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637B1 - 절연슬리브 - Google Patents

절연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637B1
KR102392637B1 KR1020200072244A KR20200072244A KR102392637B1 KR 102392637 B1 KR102392637 B1 KR 102392637B1 KR 1020200072244 A KR1020200072244 A KR 1020200072244A KR 20200072244 A KR20200072244 A KR 20200072244A KR 102392637 B1 KR102392637 B1 KR 10239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wire
insulation sleeve
main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130A (ko
Inventor
장병한
유재홍
홍호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2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63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과 자기융착테이프 처리 및 커버 시공까지 3가지 작업이 한번에 가능한 커버일체형 무압축 쇄기형 직선 절연스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직접활선에 사용되는 절연슬리브에 있어서, 피박된 제1 전선부 및 제2 전선부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내부에 수용시키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 내부의 상기 제1 전선부 및 상기 제2 전선부 사이에서 마련된 제1 가동부재 및 제2 가동부재;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구;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제1 가동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 사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1 가동부재를 상기 제1 전선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 가동부재를 상기 제2 전선부에 밀착시키는 쐐기부재; 를 포함하는 절연슬리브를 제공하여, 압축과 자기융착테이프 처리 및 커버 시공까지 3가지 작업을 한번에 해결하여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절연슬리브{An insulating sleeve}
본 발명은 절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과 자기융착테이프 처리 및 커버 시공까지 3가지 작업이 한번에 가능한 커버일체형 무압축 쇄기형 직선 절연스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케이블은 내부에 수개의 가닥으로된 동선과 외부의 피복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케이블과 케이블의 결합작업을 위하여 케이블을 분리 절단시킨후 케이블 상호간 또는 내부 동선 상호간의 결합작업은 일반 전기 선로 공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통상의 케이블과 케이블의 결합작업은 케이블의 외부 피복을 벗겨낸후 동선 상호간을 절연슬리브를 이용해 서로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 두부분의 연결부위는 일반적으로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게 되어서 이부분으로 빗물이나 먼지및 이물질이 침투할 수 있게된다.
이때 이러한 빗물 등의 오염물 유입은 누전으로 이어지는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종래의 절연슬리브는 도 1과 같이 피막 및 산화피막을 제거한 후 규정 다이스에 일정간격으로 압축하고, 노출부는 테이핑으로 자기융착시키는 방식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 절연슬리브의 문제점은 도 2와 같이 나타나고 있었다.
종래의 도 2와 같이 피박제거가 불량한 케이스가 발생되었다.
이는 종래의 절연슬리브 설치시 피박기를 사용하여야 함에도 이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따른 문제점으로 나타난다.
한편, 도 2와 같은 종래 절연슬리브의 문제점은 규정 다이스의 미사용으로 인해 발생되고 있었다.
다시 말해서, 도 2의 1번, 2번, 3번, 6번, 그리고 7번 케이스가 규정 다이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한 압축간격 불량이 발생된 모습이다.
한편, 종래의 절연슬리브는 노출부 테이핑 작업이 불량하거나 분기슬리브 접속개소에 대부분에서 테이핑이 생략되는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이와 같은 시공불량은 도 3과 같이 피박 불량 및 노출부 테이프 미시공으로 인한 감전사고, 특히 일반인의 감전으로 인한 사망사고로 이어질 수가 있어 문제이다.
또한, 종래의 직접활선 직선슬리브 압축작업의 문제점이 도 4에 도시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 직접활선 직선슬리브 압축작업 공정은 피박 후 슬리브 삽입, 그리고 압축과 노출부 테이핑 순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 때 압축기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압축기 헤드가 무겁기 때문에 간접활선으로 압축 작업시에는 간격의 정확도를 지키기가 까다로운 곤란함이 있었다.
즉, 종래의 간접활선용 직선슬리브는 도 5(a) 처럼 작업되어 왔고, 이를 개선한 것이 도 5(b)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이핑 작업의 번거로움은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았고, 이를 통해 작업자의 테이핑 생략 및 커버 부분 직접활선으로 마감시키는 사례가 발생하여 여전히 사고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직선슬리브 시공에는 활선전공의 숙련도 및 관심에 따라 접속시공 품질 상이하여 품질유지가 어려운 한계도 있었다.
KR 659144 B1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과 자기융착테이프 처리 및 커버 시공까지 3가지 작업을 한번에 이루어지는 절연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직접활선에 사용되는 절연슬리브에 있어서, 피박된 제1 전선부 및 제2 전선부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내부에 수용시키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 내부의 상기 제1 전선부 및 상기 제2 전선부 사이에서 마련된 제1 가동부재 및 제2 가동부재;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구;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제1 가동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 사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1 가동부재를 상기 제1 전선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 가동부재를 상기 제2 전선부에 밀착시키는 쐐기부재; 를 포함하는 절연슬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가동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면서 상기 제1 전선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가동부재는 상기 제1 가동부재와 나란하게 마련된 채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면서 상기 제2 전선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전선부 및 상기 제2 전선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의 서로 다른 측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서 각각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통구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상기 본체부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관통구의 중앙이 상기 제1 가동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 사이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쐐기부재는 전면부가 경사진 화살촉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가동부재에는 상기 쐐기부재에 최초 접촉되는 부분이 제1 경사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가동부재에는 상기 쐐기부재에 최초 접촉되는 부분이 제2 경사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가동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에는 상기 쐐기부재가 고정되는 후퇴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가동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는 전도성 알루미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퇴 방지부는 상기 관통구로부터 최대 이격된 위치에서 마련되되, 상기 제1 가동부재에 형성된 제1 후퇴 방지홈과 상기 제2 가동부재에 형성된 제2 후퇴 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퇴 방지부는 상기 제1 경사면에 형성된 제1 가고정 홈; 및 상기 제2 경사면에 형성된 제2 가고정 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압축과 자기융착테이프 처리 및 커버 시공까지 3가지 작업을 한번에 해결하여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알미늄전선 피복제거 후 슬리브에 삽입한 뒤 쇄기를 밀어 넣어 전선을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작업자간 작업품질이 일정한 강점이 발휘된다.
셋째, 별도의 테이핑 작업이 없이도 감전사고로부터 안전성이 보장되는 강점이 있다.
넷째, 압축시간 단축에 따른 활선작업 공량 재산출로 투자비 절감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절연슬리브 공정
도 2는 종래 작업된 절연슬리브의 불량모습
도 3은 종래 작업된 절연슬리브의 결함
도 4는 종래 직접활선 직선슬리브 작업순서
도 5(a)는 종래 간접활선용 직선슬리브
도 5(b)는 종래 개선된 간접활선용 직선슬리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직접활선에 사용되는 절연슬리브는 본체부(100), 제1 전선삽입 가이드부(110), 제1 가동부재(120), 제2 가동부재(130), 관통구(300), 쐐기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피박된 제1 전선부(210) 및 제2 전선부(220)가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내부에 수용시키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전선부(210)는 단부의 소정 길이만큼 피박된 제1 전선 피막 제거부(21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전선부(220) 역시 단부의 소정 길이만큼 피박된 제2 전선 피막 제거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선 피막 제거부(211) 및 제2 전선 피막 제거부(221)는 본체부(100) 내부에 수용된다.
제1 전선 피막 제거부(211)는 본체부(100)의 상측벽에 밀착되도록 수용되고 제2 전선 피막 제거부(221)는 본체부(100)의 하측벽에 밀착되도록 수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0)의 일측 외측벽에는 제1 전선부(210)을 안내하는 제1 전선삽입 가이드부(110)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0)의 타측 외측벽에는 제2 전선부(220)를 안내하는 제1 가동부재(120)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선삽입 가이드부(110)는 제1 전선부(210)가 본체부(100)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본체부(100) 외부에 노출된 제1 전선부(210) 부분과 본체부(10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방수기능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전선삽입 가이드부(110)는 고무소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가동부재(120)는 제1 전선삽입 가이드부(110)과 동형 동질로서 제1 전선삽입 가이드부(11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피박된 제1 전선부(210) 및 제2 전선부(220)는 각각 본체부(100)의 서로 다른 측면에서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선부(210)는 본체부(100)의 좌측면에 삽입되고, 제2 전선부(220)는 본체부(100)의 우측면에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1 전선부(210)는 본체부(100)의 좌측면 상부에 삽입되고, 제2 전선부(220)는 본체부(100)의 우측면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전선부(210)와 제2 전선부(220)는 본체부(100)에서 높이 차를 가지고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선부(210)의 피막 제거된 부분인 제1 전선 피막 제거부(211) 및 제2 전선부(220)의 박피된 부분인 제2 전선 피막 제거부(221)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본체부(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는 각각 본체부(100)의 내부의 제1 전선 피막 제거부(211) 및 제2 전선 피막 제거부(221) 사이에서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가동부재(12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마련되면서 제1 전선부(2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 가동부재(130)는 제1 가동부재(120)와 나란하게 마련된 채 본체부(100)의 내부에 마련되면서 제2 전선부(2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는 최초에 서로 밀착되어 있다가 쐐기부재(400)가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 사이로 진입되면서 서로 벌어지게 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는 본체부(100)의 내부 중앙에서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관통구(300)는 본체부(100)의 일측면에서 본체부(100)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관통구(300)의 크기는 쐐기부재(400)이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구(300)는 본체부(100)의 일측면에서 본체부(100)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관통구(300)의 중앙이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 사이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쐐기부재(400)는 관통구(300)를 통해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 사이에 밀착되도록 삽입됨으로써 제1 가동부재(120)를 제1 전선부(210)에 밀착시키고 제2 가동부재(130)를 제2 전선부(220)에 밀착시킨다.
한편, 쐐기부재(400)는 전면부가 경사진 화살촉 형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동부재(120)에는 쐐기부재(400)에 최초 접촉되는 부분이 제1 경사면(121)으로 형성되고, 제1 가동부재(120)에는 쐐기부재(400)에 최초 접촉되는 부분이 제2 경사면(131)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쐐기부재(400)의 전방에 형성된 화살촉 형상의 경사면이 각각 제1 경사면(121) 및 제2 경사면(131)에 슬라이딩 되면서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 사이로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쐐기부재(400)가 제1 경사면(121) 및 제2 경사면(131)에 슬라이딩 되면서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 사이로 원활하게 진입될수록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다.
이를 설명하면,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a) 는 쐐기부재(400)이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에 진입하기 전의 모습이다.
이 때, 제1 가동부재(120)는 제1 전선 피막 제거부(21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고 있으며, 제2 가동부재(130)는 제2 전선 피막 제거부(221)로부터 역시 이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쐐기부재(400)를 푸시하면 도 10 (b)처럼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가 서로 벌어지기 시작하고, 제1 가동부재(120)는 제1 전선 피막 제거부(211)에 접근하기 시작하며, 제2 가동부재(130) 역시 제2 전선 피막 제거부(221)로 접근된다.
계속하여 쐐기부재(400)를 푸시하면, 도 10(c)처럼 쐐기부재(400)는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 사이에 진입이 완료된다.
이 때, 제1 가동부재(120)가 제1 전선 피막 제거부(211)에 밀착고정되고, 제2 가동부재(130)는 제2 전선 피막 제거부(221)에 밀착 고정된다.
즉, 제1 전선 피막 제거부(211), 제1 가동부재(120), 쐐기부재(400), 제2 가동부재(130) 및 제2 전선 피막 제거부(221)는 서로 밀착고정된다.
이를 본체부(100)의 측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도 11 (a), 11(b), 11(c)와 같은 순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때,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는 전도성 알루미늄 소재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동부재(120)의 상부는 도 9 (b)처럼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에는 쐐기부재(400)가 고정되는 후퇴 방지부(5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퇴 방지부(500)는 쐐기부재(400)의 화살촉 형상 부분이 고정되어 후퇴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후퇴라 함은 쐐기부재(400)의 화살촉이 가리키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후퇴 방지부(500)는 관통구(300)로부터 최대 이격된 위치에서 제1 가동부재(120)에 형성된 제1 후퇴 방지홈(510)과는 제2 가동부재(130)에 형성된 제2 후퇴 방지홈(5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후퇴 방지부(500)는 제1 경사면(121)에 형성된 제1 가고정 홈(530)은 및 제2 경사면(131)에 형성된 제2 가고정 홈(5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쐐기부재(400)의 화살촉 부분이 제1 가고정 홈(530) 및 제2 가고정 홈(540) 부분에 미리 고정되어 있다가 이동되면서 제1 후퇴 방지홈(510)부분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쐐기부재(400)는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 사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본체부(10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관통구(300)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로 진입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게 되면, 쐐기부재(400)이 본체부(100)에서 분리됨이 없이 일부분이 본체부(100)에 수용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쐐기부재(400)는 화살촉 부분이 제1 가동부재(120) 및 제2 가동부재(130)에 걸쳐져 가고정된 상태로 있다가, 사용자가 절연슬리브를 설치할 때 쐐기부재(400)를 본체부(100) 내부로 가압하여 밀어 넣음으로써 절연슬리브 설치 작업을 손쉽게 완료할 수 있게 한다.
도 12에서는 쐐기부재(400)가 본체부(100) 외부에 위치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쐐기부재(400)의 화살촉 부분은 본체부(100) 내부에 위치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체부(100)의 전체적 형상은 도 10처럼 상부와 하부로 길게 형성되고 좌우 폭은 좁게 형성될 수 있다.
100 : 본체부
110 : 제1 전선삽입 가이드부
111 : 제2 전선삽입 가이드부
120 : 제1 가동부재
121 : 제1 경사면
122 : 오목부
130 : 제2 가동부재
131 : 제2 경사면
210 : 제1 전선부
211 : 제1 전선 피막 제거부
220 : 제2 전선부
221 : 제2 전선 피막 제거부
300 : 관통구
400 : 쐐기부재
500 : 후퇴 방지부
510 : 제1 후퇴 방지홈
520 : 제2 후퇴 방지홈
530 : 제1 가고정 홈
540 : 제2 가고정 홈

Claims (10)

  1. 직접활선에 사용되는 절연슬리브에 있어서,
    피박된 제1 전선부 및 제2 전선부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내부에 수용시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의 상기 제1 전선부 및 상기 제2 전선부 사이에서 마련된 제1 가동부재 및 제2 가동부재;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구;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제1 가동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 사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1 가동부재를 상기 제1 전선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 가동부재를 상기 제2 전선부에 밀착시키는 쐐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는 상기 쐐기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후퇴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면서 상기 제1 전선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가동부재는 상기 제1 가동부재와 나란하게 마련된 채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면서 상기 제2 전선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부 및 상기 제2 전선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의 서로 다른 측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서 각각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상기 본체부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관통구의 중앙이 상기 제1 가동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 사이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는 전면부가 경사진 화살촉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부재에는 상기 쐐기부재에 최초 접촉되는 부분이 제1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가동부재에는 상기 쐐기부재에 최초 접촉되는 부분이 제2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는 전도성 알루미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방지부는 상기 관통구로부터 최대 이격된 위치에서 마련되되, 상기 제1 가동부재에 형성된 제1 후퇴 방지홈과 상기 제2 가동부재에 형성된 제2 후퇴 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방지부는,
    상기 제1 경사면에 형성된 제1 가고정 홈; 및 상기 제2 경사면에 형성된 제2 가고정 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슬리브.
KR1020200072244A 2020-06-15 2020-06-15 절연슬리브 KR10239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244A KR102392637B1 (ko) 2020-06-15 2020-06-15 절연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244A KR102392637B1 (ko) 2020-06-15 2020-06-15 절연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130A KR20210155130A (ko) 2021-12-22
KR102392637B1 true KR102392637B1 (ko) 2022-04-29

Family

ID=7916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244A KR102392637B1 (ko) 2020-06-15 2020-06-15 절연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6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1706A (ja) 2005-11-21 2007-06-0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スリーブ部材と挿入部材との仮固定構造及び活線接続工法
KR100941378B1 (ko) 2009-09-18 2010-02-10 (주)정엔지니어링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
JP2011166905A (ja) * 2010-02-08 2011-08-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引留ク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63A (ja) * 1989-05-29 1991-01-08 Yazaki Corp コネクタの端子係止具
JP2002025642A (ja) 2000-07-13 2002-01-25 Asahi Tec Corp 絶縁カバー被覆型圧縮スリーブ
KR102252930B1 (ko) * 2019-10-11 2021-05-18 한국전력공사 커버 개방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간접활선용 절연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1706A (ja) 2005-11-21 2007-06-0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スリーブ部材と挿入部材との仮固定構造及び活線接続工法
KR100941378B1 (ko) 2009-09-18 2010-02-10 (주)정엔지니어링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
JP2011166905A (ja) * 2010-02-08 2011-08-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引留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130A (ko)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51882A (en) Crimp-type method and means for multiple outer conductor coaxial cable connection
US2738479A (en) Plural wire stripper and electrical connector
US5498176A (en) System for connecting shielding wire and terminal
EP0727854A2 (en) Method for processing an end of a shielded cable
US4168569A (en) Electrical contact extraction apparatus
KR102392637B1 (ko) 절연슬리브
US9997886B2 (en) Method of forming termination end on cable
US4715251A (en) Fiber optic cable preparation tool and method of preparing fiber optic cable for termination with a fiber optic connector
US6427275B1 (en) Coaxial cable tool
HU221711B1 (hu) Szerszám és eljárás kábelek burkolásához
US20190372291A1 (en) Terminal insertion device and terminal insertion method
US8141219B2 (en) Tool for assisting in cutting the conductors of an electrical cable to a precise length
US4639068A (en) Holder for coupling assembly
US4725247A (en) Cable splicing assembly
NO851070L (no) Innretning for avslutning av en elektrisk kabel
US4244067A (en) Hand tool for working with wire and cable
JP2008178181A (ja) 高圧絶縁カバー
KR20200136694A (ko) 간접활선공법용 점퍼선 가이드
CN108288801A (zh) 多芯线缆连接装置
JPS58222710A (ja) 多芯ケ−ブルの芯線出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372052B1 (ko) 선형화약용 피복 제거장치
JPS59105278A (ja) 多相分枝コネクタ
JP2005174767A (ja)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方法
JP3485669B2 (ja) ケ−ブル用分岐スリ−ブ
DE19635872B4 (de) Elektrischer Verb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