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378B1 -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 - Google Patents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378B1
KR100941378B1 KR1020090088319A KR20090088319A KR100941378B1 KR 100941378 B1 KR100941378 B1 KR 100941378B1 KR 1020090088319 A KR1020090088319 A KR 1020090088319A KR 20090088319 A KR20090088319 A KR 20090088319A KR 100941378 B1 KR100941378 B1 KR 10094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main line
connection piece
branch
branch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수
Original Assignee
(주)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8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01R11/14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the hook being adapted for hanging on overhead or other suspended lines, e.g. hot line clamp
    • H01R11/15Hook in the form of a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선과 인하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의 구조개선을 통해 하나의 주선에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따라 다수개의 인하선을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하선을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결합구성이 단순화와 동시에 결속방법이 편리하여 시공의 편의성 향상 및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선의 피복 절개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내측에 전후방과 하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양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을 이루어 하방으로 개구된 절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절개공의 인접한 외측에 단턱부가 마련되고, 상기 단턱부 중 일측의 단턱부 전면에 쐐기홈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수용된 주선의 하부를 마감함과 동시에 인하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복수개가 삽입연결되며, 상하부에 몸체로 배선된 주선이나 인하선과 밀착을 이루기 위한 반원홈부가 마련되고, 내측에 상하로 개구된 수용홀이 마련되며, 타측에 체결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수용홀과 연통을 이루는 체결공가 형성된 폴리머 소재의 연결편; 상기 연결편을 몸체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편의 일측에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연결축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의 일단에 쐐기돌부를 갖는 가압판이 마련되고, 상기 가압판의 일측에 고리가 형성된 스토퍼 및 상기 몸체와 연결편 사이에 배선된 주선과 연결편과 연결편 사이에 배선된 인하선을 서로 통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수용홀에 삽입되어 결합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하부에 주선이나 인하선을 가압하기 위한 쐐기부가 마련된 접속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기슬리브, 스토퍼, 고리, 쐐기돌기, 쐐기홈부

Description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Branch Sleeve multi type for Connection of Low Tension Electric Wire}
본 발명은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선과 인하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의 구조개선을 통해 하나의 주선에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따라 다수개의 인하선을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하선을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결합구성이 단순화와 동시에 결속방법이 편리하여 시공의 편의성 향상 및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의 배전시 22.9kV의 특고압을 배전전압으로 하여 전기공급장소의 주상변압기까지 공급한 후, 배전용 주상변압기에서 220V, 380V의 저압으로 변환하여 일반 가정이나 산업체 등의 전기 수요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배전선로의 본선로에서 선로를 분리하거나 본선로에서 주상변압기로 전력을 제공하는 경우 본선과 분기선에 분기슬리브를 장착하여 두 선을 접속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공배전선로가 설치된 전주(1)에는 전력이 송전되는 본선(2)과 컷아웃스위치(3)와 주상변압기(4) 및 애자 등이 장착되어 있으며, 본선(2)을 통해 배전되는 전력은 컷아웃스위치(3)를 거쳐 주상변압기(4)로 제공되고, 주상변압기(4)는 특고압으로 배전되는 전력을 사용 가능한 정격 전압(220V, 380V)으로 낮추어 인하선(4a)을 통해 전력선(5)으로 제공하여 가정이나 산업체 등의 전기 수용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선(2)은 전주(1)에 설치된 양측 인류클램프 커버(6)에 고정 설치되고, 양측 인류클램프 커버(6) 사이의 장력이 걸리지 않는 본선(2) 부위에 분기선(7)이 분기 슬리브(11)로 접속되어 컷아웃스위치(3)로 전력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분기슬리브는 등록특허 10-0677649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도 2는 종래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는, 배전선로의 주선에서 주상변압기의 인하선을 분기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주선과 인하선이 각각 접속고정되는 T형상의 상하부전도체(10,11)와, 상하부전도체(10,11)를 상하측에서 밀폐 절연시키는 상하부절연커버(20,21)와, 상하부절연커버(20,21)와 인하선 사이의 틈새를 밀폐 절연시키는 신축절연밴드(30)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분기슬리브는 하나의 주선에 하나의 인하선 만을 연결, 접속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어, 인하선을 추가시 별도의 분기슬리브를 추가로 더 설치해야 했 으며, 이로 인한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기슬리브의 구조개선을 통해 하나의 주선에 선택적으로 다수의 인하선을 함께 연결접속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하선을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결합구성들을 단순화하여 시공 편의성의 향상 및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주선에서 주상변압기의 인하선을 분기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분기슬리브는
주선의 피복 절개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내측에 전후방과 하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양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을 이루어 하방으로 개구된 절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절개공의 인접한 외측에 단턱부가 마련되고, 상기 단턱부 중 일측의 단턱부 전면에 쐐기홈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수용된 주선의 하부를 마감함과 동시에 인하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복수개가 삽입연결되며, 상하부에 몸체로 배선된 주선이나 인하선과 밀착을 이루기 위한 반원홈부가 마련되고, 내측에 상하로 개구된 수용홀이 마련되며, 타측에 체결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수용홀과 연통을 이루는 체결공가 형성된 폴리머 소재의 연결편;
상기 연결편을 몸체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편의 일측에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연결축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의 일단에 쐐기돌부를 갖는 가압판이 마련되고, 상기 가압판의 일측에 고리가 형성된 스토퍼 및
상기 몸체와 연결편 사이에 배선된 주선과 연결편과 연결편 사이에 배선된 인하선을 서로 통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수용홀에 삽입되어 결합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하부에 주선이나 인하선을 가압하기 위한 쐐기부가 마련된 접속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선과 인하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의 구조개선을 통해 하나의 주선에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따라 다수개의 인하선을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하선을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결합구성이 단순화와 동시에 결속방법이 편리하여 시공의 편의성 향상 및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100)는 주선(L)과 인하선(B)이 수용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수용된 주선(L)과 인하선(B)을 몸체(11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편(120)과, 상기 연결편(120)을 몸체(110)에 결속시키기 위한 스토퍼(130) 및 상기 주선(L)과 인하선(B)을 통전시키기 위한 접속편(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몸체(110)는 서로 접속을 이루기 위한 주선(L)과 인하선(B)을 수용하여 외부로 부터 이들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상기 몸체(110)는 주선(L)의 피복(R) 절개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내측에 전후방과 하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111)이 마련되고, 양측에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을 이루어 하방으로 개구된 절개공(113)이 형성되며, 상기 각 절개공(113)의 인접한 외측에 단턱부(115)가 마련되고, 상기 단턱부(115) 중 일측의 단턱부(115) 전면에 쐐기홈부(11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11)의 상부는 배선되는 주선(L)의 외면과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편(120)은 상기 몸체(110)로 배선되는 주선(L)과 인하선(B) 들을 몸체(110)내에서 등간격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연결편(120)은 상기 몸체(110)에 수용된 주선(L)의 하부를 마감함과 동시에 인하선(B)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111)에 복수개가 삽입연결되며, 상하부에 몸체(110)로 배선된 주선(L)이나 인하선(B)과 밀착을 이루기 위한 반원홈(121)가 마련되고, 내측에 상하로 개구된 수용홀(123)이 마련되며, 타측에 체결볼트(125)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127a)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수용홀(123)과 연통을 이루는 체결공(127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편(120)은 전기가 통전되지 않는 폴리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편(120)의 전방에 형성된 체결공(127b)은 상기 수용홀(123)과 연통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편(120)의 타측에 마련된 체결공(127a)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25)에는 가압링(129)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120)은 인하선(B)의 개수보다 하나 더 많은 개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연결편(120)을 몸체(110)에 연결고정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연결편(120)의 일측에 탄성스프링(131)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편(12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연결축(133)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133)의 일단에 쐐기돌부(135)를 갖는 가압판(137)이 마련되고, 상기 가압 판(137)의 일측에 고리(139)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쐐기돌부(135)는 상기 쐐기홈부(117)와 치합을 이룰 수 있도록 쐐기홈부(117)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판(137)은 연결편(120)의 외측으로 당기면 상기 쐐기돌부(135)는 쐐기홈부(117)와 이탈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스프링(131)이 압축되고,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압축되었던 탄성스프링(131)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판(137)이 상기 연결편(120) 측으로 이동하여 쐐기돌부(135)가 쐐기홈부(117)와 치합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접속편(140)은 상기 몸체(110)로 배선된 주선(L)과 인하선(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상기 접속편(140)은 상기 몸체(110)와 연결편(120) 사이에 배선된 주선(L)과 연결편(120)과 연결편(120) 사이에 배선된 인하선(B)을 서로 통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수용홀(123)에 삽입되어 결합볼트(141)에 의해 고정되며, 상하부에 주선(L)이나 인하선(B)을 가압하기 위한 쐐기부(143)가 마련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하나의 주선에 선택적으로 다수의 인하선을 함께 연결접속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하선을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결합구성들을 단순화하여 시공 편의성의 향상 및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시공관계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 브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 중 스토퍼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100)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몸체(110)에 피복(R)이 절개된 주선(L)을 삽입하여 배선한다.
이후, 상기 접속편(140)이 결합볼트(141)에 의해 체결된 연결편(120)을 주선(L)의 하부에 고정설치한다. 이때, 상기 접속편(140)은 주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편(120)을 몸체(110)에 고정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토퍼(130)의 가압판(137)을 당긴 상태에서 연결축(133)을 절개공(113)에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연결편(120)을 위치시키기 위한 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당기고 있던 가압판(137)에 힘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가압판(137)에서 힘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판(137)은 탄성스프링(131)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편(120) 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쐐기돌부(135)는 쐐기홈부(117)와 치합을 이루어 위치고정을 이루게 된다.
이후, 상기 스토퍼(130)와 대칭되는 위치의 체결공(127a)에 체결볼트(125)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125)의 머리부는 가압링(129)을 가압하며, 상기 가압링(129)은 단턱부(115)를 가압하여 연결편(120)이 몸체(110)에 더욱 긴밀히 결속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연결편(120)의 하부에 인하선(B)을 위치시킨 후, 상기 연결 편(120)의 연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편(120)을 몸체(110)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연결편(120)의 설치 개수는 분기하고자 하는 인하선(B)을 마감할 수 있도록 인하선(B)의 개수보다 하나 더 많이 설치된다.
즉, 상기 몸체(110)의 최하단에는 연결편(120)을 설치함으로써, 마지막으로 연결, 접속된 인하선(B)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는 하나의 주선에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따라 다수개의 인하선을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하선을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결합구성이 단순함과 동시에 결속방법이 용이하여 시공의 편의성 향상 및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 중 스토퍼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 111 : 수용공간
117 : 쐐기홈부 120 : 연결편
127a,127b : 체결공 130 : 스토퍼
131 : 탄성스프링 137 : 가압판
140 : 접속편 143 : 쐐기부

Claims (1)

  1. 배전선로의 주선에서 주상변압기의 인하선을 분기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분기슬리브(100)는
    주선(L)의 피복(R) 절개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내측에 전후방과 하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111)이 마련되고, 양측에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을 이루어 하방으로 개구된 절개공(113)이 형성되며, 상기 각 절개공(113)의 인접한 외측에 단턱부(115)가 마련되고, 상기 단턱부(115) 중 일측의 단턱부(115) 전면에 쐐기홈부(117)가 형성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에 수용된 주선(L)의 하부를 마감함과 동시에 인하선(B)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111)에 복수개가 삽입연결되며, 상하부에 몸체(110)로 배선된 주선(L)이나 인하선(B)과 밀착을 이루기 위한 반원홈(121)가 마련되고, 내측에 상하로 개구된 수용홀(123)이 마련되며, 타측에 체결볼트(125)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127a)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수용홀(123)과 연통을 이루는 체결공(127b)가 형성된 폴리머 소재의 연결편(120);
    상기 연결편(120)을 몸체(1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편(120)의 일측에 탄성스프링(131)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편(12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연결축(133)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133)의 일단에 쐐기돌부(135)를 갖는 가압판(137)이 마련되고, 상기 가압판(137)의 일측에 고리(139)가 형성된 스토퍼(130) 및
    상기 몸체(110)와 연결편(120) 사이에 배선된 주선(L)과 연결편(120)과 연결편(120) 사이에 배선된 인하선(B)을 서로 통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수용홀(123)에 삽입되어 결합볼트(141)에 의해 고정되며, 상하부에 주선(L)이나 인하선(B)을 가압하기 위한 쐐기부(143)가 마련된 접속편(1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
KR1020090088319A 2009-09-18 2009-09-18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 KR100941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19A KR100941378B1 (ko) 2009-09-18 2009-09-18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19A KR100941378B1 (ko) 2009-09-18 2009-09-18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1378B1 true KR100941378B1 (ko) 2010-02-10

Family

ID=4208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319A KR100941378B1 (ko) 2009-09-18 2009-09-18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3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657B1 (ko) 2010-06-15 2011-07-26 문호주 배전선로의 멀티형 분기슬리브
KR101150440B1 (ko) 2012-03-30 2012-06-01 (주)건창기술단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502815B1 (ko) 2014-12-18 2015-03-16 (주)에스시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용 분기고리구조
KR101777402B1 (ko) 2017-05-16 2017-09-13 주식회사 원이앤지 배전선 클램핑 장치
KR20210155130A (ko) * 2020-06-15 2021-12-22 한국전력공사 절연슬리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3579A (ja) * 1995-12-07 1997-06-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分岐線引出部
KR100853691B1 (ko) 2008-02-22 2008-08-25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854020B1 (ko) 2008-03-21 2008-08-26 제일기술개발주식회사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200445303Y1 (ko) 2008-12-08 2009-07-17 박종경 멀티형 분기 슬리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3579A (ja) * 1995-12-07 1997-06-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分岐線引出部
KR100853691B1 (ko) 2008-02-22 2008-08-25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854020B1 (ko) 2008-03-21 2008-08-26 제일기술개발주식회사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200445303Y1 (ko) 2008-12-08 2009-07-17 박종경 멀티형 분기 슬리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657B1 (ko) 2010-06-15 2011-07-26 문호주 배전선로의 멀티형 분기슬리브
KR101150440B1 (ko) 2012-03-30 2012-06-01 (주)건창기술단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502815B1 (ko) 2014-12-18 2015-03-16 (주)에스시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용 분기고리구조
KR101777402B1 (ko) 2017-05-16 2017-09-13 주식회사 원이앤지 배전선 클램핑 장치
KR20210155130A (ko) * 2020-06-15 2021-12-22 한국전력공사 절연슬리브
KR102392637B1 (ko) 2020-06-15 2022-04-29 한국전력공사 절연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378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멀티형 분기슬리브
US7572976B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box
AU752657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for contacting conductor strands
KR101754811B1 (ko) 간접활선용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ATE401687T1 (de) Befestigungsklammer für kabelkanal, insbesondere für elektrische geräte
WO2008051573A3 (en) Messenger supported overhead cable for electrical transmission
IL155564A0 (en) Cell union assembly for electric switchgear
KR100941379B1 (ko) 분기슬리브 보호용 절연커버
WO2006106310A3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US11309642B2 (en) Insulation piercing tap connector
KR100863715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1224847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CN105826721A (zh) 一种防止线缆松动的电力金具
KR100991120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0831195B1 (ko) 지중 저압용 케이블 접속장치
CN107611878A (zh) 多功能防水、可更换端子接线盒
CN108123231B (zh) 接线端子
KR101815683B1 (ko) 저압인류애자 인류 바인드레스 체결장치
CN105896430A (zh) 一种高压电力金具
RU2008115942A (ru) Система сборных шин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вусторонне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KR101870966B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2182833B1 (ko) 공동주택용 내부바닥층에 사용되는 전기선 분배기
CN203014315U (zh) 一种终端线夹
KR101723682B1 (ko) 배전선로용 지선밴드와 현수애자의 연결 장치
KR200445303Y1 (ko) 멀티형 분기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