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189A -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189A
KR20160014189A KR1020140095935A KR20140095935A KR20160014189A KR 20160014189 A KR20160014189 A KR 20160014189A KR 1020140095935 A KR1020140095935 A KR 1020140095935A KR 20140095935 A KR20140095935 A KR 20140095935A KR 20160014189 A KR20160014189 A KR 20160014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nformation
moving means
group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5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4189A/ko
Publication of KR20160014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9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giving information to passengers inside th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는, 일정 경로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탑승자의 상기 이동 수단 내 광고 매체에 대한 시청률을 분석하고, 상기 탑승자 정보 및 시청률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에 대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여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ADVERTISING MEDIA IN MASS TRANSPORT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 경로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고, 탑승자의 광고 매체에 대한 시청률을 분석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패널의 발전에 따라, 버스 및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 수단에 전자 패널을 탑재해 광고 매체로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의 경우, 기설정된 광고 스케줄에 따라 광고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중 교통 수단의 탑승자의 성향과 무관한 광고가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중 교통 수단 내에서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 탑승자 정보 및 탑승자의 시청률을 고려하여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광고를 제공하는 새로운 광고 제공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8-112401호, 2008년 5월 15일 공개 (명칭: 광고 효과 측정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 교통 수단 내에서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 탑승자 정보 및 탑승자의 시청률을 고려하여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에 탑재된 CCTV, 지하철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 CCTV 또는 광고 매체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정보를 수집하고, 보다 탑승자의 성향에 적합한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가 실제 광고 매체를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광고 스케줄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는, 일정 경로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탑승자의 상기 이동 수단 내 광고 매체에 대한 시청률을 분석하는 시청률 분석부; 및 상기 탑승자 정보 및 시청률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 때, 정보 수집부는 이동 수단들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고, 상기 이동 수단들 간 운행 경로의 일부 구간이 겹치는 경우, 상기 일부 구간에 상응하는 탑승자 정보를 통합하는 운행 경로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수집부는 상기 이동 수단 내 촬상 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탑승자의 연령, 성별 및 복색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이동 수단의 GPS 정보 및 휴대 단말의 GPS 정보를 연계 분석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 정보를 상기 탑승자 정보로 하여 수집하는 단말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수집부는 상기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들에 대해 연령별, 성별 및 복색별 탑승자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탑승자 그룹별 탑승 인원수를 획득하고, 상기 시청률 분석부는 상기 탑승자 그룹별 상기 광고 매체를 시청하는 시청 인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제공부는 상기 이동 수단마다 상기 탑승 인원수 및 시청 인원수를 이용하여 각 탑승자 그룹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제공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의 시청률에 따라 상기 광고의 제공 순서 및 제공 빈도를 달리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제공부는 상기 이동 수단에서의 상기 광고에 대한 시청 인원수가 기설정된 기준 시청 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동 수단과 상이하고, 상기 이동 수단과 상기 탑승자 정보가 유사한 다른 이동 수단에서의 상기 광고의 제공 순서 및 제공 빈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제공부는 광고주로부터 상기 탑승자 그룹이 광고 대상으로 선택된 경우, 상기 광고주의 광고를 상기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은, 일정 경로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의 상기 이동 수단 내 광고 매체에 대한 시청률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 정보 및 시청률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이동 수단들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고, 상기 이동 수단들 간 운행 경로의 일부 구간이 겹치는 경우, 상기 일부 구간에 상응하는 탑승자 정보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수단 내 촬상 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탑승자의 연령, 성별 및 복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수단의 GPS 정보 및 휴대 단말의 GPS 정보를 연계 분석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 정보를 상기 탑승자 정보로 하여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들에 대해 연령별, 성별 및 복색별 탑승자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탑승자 그룹별 탑승 인원수를 획득하고, 상기 시청률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 그룹별 상기 광고 매체를 시청하는 시청 인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수단마다 상기 탑승 인원수 및 시청 인원수를 이용하여 각 탑승자 그룹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의 시청률에 따라 상기 광고의 제공 순서 및 제공 빈도를 달리할 수 있다.
이 때,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수단에서의 상기 광고에 대한 시청 인원수가 기설정된 기준 시청 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동 수단과 상이하고, 상기 이동 수단과 상기 탑승자 정보가 유사한 다른 이동 수단에서의 상기 광고의 제공 순서 및 제공 빈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광고주로부터 상기 탑승자 그룹이 광고 대상으로 선택된 경우, 상기 광고주의 광고를 상기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중 교통 수단 내에서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 탑승자 정보 및 탑승자의 시청률을 고려하여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에 탑재된 CCTV, 지하철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 CCTV 또는 광고 매체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정보를 수집하고, 보다 탑승자의 성향에 적합한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가 실제 광고 매체를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광고 스케줄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고 제공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보 수집부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 제공 장치(100), 이동 수단(110), 정보 수집 수단(120) 및 광고 제공 수단(130)을 포함한다.
이동 수단(110)은 버스(111) 및 지하철(112)을 포함하나, 이에 한하지 아니하며, 일정 경로를 이동하면서 광고 제공 수단(130)을 구비 가능하면 본 발명의 이동 수단(110)에 해당한다.
정보 수집 수단(120)은 촬상 장치(121) 및 사용자의 휴대 단말(122)을 포함하며, 광고 제공 장치(100)가 정보 수집 수단(120)을 이용하여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서술한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정보 수집 수단(120)을 이용하여 일정 경로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110)에 탑승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한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정보 수집 수단(120)으로서, 촬상 장치(121) 및 사용자의 휴대 단말(122)을 이용할 수 있다.
먼저, 광고 제공 장치(100)는 촬상 장치(121)를 통해 탑승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촬상 장치(121)는 전자 광고 패널에 부착된 카메라나 이동 수단에 탑승하기 위한 경로 상에 존재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이 때, 광고 제공 장치(1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연령대와 성별을 판별하고, 제복, 교복, 치마 등의 복색에 따른 특징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장치(100)는 복색에 따른 직업이 중/고등학생인지 판별을 위해, 기설정된 영역의 교복 영상의 색 정보를 수집한 DB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과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장치(100)는 복색이 등산복, 여성복, 남성복 등에 해당하는지 판별하기 위한 DB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교복 영상, 등산복, 여성복 등의 DB는 촬상 장치(121)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누적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장치(100)는 운행 경로에 따라 탑승 인원의 대략적인 연령대 및 직업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장치(100)는 이동 수단이 재래시장을 지나는 경우, 탑승 인원의 직업이 상인이고, 이동 수단이 대학교를 지나는 경우, 탑승 인원의 직업이 학생이며 연령대는 20대임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장치(100)는 촬상 수단(121) 외에 이동 수단의 경로 이동 이력 및 사용자의 휴대 단말(122)의 위치 정보를 혼합하여 보다 정교한 복합 군중 분포에 대한 데이터를 누적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122)을 통해 기지국 기반이나 실제 GPS 기반의 이동 경로를 수집하고, 이동 수단의 경로를 수집하여 각 이동 수단의 경로 단위와 이동 경로가 일치한 휴대 단말 정보를 추출하고, 각 휴대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시간대의 특정 노선의 이동 수단에 어떠한 사람들이 탑승했는지 유추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장치(100)는 전체 휴대 단말의 기지국 이동 정보와 GPS 이동 경로를 특정 버스 노선의 이동 경로와 비교하여, 해당 버스 노선의 각 버스가 이동한 시간과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일치하고, 같은 속도로 움직인 사용자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장치(100)는 버스#1번의 노선 중 15시부터 15시50분까지 이동한 3개의 정류장 위치와 휴대 단말 #1~#10번의 이동 위치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휴대 단말 #1~#10번의 사용자는 해당 버스를 탑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122)을 분석함으로써, 어떤 사용자들이 어느 시간대에 어떤 경로의 버스를 이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장치(100)는 각 이동 수단의 노선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노선의 특정 구간별로 어떠한 사람들이 주로 탑승하는지 알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이동 수단이 중복되는 노선을 경유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다수의 노선, 다수의 버스로부터 통합된 결과를 축적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다수의 노선과 다수의 이동 수단으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시간대별, 노선 구간별로 주로 탑승하는 사람들의 연령/성별 정보를 통계적으로 축적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장치(100)는 얼굴 영역 인식 및 시선 인식을 통해 탑승자의 시선이 전자 광고 매체로 향하고 있는지 판단하여 탑승자의 시청률을 판단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전자 광고 매체를 주시하는 사람을 인지하고, 전자 광고 매체에 대한 주시 시간, 주시하는 사람의 수, 주시하는 사람들의 구성(성별, 연령별, 복색별)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DB에 저장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다수의 이동 수단에 탑재된 광고 패널에서 수신되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광고에 대해서 주로 관심을 가지고 바라보는 사람들의 분포나, 바라보지 않는 사람들의 분포에 대해 통계적인 값을 누적시킬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위와 같이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수단의 경로에 따라 현재 광고 패널 근처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군중의 분포에 기반하여 최적화된 광고를 노출한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장치(100)는 대학교까지 운행하는 노선의 버스에, 오전 시간에 20대로 추정되는 다수의 인원이 탑승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주어진 광고 DB 중에 20대의 대학생에게 가장 적합한 광고를 전자매체를 통해 노출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제공 장치(100)는 해당 광고에 대해 주목하는 사람 수가 많은 경우, 동일한 탑승자 조건을 가지는 다른 노선의 버스의 다음 광고의 우선 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장치(100)는 대학교까지 운행하는 노선의 버스에, 다양한 연령대의 인원이 탑승해 있고, 해당 광고에 대해 주목하는 사람 수가 많은 경우, 동일한 탑승자 조건을 가지는 대학교까지 운행하는 동일 노선 버스 혹은 다른 노선 버스에 대해서도 해당 광고의 우선 순위를 높게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광고는 다른 광고에 비해 먼저 제공되거나, 더 자주 제공될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당일 시간별, 노선 구간별로 노출할 광고들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전자 광고 매체를 통해 수집된 탑승자 정보 및 실시간으로 여러 노선의 수많은 이동 수단의 광고에 대한 시청률에 따라 준 실시간으로 광고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장치(100)는 또한 하루 중의 시간대뿐만 아니라, 계절별/시기별 요인을 고려하여 광고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광고 요청자가 사전에 등록한 광고 및 해당 광고의 광고 대상에 대한 조건을 함께 DB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장치(100)는 A사가 광고를 요청하면서 해당 광고의 주 광고 대상을 ‘20대 여성’으로 요청하는 경우, 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제공 장치(100)는 20대 여성에 상응하는 광고를 제공 시, A사의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들의 동의를 얻어, 해당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타 서비스(인터넷 쇼핑몰, 뉴스 등)로부터의 취향을 획득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선호하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고 제공 장치(100)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광고 제공 장치(100)는 정보 수집부(110), 시청률 분석부(120) 및 광고 제공부(130)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부(110)는 일정 경로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이동 수단은 버스 및 지하철일 수 있다.
이 때, 정보 수집부(110)는 이동 수단들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고, 이동 수단들 간 운행 경로의 일부 구간이 겹치는 경우, 일부 구간에 상응하는 탑승자 정보를 통합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수집부(110)는 이동 수단 내 촬상 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탑승자의 연령, 성별 및 복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복색 정보는 제복, 교복, 치마 등 탑승자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색 정보는 군인의 경우 군복, 중/고등학생의 경우 교복, 여성의 경우 치마와 같이 탑승자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촬상 수단은 전자 광고 패널에 부착된 카메라나 이동 수단에 탑승하기 위한 경로 상에 존재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부(110)는 이동 수단의 운행 경로에 따라 탑승자의 대략적인 연령대 및 직업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수단이 운행 경로가 재래시장을 지나는 경우 탑승 인원의 대다수가 상인이고, 대학교를 지나는 경우 탑승 인원의 대다수가 학생이며 연령대는 20대임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부(110)는 이동 수단의 GPS 정보 및 휴대 단말의 GPS 정보를 연계 분석하여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 정보를 탑승자 정보로 하여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부(110)는 버스#1번의 노선 중 15시부터 15시50분까지 이동한 3개의 정류장 위치와 휴대 단말 #1~#10번의 이동 위치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휴대 단말 #1~#10번의 사용자는 해당 버스를 탑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수집부(110)는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들에 대해 연령별, 성별 및 복색별 탑승자 그룹을 생성하고, 탑승자 그룹별 탑승 인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시청률 분석부(120)는 탑승자의 이동 수단 내 광고 매체에 대한 시청률을 분석한다.
이 때, 시청률 분석부(120)는 탑승자 그룹별 광고 매체를 시청하는 시청 인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시청률 분석부(120)는 얼굴 영역 인식 및 시선 인식을 통해 탑승자의 시선이 광고 매체를 향하고 있는지 판단하여 탑승자 그룹별 시청 인원수를 판단할 수 있다.
광고 제공부(130)는 탑승자 정보 및 시청률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한다.
이 때, 광고 제공부(130)는 이동 수단마다 탑승 인원수 및 시청 인원수를 이용하여 각 탑승자 그룹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제공부(130)는 우선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의 시청률에 따라 광고의 제공 순서 및 제공 빈도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부(130)는 탑승 인원수에 기반하여 가장 많이 탑승한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제공된 광고에 대한 시청 인원수 변동을 반영하여 광고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제공부(130)는 이동 수단에서의 광고에 대한 시청 인원수가 기설정된 기준 시청 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탑승자 정보가 유사한 다른 이동 수단에서의 광고의 제공 순서 및 제공 빈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부(130)는 대학교까지 운행하는 노선의 버스에서의 광고에 대한 시청 인원수가 기준 시청 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위와 같이 대학교까지 운행하는 다른 노선의 버스 혹은 지하철에 대해 같은 광고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제공부(130)는 기준 시청 인원을 초과한 광고는 제공 순서를 앞으로 변경하거나, 제공 빈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 광고 제공부(130)는 광고주로부터 탑승자 그룹이 광고 대상으로 선택된 경우, 광고주의 광고를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부(130)는 사용자들의 동의를 얻어, 해당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타 서비스로부터의 관심사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탑승자 그룹 및 광고를 매칭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보 수집부(110)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정보 수집부(110)는 운행 경로 분석부(210), 영상 분석부(220) 및 단말 분석부(230)를 포함한다.
운행 경로 분석부(210)는 이동 수단들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고, 이동 수단들 간 운행 경로의 일부 구간이 겹치는 경우, 일부 구간에 상응하는 탑승자 정보를 통합한다.
영상 분석부(220)는 이동 수단 내 촬상 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탑승자의 연령, 성별 및 복색 정보를 수집한다.
단말 분석부(230)는 이동 수단의 GPS 정보 및 휴대 단말의 GPS 정보를 연계 분석하여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 정보를 탑승자 정보로 하여 수집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정보는 운행 경로, 탑승자 그룹, 탑승 인원수, 시청률 및 우선 순위를 포함한다.
특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정보는 시간대 별 운행 경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운행 경로는 서로 상이한 운송 수단에 해당한다.
이 때, 하나의 운송 수단은 복수의 탑승자 그룹을 포함하며, 탑승자 그룹은 탑승 인원 수, 시청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는 각 탑승자 그룹마다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운송 수단마다,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경로가 ROUTE A인 운송 수단은 GROUP A가 가장 우선 순위가 높으므로, GROUP A에 상응하는 광고가 제공되고, 운행 경로가 ROUTE B인 운송 수단은 GROUP C가 가장 우선 순위가 높으므로, GROUP C에 상응하는 광고가 제공된다.
이 때, 우선 순위는 탑승 인원수 및 시청률에 따라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를 탑승 인원수 및 시청 인원수를 합한 수가 높은 순서대로 부여되는 경우, GROUP A는 321, GROUP B는 220, GROUP C는 450이 되어, GROUP C, GROUP A, GROUP B 순으로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은 일정 경로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한다(S410).
이 때, 단계(S410)는 이동 수단들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고, 이동 수단들 간 운행 경로의 일부 구간이 겹치는 경우, 일부 구간에 상응하는 탑승자 정보를 통합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410)는 이동 수단 내 촬상 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탑승자의 연령, 성별 및 복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단계(S410)는 이동 수단의 GPS 정보 및 휴대 단말의 GPS 정보를 연계 분석하여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410)는 사용자가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 정보를 탑승자 정보로 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410)는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들에 대해 연령별, 성별 및 복색별 탑승자 그룹을 생성하고, 탑승자 그룹별 탑승 인원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은 탑승자의 이동 수단 내 광고 매체에 대한 시청률을 분석한다(S420).
이 때, 단계(S420)는 탑승자 그룹별 광고 매체를 시청하는 시청 인원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은 탑승자 정보 및 시청률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한다(S430).
이 때, 단계(S430)는 이동 수단마다 탑승 인원수 및 시청 인원수를 이용하여 각 탑승자 그룹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430)는 우선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의 시청률에 따라 광고의 제공 순서 및 제공 빈도를 달리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430)는 이동 수단에서의 광고에 대한 시청 인원수가 기설정된 기준 시청 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탑승자 정보가 유사한 다른 이동 수단에서의 광고의 제공 순서 및 제공 빈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430)는 광고주로부터 탑승자 그룹이 광고 대상으로 선택된 경우, 광고주의 광고를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41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410)는 동 수단들의 운행 경로를 분석한다(S510).
이 때, 단계(S510)는 이동 수단들 간 운행 경로의 일부 구간이 겹치는 경우, 일부 구간에 상응하는 탑승자 정보를 통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410)는 이동 수단 내 촬상 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한다(S520).
이 때, 단계(S520)는 촬상 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탑승자의 연령, 성별 및 복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410)는 이동 수단의 GPS 정보 및 휴대 단말의 GPS 정보를 연계 분석한다(S530).
이 때, 단계(S530)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 정보를 탑승자 정보로 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410)는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들에 대해 연령별, 성별 및 복색별 탑승자 그룹을 생성하고, 탑승자 그룹별 탑승 인원수를 획득한다(S540).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단계들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순서, 그 역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상품 추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상품 추천 방법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널리 이용되는 버스에 탑재된 CCTV, 지하철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 CCTV 또는 광고 매체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정보를 수집하고, 탑승자가 실제 광고 매체를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광고 스케줄을 조정함으로써, 탑승자에 대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여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100: 광고 제공 장치 110: 이동 수단
120: 정보 수집 수단 130: 광고 제공 수단

Claims (17)

  1. 일정 경로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탑승자의 상기 이동 수단 내 광고 매체에 대한 시청률을 분석하는 시청률 분석부; 및
    상기 탑승자 정보 및 시청률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이동 수단들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고, 상기 이동 수단들 간 운행 경로의 일부 구간이 겹치는 경우, 상기 일부 구간에 상응하는 탑승자 정보를 통합하는 운행 경로 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이동 수단 내 촬상 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탑승자의 연령, 성별 및 복색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이동 수단의 GPS 정보 및 휴대 단말의 GPS 정보를 연계 분석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 정보를 상기 탑승자 정보로 하여 수집하는 단말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들에 대해 연령별, 성별 및 복색별 탑승자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탑승자 그룹별 탑승 인원수를 획득하고,
    상기 시청률 분석부는
    상기 탑승자 그룹별 상기 광고 매체를 시청하는 시청 인원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부는
    상기 이동 수단마다 상기 탑승 인원수 및 시청 인원수를 이용하여 각 탑승자 그룹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의 시청률에 따라 상기 광고의 제공 순서 및 제공 빈도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부는
    상기 이동 수단에서의 상기 광고에 대한 시청 인원수가 기설정된 기준 시청 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동 수단과 상이하고, 상기 이동 수단과 상기 탑승자 정보가 유사한 다른 이동 수단에서의 상기 광고의 제공 순서 및 제공 빈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부는
    광고주로부터 상기 탑승자 그룹이 광고 대상으로 선택된 경우, 상기 광고주의 광고를 상기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9. 일정 경로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의 상기 이동 수단 내 광고 매체에 대한 시청률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 정보 및 시청률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이동 수단들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고, 상기 이동 수단들 간 운행 경로의 일부 구간이 겹치는 경우, 상기 일부 구간에 상응하는 탑승자 정보를 통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수단 내 촬상 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탑승자의 연령, 성별 및 복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수단의 GPS 정보 및 휴대 단말의 GPS 정보를 연계 분석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 정보를 상기 탑승자 정보로 하여 수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수단에 탑승한 탑승자들에 대해 연령별, 성별 및 복색별 탑승자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탑승자 그룹별 탑승 인원수를 획득하고,
    상기 시청률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 그룹별 상기 광고 매체를 시청하는 시청 인원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수단마다 상기 탑승 인원수 및 시청 인원수를 이용하여 각 탑승자 그룹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탑승자 그룹의 시청률에 따라 상기 광고의 제공 순서 및 제공 빈도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수단에서의 상기 광고에 대한 시청 인원수가 기설정된 기준 시청 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동 수단과 상이하고, 상기 이동 수단과 상기 탑승자 정보가 유사한 다른 이동 수단에서의 상기 광고의 제공 순서 및 제공 빈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광고주로부터 상기 탑승자 그룹이 광고 대상으로 선택된 경우, 상기 광고주의 광고를 상기 탑승자 그룹에 상응하는 광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17. 청구항 9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095935A 2014-07-28 2014-07-28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014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35A KR20160014189A (ko) 2014-07-28 2014-07-28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35A KR20160014189A (ko) 2014-07-28 2014-07-28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89A true KR20160014189A (ko) 2016-02-11

Family

ID=5535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935A KR20160014189A (ko) 2014-07-28 2014-07-28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41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827B1 (ko) * 2018-07-18 2019-10-23 주식회사 글랜스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10054227A (ko) * 2019-11-05 2021-05-13 신주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2401A (ja) 2006-10-31 2008-05-15 Mitsubishi Electric Corp 広告効果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2401A (ja) 2006-10-31 2008-05-15 Mitsubishi Electric Corp 広告効果測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827B1 (ko) * 2018-07-18 2019-10-23 주식회사 글랜스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WO2020017795A1 (ko) * 2018-07-18 2020-01-23 주식회사 글랜스 온오프라인 통합 동영상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10054227A (ko) * 2019-11-05 2021-05-13 신주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o et al. Compar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three-factor theory in assessing rider satisfaction with transit
KR101212893B1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26807B1 (ko) 탑승 고객 중심의 대중 교통 광고 송출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27460A1 (en) Targeted advertising based on physical traits and anticipated trajectory
US9904938B2 (en) Methods and systems to determine consumer locations based on navigational voice cues
KR102239439B1 (ko) 운송수단 탑승객 대상 고객 맞춤형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이 수행하는 방법
WO2018100910A1 (ja) 需要予測システム、需要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99237B2 (ja) 案内システム
US9491507B2 (en) Content providing program,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KR20160105123A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30052883A (ko)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4189A (ko)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78149B1 (ko) 인공지능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084613B1 (ko) 지하철 디지털모니터 광고시스템 및 방법
KR101915171B1 (ko) 사물인터넷기반의 정거장 상황인지 정보 수집 및 제공시스템
CN111160945A (zh) 基于视频技术的广告精准投放方法和系统
CN111937026A (zh) 解析系统
WO2020090310A1 (ja) 解析システム
RU2716135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екламно-информационным контентом,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м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на средстве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оценки эффективности отображаемого контента
KR102077793B1 (ko) 차량 인식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1022108A (ja) 自走車両
WO2020195508A1 (ja) 解析システム
US112523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CN111695009A (zh) 信息展示方法及装置
US202101249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