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092B1 -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092B1
KR102393092B1 KR1020190140002A KR20190140002A KR102393092B1 KR 102393092 B1 KR102393092 B1 KR 102393092B1 KR 1020190140002 A KR1020190140002 A KR 1020190140002A KR 20190140002 A KR20190140002 A KR 20190140002A KR 102393092 B1 KR102393092 B1 KR 102393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interior
customer
object module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618A (ko
Inventor
김영숙
최창훈
Original Assignee
(주)일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리드 filed Critical (주)일리드
Priority to KR102019014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0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Fina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증강현실과 디자이너 풀을 통해 인테리어 디자인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현장감 있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미리 보여줄 수 있는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객 단말기에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고객 단말기를 통해 실내 인테리어 설치 공간에 대해 공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고객 단말기의 샘플 증강현실 구동모드에서 팝업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공간영상에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이 중첩되어 표시되는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 제공 단계,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제1 단계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 고객의 제1 단계 비용 지불에 따라 고객 단말기의 풀 증강현실 구동모드에서 팝업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공간영상에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이 중첩되어 표시되는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 제공 단계,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제2 단계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 고객의 제2 단계 비용 지불에 따라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 데이터 및 이에 상응하는 풀 증강현실 객체모듈을 기초로 웹 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에 적용되기 위한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웹 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이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기초로 인테리어 설계 도면을 고객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Method for designing interior design}
본 발명은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강현실과 디자이너 풀을 통해 인테리어 디자인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현장감 있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미리 보여줄 수 있는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행특허문헌에는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시뮬레이션에 관한 기술적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대부분 인테리어 디자인 견적 또는 시공 비용을 생성하거나 또는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인테리어 업자 및 시공 업자의 정보를 서로 연결하는 것에 불과한 내용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일부 선행특허문헌에는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시뮬레이션을 수행 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고객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 기술 자체를 상업적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1-0073820 KR 10-2018-0012211 KR 10-2018-0012212 KR 10-2017-0167676 KR 10-1833779 KR 10-1740806 KR 10-1722723 KR 10-2014-0022032 KR 10-2010-0006464 US 13/342066 PCT-CN2017-113605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증강현실 기술을 인테리어 디자인에 접목함으로써 생동감 있고 시공 후에도 시공 전과 동일한 감성을 전달할 수 있고, 디자이너 풀을 운영함으로써 저렴한 비용과 편리한 방법으로 디자인 전문가에 인테리어 디자인을 제공받을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 단말기에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고객 단말기를 통해 실내 인테리어 설치 공간에 대해 공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고객 단말기의 샘플 증강현실 구동모드에서 팝업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공간영상에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이 중첩되어 표시되는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 제공 단계,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제1 단계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 고객의 제1 단계 비용 지불에 따라 고객 단말기의 풀 증강현실 구동모드에서 팝업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공간영상에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이 중첩되어 표시되는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 제공 단계,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제2 단계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 고객의 제2 단계 비용 지불에 따라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 데이터 및 이에 상응하는 풀 증강현실 객체모듈을 기초로 웹 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에 적용되기 위한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웹 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이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기초로 인테리어 설계 도면을 고객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은 고객에게 1차적인 데이터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액세스된 샘플 증강현실 객체모듈로부터 구현된 제한된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이고,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은 고객에게 단계별로 2차적인 데이터 접근을 허용함으써 액세스된 풀 증강현실 객체모듈로부터 구현된 제한없는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이다.
또한, 팝업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샘플 증강현실 객체모듈 또는 풀 증강현실 객체모듈이 추가되어 증강현실로 표시되거나 색상 및 배치가 변경되어 증강현실로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인터넷을 통해 웹 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에 액세스 하는 단계,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된 웹 상의 메뉴를 고객이 선택함으로써 인테리어 스타일에 따라 분류된 카테고리 메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카테고리 내의 디자이너 풀에서 소정 디자이너를 고객이 선택하는 단계, 고객의 요청에 따른 샘플 디자인을 디자이너가 디자이너 접근 소프트웨어를 통해 완성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 고객 접근 소프트웨어를 통해 고객의 수정 요청사항이 디자이너에게 전달되는 단계, 디자이너가 디자이너 접근 소프트웨어를 통해 고객의 수정 요청사항이 반영된 샘플 디자인을 완료하는 단계, 샘플 디자인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제1 단계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 고객의 제1 단계 비용 지불에 따라 완료된 샘플 디자인을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제1 웹사이트 객체모듈로 추출하는 단계, 제1 웹사이트 객체모듈을 증강현실 객체모듈로 변환하는 단계,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공간영상에 변환된 증강현실 객체모듈로부터 구현된 증강현실 영상을 중첩 표시하고, 팝업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영상을 고객의 기호에 따라 변경시키는 단계, 증강현실 영상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제2 단계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 최종 수정된 증강현실 객체모듈을 기초로 웹 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에 적용되기 위한 제2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웹 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이제2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기초로 인테리어 설계 도면을 고객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팝업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객체모듈이 추가되어 증강현실로 표시되거나 색상 및 배치가 변경되어 증강현실로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증강현실 기술을 인테리어 디자인에 접목함으로써 생동감 있고 시공 후에도 시공 전과 동일한 감성을 전달할 수 있고, 디자이너 풀을 운영함으로써 저렴한 비용과 편리한 방법으로 디자인 전문가에 인테리어 디자인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은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고객 단말기에 증강현실 구동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설치된 증강현실 구동 애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단말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말기의 카메라부를 통해 실내 인테리어 설치 공간에 대한 공간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고객에게 보여준다.
다음으로, 증강현실 모드 구동부의 샘플 증강현실 구동모드를 실행시키고, 이에 따라 팝업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고객의 취향 또는 기호에 맞는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이 증강현실 영상 구동부를 통해 구현되어 공간 영상에 증강현실로 중첩되어 표시된다. 샘플 증강현실 구동모드를 실행시키면 고객이 선택 가능하도록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가 단말기에 팝업되어 나타나며, 촬영된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
샘플 증강현실 객체 모듈부는 고객의 선택에 상응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양한 샘플 증강현실 객체 모듈을 불러와 증강현실 영상 구동부로 전송함으로써 증강현실이 중첩 표시된다.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의 고객 선택에 따라 다양한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이 복수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다양한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을 경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샘플 증강현실 객체 모듈부는 고객의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샘플 증강현실 객체모듈을 추가(이때 추가는 일예로서 "의자"를 기존에 배치하지 않은 경우에 의자를 새롭게 추가하거나 또는 벽지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 벽지를 새롭게 추가하는 경우에 해당)하여 표시하거나, 고객의 선택에 따라 기존의 샘플 증강현실 객체 모듈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기존의 샘플 증강현실 객체 모듈의 배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을 경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단말기를 통해 제1 단계 비용을 지급한다. 제1 단계에서 설정된 소정의 비용을 지급함으로써 다음 단계인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을 경험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객의 제1 단계 비용 지급에 따라 풀 증강현실 구동모드로 구동되며, 풀 증강현실 객체 모듈부는 고객의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상응하는 풀 증강현실 객체 모듈을 데이테베이스로부터 불러와서 증강현실 영상 구동부에 전달하고, 증강현실 영상 구동부는 이를 통해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을 고객 단말기의 공간 영상에 중첩 표시함으로써 고객이 풀 증강현실을 경험하도록 한다.
한편,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은 샘플 증강현실 객체 모듈부에 저장된 샘플 증강현실 객체 모듈에 기초하여 구현된 증강현실 영상이고,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은 풀 증강현실 객체 모듈부에 저장된 풀 증강현실 객체 모듈에 기초하여 구현된 증강현실 영상이다. 이때,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은 샘플 증강현실 구동모드에서 고객에게 제한된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한 영상이고,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은 풀 증강현실 구동모드에서 고객에게 제한 없는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한 영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샘플 증강현실 구동모드와 풀 증강현실 구동모드를 구분 운용하고 고객의 액세스를 비용 지불 여부에 따라 단계별로 제한한다.
다음으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풀 증강현실 객체모듈을 추가하거나 또는 기존의 풀 증강현실 객체모듈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배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도 2와 같은 다양한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을 경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최종 수정되고 선택된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단말기를 통해 제2 단계 비용을 지급한다. 제2 단계 비용의 지급에 따라 다음 단계인 웹사이트 객체모듈 추출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웹사이트 객체모듈 추출부는 선택된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 데이터 및 이에 상응하는 풀 증강현실 객체모듈을 기초로 웹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에 적용되기 위한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추출 및 저장한다.
다음으로, 고객 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추출한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서버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해 구동되는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이 추출된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기초로 최종 설계된 인테리어 설계 도면을 고객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으로, 최종 설계된 인테리어 설계 도면을 기초로 인테리어에 필요한 견적을 산출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는 고객 단말기에 표시되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증강현실을 통해 경험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증강현실은 샘플 증강현실 구동모드와 풀 증강현실 구동모드로 단계별로 접근할 수 있다. 샘플 증강현실 구동모드에서는 표현하고자 하는 증강현실의 기능이나 횟수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증강현실을 통한 인테리어 설계 영상이 단계별 요금부과에 따라 단계별로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은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고객이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서 구현되는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에 액세스 한다.
다음으로,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을 통해 모니터 화면에 제공된 웹상의 메뉴를 고객이 선택함으로써 이에 상응하는 샘플 도면이 고객의 모니터를 통해 시현된다. 또한, 웹상의 메뉴를 고객이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인테리어 스타일(복고풍, 유럽풍, 북미풍, 한옥풍 …)에 따라 분류된 카테고리 메뉴의 어느 한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샘플 도면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샘플 도면을 관리한다.
다음으로, 선택된 카테고리 내의 디자이너 풀에서 특정 디자이너를 고객이 선택한다. 디자이너 풀은 디자이너 풀 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며, 각 인테리어 스타일에 맞는 전문 디자이너가 등급별로 분류되어 관리된다. 이때, 디자이너의 등급은 고객이 지급하는 비용과 관련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카테고리 내에서도 1등급 디자이너는 2등급 디자이너의 경우보다 비용이 비쌀 수 있다. 디자이너 풀은 카테고리에 맞게 전문영역별 및 등급별로 모듈별로 관리 운영된다. 각 디자이너의 프로필 및 중요 수행이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객에 의해 선택된 디자이너가 고객의 요청에 따른 샘플 디자인을 디자이너 접근 소프트웨어를 통해 완성하여 고객에게 제공한다.
다음으로, 고객은 고객 접근 소프트웨어를 통해 완성된 샘플 디자인을 볼 수 있으며, 이때 고객은 고객 접근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자이너에게 수정 요청사항을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자이너는 디자이너 접근 소프트웨어를 통해 고객의 수정 요청사항을 전달받고, 고객의 수정 요청사항이 반영된 샘플 디자인을 최종 완료한다.
이때, 고객 접근 소프트웨어와 디자이너 접근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구동부에 의해 구동 운영된다. 권한범위 설정부는 디자이너 및 고객 접근 소프트웨어의 권한 범위를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객 접근 소프트웨어는 완성된 도면을 모니터를 통해 보거나 또는 디자이너에게 수정 요청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정도의 권한 범위가 설정되어 구동된다. 디자이너 접근 소프트웨어는 도면을 수정 및 관리할 수 있는 전체 권한이 일반적으로 주어진다. 다만, 이러한 권한범위는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자이너와 고객의 피드백 경로를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고객과 디자이너가 직접 의사교환함으로써 생기는 여러 가지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테리어 시공 전에는 고객과 디자이너가 인테리어 디자인의 수정 및 변경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디자이너가 최종 완성한 샘플 디자인의 만족도에 따라 제1 단계 비용을 지급한다.
다음으로, 증강현실 구현을 위해 웹사이트 객체모듈 추출부의 제1 객체모듈 추출부는 최종 선택된 샘플 디자인을 기초로 제1 웹사이트 객체모듈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증강현실 객체모듈 변환부는 추출된 제1 웹사이트 객체모듈을 증강현실 객체모듈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증강현실 영상 구동부는 변환된 증강현실 객체모듈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영상을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공간영상에 증강현실로 중첩 표시한다.
다음으로, 고객 단말기에 팝업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의 고객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객체모듈을 추가하거나, 증강현실 객체모듈의 색상을 변경 수정하거나 또는 증강현실 객체모듈의 배치 위치를 변경한다. 이때, 추가되는 객체모듈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추가되거나 수정 변경된 증강현실 객체 모듈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현실 영상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단말기를 통해 제2 단계 비용을 지급한다.
다음으로, 웹사이트 객체모듈 추출부의 제2 객체모듈 추출부는 최종 수정된 증강현실 영상 또는 최종 수정된 증강현실 객체 모듈을 기초로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에 적용되기 위한 제2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고객 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제2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서버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이 제2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기초로 최종 설계된 인테리어 설계 도면을 고객 모니터를 통해 표하며, 인테리어에 필요한 견적을 산출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고객 단말기에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실내 인테리어 설치 공간에 대해 공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샘플 증강현실 구동모드에서 팝업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공간영상에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이 중첩되어 표시되는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 제공 단계,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제1 단계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제1 단계 비용 지불에 따라 상기 고객 단말기의 풀 증강현실 구동모드에서 팝업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공간영상에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이 중첩되어 표시되는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 제공 단계,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제2 단계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제2 단계 비용 지불에 따라 상기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 데이터 및 이에 상응하는 풀 증강현실 객체모듈을 기초로 웹 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에 적용되기 위한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웹 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이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기초로 인테리어 설계 도면을 고객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은,
    고객에게 1차적인 데이터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액세스된 샘플 증강현실 객체모듈로부터 구현된 제한된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이고,
    상기 풀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은,
    고객에게 단계별로 2차적인 데이터 접근을 허용함으써 액세스된 풀 증강현실 객체모듈로부터 구현된 제한없는 인테리어 증강현실 영상이며,
    팝업된 상기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샘플 증강현실 객체모듈 또는 풀 증강현실 객체모듈이 추가되어 증강현실로 표시되거나 색상 및 배치가 변경되어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고객이 인터넷을 통해 웹 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에 액세스 하는 단계,
    상기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된 웹 상의 메뉴를 고객이 선택함으로써 인테리어 스타일에 따라 분류된 카테고리 메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카테고리 내의 디자이너 풀에서 소정 디자이너를 고객이 선택하는 단계,
    고객의 요청에 따른 샘플 디자인을 디자이너가 디자이너 접근 소프트웨어를 통해 완성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
    고객 접근 소프트웨어를 통해 고객의 수정 요청사항이 상기 디자이너에게 전달되는 단계,
    상기 디자이너가 디자이너 접근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고객의 수정 요청사항이 반영된 샘플 디자인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샘플 디자인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제1 단계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
    고객의 제1 단계 비용 지불에 따라 완료된 샘플 디자인을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제1 웹사이트 객체모듈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웹사이트 객체모듈을 증강현실 객체모듈로 변환하는 단계,
    고객 단말기에 표시된 공간영상에 변환된 증강현실 객체모듈로부터 구현된 증강현실 영상을 중첩 표시하고, 팝업된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영상을 고객의 기호에 따라 변경시키는 단계,
    증강현실 영상의 만족도에 따라 고객이 제2 단계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
    최종 수정된 증강현실 객체모듈을 기초로 웹 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에 적용되기 위한 제2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웹 상의 인테리어 설계 운영 프로그램이 제2 웹사이트 객체 모듈을 기초로 인테리어 설계 도면을 고객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팝업된 상기 증강현실 인테리어 메뉴 선택에 따라 증강현실 객체모듈이 추가되어 증강현실로 표시되거나 색상 및 배치가 변경되어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
  5. 삭제
KR1020190140002A 2019-11-05 2019-11-05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 KR10239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002A KR102393092B1 (ko) 2019-11-05 2019-11-05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002A KR102393092B1 (ko) 2019-11-05 2019-11-05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618A KR20210054618A (ko) 2021-05-14
KR102393092B1 true KR102393092B1 (ko) 2022-05-03

Family

ID=7591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002A KR102393092B1 (ko) 2019-11-05 2019-11-05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974B1 (ko) * 2022-03-29 2022-09-23 주식회사 셀버스 실감형 메타버스 기반의 공간 관리 운영시스템
KR102436037B1 (ko) * 2022-05-24 2022-08-24 주식회사 웅인 가상현실에 기초한 인테리어 체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822A (ja) * 2000-07-26 2002-02-08 Nec Corp オンラインギャラリーシステム及びオンラインギャラリー配信方法
JP2005190000A (ja) * 2003-12-24 2005-07-14 Nec Fielding Ltd インテリアプランニングシステムとインテリアプランニングの方法およびインテリアプランニングプログラム
KR101869356B1 (ko) * 2017-03-27 2018-06-20 주식회사 한진모드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439A (ko) * 2003-08-06 2005-02-21 이영미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정보 및 서비스 방법
KR101148567B1 (ko) 2008-07-09 2012-05-25 임하얀 인공수분 교배기
KR101196421B1 (ko) 2009-12-24 2012-11-05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화학기상증착장치 및 화학기상증착장치의 처리방법
US20140217457A1 (en) 2011-05-25 2014-08-07 Wavesquare Inc. Light-emitting element chi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722723B1 (ko) 2015-08-12 2017-04-18 주식회사 필굿하우징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40806B1 (ko) 2015-08-26 2017-05-2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가상 현실을 이용한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635750B (zh) 2015-12-28 2018-07-03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频道识别方法及装置
KR101833779B1 (ko) 2016-06-10 2018-03-05 박희정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 및 인테리어 서비스 시스템
KR102494939B1 (ko) 2016-07-26 2023-02-0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램프
JP6551332B2 (ja) 2016-07-26 2019-07-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走行可能距離算出システムおよび走行可能距離算出方法
KR101854402B1 (ko) * 2017-06-26 2018-05-08 이정원 Vr 시공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20190092915A (ko) * 2018-01-31 2019-08-08 진승혁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822A (ja) * 2000-07-26 2002-02-08 Nec Corp オンラインギャラリーシステム及びオンラインギャラリー配信方法
JP2005190000A (ja) * 2003-12-24 2005-07-14 Nec Fielding Ltd インテリアプランニングシステムとインテリアプランニングの方法およびインテリアプランニングプログラム
KR101869356B1 (ko) * 2017-03-27 2018-06-20 주식회사 한진모드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618A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20701B (zh) 开发者交换系统
JP5529026B2 (ja) 映像広告を作成するためのテンプレートベースの方法
US2014009512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ustomizing a building via a virtual environment
JP6454949B2 (ja) 情報作成方法、記録媒体、情報作成装置、情報作成システム
US20110018895A1 (en) Color Selection, Coordination and Purchase System
KR102393092B1 (ko)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
US201002875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ultimedia Applications
Dambruch et al. Leveraging public participation in urban planning with 3D web technology
KR102294495B1 (ko) 가상현실 기반의 인테리어 및 이와 연동하는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 인테리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88963B1 (ko)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US20090153435A1 (en) Presentation System
US11507712B2 (en) Generating an image for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CN107274205B (zh) 一种订单生成方法及系统
KR102292478B1 (ko) 가상현실 기반의 셉테드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셉테드 인증 방법
Radeke et al. Patterns in task-based modeling of user interfaces
CN106296283B (zh) 一种基于移动应用的广告播放方法及系统
US20200285450A1 (en) System for providing instant preview of a mobile application under development
US20190172260A1 (en) System for composing or modifying virtual reality sequences, method of composing and system for reading said sequences
US200401748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IP telephony applications
CN116663112A (zh) 场景配置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1631933B1 (ko)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맞춤형 간판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US20170039287A1 (en) Method of transforming a 2d mobile search app into a 3d mobile search app
KR20210016730A (ko)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장비에 대한 유지관리가 가능한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0046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 user to vote on a portion of an image and for displaying the image
Bräker et al. Dividing Complexity to Conquer New Dimensions–Towards a Framework for Designing Augmented Reality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