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441B1 - 트레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441B1
KR102393441B1 KR1020150154023A KR20150154023A KR102393441B1 KR 102393441 B1 KR102393441 B1 KR 102393441B1 KR 1020150154023 A KR1020150154023 A KR 1020150154023A KR 20150154023 A KR20150154023 A KR 20150154023A KR 102393441 B1 KR102393441 B1 KR 10239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ray
unit
locking devic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071A (ko
Inventor
박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4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트레이 잠금 장치가 개시된다. 트레이의 외측 하우징 전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누르는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버튼부; 버튼부와 결합하는 기어부; 및 기어부에 일측단이 기어 연결되고, 트레이의 내측 하우징 후단부에 타측단이 연결되며, 탄성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기어 구동부;를 포함하며, 버튼부가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기어부는 버튼부로부터 결합 해제됨과 동시에 기어 구동부의 탄성복원력과 회전력에 연동하여 버튼부와의 결합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며, 내측 하우징은 기어 구동부의 작동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레이 잠금 장치{Locking apparatus of tray}
본 발명은 트레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로운 잠금 구조의 트레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트레이는 커버에 의해 내부공간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사용시에 전방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물품들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트레이는 커버를 잠금으로써, 차량의 주행시 트레이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수납된 물품들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트레이 잠금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종래 트레이 잠금 장치는 작동 버튼(10), 제1, 제2 로드(21, 31) 및 제1, 제2 걸림부(22, 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트레이 잠금 장치는, 제1, 제2 로드(21, 31)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제2 걸림부(22, 32)가 트레이 커버 양측에 걸림으로써, 잠금되는 구조이다.
종래 트레이 잠금 장치는, 작동 버튼(10)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져 제1, 제2 로드(21, 31) 각각을 양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제2 걸림부(22, 32)가 트레이 커버로부터 걸림 해제됨로써,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트레이 잠금 장치는, 차량의 한정된 공간에 장착되는데, 트레이 커버의 길이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1, 제2 로드(21, 31)가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트레이 수납 용량을 줄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새로운 형태의 잠금 구조로 종래 보다 트레이 수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트레이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 잠금 장치는, 트레이의 외측 하우징 전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누르는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결합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에 일측단이 기어 연결되고, 상기 트레이의 내측 하우징 후단부에 타측단이 연결되며, 탄성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기어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가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버튼부로부터 결합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기어 구동부의 탄성복원력과 회전력에 연동하여 상기 버튼부와의 결합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내측 하우징은 상기 기어 구동부의 작동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외측 하우징 전단부에 위치하는 버튼 본체부; 및 상기 버튼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부 하부에는, 상기 기어부에 맞닿게 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수직한 제1 면 및, 경사진 제2 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돌출부에 맞닿게 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에 기어 연결되는 댐핑 기어; 상기 댐핑 기어에 기어 연결되는 스퍼 기어; 및 상기 스퍼 기어와 동축 연결되는 제1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는, 막대 형상의 제1 랙기어; 및 상기 제1 랙기어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랙기어의 일단에는 후크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부재는, 수직한 제3 면 및 경사진 제4 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랙기어는, 상기 돌출부의 제1 면과 상기 후크 부재의 제3 면이 맞닿은 결합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버튼부가 이동되어 상기 돌출부의 제1 면과 상기 후크 부재의 제3 면이 맞닿지 않는 결합 해제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기어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는,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내측 하우징을 닫는 동작에 따라 상기 내측 하우징이 폐쇄되면, 상기 기어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돌출부의 제2 면이 상기 후크 부재의 제4 면을 타고 넘는 동작에 따라 상기 결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기어 구동부는, 상기 외측 하우징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 외주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내측 하우징 후단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판 스프링; 및 상기 원통부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베벨기어에 기어 연결되는 제2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사용자의 내측 하우징을 닫는 동작에 따라 인장되어, 인장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 잠금 장치에 의하면, 새로운 형태의 잠금 구조로 종래 보다 트레이 수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수납 용량이 증대된 트레이를 통해 사용자 물품 등을 더욱 많이 안전하게 보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레이 잠금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 잠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 잠금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40)는 외측 하우징(100), 내측 하우징(200) 및 트레이 잠금 장치(300)를 포함하며, 종래 보다 사이즈가 축소된 새로운 구조의 잠금 장치(300)가 외측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내측 하우징(200)을 외측 하우징(100)에 잠금시킴으로써, 종래 보다 수납 용량이 증대된 내측 하우징(200)을 통해 사용자 물품 등을 더욱 많이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 잠금 장치(300)는 종래 보다 사이즈가 축소된 새로운 형태의 잠금 장치로서, 버튼부(310), 기어부(320) 및 기어 구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잠금 장치(300)는, 버튼부(310)가 사용자의 누르는 동작에 따라 이동되면, 기어 구동부(330)가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기어부(320)가 기어 구동부(330)의 회전력에 의해 버튼부(310)로부터 결합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기어 구동부(330)가 기어부(320)와 버튼부(310)의 결합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트레이(40)의 내측 하우징(200)을 개방되도록 소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 잠금 장치(3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 해제 방식을 통해 종래 보다 사이즈가 축소되며, 트레이의 내측 하우징의 수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수납 용량이 증대된 트레이의 내측 하우징을 통해 사용자 물품 등을 더욱 많이 안전하게 보관시킬 수 있다.
이후, 트레이 잠금 장치(300)의 구성 요소의 구조 및 연결관계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
버튼부(31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서, 버튼 본체부(311), 판부(312) 및, 스프링 가이드부(3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본체부(311)는 외측 하우징(100) 전단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 본체부(311)는 어느 한 쪽 방향으로 긴 박스 형상일 수 있다. 버튼 본체부(311)는, 일부분이 외측 하우징(100)보다 더 돌출되게 위치할 수 있다. 버튼 본체부(311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내측 하우징(200)의 후단부(210) 방향(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판부(312)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판부(312)는 버튼 본체부(311)로부터 내측 하우징(200)의 후단부(210) 방향(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판부(312) 하부에는 기어부(320)에 맞닿게 되는 돌출부(Protrusion: P)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P)는 삼각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돌출부(P)는, 트레이의 좌측 방향(도 4 기준)을 마주보는 수직한 면인 제1 면(f1)과 트레이의 우측 방향(도4 기준)을 마주보는 경사진 면인 제2 면(f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부(313)는 원통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부(313)는 버튼 본체부(311)로부터 내측 하우징(200)의 후단부(2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부(313)는 트레이 잠금 장치(300)의 커버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원통홈(미도시)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부(313)의 외주에는 코일형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프링 가이드부(313)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버튼 본체부(311)가 이동된 이후 외부 힘이 사라질 경우에, 버튼 본체부(311)를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기 전인 본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기어부(320)는 버튼부(310)에 결합하여 트레이(40)의 내측 하우징(200)을 폐쇄시키는 것으로서, 랙기어(321), 댐핑 기어(322), 스퍼기어(323) 및 제1 베벨기어(3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321)는 상기한 바 있는 돌출부(P)에 맞닿게 되는 것으로서, 트레이 잠금 장치(300)의 커버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랙기어(321)는 제1 랙기어(321a), 제2 랙기어(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랙기어(321a) 및 제2 랙기어(321b)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랙기어(321b)는 제1 랙기어(321a) 상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랙기어(321a) 및 제2 랙기어(321b) 각각의 일측면에는 기어잇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랙기어(321a)의 일단에는 후크 부재(hook: h)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크 부재(h)는, 트레이의 우측 방향(도 4 기준)을 마주보는 수직한 면인 제3 면(f3)과 트레이의 좌측 방향(도4 기준)을 마주보는 경사진 면인 제4 면(f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랙기어(321)는, 돌출부(P)의 제1 면(f1)과 후크 부재(h)의 제3 면(f3)이 서로 맞닿게 되면, 버튼부(310)의 판부(312)와 결합한 상태가 된다.
댐핑 기어(322)는 트레이의 외측 하우징(10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댐핑 기어(322)는 랙기어(321)에 기어 연결될 수 있다. 댐핑 기어(322)는, 랙기어(321)의 일측면에 형성된 기어잇에 맞물려 연결될 수 있다. 댐핑 기어(322)는 반시계 방향(도4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랙기어(321)를 트레이의 우측 방향(도4 기준,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댐핑 기어(322)는 랙기어(321)의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스퍼기어(323) 및 제1 베벨기어(324)는, 동일한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스퍼기어(323) 및 제1 베벨기어(324)는 동일한 회전축에 의해 트레이의 외측 하우징(10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스퍼기어(323)는 댐핑 기어(322)에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제1 베벨기어(324)는 기어 구동부(330)에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스퍼기어(323) 및 제1 베벨기어(324)는 기어 구동부(3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댐핑 기어(3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기어 구동부(330)는 버튼부(310)와 기어부(320)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기어 구동부(330)는 기어부(320)에 일측단이 기어 연결되고, 트레이의 내측 하우징(220)의 후단부(210)에 타측단이 연결될 수 있다. 기어 구동부(330)는 원통부(331), 판 스프링(332) 및 제2 베벨기어(333)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부(331)는 트레이의 외측 하우징(10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원통부(331)는 트레이 잠금 장치(300)의 커버 부재의 내측 벽면(미도시)에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회전이 가능하다.
판 스프링(332)은, 외부 인장력에 의해 늘어나면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되는 판 형상의 스프링일 수 있다. 판 스프링(332)은 원통부(331) 외주에 일단이 연결되고, 트레이 내측 하우징(200)의 후단부(210)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판 스프링(332)은, 버튼부(310)와 기어부(320)가 결합된 상태 즉, 트레이 내측 하우징(200)이 폐쇄된 상태이면, 내측 하우징(200)에 의해 소정 길이 인장되어, 인장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되며, 버튼부(310)와 기어부(320)가 결합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본래 길이로 복원되면서 원통부(331)를 회전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이와 동시에 복원되어 가변된 길이만큼, 즉 짧아진 길이만큼 내측 하우징(200)을 소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베벨기어(333)는 원통부(331) 우측(도4 기준)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베벨기어(324)에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제2 베벨기어(333)는 원통부(331)와 연동 회전되어, 제1 베벨기어(32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 잠금 장치(3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결합 해제 구조로 구성되어, 종래 보다 사이즈가 축소되며, 트레이 내측 하우징(200)의 수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수납 용량이 증대된 트레이의 내측 하우징(200)을 통해 사용자 물품 등을 더욱 많이 안전하게 보관시킬 수 있다.
이후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트레이 잠금 장치(300)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트레이 잠금 장치(300)의 잠금 상태는, 버튼부(310)와 기어부(320)가 결합한 상태인데, 이는 돌출부(P)의 제1 면(f1)과 후크 부재(h)의 제3 면(f3)이 맞닿은 결합 상태이다. 돌출부(P)의 제1 면(f1)과 후크 부재(h)의 제3 면(f3)이 맞닿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트레이 내측 하우징(200)은 사용자의 닫는 동작에 따라 외측 하우징(100) 내부에 완전 수용되어 폐쇄된다. 트레이 내측 하우징(200)이 외측 하우징(100) 내부에 완전 수용될 시, 판 스프링(332)은 인장되어 탄성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
또한, 판 스프링(332)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부(331) 및 제2 베벨기어(332)가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되며, 제2 베벨기어(332)에 기어 연결되어 있는 제1 베벨기어(324) 및 스퍼기어(323)가 반시계 방향(도4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스퍼기어(323)에 기어 연결되어 있는 댐핑 기어(322)는 시계 방향(도4 기준)으로 회전한다.
또한, 댐핑 기어(322)에 일측면이 맞물려 있는 랙기어(321)가 트레이 좌측 방향(도4 기준)으로 이동하게 되고, 후크부재(h)의 제4 면(f4)이 돌출부(P)의 제2 면(f2)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를 통해 돌출부(P)의 제1 면(f1)과 후크부재(h)의 제3 면(f3)이 서로 맞닿게 되고, 버튼부(310)와 기어부(320)는 결합한 상태로 변경된다. 이를 통해 트레이 잠금 장치(300)는, 버튼부(310)와 기어부(320)가 결합한 상태 즉, 잠금 상태가 된다.
이후 도 5를 참고하여 트레이 잠금 장치(300)의 잠금 해제 과정을 설명한다.
버튼부(310)와 기어부(320)가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버튼부(310)가 내측 하우징 후단부(210) 방향(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돌출부(P)의 제1 면(f1)과 후크부재(h)의 제3 면(f3)이 맞닿지 않는 결합 해제 상태가 된다.
이때 트레이 잠금 장치(300)의 잠금 과정 중 발생된 길이 인장에 대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판 스프링(332)이 인장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하려는 변형을 한다. 판 스프링(332)의 타측단은 원통부(331)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된 거리만큼 트레이 내측 하우징(200)의 후단부(210)를 버튼부(3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원통부(331) 및 제2 베벨기어(333)는 소정 각도 회전된다. 트레이 내측 하우징(200)은 상기한 이동에 의해 개방되며, 사용자 물품 등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베벨기어(333)에 기어 연결되어 있는 제1 베벨기어(324) 및 스퍼기어(323)가 시계 방향(도5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스퍼기어(323)에 기어 연결되어 있는 댐핑 기어(322)는 반시계 방향(도5 기준)으로 회전한다.
또한, 댐핑 기어(322)에 일측면이 맞물려 있는 랙기어(321)가 트레이 우측 방향(도5 기준)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버튼부(310)와 기어부(320)는 결합 해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레이 잠금 장치(300)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작동 버튼
21: 제1 로드
22: 제1 걸림부
31: 제2 로드
32: 제2 걸림부
40: 트레이
100: 외측 하우징
200: 내측 하우징
210: 후단부
300: 트레이 잠금 장치
310: 버튼부
311: 버튼 본체부
312: 판부
P: 돌출부
313: 스프링 가이드부
320: 기어부
321: 랙기어
321a: 제1 랙기어
321b: 제2 랙기어
h: 후크 부재
322: 댐핑 기어
323: 스퍼기어
324: 제1 베벨기어
330: 기어 구동부
331: 원통부
332: 판 스프링
333: 제2 베벨기어

Claims (10)

  1. 트레이의 외측 하우징 전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누르는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결합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에 일측단이 기어 연결되고, 상기 트레이의 내측 하우징 후단부에 타측단이 연결되며, 탄성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기어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가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버튼부로부터 결합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기어 구동부의 탄성복원력과 회전력에 연동하여 상기 버튼부와의 결합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내측 하우징은 상기 기어 구동부의 작동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잠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외측 하우징 전단부에 위치하는 버튼 본체부; 및
    상기 버튼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부 하부에는, 상기 기어부에 맞닿게 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잠금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수직한 제1 면 및, 경사진 제2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잠금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에 기어 연결되는 댐핑 기어;
    상기 댐핑 기어에 기어 연결되는 스퍼 기어; 및
    상기 스퍼 기어와 동축 연결되는 제1 베벨기어;
    를 포함하는 트레이 잠금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막대 형상의 제1 랙기어; 및
    상기 제1 랙기어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랙기어의 일단에는, 후크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잠금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는, 수직한 제3 면 및 경사진 제4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잠금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상기 돌출부의 제1 면과 상기 후크 부재의 제3 면이 맞닿은 결합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버튼부가 이동되어 상기 돌출부의 제1 면과 상기 후크 부재의 제3 면이 맞닿지 않는 결합 해제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기어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잠금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내측 하우징을 닫는 동작에 따라 상기 내측 하우징이 폐쇄되면, 상기 기어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돌출부의 제2 면이 상기 후크 부재의 제4 면을 타고 넘는 동작에 따라 상기 결합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잠금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구동부는,
    상기 외측 하우징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 외주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내측 하우징 후단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판 스프링; 및
    상기 원통부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베벨기어에 기어 연결되는 제2 베벨기어;
    를 포함하는 트레이 잠금 장치.
  10. 삭제
KR1020150154023A 2015-11-03 2015-11-03 트레이 잠금 장치 KR10239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023A KR102393441B1 (ko) 2015-11-03 2015-11-03 트레이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023A KR102393441B1 (ko) 2015-11-03 2015-11-03 트레이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071A KR20170052071A (ko) 2017-05-12
KR102393441B1 true KR102393441B1 (ko) 2022-05-04

Family

ID=5874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023A KR102393441B1 (ko) 2015-11-03 2015-11-03 트레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4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516B1 (ko) 2006-11-24 2008-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록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228A (ko) * 2009-06-09 2010-12-17 동국실업 주식회사 푸시 버튼형 글로브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516B1 (ko) 2006-11-24 2008-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071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312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0901419B1 (ko) 트레이 장치
US20150203044A1 (en) Roll cover assembly
JP2009133147A (ja) 扉、ラック
EP2914792A1 (en) Locking system for storage container
KR102393441B1 (ko) 트레이 잠금 장치
JP4956051B2 (ja) 収納容器
JP6403462B2 (ja) 抽斗用ラッチ装置
JP618276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5454941B2 (ja) ラッチ装置および建具
CN211442147U (zh) 一种轮式传动的手套箱锁止装置
KR101212440B1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KR20120041015A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JP6836190B2 (ja) 両開き収納装置
JP2008296616A (ja) ハートカム式ロック装置
KR101929550B1 (ko) 글로브박스의 잠금 장치
KR100931262B1 (ko)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JP6657023B2 (ja) リッドのロック機構
KR102227747B1 (ko) 글로브 박스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
JP4956050B2 (ja) 収納容器
US12031365B2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glove box
JP6089300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8820573B2 (en) Mechanism to hold cover open or closed
JP3733173B2 (ja) 扉の係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両開き扉の係止装置
KR100563828B1 (ko) 글러브 박스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