use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confirmed to be the best, and in the case of 100% ethanol, antioxidant activity was hardly confirmed, whereas In the case of drying by freeze-dry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decreased in the case of hot water extraction and 50% ethanol aqueous solution, wherea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improved in the case of 100% ethanol.

실시예Example 3. 고들빼기 추출물 종류에 따른 3. According to the type of extract 미백활성의whitening activity 측정 Measure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고들빼기 추출물에 의한 미백활성을 측정하였다.The whitening activity by the extract obtained in Example 1 was measured.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고들빼기 추출물에 의한 미백활성은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타이로시나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B16F10 세포에 α-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들빼기 추출물을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인산완충액(pH 7.4)으로 세척한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 침전물을 얻어 1%(w/v) triton X-100을 함유한 10 mM phosphate buffer(pH 6.8)를 100 μL를 가하고 5분간 shaking 한 후 세포와 용액을 모두 eppendorf tube로 이전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tyrosinase 활성 측정에 이용하였다. 시료 처리후 얻은 상층액은 96-well plate에 40 μL를 분주하고, 0.1M sodium phosphate buffer(pH 7.2)에 녹인 10 mM L-DOPA 40 μL를 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Tyrosinase에 의해 생성된 DOPA chrome은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결과를 양성대조군인 알부틴을 처리한 대조군(con)의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대비 각 추출물의 저해 활성을 확인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Specifically, the whitening activity of the extract obtained in Example 1 was confirmed throug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yrosinase related to melanin production. Specifically, the B16F10 cells were treated with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and the extract prepared in Example 1 and cultured for 72 hours. After incubation, wash with phosphate buffer (pH 7.4) and centrifuge to obtain a cell precipitate, add 100 μL of 10 mM phosphate buffer (pH 6.8) containing 1% (w/v) triton X-100, and shake for 5 minutes After that, both the cells and the solution were transferred to an eppendorf tube, centrifuged, and the supernatant was used to measure tyrosinase activity. 40 μL of the supernatant obtained after sample treatment was dispensed in a 96-well plate, and 40 μL of 10 mM L-DOPA dissolved in 0.1M sodium phosphate buffer (pH 7.2) was added and incubated at 37° C. for 30 minutes. The absorbance of DOPA chrome produced by tyrosinase was measured at 475 nm.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FIG. 2 by confirming the inhibitory activity of each extract compared to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control (con) treated with arbutin, which is a positive control.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또는 50% 에탄올 수용액의 경우에는 열풍건조 추출물에 대해 추출하는 경우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된 반면, 열수 추출법에서는 고들빼기 동결건조물에 대한 추출물이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ethanol or 50% ethanol aqueous solu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r when extracted with respect to the hot air-dried extract, whereas in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the extract for the lyophilized product of Godeul-baegi was Thai. It was confirmed that the 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r.

따라서,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과 관련된 미백활성의 측면 및 추출수율의 측면에서 고들빼기를 - 20℃로 건조한 건조물에 물을 첨가하고 열수 추출한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refore, in terms of whitening activity related to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in terms of extraction yiel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 extracted with hot water after adding water to dry matter dried at −20° C. was confirmed to be the bes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7)

고들빼기 추출물(Youngia sonchifoli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The extract ( Youngia ) sonchifolia ) as an active ingredi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whitening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 is a hot water extract.
고들빼기 추출물(Youngia sonchifoli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The extract ( Youngia ) sonchifolia ) as an active ingredien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for skin whitening. 고들빼기 추출물(Youngia sonchifoli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The extract ( Youngia ) sonchifolia ) as an active ingredient, a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 is a hot water extrac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은 유수에서 세척한 고들빼기를 -20℃에서 건조한 후, 마쇄하여 고들빼기 마쇄물을 제조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 준비 단계; 및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에 물을 첨가하고 80℃ 내지 120℃에서 열수 추출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odeulbaegi extract is dried in running water at -20 ℃, and then ground to prepare a Godeulbagi extract sample preparation step; And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water to the extract sample of Godeulbaegi and extracting it with hot water at 80°C to 120°C.
유수에서 세척한 고들빼기를 -20℃에서 건조한 후, 마쇄하여 고들빼기 마쇄물을 제조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 준비 단계; 및 상기 고들빼기 추출물 시료에 물을 첨가하고 80℃ 내지 120℃에서 열수 추출하는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 단계
를 포함하는 미백 효과가 우수한 고들빼기 추출물 제조방법.
After drying the godeulbaegi washed in running water at -20°C, grinding the godeulbaegi extract sample preparation step to prepare a milled plant; And adding water to the extract sample of Godeulbaegi and extracting the extract with hot water at 80°C to 120°C
A method for producing an extract of Godeul-baegi with excellent whitening effect, comprising:
KR1020170083835A 2017-06-30 2017-06-30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youngia sonchifolia extract KR1023944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835A KR102394459B1 (en) 2017-06-30 2017-06-30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youngia sonchifolia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835A KR102394459B1 (en) 2017-06-30 2017-06-30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youngia sonchifolia extra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26A KR20190003226A (en) 2019-01-09
KR102394459B1 true KR102394459B1 (en) 2022-05-03

Family

ID=6501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835A KR102394459B1 (en) 2017-06-30 2017-06-30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youngia sonchifolia extra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45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140B1 (en) 2009-01-23 2009-05-14 주식회사 더마랩 Mixture extract of natural plants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733A (en) 2002-08-27 2004-03-04 주식회사 바이오원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Youngia sonchifolia for therapy against chronic viral hepatitis disease
KR100527602B1 (en) 2005-04-28 2005-11-09 주식회사 바이오원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Cucumis melon Linn. var. ma-gua, Ixeris dentata and Youngia sonchifolia for therapy against chronic viral hepatitis diseases
KR20140047790A (en) * 2012-10-15 2014-04-23 농업회사법인 지평선 유기농 유한회사 A pharmaceutical comprising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for immunity enhancement
KR101405429B1 (en) * 2012-10-29 2014-06-11 정다운 Cosmetics containing natural grass
KR101758144B1 (en) * 2014-08-22 2017-07-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omposition for anti-aging containing youngia denticulata extract
KR101740035B1 (en) * 2016-08-29 2017-05-25 이현구 Prepration method of youngia denticulata houtt kitamura fermentation composition and youngia denticulata houtt kitamura fermentation composition using the sam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omoting reduction of liver toxicity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140B1 (en) 2009-01-23 2009-05-14 주식회사 더마랩 Mixture extract of natural plants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26A (en)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528B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the extract of Aurea Helianthus for skin-whitening
KR101513892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purified extract containing abundant amoun of tanshinone I and tanshinone IIA showing anti-oxidative activity, skin whitening activity and anti-wrinkle activity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KR10071548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root extract of nymphaea tetragona having skin whitening and anti-aging activity
KR101347097B1 (en)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salicornia herbacea extract
KR101001578B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arex humilis Leyss or ?-viniferin compound isolated therefrom for skin whitening
KR100696294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innamomum camphora Sieb. having inhibition activity of melanin synthesis
KR101191724B1 (en) Composition comprising a leaf extract of Isatis indigotica Fort showing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activity
KR101236212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itrus natsudaidai extract for improving skin whitening
KR101179589B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or 4-O-methylhonokiol compound isolated therefrom for skin whitening
KR100888753B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rnus kousa or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having anti-aging and anti-wrinkle activity
KR20090097483A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extract comprising mylabris sidae fabricius showing reduced toxicity for treating and improving leukoplakia
KR100865071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ururus chinensis extract or compound isolated therefrom for skin whitening
KR10053587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omplex herb showing skin anti-aging and whitening effect
KR20120011697A (en)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lysosome
KR101243220B1 (en)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composition comprising a fermented plant extract in Ulleung island
KR102604373B1 (en) Improvement composition for Hot flash comprising the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394459B1 (en)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youngia sonchifolia extract
KR102258379B1 (en) Method for increasing anti-inflammation, whitening, or anti-wrinkle activity of Oplismenus undulatifolius using elicitor
KR101230588B1 (en) Cosmetics Composite
KR102111085B1 (en) Method for fermenting polygonum indigo using nuruk and Cosmetic composition using fermented polygonum indigo extract obtained by the same
KR20200082826A (en)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tenebrio molitor extract
KR20210091540A (en) 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pleurotus nebrodensis extract
KR102334144B1 (en)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Lycopus maackianus
KR102211873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smetics composition comprising acid treated ginseng byproducts extracts for whitening
KR102334154B1 (en)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allicarpa moll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