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827B1 -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827B1
KR102035827B1 KR1020180083493A KR20180083493A KR102035827B1 KR 102035827 B1 KR102035827 B1 KR 102035827B1 KR 1020180083493 A KR1020180083493 A KR 1020180083493A KR 20180083493 A KR20180083493 A KR 20180083493A KR 102035827 B1 KR102035827 B1 KR 102035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video content
bus
serv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랜스
Priority to KR1020180083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827B1/ko
Priority to PCT/KR2019/008193 priority patent/WO202001779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06Q30/0266Vehicular advertiseme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서버, 및 버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와 무선 통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광고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광고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광고 관리부와, 콘텐츠 제공자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공공 데이터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공공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버스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버스 타입, 현재 위치 및 혼잡도를 수신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권역 정보,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역 용도 정보, 및 현재 시간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전송할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는 콘텐츠 편성부와, 상기 버스 타입 및 상기 혼잡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하는 노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잡도는 상기 버스 타입에 상응하는 상기 버스의 크기 및 상기 버스의 재차 중인 탑승객 인원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등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VIDEO CONTENT AND ADVERTISEMENT PLATFORM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스낵컬처(snack culture) 콘텐츠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스낵컬처 콘텐츠는 과자를 먹듯이 짭은 시간 동안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나타낸다. 이 같은 현상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매체를 통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소비는 증가하는 반면에, 전통적인 미디어인 오프라인 매체를 통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영향력은 약해지고 있고 오프라인 매체를 통한 콘텐츠 및 광고의 노출량 산정이 어려워 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은, 서버, 및 버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와 무선 통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광고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광고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광고 관리부와, 콘텐츠 제공자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공공 데이터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공공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버스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버스 타입, 현재 위치 및 혼잡도를 수신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권역 정보,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역 용도 정보, 및 현재 시간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전송할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는 콘텐츠 편성부와, 상기 버스 타입 및 상기 혼잡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하는 노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잡도는 상기 버스 타입에 상응하는 상기 버스의 크기 및 상기 버스의 재차 중인 탑승객 인원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등급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은, 상기 버스 내의 하나 이상의 탑승자 단말기로부터 탑승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버스의 식별자와 상기 탑승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탑승자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편성부는, 상기 탑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전송할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역 용도 정보는,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는 소정의 온라인 공간 상에서도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노출 측정부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오프라인 노출 지수와 상기 온라인 공간 상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온라인 노출 지수를 각각 통합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의 식별자에 관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료 및 상기 광고의 광고료의 분배액을 산정하는 분배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버스 내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이 디스플레이할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게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광고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광고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광고 관리 단계; 콘텐츠 제공자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단계; 공공 데이터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공공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버스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버스 타입, 현재 위치 및 혼잡도를 수신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 단계;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권역 정보,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역 용도 정보, 및 현재 시간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전송할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는 콘텐츠 편성 단계; 및 상기 버스 타입 및 상기 혼잡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하는 노출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혼잡도는 상기 버스 타입에 상응하는 상기 버스의 크기 및 상기 버스의 재차 중인 탑승객 인원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등급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편성 단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탑승자 정보로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이 상기 버스 내의 하나 이상의 탑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탑승자 정보에 더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전송할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역 용도 정보는,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는 소정의 온라인 공간 상에서도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노출 측정 단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오프라인 노출 지수와 상기 온라인 공간 상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온라인 노출 지수를 각각 통합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의 식별자에 관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료 및 상기 광고의 광고료의 분배액을 산정하는 분배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은, 버스 내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이 디스플레이할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게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광고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광고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광고 관리부와, 콘텐츠 제공자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공공 데이터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공공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버스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버스 타입, 현재 위치 및 혼잡도를 수신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권역 정보,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역 용도 정보, 및 현재 시간대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전송할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는 콘텐츠 편성부와, 상기 버스 타입 및 상기 혼잡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하는 노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잡도는 상기 버스 타입에 상응하는 상기 버스의 크기 및 상기 버스의 재차 중인 탑승객 인원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등급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온라인 상에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가 송출되는 디스플레이의 양적 증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오프라인 상에서의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경쟁력 약화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오프라인 상에서는 산출되지 않았던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노출량을 산정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산정된 노출량을 콘텐츠 제공자와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하여 변화된 콘텐츠 및 광고 소비환경에 맞는 새로운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공간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내에 설치 되어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역의 구분과 버스의 권역 간 이동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용도의 구분과 버스의 용도가 서로 다른 지역 간 이동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1000)은 서버(100),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 휴대용 통신 유닛(300), 공공 데이터 서버(400), 콘텐츠 제공자 서버(500) 및 광고 네트워크 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버(100)는 콘텐츠 제공자 서버(500)로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 받는다. 콘텐츠 제공자 서버(500)는 예를 들어, 패션, 뷰티,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 연예, 예능, 뉴스, 다큐멘터리, 스포츠, 뮤직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한다. 동영상 콘텐츠는 유상의 서비스 형태로 또는 광고 제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 서버(500)는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 공간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공간으로도 동영상 콘텐츠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자는 그에 상응하는 광고료 및 콘텐츠 이용료를 배분받을 수 있다. 서버(100)는 동영상 콘텐츠의 오프라인 노출 지수를 산정하여, 콘텐츠 제공자 서버(5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콘텐츠가 서버(100)에 의해서 관리되는 소정의 온라인 공간(웹, 모바일 웹, 앱 등) 상에서도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서버(100)는 동영상 콘텐츠의 온라인 노출 지수도 산정하고, 오프라인 노출 지수와 온라인 노출 지수를 통합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를 산정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를 콘텐츠 제공자 서버(5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노출 지수는 광고료 및 콘텐츠 이용료 배분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서버(100)는 광고 네트워크 서버(600)로부터 광고를 제공 받는다. 광고는 예를 들어, 상품광고, 서비스광고, 기업광고, 공공단체광고, 비영리단체광고, 공익광고, 의견광고, 사과광고, 공고, 구직광고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광고 네트워크 서버(600)는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 공간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공간으로도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광고의 오프라인 노출 지수를 산정하여, 광고 네트워크 서버(6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가 서버(100)에 의해서 관리되는 소정의 온라인 공간(웹, 모바일 웹, 앱 등) 상에서도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서버(100)는 광고의 온라인 노출 지수도 산정하고, 오프라인 노출 지수와 온라인 노출 지수를 통합하여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를 산정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를 광고 네트워크 서버(6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노출 지수는 광고료 산정에 활용될 수 있다.
서버(100)는 공공 데이터 서버(400)으로부터 버스 타입, 버스 현재 위치 및 혼잡도를 제공받는다. 공공 데이터 서버(400)로부터 제공 받는 정보는 노선정보, 정류소 정보, 버스도착 정보, 환경경로 정보, 교통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오픈 API를 이용하여 공공 데이터 서버(400)로부터 상술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공 데이터 서버(400)는 서울시교통정보과 버스정보, 국가대중교통정보센터, 경기버스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중 하나 이거나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0)는 공공 데이터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공자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동영상 콘텐츠와 광고 네트워크 서버(60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를 이용한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한다. 그리고, 서버(100)는 편성된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에게 제공한다.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는 버스의 현재 위치 그리고 현재 시간대 등에 기초하여 버스에 재차 중인 탑승객의 기호나 취향 등에 맞추어 선택되고 편성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의미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은 오프라인 공간, 즉 버스 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송출한다. 서버(100)는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이 송출할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한다.
휴대용 통신 유닛(300)은 탑승자의 단말기를 나타낸다. 휴대용 통신 유닛(300)은 탑승자 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이 WiFi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휴대용 통신 유닛(300)이 상기 WiFi 네트워크에 접속하면서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에 탑승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휴대용 통신 유닛(300)에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하여, 블루투스 또는 NFC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휴대용 통신 유닛(300)이 탑승자 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은 서버(1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의 구조, 프로토콜, 토폴로지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공간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은 오프라인 공간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은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운송기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은 다른 유형의 대중교통 운송기관으로서 택시, 지하철 등에도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의 배치 위치가 상술한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공 장소 및 상업 공간 등의 임의의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은 광고 관리부(110), 콘텐츠 관리부(120), 공공 데이터 처리부(130), 콘텐츠 편성부(140), 노출 측정부(150), 분배 처리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고 관리부(110)는 광고 네트워크 서버(600)와 통신하고 광고 네트워크 서버(600)로부터 광고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광고 관리부(110)는 광고명, 광고주명, 광고 시간, 총 광고 재생수, 금일 광고 재생수, 시간 대별 광고 재생수, 광고료, 시작일, 종료일, 등록일 등을 관리한다.
콘텐츠 관리부(120)는 콘텐츠 제공자 서버(500)와 통신하고 콘텐츠 제공자 서버(500)로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콘텐츠 관리부(120)는 콘텐츠 제공자, 영상제목, 광고 사용 여부, 등록일, 카테고리, 영상크기, 재생시간, 영상소개 등을 관리한다.
공공 데이터 처리부(130)는 공공 데이터 서버(400)와 통신하고 공공 데이터 서버(400)로부터 버스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버스 타입, 현재 위치 및 혼잡도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버스 타입으로는 대형일반/초저상(11m*2.5m), 중형일반(9m*2.5m) 등의 차종으로 구분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혼잡도는 버스 타입에 상응하는 버스의 크기 및 버스의 재차 중인 탑승객 인원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등급을 갖는다. 예를 들어, 혼잡도는 여유, 보통, 혼잡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여유는 탑승자가 버스 내에 좌석에 앉을 수 있는 정도이고, 보통은 탑승자 중 입석 승객이 손잡이를 하나씩 잡고 서 있을 수 있는 정도이고, 혼잡은 입석 승객 들 사이의 통로에 까지 승객이 서 있고 입석 승객의 몸이 맞닿는 정도이다.
콘텐츠 편성부(140)는 버스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권역 정보,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역 용도 정보 및 현재 시간대에 기초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에 전송할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한다.
예를 들어, 시간 별로 등하교 시간에는 콘텐츠 편성부(140)는 학생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출퇴근 시간에는 직장인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편성부(140)는 장거리 고속버스의 경우 재생 시간이 긴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송출하고, 단거리 마을버스의 경우 재생 시간이 짧은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할 수 있다.
권역 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편성은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송출 대상 지역을 복수 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여 버스가 지나고 있는 권역별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서울시는 25개 자치구를 권역별로 0번부터 7번까지 8개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는 8개의 권역에 대응하여 편성 될 수 있다. 콘텐츠 편성부(140)는 권역 정보에 기초하여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한다.
버스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역 용도 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편성은 서버(100)에 입수되어 있는 복수의 정류장 정보를 이용한다. 서버(100)에 입수되어 있는 복수의 정류장 정보 중 현재 버스의 위치를 현재 정류장의 정보로 파악하여 현재 정류장에 해당하는 지역 용도 정보별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한다.
예를 들어, 지역 용도 정보는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지역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지역별로 용도를 달리 하고 있다. 여기서, 주거지역은 거주의 안녕과 건전한 생활환경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지역이고, 상업지역은 상업 그 밖의 업무의 편익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이고, 공업지역은 공업의 편익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이고, 녹지지역은 자연환경, 농지 및 산림의 보호, 보건위생, 보안과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녹지의 보전이 필요한 지역이다. 지역 용도의 구분은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편성은 소정의 시간에 대응하여 편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 24시간을 6시간씩 4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동영상 콘텐츠의 편성이 상기 구간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콘텐츠 편성부(140)는 시간대에 기초하여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한다.
노출 측정부(150)는 버스 타입, 현재 위치 및 혼잡도에 기초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한다. 노출 측정부(150)는 버스 내의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 하는 시점에 현재의 버스 타입, 현재 위치 및 혼잡도의 정보를 받아서 노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하게는, 탑승 인원이 많을 경우 콘텐츠 및 광고의 노출량을 높게 산정하고, 탑승 인원이 적을 경우 콘텐츠 및 광고의 노출량을 낮게 산정한다. 분배 처리부(180)는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에 기초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의 식별자에 관한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료 및 광고의 광고료의 분배액을 산정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가 높을 경우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료 및 광고의 광고료의 분배액을 높게 산정한다. 반대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가 낮을 경우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료 및 광고의 광고료의 분배액을 낮게 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은 탑승자 정보 처리부(210), 셋톱박스(220), 디스플레이부(230), 통신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은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구성(예를 들어, 메모리, 스토리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탑승자 정보처리부(210)는 버스 내의 하나 이상의 탑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탑승자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한다.
탑승자 단말기는 탑승자가 휴대하고 있는 통신 가능한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휴대전화(cell phone), 노트북(notebook),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탑승자 정보로는 탑승 인원 수, 성별, 연령대, 선호하는 콘텐츠 장르, 관심 분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에게 버스에 설치된 무료 와이파이(Wifi)를 사용하면서 간단한 탑승자 정보를 입력하게하여 탑승자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탑승자에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하고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 탑승자 정보를 입력하게 하여 탑승자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탑승자 단말기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소셜커머스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입수된 검색어, 시청한 콘텐츠, 구입 내역 등의 탑승자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셋톱박스(220)는 통신부(240)에 의해서 수신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부(230)가 출력할 수 있도록 적합한 출력용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는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이 압축된 디지털 신호일 수 있으며, 셋톱박스(220)는 이러한 압축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복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송출한다. 통신부(240)는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수신하고 버스 내의 탑승자 정보를 서버(100)로 송신한다.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은 동일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송출할 수 있다. 각각의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마다 서로 다른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송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내에 설치 되어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버스 내에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이 설치되어 있고 탑승자가 소지하고 있는 복수의 단말기가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은 탑승자가 소지하고 있는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탑승자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탑승자가 버스에 설치되어 있는 와이파이(Wifi)를 사용하기 위해 간단한 탑승자 정보를 입력하고 탑승자 정보에 대한 이용 동의를 하게 되면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은 탑승자 정보, 탑승 시간 및 탑승자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는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어플리케이션 이용 전에 간단한 탑승자 정보를 입력하고 탑승자 정보에 대한 이용 동의를 하여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탑승자가 버스에 승차하거나 하차하게되면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은 탑승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승자 정보, 탑승 시간 및 탑승자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소셜커머스 어플리케이션 등을 연동시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소셜커머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입수된 검색어, 시청한 콘텐츠, 구입 내역 등의 탑승자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소셜커머스를 통해 건강보조제를 구매한 내역이 있으면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은 탑승자의 구매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역의 구분과 버스의 권역 간 이동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를 권역별로 0번부터 7번까지 8개로 구분하고 있다.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편성은 권역에 기초하여 맞춤형 편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용도의 구분과 버스의 용도가 서로 다른 지역 간 이동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지역은 그 용도에 따라 지역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편성은 지역 용도에 기초하여 맞춤형 편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단계 S710에서, 서버(100)가 광고 네트워크 서버(600)와 통신하고, 광고 네트워크 서버(600)로부터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이어서, 단계 S720에서, 서버(100)가 콘텐츠 제공자 서버(500)와 통신하고, 콘텐츠 제공자 서버(500)로부터 동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이어서, 단계 S730에서, 서버(100)가 공공 데이터 서버(400)와 통신하고, 공공 데이터 서버(400)로부터 버스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버스 타입, 현재 위치 및 혼잡도를 수신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한다.
이어서, 단계 S740에서, 서버(100)가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권역 정보,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역 용도 정보, 및 현재 시간대에 기초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에 전송할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한다.
이어서, 단계 S750에서, 서버(100)가 버스 타입 및 혼잡도에 기초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단계 S740에서, 서버(100)는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으로부터 수신한 탑승자 정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이 버스 내의 하나 이상의 탑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탑승자 정보에 더 기초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에 전송할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단계 S750에서, 서버(100)는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2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오프라인 노출 지수와 온라인 공간 상에서 디스플레이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온라인 노출 지수를 각각 통합하여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에 기초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의 식별자에 관한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료 및 광고의 광고료의 분배액을 산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서버
110 : 광고 관리부
120 : 콘텐츠 관리부
130 : 공공 데이터 처리부
140 : 콘텐츠 편성부
150 : 노출 측정부
160 : 분배 처리부
200 :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
210 : 탑승자 정보 처리부
220 : 셋톱박스
230 : 디스플레이부
240 : 통신부
300 : 휴대용 통신 유닛
400 : 공공 데이터 서버
500 : 콘텐츠 제공자 서버
600 : 광고 네트워크 서버
1000 :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Claims (13)

  1.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 및
    버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와 무선 통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광고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광고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광고 관리부와,
    콘텐츠 제공자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공공 데이터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공공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버스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버스 타입, 노선 정보, 정류소 정보, 현재 위치 및 혼잡도를 수신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버스 내의 하나 이상의 탑승자 단말기로부터 탑승자의 성별, 연령대 및 선호도를 포함하는 탑승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버스의 식별자 및 상기 탑승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탑승자 정보 처리부와,
    상기 노선 정보,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권역 정보,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역 용도 정보, 현재 시간대 및 상기 탑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전송할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는 콘텐츠 편성부와,
    상기 버스 타입 및 상기 혼잡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오프라인 노출 지수와 소정의 온라인 공간 상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온라인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하고, 상기 오프라인 노출 지수 및 상기 온라인 노출 지수를 통합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통합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하는 노출 측정부와,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의 식별자에 관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료 및 상기 광고의 광고료의 분배액을 각각 산정하는 분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편성부는,
    상기 버스의 노선 거리를 장거리 노선 및 단거리 노선으로 분류하고, 상기 노선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장거리 노선의 경우 제1 재생 시간으로 구성된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고, 상기 단거리 노선의 경우 제1 재생 시간보다 짧은 제2 재생 시간으로 구성된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고, 상기 버스가 운행되는 시점의 시간대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대에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탑승자 그룹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고,
    상기 지역 용도 정보는,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역 용도 정보는 상기 버스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정류장 정보를 기초로 파악되고,
    상기 혼잡도는,
    상기 버스 타입에 상응하는 상기 버스의 크기 및 상기 버스의 재차 중인 탑승객 인원에 따라 구분되며 복수의 등급을 갖되, 상기 복수의 등급은 여유, 보통 및 혼잡 등급을 포함하고,
    상기 탑승자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탑승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탑승자 정보 및 이용 동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버스 내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이 디스플레이할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게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광고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광고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광고 관리 단계;
    콘텐츠 제공자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단계;
    공공 데이터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공공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버스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버스 타입, 노선 정보, 정류소 정보, 현재 위치 및 혼잡도를 수신하는 공공 데이터 처리 단계;
    상기 버스 내의 하나 이상의 탑승자 단말기로부터 탑승자의 성별, 연령대 및 선호도를 포함하는 탑승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버스의 식별자와 상기 탑승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탑승자 정보 처리 단계;
    상기 노선 정보,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권역 정보,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역 용도 정보, 현재 시간대 및 상기 탑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전송할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는 콘텐츠 편성 단계;
    상기 버스 타입 및 상기 혼잡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오프라인 노출 지수와 소정의 온라인 공간 상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온라인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하고, 상기 오프라인 노출 지수 및 상기 온라인 노출 지수를 통합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통합 노출 지수를 각각 산정하는 노출 측정 단계; 및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광고의 온오프라인 통합 노출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의 식별자에 관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료 및 상기 광고의 광고료의 분배액을 산정하는 분배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편성 단계는,
    상기 버스의 노선 거리를 장거리 노선 및 단거리 노선으로 분류하고, 상기 노선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장거리 노선의 경우 제1 재생 시간으로 구성된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고, 상기 단거리 노선의 경우 제1 재생 시간보다 짧은 제2 재생 시간으로 구성된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고, 상기 버스가 운행되는 시점의 시간대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대에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탑승자 그룹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를 편성하고,
    상기 지역 용도 정보는,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지역 용도 정보는 상기 버스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정류장 정보를 기초로 파악되고,
    상기 혼잡도는,
    상기 버스 타입에 상응하는 상기 버스의 크기 및 상기 버스의 재차 중인 탑승객 인원에 따라 구분되며 복수의 등급을 갖되, 상기 복수의 등급은 여유, 보통 및 혼잡 등급을 포함하고,
    상기 탑승자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유닛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탑승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탑승자 정보 및 이용 동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의 운영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컴퓨터에 제6항의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2.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6항의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삭제
KR1020180083493A 2018-07-18 2018-07-18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035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93A KR102035827B1 (ko) 2018-07-18 2018-07-18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CT/KR2019/008193 WO2020017795A1 (ko) 2018-07-18 2019-07-04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93A KR102035827B1 (ko) 2018-07-18 2018-07-18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827B1 true KR102035827B1 (ko) 2019-10-23

Family

ID=6846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493A KR102035827B1 (ko) 2018-07-18 2018-07-18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5827B1 (ko)
WO (1) WO20200177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357B1 (ko) * 2022-02-25 2022-10-14 엔비에스랩(주)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광고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665A (ko) * 2009-04-20 2010-10-28 이광사 선광고 후 광고비 결제에 의한 광고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마케팅 방법
KR20130118690A (ko) * 2012-04-20 2013-10-30 이창훈 구간 및 시간대별 입찰을 통한 버스 동영상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5153234A (ja) * 2014-02-17 2015-08-24 株式会社リコー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方法、及び広告配信プログラム
KR101577967B1 (ko) * 2014-12-08 2015-12-17 이승호 버스 내부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60014189A (ko) * 2014-07-28 2016-02-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665A (ko) * 2009-04-20 2010-10-28 이광사 선광고 후 광고비 결제에 의한 광고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마케팅 방법
KR20130118690A (ko) * 2012-04-20 2013-10-30 이창훈 구간 및 시간대별 입찰을 통한 버스 동영상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5153234A (ja) * 2014-02-17 2015-08-24 株式会社リコー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方法、及び広告配信プログラム
KR20160014189A (ko) * 2014-07-28 2016-02-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77967B1 (ko) * 2014-12-08 2015-12-17 이승호 버스 내부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357B1 (ko) * 2022-02-25 2022-10-14 엔비에스랩(주)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광고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7795A1 (ko)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teropoulos et al. Impacts of automated vehicles on travel behaviour and land use: an international review of modelling studies
Basu et al. Automated mobility-on-demand vs. mass transit: a multi-modal activity-driven agent-based simulation approach
Gurumurthy et al. Benefits and costs of ride-sharing in shared automated vehicles across Austin, Texas: Opportunities for congestion pricing
Lee et al. Understanding the role of equity in active transportation planning in the United States
Willing et al. Electronic mobility market platforms–a review of the current state and applications of business analytics
US201502062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lexible vehicle sharing
US20140032327A1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digital signage and related mobile content
Schwieterman Uber economics: evaluating the monetary and travel time trade-offs of transportation network companies and transit service in Chicago, Illinois
JP2017058766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Li The role of public authorities in the development of Mobility-as-a-Service
Borkowski Towards an optimal multimodal travel planner—lessons from the European experience
Arif Khan et al. Factors that determine a university community’s satisfaction levels with public transit services
Pei et al. Real-time optimal scheduling model for transit system with flexible bus line length
Bi et al. Analysis of the integration usage patterns of multiple shared mobility modes and metro system
Knieps Internet of Things and the economics of smart sustainable cities
Schlenther et al. Addressing spatial service provision equity for pooled ride‐hailing services through rebalancing
CN107305666A (zh) 车辆运营路线商业分析方法及系统
Li et al. Factors affecting bike-sharing behaviour in Beijing: price, traffic congestion, and supply chain
McQueen Big data analytics for connected vehicles and smart cities
Lunke et al. The geography of public transport competitiveness in thirteen medium sized cities
KR102035827B1 (ko)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ono et al. Economical welfare maximisation analysis: assessing the use of existing Park-and-Ride services
Ng et al. Autonomous minibus service with semi-on-demand routes in Grid Networks
Silaa et al. A study on the use of mobile computing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mobility of Windhoek residents
KR20190143568A (ko) 스마트관광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