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384B1 -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384B1
KR102392384B1 KR1020210099936A KR20210099936A KR102392384B1 KR 102392384 B1 KR102392384 B1 KR 102392384B1 KR 1020210099936 A KR1020210099936 A KR 1020210099936A KR 20210099936 A KR20210099936 A KR 20210099936A KR 102392384 B1 KR102392384 B1 KR 102392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advertisement
information
advertiser
bus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애드
장동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애드, 장동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애드
Priority to KR102021009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토대로 버스노선정보를 분석하여 광고주 및 광고대상에 대한 최적화된 광고 서비스를 설계하는 동시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동인구분포, 소비자 유형 및 상권을 분석하고, 분석된 유동인구분포, 소비자 유형 및 상권 정보와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토대로 버스노선정보를 분석하여 비용대비 최고의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광고 서비스 설계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그 시스템 {THE ADVERTISEMENT DESIGN METHOD THE SYSTEM UTILIZING THE BUS}
본 발명은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토대로 버스노선정보를 분석하여 광고주 및 광고대상에 대한 최적화된 광고 서비스를 설계하는 동시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동인구분포, 소비자 유형 및 상권을 분석하고, 분석된 유동인구분포, 소비자 유형 및 상권 정보와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토대로 버스노선정보를 분석하여 비용대비 최고의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광고 서비스 설계가 가능한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정보 전달 매체 등장 및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로 TV, 신문과 같은 전통매체를 통한 마케팅 효과가 감소하면서 옥외광고의 활용이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옥외광고는 광고판이나 천을 건물의 벽, 옥상 또는 바닥 등에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옥외광고가 이동식 차량과 같은 일반인이 개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운송 수단에 영상스크린을 설치하여 광고영상을 제공하거나 차량 외면에 광고를 부착하는 다양한 형태의 광고가 행해지고, 이러한 이동식 차량 광고는 특정고객, 장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지역 또는 광고 특성에 적합한 광고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동식 차량 광고는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하고, 운행경로가 불특정되어 있어 차량이 광고 타겟 지역을 통과하지 않거나 중복하여 통과하거나 광고 타겟 지역이 아닌 지역을 통과할 수 있어 차량을 이용한 광고 효과를 예측하기 어렵고, 광고 집행 여부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지 않아 별도의 확인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한편, 버스외부광고는 2004년 서울시 교통체계개편 이후 이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대표적인 옥외 광고 수단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버스 외부 광고는 TV, 인터넷 등과 같이 높은 접촉률을 나타내므로 광고대상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광고매체이다.
즉, 버스가 시민의 수송을 분담하는 공공성의 교통수단임과 동시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산업에 있어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브랜드 접점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매체이다. 따라서, 버스외부광고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102141호(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2015.09.0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해진 경로와 운행시간을 반복하여 주행하는 노선버스를 이용하여 버스외부광고를 수행하되, 광고조의 요구조건을 충족하면서 최대의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버스노선을 선별하여 최적의 버스외부광고를 설계 및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광고 집행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 없고, 광고주 맞춤으로 선별된 버스노선을 통한 광고 노출 효과를 보장할 수 있는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광고대상에 대한 소비자유형을 분석하고, 분석된 소비자유형과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토대로 버스노선정보를 분석하여 비용대비 최고의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최적의 광고 서비스를 설계 및 제공할 수 있는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외부광고의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야간 시인성을 높이고 버스 외면에 부착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광고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시스템은, 버스운행정보 및 버스운행경로에 따른 복수의 버스정류장 리스트를 포함하는 버스노선정보를 관리하며, 버스외부광고의 집행을 처리하는 버스운송사업자 서버; 상기 버스운송사업자 서버 및 버스외부광고의 광고 서비스 설계를 의뢰하는 광고주 단말과 각각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버스운송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버스노선정보를 수집하고,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버스노선에 포함된 각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유동인구를 분석하고, 분석된 각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유동인구를 합산하여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를 산출하는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입력된 광고를 희망하는 지역 정보(타겟 지역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대상(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인구밀집규모 정보 및 예상비용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수집하는 광고조건 수집모듈과, 상기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상기 타겟 지역 정보를 토대로 상기 버스노선정보를 분석하여 타겟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1차 선별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토대로 1차 선별된 버스노선 각각의 전체유동인구에 대한 성별 및 연령 분포를 분석하고,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충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2차 선별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인구밀집규모 정보를 토대로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분석하되,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각 버스노선에 포함된 모든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를 합산하여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체유동인구수가 인구밀집규모 정보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3차 선별 작업을 수행하는 버스노선 분석모듈과, 상기 버스노선 분석모듈로부터 3차 선별된 버스노선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예상비용 정보를 토대로 3차 선별된 버스노선 각각의 광고비용을 산출하고, 각 버스노선의 산출된 광고비용과 해당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를 토대로 전체유동인구수를 광고비용으로 나누어 버스노선별 광고효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순위에 따라 버스노선을 나열한 후, 가장 높은 순위의 버스노선을 선택하여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하는 버스광고 설계모듈과, 각 모듈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버스광고 설계모듈의 광고 서비스 설계 결과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광고주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광고 중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플랫폼은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 및 이동통신망 사업자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는 상기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에서 제공되는 지역별 유입 및 유출 정보를 포함하는 인구 관련 빅데이터이거나, 상기 이동통신망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모바일 기반 유동인구 빅데이터이며, 상기 타겟 지역 정보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를 통해 도/시, 구, 동/리를 각각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인구밀집규모 정보는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이며, 상기 예상비용 정보는 최저비용 및 최대비용에 따른 비용범위, 광고기간, 부착위치 및 버스대 수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비용은 광고물의 크기 및 부착위치에 따라 기책정된 광고비에 광고기간을 곱한 후 광고물의 제작비를 합산하는 것에 의해 산출되며, 상기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은 일정 주기로 상기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유동인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버스정류장별 유동인구,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버스정류장별 유동인구 및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버스노선정보 분석모듈은, 상기 버스노선정보의 버스정류장 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타겟 지역 내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1차 선별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1차 선별된 버스노선 각각의 전체유동인구에 대한 성별 및 연령 분포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주성별 및 주연령층이 상기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2차 선별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버스광고 설계모듈은 상기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순위의 버스노선부터 순차적으로 하위의 버스노선을 광고주가 희망하는 버스대수에 맞춰 선택하되, 선택된 버스노선들의 광고비용 합이 상기 비용범위를 만족하도록 버스노선을 조합하여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조건 수집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광고주 단말로부터 입력된 업체명을 포함하는 광고주의 기본정보 및 광고할 대상의 제품명 또는 서비스명, 제품 또는 서비스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대상 정보를 더 수집하며, 상기 광고 중개 서버는, 상기 광고주의 기본정보 및 상기 광고대상 정보)를 토대로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광고주 및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를 각각 수집하고, 수집된 광고주 및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광고주에 대한 관심도 및 선호도가 높은 제1 소비자 유형과, 광고대상에 대한 구매이력이 있는 제2 소비자의 유형을 성별, 연령, 거주지역, 구매지역 및 직업에 대해 각각 분류하는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빅데이터플랫폼은 광고주가 운영하는 업체서버, 카드사 서버 및 검색포털 서버이며, 상기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은, 상기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업체명을 토대로 광고주와 관련된 정보 검색 및 게시를 포함하는 소셜미디어 활동 및 구매활동을 수행한 소비자 정보를 수집하고, 광고주에 대한 활동이 많은 소비자의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구매지역 및 직업을 분석하여 제1 소비자 유형을 분류하고, 광고대상 정보를 토대로 상기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구매활동과,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후기, 검색 및 게시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활동을 수행한 소비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구매지역 및 직업을 분석하여 제2 소비자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스노선 분석모듈은, 분류된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을 토대로 상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을 각각 만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며, 상기 버스광고 설계모듈은,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상기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에 따라 선별된 버스노선 각각의 광고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비용과 해당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를 토대로, 전체유동인구수를 광고비용으로 나누어 광고효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효율이 높은 순서로 버스노선을 나열한 후,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순위로부터 순차적으로 하위의 버스노선을 선택하되, 광고주가 희망하는 버스대수에 맞춰 선택된 버스노선의 광고비용 합이 비용범위를 만족하도록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빅데이터 분석 모듈은 3차 선별된 버스노선의 버스정류장 리스트에 대한 상권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된 버스정류장 주변 상권의 이용고객수를 지역별 상권 관련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며, 상기 버스노선 분석모듈은,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버스노선별로 분석된 각 상권의 이용고객수를 모두 합산하여 전체 이용고객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체 이용고객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서 가장 많은 이용고객수를 갖는 버스노선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된 경로 및 운행시간 동안 주행하는 노선버스를 이용하되,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여 최적의 광고 서비스를 설계 및 제공함으로써 광고 집행 여부의 확인 절차가 필요없고, 최적의 광고 설계를 통해 검증된 버스노선에 따른 광고노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를 광고매체로 이용하여 일정한 노선을 계속해서 반복 운행하면서 이동 및 정차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광고를 노출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소비자들에게 자연스럽게 광고를 반복하여 전달가능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광고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대상의 소비자유형 및 타겟층과 관련된 상권을 분석하고, 분석된 소비자유형, 상권 및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여 최적의 광고를 설계 및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광고정보가 맞춤형으로 소비자에게 노출되므로,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최소화시키면서 소비자의 관심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광고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버스외부광고를 위한 광고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고영역에 따른 크기 및 비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고 중개 서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고 중개 서버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광고 중개 서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광고 중개 서버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대중교통 광고는 최대한의 저비용 설정을 통해 대다수에게 홍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우리가 가장 빈번하게 이용하는 대중교통 중 버스는 일정한 노선을 계속해서 반복 운행하기 때문에 버스외부광고를 집행할 때, 반복적인 광고 노출을 통해 더욱 뛰어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버스는 생활 밀접형 이동매체 수단이기 때문에 부담스럽지 않게 자연스레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버스외부광고는 각 버스별로 정해진 지역 내 노선을 하루 18시간동안 순회하여 운행하므로, 반복적인 광고물 노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 기업 서비스, 앱 등의 홍보시 브랜드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심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해진 지역을 반복해서 순회하므로 지역 상권 의존형인 업종(병의원, 학원 등)에 적합한 지역 주민 타겟팅 광고 집행이 가능하다. 또한, 버스외부광고는 지상을 운행하는 버스에 광고가 집행되기 때문에 이동형 광고판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커버리지가 ??은 광고가 가능하고 버스가 지나다니는 동선에 맞게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브랜드 홍보 및 각인에 뛰어나고, 특히 같은 버스정류장에서 계속해서 탑승하는 승객들에게는 더욱 뛰어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매출 상승까지 연계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스외부광고에 대한 최적의 광고 서비스 설계를 광고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유동인구와 유동인구수, 전체유동인구와 전체유동인구수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그 의미는 동일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시스템은 광고주로부터 광고 설계 의뢰를 접수하여 최적의 광고 서비스를 설계 및 제공하기 위한 유동인구정보 수집을 위한 시스템 연동, 버스운행경로를 지도에 맵핑하기 위한 지리정보 수집을 위한 시스템 연동 등의 인프라가 기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시스템은 웹사이트에서 또는 모바일에서 구현되어 광고 의뢰 접수, 광고 설계안 조회 등 광고 설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웹사이트에 직접 로그인하는 것에 의해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시스템은 광고 중개 서버(100)와, 광고주 단말(200)과,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를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중개 서버(100)와, 광고주 단말(200) 및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는 각각 네트워크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망(미도시)은 유/무선 통신망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광고주 단말(200)은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 폰(2G/3G/4G/LET, 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타블렛 PC(Tablet P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광고 중개 서버(100) 및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하나의 광고주 단말(200) 및 하나의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로 구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하나의 예시로써 제시한 것일 뿐이며, 실제로는 하나 이상의 광고주 단말(200)과, 하나 이상의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를 포함한다.
먼저, 일 실시예에서, 광고 중개 서버(10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광고주 단말(200)과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 간 버스외부광고를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광고 중개 서버(100)는 버스외부광고를 중개하기 위한 웹사이트(홈페이지)를 구축하고, 웹사이트에 접속한 광고주 단말(200)로부터 광고주의 요구조건과 함께 버스외부광고 서비스의 설계 의뢰가 접수되면,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토대로 버스노선을 분석하여 최적의 광고 서비스 설계를 광고주 단말(210)로 제공하고, 이후, 선택되는 광고 서비스 설계에 따른 버스노선에 대한 버스운송사업자를 연결하여 버스외부광고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광고주의 요구조건은 광고를 희망하는 지역 정보(이하, 타겟 지역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대상(이하,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인구밀집규모 정보, 예상비용 정보(최저비용 및 최고비용에 따른 비용범위, 광고기간, 버스대수, 부착위치)를 포함한다.
먼저, 광고 중개 서버(100)는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타겟 지역 정보를 토대로 버스노선정보를 분석하여 타겟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1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 타겟 지역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표적인 번화가 홍대(홍대입구역), 강남(강남역)의 경우 유동인구가 많고, 고속터미널(고속터미널역), 여의도(여의도역) 등은 출퇴근 유동인구가 많아 주요 타겟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서울의 경우,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를 경유하는 노선이 가장 유동인구가 많아 선호도도 높지만 그 만큼 비용도 높게 책정되며, 그 다음은 서울 시내권 노선으로 강남권 노선이 아닌 종로, 광화문, 신촌, 홍대, 건대역 등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많이 선택될 수 있으며, 그 다음 등급은 서울 외곽권 지선버스로 지하철을 환승하여 베드타운으로 주로 운행하는 짧은 노선이 많아 로컬광고가 적합하여 선택될 수 있다. .
여기에서, 버스노선정보는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며,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의 리스트를 포함하며, 각 버스정류장은 지도 상에 하나의 위치와 맵핑되는 식별자를 가지며, 식별자를 이용해 각 버스정류장을 지도에 맵핑시켜 운행경로가 이어진 버스노선도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버스노선도는 지리정보시스템(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지역별 지도서비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중개 서버(100)는 1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에 대해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토대로 각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의 주성별 및 주연령층을 분석하고, 분석된 각 버스노선별 주성별 및 주연령층이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2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광고 중개 서버(100)는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에 대해 인구밀집규모 정보를 토대로 각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각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가 인구밀집규모 정보를 충족시키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3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광고 중개 서버(100)는 3차 선별된 버스노선에 대해 예상비용 정보(최소비용 및 최대비용에 따른 비용범위, 광고기간, 버스대수, 부착위치)를 토대로 비용범위를 만족하는 버스노선을 조합하되, 예상비용 정보 중 광고기간, 버스대수 및 부착위치 정보를 이용해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각각의 광고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비용이 비용범위를 만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중개 서버(100)는 최적의 광고 서비스 설계를 위해, 각 버스노선에 대한 광고효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각 버스노선의 광고효율을 수치화하여 나타내는데, 각 버스노선의 산출된 광고비용과 해당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를 토대로, 전체유동인구수를 광고비용으로 나누어 광고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광고 중개 서버(100)는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산출된 광고비용이 비용범위를 만족하는 버스노선들 각각의 광고효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순서에 따라 버스노선을 나열한 후, 광고주의 비용범위 내에서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순위의 버스노선을 선택하여 최고의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중개 서버(100)는 3차 선별된 버스노선에 대해 버스1대 기준으로 광고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비용이 비용범위를 만족하는 버스노선의 광고효율을 산출하고,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순으로 나열한 후,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버스노선과, 순차적으로 다음 순위의 버스노선을 선택하여 비용범위를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비용범위를 초과하면 다음 순위의 버스노선을 선택하는 과정을 광고주의 요구조건인 버스대수를 만족할 때까지 반복한다.
이러한 조합 과정을 통해 광고 중객 서버(100)는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충족하면서,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버스노선과, 광고효율은 낮지만,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모두 충족하면서 단가가 낮은 버스노선을 발굴하여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중개 서버(100)는 광고상품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며, 웹사이트(홈페이지)를 이용하여 광고상품 정보(부착위치별 샘플 광고제작물)를 게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시스템은, 고정된 경로 및 운행시간 동안 주행하는 노선버스를 이용하되,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여 최적의 광고 서비스를 설계함으로써 광고 집행 여부의 확인 절차 없이 검증된 버스노선에 따른 광고노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광고주 맞춤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외부광고를 집행하기 위한 광고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고영역에 따른 크기 및 비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a) 내지 (h)는 버스 외부에 설치가능한 광고 영역을 나타내며, 도 2의 (i) 내지 (l)은 버스 내부에 설치가능한 광고 영역(빨간 테두리 표시)을 나타낸다.
이러한 광고 영역은 버스 외부의 차도면 확대형, 차도면 G마크형, 인도면 확대형, 인도면 G마크형, 후면, 슬라이드형(일반버스), 외부 노선도형, 외부 중앙창형, 버스 내부의 슬라이드형, 내부 중앙창형, 내부 천정형, 내부 시트커버형으로 구성되며, 해당 광고 영역 내에 광고매체를 설치하여 노선 내에 위치한 버스 승객, 승차대기 인구, 자동차 운전자, 길거리 도보객들을 광고 타겟층으로 하여 광고를 집행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매체의 부착면이 주요 타겟층을 겨냥할 수 있게 형성되며, 인도면은 가로변을 걷는 사람, 차도면은 신호 대기하는 운전자, 후면은 양쪽 모든 인구를 수용 가능한 면이다.
또한, 광고 영역은 버스의 종류에 따라 광고 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조금씩 상이할 수 있으며,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비용이 상이하며, 각 광고 영역에 설치되는 광고매체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버스의 종류는 간선버스, 지선버스, 좌석버스, 순환버스, 급행버스, 광역버스 등이 있다.
또한, 광고 영역은 광고매체가 부착될 위치의 테두리에 광원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야간에도 광고를 식별할 수 있는 야간 시인성을 확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태양전지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광고 영역에 설치될 광고매체는, 인쇄나 페인팅 또는 스티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영역에 부착되는 광고 스티커는 버스 표면에 부착할 수 있으며, 종이재질, 섬유재질 및 플라스틱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광고 스티커의 전면에는 광고문구가 인쇄되고, 후면은 스티커 또는 휨이 가능한 재질의 고무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고문구는 야광 또는 형광물질로 코팅되어 야간에도 식별될 수 있도록 야간 시인성을 높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고매체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기술적 수단에 의해 버스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광고매체는 삽입형 광고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광고지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으며, 광고지의 교체로 다른 광고를 집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고매체가 부착될 위치, 즉, 광고영역에 따라 광고매체의 크기가 상이하며, 광고비 및 제작비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광고주는 광고영역의 크기 및 위치, 광고비 및 제작비를 고려하여 광고 대상의 홍보에 더 유리한 부착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고 중개 서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고 중개 서버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고 중개 서버(100')는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110), 광고조건 수집모듈(120), 버스노선 분석모듈(130), 버스광고 설계모듈(140), 통신모듈(150) 및 제어모듈(160)을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11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부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버스노선별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유동인구를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은 통계청과 같은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망 사업자 서버일 수 있으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는 통계청에서 제공되는 인구 관련 빅데이터이거나, 이동통신망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모바일 기반 유동인구 빅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110)은 이동통신 기지국의 모바일 기반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버스노선별 각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인구 유입 및 유출 현황을 활용하여 버스정류장별 유동인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110)은 노선버스의 버스노선에 포함된 각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를 구하고, 각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를 합산하여 해당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를 산출하여 저장함으로써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의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110)은 일정 주기, 예를 들어, 주중, 주말 또는 월단위로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각 버스정류장별 유동인구,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를 산출하여 갱신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110)은 각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의 규모정도를 버스노선도에 함께 표시할 수 있는데, 전체유동인구의 규모정도에 따라 버스노선도의 색을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광고조건 수집모듈(120)은, 통신모듈(150)을 통해 광고주 단말(200)로부터 요구조건을 수집하고(S10), 수집된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저장한다(S11).
여기에서, 광고주의 요구조건은 광고를 희망하는 지역 정보(이하, 타겟 지역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대상(이하,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인구밀집규모 정보, 예상비용 정보를 포함한다.
우선, 광고를 희망하는 타겟 지역 정보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를 통해 도/시, 구, 동/리를 각각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력되거나 광고주가 직접 해당 지역명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타겟 지역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의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은 버스노선에 대한 1차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는 남/여 성별과,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등 나이대로 구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이대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연령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의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은 1차 선별된 버스노선에 대한 2차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구밀집규모 정보는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를 의미하며, 이러한 전체유동인구수는 버스노선에 포함된 각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유입 및 유출되는 유동인구수를 합산하여 산출되며, 인구밀집규모 정보는 백, 천 단위 등 일정 단위의 구간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유동인구수에는 버스 이용객 수가 포함된다. 이러한 인구밀집규모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의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은 2차 선별된 버스노선에 대한 3차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예상비용 정보는 최저비용 및 최대비용을 포함하는 비용범위, 광고기간, 부착위치 및 버스대 수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상비용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의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은 3차 선별된 버스노선을 조합하여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은 수집된 요구조건을 전달받고(S12), 먼저, 광고를 희망하는 타겟 지역 정보를 토대로 버스노선정보를 분석하고, 타겟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1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S13).
여기에서, 버스노선정보는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의 리스트를 포함하며, 각 버스정류장은 지도 상에 하나의 위치와 맵핑되는 식별자를 가지며, 식별자를 이용해 각 버스정류장을 지도에 맵핑되어 운행경로가 이어진 버스노선도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은, 버스노선정보의 버스정류장 리스트를 분석하여 입력된 타겟 지역 내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한다. 이때,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은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입력된 타겟 지역 내 정차하는 버스정류장 수가 많은 순서로 나열할 수 있다.
또한,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은,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토대로 1차 선별된 버스노선을 분석하고,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충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2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S14).
즉,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은 각 버스노선에 포함된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수를 모두 합산하여 전체유동인구를 구하고, 구한 전체유동인구의 성별 및 연령 분포를 분석하고,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주성별 및 주연령이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한다.
또한,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은 입력된 인구밀집규모 정보를 토대로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분석하되,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각 버스노선에 포함된 모든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를 합산하여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체유동인구수가 인구밀집규모 정보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3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S15).
여기에서,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은 3차 선별된 버스노선을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순위에 따라 리스트업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버스광고 설계모듈(140)은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에서 선별된 버스노선 정보를 전달받고(S16), 입력된 예상비용 정보(비용범위, 광고기간, 부착위치, 버스대수)를 토대로 3차 선별 작업을 통해 선별된 버스노선들의 광고비용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비용과 해당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를 토대로, 전체유동인구수를 광고비용으로 나누어 광고효율을 산출하고, 광고효율이 높은 순서로 버스노선을 나열한 후, 광고주의 비용범위 내에서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순위로부터 순차적으로 버스노선을 선택하되, 광고주가 희망하는 버스대수에 맞춰 버스노선을 조합하여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한다(S17). 여기에서, 광고비용은 광고물의 크기 및 부착위치에 따른 광고비와 광고기간의 곱에 광고물의 제작비를 합산하는 것에 의해 산출된다.
예를 들어, 버스광고 설계모듈(140)은 광고주가 원하는 타겟 지역을 통과하면서 유동인구수가 일정 규모 이상이고 타겟층이 많이 분포하는 버스노선을 선택하되, 광고효율이 높은 버스노선을 선택하여 하나의 버스노선에 다수 대의 버스를 배치하거나, 광고효율이 높은 버스노선을 다수 개 배치하도록 복수 개의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하고, 설계된 복수 개의 광고 서비스 설계안을 광고주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서비스 설계안은 지도에 운행경로와 함께 버스노선의 버스정류장이 맵핑된 버스노선도와 함께 타겟 지역을 별도의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각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수를 수치 또는 색으로 표시하거나, 버스노선의 인구밀집규모에 따라 운행경로를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광고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비스 설계안은 버스노선에 포함된 각 버스정류장 주변의 상권 등의 지리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권은 종합병원, 대학교, 마트, 백화점, 시장, 영화관, 지하철역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통신모듈(150)은 광고주 단말(200) 및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광고주 단말(200)로부터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수신하고, 광고 서비스의 설계 결과를 광고주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50)은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로부터 버스노선정보, 버스운행정보 및 광고비용 산출 기준정보 등을 수신하고,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로 광고주의 광고 서비스 집행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버스운행정보는 각 버스노선별 버스정류소, 버스운행경로, 버스 배차간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50)은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 빅데이터 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160)은 각 모듈(110 내지 15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버스광고 설계모듈(140)의 광고 서비스 설계 결과를 통신모듈(150)을 통해 광고주 단말(200)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서버(100')는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토대로 해당 광고를 집행할 버스노선 수 및 버스대 수를 설계함으로써 광고주의 취향에 적합한 최적의 광고를 설계 및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광고 중개 서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광고 중개 서버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고 중개 서버(100")는 도 4 및 도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고 중개 서버(100')와 비교하여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171)을 더 추가한 구성에 차이가 있으며, 또한, 광고주 단말(200)로부터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입력받던 제1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광고주의 요구조건과 함께 광고주의 기본정보 및 광고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고 중개 서버(100")는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111), 광고조건 수집모듈(121), 버스노선 분석모듈(131), 버스광고 설계모듈(141),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171), 통신모듈(151) 및 제어모듈(161)을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중개 서버(1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 및 지리정보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유동인구 빅데이터,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 지역별 상권 관련 빅데이터, 지역별 지도정보 등)를 이용하여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토대로 최적의 광고 서비스를 설계할 수 있다.
먼저,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111)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부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버스노선별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유동인구를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은 통계청과 같은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망 사업자 서버일 수 있으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는 통계청에서 제공되는 인구 관련 빅데이터이거나, 이동통신망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모바일 기반 유동인구 빅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111)은 이동통신 기지국의 모바일 기반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버스노선별 각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인구 유입 및 유출 현황을 활용하여 버스정류장별 유동인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111)은 노선버스의 버스노선에 포함된 각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를 구하고, 각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를 합산하여 해당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를 산출하여 저장함으로써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의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111)은 일정 주기, 예를 들어, 주중, 주말 또는 월단위로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각 버스정류장별 유동인구,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를 산출하여 갱신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111)은 각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의 규모정도를 버스노선도에 함께 표시할 수 있는데, 전체유동인구의 규모정도에 따라 버스노선도의 색을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광고조건 수집모듈(121)은, 통신모듈(151)을 통해 광고주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광고주의 기본정보 및 요구조건, 광고대상 정보를 수집하고(S20), 수집된 광고주의 기본정보 및 요구조건, 광고대상 정보를 저장한다(S21).
여기에서, 광고주의 기본정보는 업체명을 포함한다. 이러한 업체명을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의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171)은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부터 광고주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검색 및 게시 등 소셜미디어 활동 정보 및 구매활동 정보를 수집하고, 광고주에 대한 선호도 및 관심도가 높은 소비자 유형(성별, 연령대, 거주지역)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된 소비자 유형 정보를 이용해 버스노선을 선별할 수 있다.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는 광고주가 운영하는 업체서버, 카드사 서버, 검색포털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광고주의 요구조건은 광고를 희망하는 지역 정보(이하, 타겟 지역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대상(이하,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인구밀집규모 정보, 예상비용 정보를 포함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광고주의 요구조건과 동일한다.
그리고, 광고대상 정보는 광고할 대상의 제품명 또는 서비스명, 제품 또는 서비스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광고대상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의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171)은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부터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 예를 들어,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소비자 정보와,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후기, 검색, 게시 등의 소셜 미디어 활동 정보를 수행한 소비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광고대상 관련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구매지역, 직업을 포함하는 소비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 유형을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의 버스노선 분석모듈(131)은 버스노선을 선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는 예를 들어, 브랜드 홍보, 영화 홍보, 앨범 홍보, 제품 홍보, 매장 홍보, 분양 홍보 등일 수 있으며, 브랜드 홍보일 경우, 브랜드의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으며, 브랜드의 카테고리는 의류, 가방, 자동차, 쥬얼리, 가전, 화장품, 전자, 식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영화 홍보의 경우 장르, 배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앨범 홍보의 경우 가수, 장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품 홍보의 경우, 제품명, 제품의 카테고리(휴대폰, 컴퓨터, 가전, 가구 등), 매장 홍보의 경우, 매장의 업종 카테고리(식당, 카페, 음식점, 학원, 병원, 약국 등), 매장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분양 홍보의 경우 분양 위치, 분양 단지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버스노선 분석모듈(131)은 수집된 요구조건을 전달받고(S22), 먼저, 광고를 희망하는 타겟 지역 정보를 토대로 버스노선정보를 분석하고, 타겟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1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S23).
여기에서, 버스노선정보는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의 리스트를 포함하며, 각 버스정류장은 지도 상에 하나의 위치와 맵핑되는 식별자를 가지며, 식별자를 이용해 각 버스정류장을 지도에 맵핑시켜 운행경로가 이어진 버스노선도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버스노선 분석모듈(131)은, 버스노선정보의 버스정류장 리스트를 분석하여 입력된 타겟 지역 내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한다. 이때, 버스노선 분석모듈(131)은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입력된 타겟 지역 내 정차하는 버스정류장 수가 많은 순서로 순차적으로 나열할 수 있다.
또한, 버스노선 분석모듈(131)은,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토대로 1차 선별된 버스노선을 분석하고,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충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2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S24).
즉, 버스노선 분석모듈(131)은 각 버스노선에 포함된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수를 모두 합산하여 전체유동인구를 구하고, 구한 전체유동인구의 성별 및 연령 분포를 분석하고,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주성별 및 주연령이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1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에서 선별한다.
또한, 버스노선 분석모듈(131)은 입력된 인구밀집규모 정보를 토대로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분석하되,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각 버스노선에 포함된 모든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를 합산하여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체유동인구수가 인구밀집규모 정보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3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S25).
여기에서, 버스노선 분석모듈(131)은 3차 선별된 버스노선을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순위에 따라 리스트업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171)은 광고주의 기본정보(업체명) 및 광고대상 정보(제품명 또는 서비스명, 제품 또는 서비스의 카테고리 정보)를 토대로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부터 광고주 및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를 각각 수집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광고주 및 광고대상에 대한 관심도/선호도가 높은 소비자와 광고대상에 대한 구매이력이 있는 소비자의 유형(성별, 연령, 거주지역, 구매지역, 직업)을 분류한다(S26).
여기에서,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은 광고주가 운영하는 업체서버, 카드사 서버, 검색포털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171)은 광고주가 운영하는 업체서버, 카드사 서버, 검색포털 서버의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광고주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검색 및 게시 등 소셜미디어 활동 정보 및 광고주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구매 활동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광고주에 대한 선호도 및 관심도가 높은 제1 소비자 유형(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직업)을 분류할 수 있다(S21).
또한,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171)은 카드사 서버, 검색포털 서버의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 예를 들어,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소비자 정보와,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후기, 검색, 게시 등의 소셜 미디어 활동 정보를 수행한 소비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광고대상 관련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구매지역, 직업 등을 포함하는 제2 소비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S26).
그리고,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171)은 분류된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 정보를 버스노선 분석모듈(131)로 전달한다(S27).
그리고, 버스노선 분석모듈(131)은 분류된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구매지역, 직업군)을 토대로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을 각각 만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한다(S28). 그리고, 버스노선 분석모듈(131)은 버스노선의 선별 결과를 버스광고 설계모듈(141)로 전달한다(S29).
이러한 소비자 유형 분석을 통한 버스노선 선별을 수행함으로써 소비자가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광고정보가 소비자 맞춤형으로 소비자에게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최소화시키면서 소비자의 관심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광고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버스광고 설계모듈(140)은 버스노선 분석모듈(130)에서 선별된 버스노선 정보를 전달받고(S16), 입력된 예상비용 정보(비용범위, 광고기간, 부착위치, 버스대수)를 토대로 3차 선별 작업을 통해 선별된 버스노선들의 광고비용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비용과 해당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를 토대로, 전체유동인구수를 광고비용으로 나누어 광고효율을 산출하고, 광고효율이 높은 순서로 버스노선을 나열한 후, 광고주의 비용범위 내에서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순위로부터 순차적으로 하위 버스노선을 선택하되, 광고주가 희망하는 버스대수에 맞춰 버스노선을 조합하여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한다(S17). 여기에서, 광고비용은 광고물의 크기 및 부착위치에 따른 광고비와 광고기간의 곱에 광고물의 제작비를 합산하는 것에 의해 산출된다.
한편,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171)은 도 7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3차 선별된 버스노선의 버스정류장 리스트에 대한 상권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된 버스정류장 주변 상권의 이용고객수를 지역별 상권 관련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예를 들어,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171)은 버스노선의 버스정류장 리스트로부터 대학, 백화점, 지하철역, 대형마트, 시장, 영화관, 병원, 아파트 등 주요상권과 관련된 명칭을 포함하는 정류장명을 추출하고, 추출한 정류장의 상권을 이용하는 연령대, 성별 및 시간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권이 대학상권인 경우 20대가 주타겟층이 될 수 있으며 등교 및 하교 시간을 포함하는 오전 내지 오후 시간대가 유동인구가 많은 시간대로 분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권은 업체의 규모를 기준으로 대형상권, 중형상권, 소형상권으로 구분되고, 유동인구를 기준으로 전국상권, 광역상권, 지역상권, 근린상권으로 구분되고, 소비자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1차상권, 2차상권, 3차상권으로 구분되고, 주변환경을 기준으로 사무실(오피스) 상권, 주택가 상권, 번화가 상권, 역세권 상권, 대학가 상권, 교외 상권으로 구분되고, 지역환경을 기준으로 주거지역, 상업지역, 직장/오피스, 역세권, 교통중심지, 대학/학원가, 특수시설, 공업중심지역, 기타지역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버스노선 분석모듈(131)은 버스노선별 버스정류장에 대한 분석된 각 상권의 이용고객수를 합산하여 전체 이용고객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체 이용고객수가 가장 많은 버스노선을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버스광고 설계모듈(141)은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예상비용 정보(비용범위, 광고기간, 버스대수)를 토대로 상권 분석을 통해 선정된 버스노선과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을 토대로 선별된 버스노선 각각의 광고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비용과 해당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를 토대로, 전체유동인구수를 광고비용으로 나누어 광고효율을 산출한다.
이러한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171)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타겟층과 관련된 상권 분석을 통해 버스노선을 선정함으로써 타겟층에게 전략적으로 광고를 노출할 수 있으므로 광고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모듈(150)은 광고주 단말(200) 및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광고주 단말(200)로부터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수신하고, 광고 서비스의 설계 결과를 광고주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50)은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로부터 버스노선정보, 버스운행정보 및 광고비용 산출 기준정보 등을 수신하고,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로 광고주의 광고 서비스 집행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50)은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 빅데이터 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160)은 각 모듈(110 내지 15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버스광고 설계모듈(140)의 광고 서비스 설계 결과를 통신모듈(150)을 통해 광고주 단말(200)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서버(100")는 광고주의 요구조건뿐만 아니라, 광고주 및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를 이용해 광고할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유형 및 광고주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소비자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활용하여 버스노선을 선정함으로써 불특정 다수가 아닌 특정 소비자 중심의 소비자 맞춤 광고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흥미를 더욱 유도하여 광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며 상기 시스템은 하나의 광고주 단말(200) 및 하나의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로 구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하나의 예시로써 제시한 것일 뿐이며, 실제로는 하나 이상의 광고주 단말(200)과, 하나 이상의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은, 광고주가 광고주 단말(200)을 통해 광고 중개 서버(100')에 접속하여 요구조건을 입력하면, 광고 중개 서버(100')는 입력된 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저장한다(S1000).
여기에서, 광고주의 요구조건은 광고를 희망하는 지역 정보(이하, 타겟 지역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대상(이하,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인구밀집규모 정보, 예상비용 정보를 포함한다.
우선, 광고를 희망하는 타겟 지역 정보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를 통해 도/시, 구, 동/리를 각각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력되거나 광고주가 직접 해당 지역명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타겟 지역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는 버스노선에 대한 1차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는 남/여 성별과,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등 나이대로 구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이대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연령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는 1차 선별된 버스노선에 대한 2차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구밀집규모 정보는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를 의미하며, 이러한 전체유동인구수는 버스노선에 포함된 각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유입 및 유출되는 유동인구수를 합산하여 산출되며, 인구밀집규모 정보는 백, 천 단위 등 일정 단위의 구간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유동인구수에는 버스 이용객 수가 포함된다. 이러한 인구밀집규모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는 2차 선별된 버스노선에 대한 3차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예상비용 정보는 최저비용 및 최대비용을 포함하는 비용범위, 광고기간 및 버스대 수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상비용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는 3차 선별된 버스노선에 대한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광고 중개 서버(100')는 입력된 요구조건 중, 광고를 희망하는 타겟 지역 정보를 토대로 버스노선정보를 분석하고, 타겟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1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S1100).
여기에서, 버스노선정보는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의 리스트를 포함하며, 각 버스정류장은 지도 상에 하나의 위치와 맵핑되는 식별자를 가지며, 식별자를 이용해 각 버스정류장을 지도에 맵핑시켜 운행경로가 이어진 버스노선도로 표시될 수 있다.
즉, 광고 중개 서버(100')는, 버스노선정보의 버스정류장 리스트를 분석하여 입력된 타겟 지역 내 운행을 통해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한다. 이때, 광고 중개 서버(100')는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입력된 타겟 지역 내 정차하는 버스정류장 수가 많은 순서로 나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광고 중개 서버(100')는,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토대로 1차 선별된 버스노선을 분석하고,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충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2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S1200).
즉, 광고 중개 서버(100')는 각 버스노선에 포함된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수를 모두 합산하여 전체유동인구를 구하고, 구한 전체유동인구의 성별 및 연령 분포를 분석하고,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주성별 및 주연령이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서버(100')는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부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버스노선별 각 버스정류장 일정 범위 내 유입 및 유출되는 인구에 따른 유동인구를 산출하여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는 통계청과 같은 공공기관의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망 사업자 서버일 수 있으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는 통계청에서 제공되는 인구 관련 빅데이터이거나, 이동통신망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모바일 기반 유동인구 빅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중개 서버(100')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모바일 기반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버스노선별 각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인구 유입 및 유출 현황을 활용하여 버스정류장별 유동인구를 산출하여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중개 서버(100')는 주중, 주말 또는 월단위로 유동인구를 분석 및 산출하여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광고 중개 서버(100')는 입력된 인구밀집규모 정보를 토대로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분석하되,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각 버스노선에 포함된 모든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를 합산하여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체유동인구수가 인구밀집규모 정보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3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S1300).
여기에서, 광고 중개 서버(100')는 3차 선별된 버스노선을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순위에 따라 리스트업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광고 중개 서버(100')는 입력된 예상비용 정보(비용범위, 광고기간, 버스대수)를 토대로 3차 선별작업을 통해 선별된 버스노선들의 광고비용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비용과 해당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를 토대로, 전체유동인구수를 광고비용으로 나누어 광고효율을 산출하고, 광고효율이 높은 순서로 버스노선을 나열한 후, 광고주의 비용범위 내에서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순위로부터 순차적으로 버스노선을 선택하되, 광고주가 희망하는 버스대수에 맞춰 버스노선을 조합하여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한다(S1400). 여기에서, 광고비용은 광고물의 크기 및 부착위치에 따른 광고비와 광고기간의 곱에 광고물의 제작비를 합산하는 것에 의해 산출된다.
즉, 광고 중개 서버(100')는 입력된 예상비용 중 비용범위를 만족시키면서 최대의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광고 서비스의 설계를 위해, 버스노선 조합시 우선적으로 고려할 우선순위를 광고효율, 비용, 전체유동인구수, 타겟 지역의 유동인구수의 합 순서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우선순위는, 광고주의 비용범위를 만족시켜야 하므로 비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도록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S14OO단계에서, 버스노선들의 광고효율이 동일할 경우, 비용이 저렴한 버스노선을 우선 선택하고, 버스노선의 비용이 동일할 경우, 전체유동인구수가 가장 많은 버스노선을 우선 선택하고, 전체유동인구수가 동일할 경우, 타겟 지역 내 정차되는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수를 모두 합산한 타겟 지역 내 유동인구수의 합이 가장 많은 버스노선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효율이 높으면서 비용이 저렴한 버스노선을 조합하여 광고 서비스를 설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타겟지역 내 타겟층에 대한 광고노출이 많을수록 광고효과가 좋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타겟지역 내 타겟층의 인구수가 많은 버스노선 위주로 광고 서비스를 설계함으로써 광고주의 예상비용 내에서 최대의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며 상기 시스템은 하나의 광고주 단말(200) 및 하나의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로 구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하나의 예시로써 제시한 것일 뿐이며, 실제로는 하나 이상의 광고주 단말(200)과, 하나 이상의 버스운송사업자 서버(300)를 포함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은, 광고주가 광고주 단말(200)을 통해 광고 중개 서버(100")에 접속하여 광고주의 기본정보, 요구조건 및 광고대상 정보를 입력하면, 광고 중개 서버(100")는 입력된 광고주의 기본정보, 요구조건 및 광고대상 정보를 저장한다(S2000).
여기에서, 광고주의 기본정보는 업체명을 포함한다. 이러한 업체명을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는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부터 광고주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검색 및 게시 등 소셜미디어 활동 정보 및 구매활동 정보를 수집하고, 광고주에 대한 선호도 및 관심도가 높은 소비자 유형(성별, 연령대, 거주지역)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된 소비자 유형 정보를 이용해 버스노선을 선별할 수 있다.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는 광고주가 운영하는 업체서버, 카드사 서버, 검색포털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광고주의 요구조건은 광고를 희망하는 지역 정보(이하, 타겟 지역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대상(이하,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인구밀집규모 정보, 예상비용 정보를 포함한다.
우선, 광고를 희망하는 타겟 지역 정보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를 통해 도/시, 구, 동/리를 각각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력되거나 광고주가 직접 해당 지역명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타겟 지역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는 버스노선에 대한 1차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는 남/여 성별과,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등 나이대로 구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이대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연령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는 1차 선별된 버스노선에 대한 2차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구밀집규모 정보는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를 의미하며, 이러한 전체유동인구수는 버스노선에 포함된 각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유입 및 유출되는 유동인구수를 합산하여 산출되며, 인구밀집규모 정보는 백, 천 단위 등 일정 단위의 구간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유동인구수에는 버스 이용객 수가 포함된다. 이러한 인구밀집규모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는 2차 선별된 버스노선에 대한 3차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예상비용 정보는 최저비용 및 최대비용을 포함하는 비용범위, 광고기간 및 버스대 수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상비용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는 3차 선별된 버스노선에 대한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대상 정보는 광고할 대상의 제품명 또는 서비스명, 제품 또는 서비스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광고대상 정보를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는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부터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 예를 들어,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소비자 정보와,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후기, 검색, 게시 등의 소셜 미디어 활동 정보를 수행한 소비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광고대상 관련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구매지역을 포함하는 소비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 유형을 토대로 광고 중개 서버(100")는 버스노선을 선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은 카드사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소비자가 카드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소비와 관련된 빅데이터를 제공하며, 광고 중개 서버(100")는 광고대상에 대한 소비자의 성별, 연령, 구매지역, 거주지역 등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은 검색포털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광고대상에 대한 검색, 게시, 구매후기 등의 소셜미디어 활동이 높은 소비자 정보를 제공하며, 광고 중개 서버(100")는 제공된 소비자 정보로부터 성별, 연령, 지역 등을 분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서버(100")는 광고주 및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로부터 광고대상의 구매이력이 있거나 광고주 및 광고대상에 관심도가 높은 소비자 유형을 성별, 연령, 거주지역에 따라 분류한다.
이후, 광고 중개 서버(100")는 입력된 요구조건 중, 광고를 희망하는 타겟 지역 정보를 토대로 버스노선정보를 분석하고, 타겟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1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S2100).
여기에서, 버스노선정보는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의 리스트를 포함하며, 각 버스정류장은 지도 상에 하나의 위치와 맵핑되는 식별자를 가지며, 식별자를 이용해 각 버스정류장을 지도에 맵핑시켜 운행경로가 이어진 버스노선도로 표시될 수 있다.
즉, 광고 중개 서버(100")는, 버스노선정보의 버스정류장 리스트를 분석하여 입력된 타겟 지역 내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한다. 이때, 광고 중개 서버(100")는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입력된 타겟 지역 내 정차하는 버스정류장 수가 많은 순서로 나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서버(100")는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부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버스노선별 각 버스정류장의 일정 범위 내 유입 및 유출되는 인구에 따른 유동인구를 산출하여 미리 저장할 수 있다(S3000).
여기서,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는 통계청 및/또는 이동통신망 사업자 서버일 수 있으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는 통계청에서 제공되는 인구 관련 빅데이터이거나, 이동통신망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모바일 기반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중개 서버(100")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모바일 기반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버스노선별 각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인구 유입 및 유출 현황을 활용하여 버스정류장별 유동인구를 산출하여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중개 서버(100")는 주중, 주말 또는 월단위로 유동인구를 분석 및 산출하여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광고 중개 서버(100")는,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토대로 1차 선별된 버스노선을 분석하고,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충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2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S2200).
즉, 광고 중개 서버(100")는 S3000 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각 버스노선의 버스정류장별 유동인구 및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를 이용하여, 1차 선별된 각 버스노선에 포함된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수를 추출한 후 모두 합산하여 전체유동인구를 구하고, 구한 전체유동인구의 성별 및 연령 분포를 분석하고,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주성별 및 주연령이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한다.
이어서, 광고 중개 서버(100")는 입력된 인구밀집규모 정보를 토대로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분석하되,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각 버스노선에 포함된 모든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를 합산하여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체유동인구수가 인구밀집규모 정보를 만족시키는 버스노선을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에서 선별하는 3차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S2300). 이때, 광고 중개 서버(100)는 3차 선별된 버스노선을 전체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순위에 따라 리스트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중개 서버(100")는 입력된 인구밀집규모 정보가 1만명 이상이면,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의 전체유동인구수를 분석하여 1만명 이상인 버스노선들만을 선별하고,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전체유동인구수가 많은 순서대로 순위화하여 저장한다.
그런 다음, 광고 중개 서버(100")는 3차 선별된 버스노선의 버스정류장 리스트에 대한 상권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된 버스정류장 주변 상권의 이용고객수(유동인구수)를 지역별 상권 관련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각 상권의 이용고객수를 합산한 전체 이용고객수가 많은 버스노선을 선정한다(S2400).
이때, 광고 중개 서버(100")는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이용하여 상권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가 성별무관, 20대일 경우, 광고 중개 서버(100")는 20대 연령층이 주로 이용하는 상권으로, 대학가 상권과 대학가 주변 번화가 상권(극장, 쇼핑몰 등) 및 역세권 상권(지하철역, 기차역)을 설정하고, 3차 선별된 버스노선 각각의 버스정류장 리스트에서 대학가 상권(대학교명)과 주변 번화가 상권 및 역세권 상권이 포함되었는지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중개 서버(100")는 분석 결과, 분석된 각 상권의 이용고객수를 모두 합산하여 전체 이용고객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체 이용고객수가 가장 많은 버스노선을 선정한다. 이때, 버스노선의 선정기준은 산출된 전체 이용고객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이며, 산출된 전체 이용고객수가 가장 많은 버스노선이더라고 해당 전체 이용고객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버스노선 선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중개 서버(100")는 광고주의 기본정보(업체명) 및 광고대상 정보(제품명 또는 서비스명, 제품 또는 서비스의 카테고리 정보)를 토대로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으로부터 광고주 및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를 각각 수집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광고주 및 광고대상에 대한 관심도/선호도가 높은 소비자와 광고대상에 대한 구매이력이 있는 소비자의 유형(성별, 연령, 거주지역, 구매지역, 직업)을 분류한다(S2500).
여기에서, 빅데이터플랫폼(미도시)은 광고주가 운영하는 업체서버, 카드사 서버, 검색포털 서버일 수 있다.
즉, 광고 중개 서버(100")는 광고주가 운영하는 업체서버, 카드사 서버, 검색포털 서버의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광고주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검색 및 게시 등 소셜미디어 활동 정보 및 광고주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구매 활동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광고주에 대한 선호도 및 관심도가 높은 제1 소비자 유형(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직업)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중개 서버(100")는 카드사 서버, 검색포털 서버의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 예를 들어,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소비자 정보와,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후기, 검색, 게시 등의 소셜 미디어 활동 정보를 수행한 소비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광고대상 관련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구매지역, 직업 등을 포함하는 제2 소비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광고 중개 서버(100")는 분류된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구매지역, 직업군)을 토대로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을 각각 만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한다(S2600). 여기서,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은 지역별 남/여 구성비율, 지역별 연령대별 구성비율, 거주지역 및 구매지역의 순위화된 목록정보(예를 들어, 1위 A동, 2위 B동, 3위 C동....), 직업군에 대한 순위화된 목록정보(예를 들어, 1위 사무직, 2위 교사, 3위 프로그래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중개 서버(100")는 3차 선별된 버스노선 중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의 거주지역 및 구매지역과 타겟 지역을 모두 경유하는 버스노선을 검색하고, 검색된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에 대한 성별, 연령대, 직업군 정보와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의 성별, 연령대, 직업군 정보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한다. 이때, 광고 중개 서버(100")는 각 버스노선의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의 성별, 연령대, 직업군을 분류한다.
이러한 선별 과정(S2500, S2600)을 통해 소비자가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광고정보가 소비자 맞춤형으로 소비자에게 노출되므로,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최소화시키면서 소비자의 관심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광고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광고 중개 서버(100")는 입력된 예상비용 정보(비용범위, 광고기간, 버스대수)를 토대로 상권 분석을 통해 선정된 버스노선과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을 토대로 선별된 버스노선 각각의 광고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비용과 해당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를 토대로, 전체유동인구수를 광고비용으로 나누어 광고효율을 산출한다(S2700).
이어서, 광고 중개 서버(100")는 광고효율이 높은 순서로 버스노선을 나열한 후, 광고주의 비용범위 내에서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순위로부터 순차적으로 버스노선을 선택하되, 광고주가 희망하는 버스대수에 맞춰 버스노선을 선택 및 조합하여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한다(S2800). 여기에서, 광고비용은 광고물의 크기 및 부착위치에 따른 광고비와 광고기간 및 버스대수의 곱에 광고물의 제작비를 합산하는 것에 의해 산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은, 광고주의 요구조건뿐만 아니라, 광고주 및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를 이용해 광고할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유형 및 광고주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소비자 유형을 분류한 정보와, 상권 정보를 함께 활용하여 버스노선 및 버스대 수를 설계함으로써 광고주의 취향에 적합한 최적의 광고를 설계 및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가 아닌 특정 소비자 중심의 소비자 맞춤 광고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흥미를 더욱 유도하하여 광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100". 광고 중개 서버 200. 광고주 단말
300. 버스운송사업자 서버

Claims (5)

  1. 버스운행정보 및 버스운행경로에 따른 복수의 버스정류장 리스트를 포함하는 버스노선정보를 관리하며, 버스외부광고의 집행을 처리하는 버스운송사업자 서버;
    상기 버스운송사업자 서버 및 버스외부광고의 광고 서비스 설계를 의뢰하는 광고주 단말과 각각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버스운송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버스노선정보를 수집하고,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일정 주기로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버스노선에 포함된 각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유동인구를 분석하고, 분석된 각 버스정류장의 일정 반경 내 유동인구를 합산하여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산출 및 갱신하여 저장하는 제1 빅데이터 분석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입력된 광고를 희망하는 지역 정보(타겟 지역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대상(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 광고 노출을 희망하는 인구밀집규모 정보 및 예상비용 정보(최저비용 및 최대비용에 따른 비용범위, 광고기간, 부착위치 및 버스대 수를 포함)를 포함하는 광고주의 요구조건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광고주 단말로부터 입력된 업체명을 포함하는 광고주의 기본정보 및 광고할 대상의 제품명 또는 서비스명, 제품 또는 서비스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대상 정보를 수집하는 광고조건 수집모듈과,
    상기 광고주의 기본정보 및 상기 광고대상 정보를 토대로 빅데이터플랫폼으로부터 광고주 및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를 각각 수집하고, 수집된 광고주 및 광고대상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광고주 및 상기 광고대상에 대한 소셜미디어 활동 및 구매활동이 있는 소비자의 유형을 분류하되, 상기 업체명을 토대로 상기 광고주에 대한 정보 검색 및 게시를 포함하는 소셜미디어 활동 및 구매활동이 있는 소비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구매지역 및 직업에 따라 제1 소비자 유형으로 분류하고, 상기 광고대상을 토대로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구매활동과 상기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후기, 검색 및 게시를 포함하는 소셜미디어 활동을 수행한 소비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입된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구매지역 및 직업에 따라 제2 소비자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3차 선별된 버스노선의 버스정류장 리스트로부터 대학, 백화점, 지하철역, 대형마트, 시장, 영화관, 병원 및 아파트를 포함하는 상권 관련 명칭을 포함하는 정류장명을 추출하고, 상기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이용해 추출한 정류장의 상권을 이용하는 이용고객의 연령대 및 성별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상기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에 해당하는 버스정류장 주변 상권의 이용고객수를 지역별 상권 관련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버스노선별로 분석하는 제2 빅데이터 분석모듈과,
    상기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상기 타겟 지역 정보를 토대로 상기 버스노선정보의 버스정류장 리스트를 분석하여 타겟 지역 내 정차하는 버스정류장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1차 선별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를 토대로 1차 선별된 버스노선 각각의 전체유동인구에 대한 성별 및 연령 분포를 분석하고, 전체유동인구의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주성별 및 주연령층이 상기 타겟층의 성별 및 연령 정보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2차 선별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인구밀집규모 정보를 토대로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을 분석하되, 2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각 버스노선에 포함된 모든 버스정류장의 유동인구를 합산하여 버스노선별 전체유동인구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체유동인구수가 인구밀집규모 정보와 일치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3차 선별 작업을 수행하고, 분류된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을 토대로 상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상기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을 각각 만족하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동시에, 3차 선별된 버스노선들 중, 버스노선별로 분석된 각 상권의 이용고객수를 모두 합산하여 전체 이용고객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체 이용고객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서 가장 많은 전체 이용고객수를 갖는 버스노선을 선별하는 버스노선 분석모듈과,
    상기 버스노선 분석모듈로부터 선별된 버스노선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광고주의 요구조건 중 예상비용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및 제2 소비자 유형에 따라 선별된 버스노선 및 버스노선별 분석된 상권의 전체 이용고객수에 따라 선별된 버스노선 각각의 광고비용을 산출하고, 각 버스노선의 산출된 광고비용과 해당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를 토대로 전체유동인구수를 광고비용으로 나누어 버스노선별 광고효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광고효율이 가장 높은 순위에 따라 버스노선을 나열한 후, 가장 높은 순위의 버스노선부터 순차적으로 하위의 버스노선을 광고주가 희망하는 버스대수에 맞춰 선택하고, 선택된 버스노선 및 버스대수에 따른 광고비용 합이 상기 비용범위를 만족하도록 버스노선을 조합하여 광고 서비스 설계를 수행하되, 미리 설정된 광고효율, 비용, 전체유동인구수 및 타겟 지역의 유동인구수의 합 순서의 우선순위에 따라 버스노선을 선택 및 조합하는 버스광고 설계모듈과,
    각 모듈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버스광고 설계모듈의 광고 서비스 설계 결과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광고주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광고 중개 서버;
    를 포함하는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플랫폼은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 이동통신망 사업자 서버, 광고주가 운영하는 업체서버, 카드사 서버 및 검색포털 서버를 포함하는 그룹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유동인구 관련 빅데이터는 상기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에서 제공되는 지역별 유입 및 유출 정보를 포함하는 인구 관련 빅데이터이거나, 상기 이동통신망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모바일 기반 유동인구 빅데이터이며,
    상기 타겟 지역 정보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를 통해 도/시, 구, 동/리를 각각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인구밀집규모 정보는 버스노선의 전체유동인구수이며, 상기 광고비용은 광고물의 크기 및 부착위치에 따라 기책정된 광고비에 광고기간을 곱한 후 광고물의 제작비를 합산하는 것에 의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99936A 2021-07-29 2021-07-29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그 시스템 KR102392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36A KR102392384B1 (ko) 2021-07-29 2021-07-29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36A KR102392384B1 (ko) 2021-07-29 2021-07-29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384B1 true KR102392384B1 (ko) 2022-04-29

Family

ID=8142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936A KR102392384B1 (ko) 2021-07-29 2021-07-29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612B1 (ko) * 2023-09-25 2024-03-29 스탠 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 광고 전략 생성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317A (ko) * 2007-12-11 2009-06-16 (주)애드벨닷컴 광고를 위한 대중교통의 노선검색 방법 및 시스템
JP2011164889A (ja) * 2010-02-09 2011-08-25 Kozo Keikaku Engineering Inc バス路線評価支援システム、バス路線評価支援方法、バス路線評価支援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50102141A (ko) 2014-02-27 2015-09-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광고 차량의 광고 공간 대여를 위한 중개 시스템 및 중개 방법
KR20190080194A (ko) * 2017-12-28 2019-07-08 씨제이파워캐스트(주) 버스외부광고 효과 분석서버 및 방법
KR102218238B1 (ko) * 2020-12-08 2021-02-19 조창구 Sns를 통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광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3800B1 (ko) * 2019-09-23 2021-03-0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 버스노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317A (ko) * 2007-12-11 2009-06-16 (주)애드벨닷컴 광고를 위한 대중교통의 노선검색 방법 및 시스템
JP2011164889A (ja) * 2010-02-09 2011-08-25 Kozo Keikaku Engineering Inc バス路線評価支援システム、バス路線評価支援方法、バス路線評価支援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50102141A (ko) 2014-02-27 2015-09-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광고 차량의 광고 공간 대여를 위한 중개 시스템 및 중개 방법
KR20190080194A (ko) * 2017-12-28 2019-07-08 씨제이파워캐스트(주) 버스외부광고 효과 분석서버 및 방법
KR102223800B1 (ko) * 2019-09-23 2021-03-0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 버스노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8238B1 (ko) * 2020-12-08 2021-02-19 조창구 Sns를 통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광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612B1 (ko) * 2023-09-25 2024-03-29 스탠 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 광고 전략 생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951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Display or Distribution of Advertisements
US20020111146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signs
US20070262860A1 (en) Distribution of Targeted Messages and the Serving, Collecting, Managing, and Analyzing and Reporting of Information relating to Mobile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KR101293146B1 (ko) 시간과 위치에 연동하는 버스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할 수 있는 광고권 판매 방법
Lazarus et al. To Pool or Not to Pool? Understanding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equity considerations to expanding the market for pooling
KR10189623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무선통신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043083A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Barrero et al. Asking the user: a perceptional approach for bicycle infrastructure design
Gurbuz et al. Survey to explore behavi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needs, and level of service expectations for student parking at a university campus
Campisi et al. Developing flexible mobility on-demand in the era of mobility as a service: an overview of the Italian context before and after pandemic
Borkowski Towards an optimal multimodal travel planner—lessons from the European experience
KR102392384B1 (ko) 버스를 활용한 광고 설계 방법 그 시스템
Cliquet From Geomarketing to Spatial Marketing
Romero et al. Potential demand for bus commuting trips in metropolitan corridors through the use of real-time information tools
KR102300253B1 (ko) 대중교통정보 기반 맞춤형 광고제공을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관리서버, 시스템
KR20200097571A (ko) 오프라인 매장 방문자의 행동 패턴을 데이터로 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Zahrádka et al. What is the price of outdoor advertising: A case study of the Czech republic?
Wang et al. Using taxi GPS trajectory data to optimize the spatial layout of urban taxi stands
Ma et al. Demand management in urban railway systems: strategy, design, evaluation, monitoring and technology
KR20100101290A (ko) 지하철 디지털모니터 광고시스템 및 방법
AlBraheem et al. Smart city project using proximity marketing technology
KR20220007912A (ko) 광고매체 평가 및 추천 시스템
KR20230070886A (ko)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오프라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35827B1 (ko)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Zaman et al. An Assessment of Public Transport Facility in Johor Bahru: a case study in Taman Ungku Tun Aminah Area, Majlis Perbandaran Johor Bahru Tengah, Malay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