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883A -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883A
KR20130052883A KR1020110118208A KR20110118208A KR20130052883A KR 20130052883 A KR20130052883 A KR 20130052883A KR 1020110118208 A KR1020110118208 A KR 1020110118208A KR 20110118208 A KR20110118208 A KR 20110118208A KR 20130052883 A KR20130052883 A KR 20130052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floating population
display means
information display
digit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쓰리제이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제이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쓰리제이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1011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2883A/ko
Publication of KR20130052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에 설치되어 화면에 광고를 표시하면서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수집하여 전송하는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과;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소정 지역의 상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소정 지역에 대한 유동인구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데이터가 포함된 광고 운용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주가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광고를 의뢰하면 상기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운용 정보에 맞는 광고를 제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통해 광고하는데 있어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는 장소의 유동인구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가 선택적으로 광고를 구매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ADVERTISEMENT OF PROVIDING SYSTEM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통해 광고하는데 있어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는 장소의 유동인구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가 선택적으로 광고를 구매할 수 있는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에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여 기업이나 상품의 광고 및 홍보 영상을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방식의 광고들이 현저하게 늘고 있다. 이 같은 방식의 광고는 정지 이미지를 인쇄하여 공공장소에 부착함으로써 이루어지던 기존의 방식의 광고에 비하여 광고 교체가 용이하고, 동영상 광고가 가능할 뿐 아니라 복수의 광고를 시간에 따라 스케줄링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공간에 비하여 다수의 광고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가 위치하는 장소는 특수의 목적이나 범용적인 목적을 갖는다 하더라도 장소에 따라 유동인구의 시간 대별, 계층별 특수성을 내재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도입하여 광고를 하는 광고주에게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도입비용의 전가가 이루어졌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는 장소의 유동인구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가 선택적으로 광고를 구매할 수 있는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에 설치되어 화면에 광고를 표시하면서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수집하여 전송하는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과;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소정 지역의 상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소정 지역에 대한 유동인구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데이터가 포함된 광고 운용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주가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광고를 의뢰하면 상기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운용 정보에 맞는 광고를 제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은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된 광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유동인구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촬영된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제 1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에서 유동 인구를 검출하여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 상기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에 전송하는 제 1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은 광고 화면에 광고 상세정보 보기 메뉴를 구비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 제공되는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상세정보 보기 메뉴의 선택 입력에 의해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은 관공서, 학교, 병원, 주차장 정산소, 아파트 단지 등에 설치되어 각 지역 특성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에 설치된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으로부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에 광고 정보를 전송하는 제 2 통신 모듈과; 상기 제 2 통신 모듈에 수신된 상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지역별, 시간대별 및 연령별로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의 지역별, 시간대별 및 연령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제 2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의 지역별, 시간대별 및 연령별 정보와 광고 운용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제 2 제어부와; 상기 웹 페이지 통해 광고주 회원 가입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 운용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으로부터 전송된 유동인구 데이터 정보, 상기 소정 지역 정보, 광고 제공 가능 시간,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의 전원 온-오프 시간, 광고 제공현황, 광고 제공 단가 등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주에게는 광고주 회원 관리, 광고 등록 정보, 광고 관리 정보, 광고 이미지와 동영상 관리 및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에 설치된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서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수집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소정 지역에 대한 유동인구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가 포함된 광고 운용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광고주가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광고를 의뢰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운용 정보에 맞는 광고를 제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의 카메라 모듈에서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을 시간대별로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에서 유동 인구를 검출하여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 상기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인구의 검출은 상기 시간대별로 촬영된 유동인구 이미지상에서 사람의 수 또는 동영상에서 지나가는 사람의 수 및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시청하는 사람의 수를 카운팅하여 검출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지역에 대한 유동인구 데이터의 분석은 상기 각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로부터 지역별, 시간대별 및 연령별로 분석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된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가 포함된 광고 운용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으로부터 전송된 유동인구 데이터 정보, 상기 소정 지역 정보, 광고 제공 가능 시간,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의 전원 온-오프 시간, 광고 제공현황, 광고 제공 비용 단가 등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 운용 정보에서 제공되는 광고 제공 비용 단가는 상기 유동인구 데이터 정보의 유동인구 비율, 광고 지역, 광고 제공 시간대 및 광고 제공 기간에 따라 다르게 책정하여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은 관공서, 학교, 병원, 주차장 정산소, 아파트 단지 등에 설치되어 각 지역 특성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광고주가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광고를 의뢰하는 단계에서 상기 광고주는 상기 웹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회원 가입 및 인증 절차를 통해 광고를 의뢰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를 의뢰한 광고주에게는 회원 인증 절차를 통해 광고주 회원 관리, 광고 등록 정보, 광고 관리 정보, 광고 이미지와 동영상 관리 및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를 제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 제공되는 광고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의 상세 정보 요청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통해 광고하는데 있어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는 장소의 유동인구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가 선택적으로 광고를 구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고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시스템을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광고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일 예를 표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고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고 제공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에 설치된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100)과 중앙 서버(200)로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에 설치되어 화면에 광고를 표시하면서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수집하여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100)은 관공서, 학교, 병원, 주차장 정산소, 아파트 단지, 지하철역, 유동 인구가 많은 장소 등에 설치되어 각 지역 특성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파트 단지에 설치되는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100)은 엘리베이터 안에 설치되어 지역 특성에 맞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아파트 내의 전단지를 대신하여 단지 내 공고문, 음식점, 생활 편의 시설 등의 광고를 제공하여 전단지 사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각 지역 장소에 설치된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100)은 유동 인구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여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 정보를 참고하여 광고주가 광고를 의뢰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100)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소정 지역의 상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소정 지역에 대한 유동인구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데이터가 포함된 광고 운용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회원 가입된 광고주가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광고를 의뢰하면 상기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운용 정보에 맞는 광고를 제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중앙 서버는 각 지역에 설치된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관리 프로그램 등을 통해 관리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100)은 디스플레이부(110), 카메라 모듈(120), 제 1 데이터 베이스(140), 제 1 제어부(130) 및 제 1 통신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중앙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광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화면에 표시되는 광고에는 광고 상세정보 보기 메뉴 등을 구비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100)에 제공되는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상세정보 보기 메뉴의 선택 입력에 의해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120)은 상기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100)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유동인구를 촬영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12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메라 센서 등이 포함된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설정된 모드에 따라 시간대별로 유동인구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유동인구 동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상기 제 1 데이터 베이스(140)는 상기 카메라 모듈(120)에 촬영된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제 1 제어부(130)는 상기 제 1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된 상기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에서 유동 인구를 검출하여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촬영된 이미지상이나 동영상에서 지나가는 사람의 수 및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시청하는 사람의 수를 카운팅하여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어부에 적용되는 유동인구를 검출하는 수단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통신 모듈(150)은 상기 제 1 제어부(130)에서 생성된 상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 상기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에 전송한다. 즉,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중앙 서버(200)에 상기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세 광고 정보 등의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는 양방향 통신 모듈로 구비된다.
상기 중앙 서버(200)는 제 2 통신 모듈(210), 분석부(220), 제 2 데이터 베이스(230), 제 2 제어부(240) 및 인증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통신 모듈(210)은 상기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100)의 제 1 통신 모듈(150)로부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100)의 제 1 통신 모듈(150)에 광고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제 2 통신 모듈(210)은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양방향 통신 모듈로 구비된다.
상기 분석부(220)는 상기 제 2 통신 모듈(210)에 수신된 상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지역별, 시간대별 및 연령별로 분석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다시 세분화하여 분석하게 되는데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100)이 설치된 장소의 지역적 특성, 시간대에 따른 유동인구 비율, 유동인구의 연령층 또는 계층 등 특성화 되도록 분석한다. 예를 들어, 강남역 주변에 설치된 디지털 정보표시 장치의 경우 출퇴근 시간대에는 젊은 직장인들의 유동인구가 많으므로 그에 맞는 세분화 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상기 제 2 데이터 베이스(230)는 상기 분석부(220)에서 분석된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의 지역별, 시간대별 및 연령별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데이터 베이스(230)는 각 지역에 설치된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100)들로부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의 지역별, 시간대별 및 연령별 정보 등을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 뿐만 아니라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제 2 제어부(240)는 상기 제 2 데이터 베이스(230)에 저장된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의 지역별, 시간대별 및 연령별 정보와 광고 운용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고 운용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에 설치된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100)으로부터 전송된 유동인구 데이터 정보, 상기 소정 지역 정보, 광고 제공 가능 시간,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의 전원 온-오프 시간, 광고 제공현황, 광고 제공 단가 등을 포함한다. 즉, 유동인구 데이터 정보는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이 설치된 장소의 유동인구 시간대별 유동인구 비율, 연령층, 계층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 제공 가능 시간은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이 설치된 장소에서의 광고가 제공되지 않는 시간대를 의미하는 광고 의뢰 가능 시간대를 말한다.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의 전원 온-오프 시간은 장소의 특성상 늦은 밤시간대에 유동 인구가 거의 없는 경우에 광고를 제공하지 않게 되므로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의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광고 제공 현황은 현재 위치한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광고들에 관한 정보 등을 의미한다. 광고 제공 단가는 광고 의뢰 책정 비용을 의미하며,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이 설치된 장소, 유동인구 비율, 시간대 등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부(250)는 상기 웹 페이지 통해 광고주 회원 가입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를 의뢰하고자 하는 광고주나 광고를 의뢰한 광고주는 상기 중앙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회원 가입을 하고,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인증부(250)를 통해 인증 절차를 수행한 광고주는 상기 광고 운용 정보뿐만 아니라 광고 관리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즉, 상기 광고를 의뢰한 광고주에게는 회원 인증 절차를 통해 광고주 회원 관리, 광고 등록 정보, 광고 관리 정보, 광고 이미지와 동영상 관리 및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시스템을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고 제공시스템을 주차장의 정산소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차량 통행이 많은 대형 주차장의 경우 차량인식을 자동으로 하여 번호 및 금액을 표시하는 안내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표시장치를 디지털 정보표시 장치로 대체하여 차량번호 및 금액 안내 등과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이라는 특성상 운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운전자 보험 광고, 안전 운행 광고 등을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제공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에 설치된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서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수집하여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1).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100)의 카메라 모듈(120)에서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을 시간대별로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에서 유동 인구를 검출하여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유동인구 검출은 상기 촬영된 이미지상이나 동영상에서 지나가는 사람의 수 및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시청하는 사람의 수를 카운팅하여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동인구를 검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 상기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에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소정 지역에 대한 유동인구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2). 다시 말해, 상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다시 세분화하여 분석하게 되는데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이 설치된 장소의 지역적 특성, 시간대에 따른 유동인구 비율, 유동인구의 연령층 또는 계층 등 특성화 되도록 분석한다. 예를 들어, 강남역 주변에 설치된 디지털 정보표시 장치의 경우 출퇴근 시간대에는 젊은 직장인들의 유동인구가 많으므로 그에 맞는 세분화 정보로 분석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분석된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가 포함된 광고 운용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3).
도 5는 본 발명의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광고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일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된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가 포함된 광고 운용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으로부터 전송된 유동인구 데이터 정보, 상기 소정 지역 정보, 광고 제공 가능 시간,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의 전원 온-오프 시간, 광고 제공현황, 광고 제공 비용 단가 등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인구 데이터 정보는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이 설치된 장소의 유동인구 시간대별 유동인구 비율, 연령층, 계층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 제공 가능 시간은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이 설치된 장소에서의 광고가 제공되지 않는 시간대를 의미하는 광고 의뢰 가능 시간대를 말한다.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의 전원 온-오프 시간은 장소의 특성상 늦은 밤시간대에 유동 인구가 거의 없는 경우에 광고를 제공하지 않게 되므로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의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광고 제공 현황은 현재 위치한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광고들에 관한 정보 등을 의미한다. 광고 제공 단가는 광고 의뢰 책정 비용을 의미하며,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이 설치된 장소, 유동인구 비율, 광고 지역, 광고 제공 시간대, 광고 제공 기간 등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이어,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광고주가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광고를 의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4).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광고주는 상기 웹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회원 가입 및 인증 절차를 통해 광고를 의뢰하게 된다. 상기 광고를 의뢰한 광고주에게는 회원 인증 절차를 통해 광고주 회원 관리, 광고 등록 정보, 광고 관리 정보, 광고 이미지와 동영상 관리 및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한다. 즉, 광고주가 의뢰한 지역의 현재 광고 진행상태,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 및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광고주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운용 정보에 맞는 광고를 제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5). 즉, 광고주가 선택한 장소의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 광고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은 관공서, 학교, 병원, 주차장 정산소, 아파트 단지 등에 설치되어 각 지역 특성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 제공되는 광고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의 상세 정보 요청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한다.
이러한 광고 제공시스템 및 광고 제공방법은 각 지역의 유동인구 및 특성에 맞도록 광고 비용을 책정하여 광고주에게 합리적인 비용을 제시하도록 하여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한 광고를 활성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카메라 모듈 130 --- 제 1 제어부
140 --- 제 1 데이터 베이스 150 --- 제 1 통신 모듈
200 --- 중앙 서버 210 --- 제 2 통신 모듈
220 --- 분석부 230 --- 제 2 데이터 베이스
240 --- 제 2 제어부 250 --- 인증부

Claims (1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에 설치되어 화면에 광고를 표시하면서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수집하여 전송하는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과;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소정 지역의 상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소정 지역에 대한 유동인구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데이터가 포함된 광고 운용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주가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광고를 의뢰하면 상기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운용 정보에 맞는 광고를 제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광고 제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은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된 광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유동인구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 촬영된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제 1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에서 유동 인구를 검출하여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 상기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에 전송하는 제 1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은 광고 화면에 광고 상세정보 보기 메뉴를 구비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 제공되는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상세정보 보기 메뉴의 선택 입력에 의해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은 관공서, 학교, 병원, 주차장 정산소 또는 아파트 단지에 설치되어 각 지역 특성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에 설치된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으로부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정보 표시수단에 광고 정보를 전송하는 제 2 통신 모듈과;
    상기 제 2 통신 모듈에 수신된 상기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지역별, 시간대별 및 연령별로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의 지역별, 시간대별 및 연령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제 2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의 지역별, 시간대별 및 연령별 정보와 광고 운용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제 2 제어부와;
    상기 웹 페이지 통해 광고주 회원 가입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운용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으로부터 전송된 유동인구 데이터 정보, 상기 소정 지역 정보, 광고 제공 가능 시간,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의 전원 온-오프 시간, 광고 제공현황 및 광고 제공 단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시스템.
  7.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주에게는 광고주 회원 관리, 광고 등록 정보, 광고 관리 정보, 광고 이미지와 동영상 관리 및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시스템.
  8.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에 설치된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서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수집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소정 지역에 대한 유동인구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가 포함된 광고 운용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광고주가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광고를 의뢰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운용 정보에 맞는 광고를 제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의 카메라 모듈에서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을 시간대별로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에서 유동 인구를 검출하여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 상기 유동인구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인구의 검출은 상기 시간대별로 촬영된 유동인구 이미지상에서 사람의 수 또는 동영상에서 지나가는 사람의 수 및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시청하는 사람의 수를 카운팅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지역에 대한 유동인구 데이터의 분석은 상기 각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로부터 지역별, 시간대별 및 연령별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소정 지역의 유동인구 파악 데이터가 포함된 광고 운용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지역으로부터 전송된 유동인구 데이터 정보, 상기 소정 지역 정보, 광고 제공 가능 시간,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의 전원 온-오프 시간, 광고 제공현황 및 광고 제공 비용 단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운용 정보에서 제공되는 광고 제공 비용 단가는 상기 유동인구 데이터 정보의 유동인구 비율, 광고 지역, 광고 제공 시간대 및 광고 제공 기간에 따라 다르게 책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은 관공서, 학교, 병원, 주차장 정산소 또는 아파트 단지에 설치되어 각 지역 특성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광고주가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광고를 의뢰하는 단계에서 상기 광고주는 상기 웹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회원 가입 및 인증 절차를 통해 광고를 의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의뢰한 광고주에게는 회원 인증 절차를 통해 광고주 회원 관리, 광고 등록 정보, 광고 관리 정보, 광고 이미지와 동영상 관리 및 상기 광고 운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방법.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제작하여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정보표시 수단에 제공되는 광고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공되는 광고의 상세 정보 요청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방법.
KR1020110118208A 2011-11-14 2011-11-14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52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208A KR20130052883A (ko) 2011-11-14 2011-11-14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208A KR20130052883A (ko) 2011-11-14 2011-11-14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883A true KR20130052883A (ko) 2013-05-23

Family

ID=4866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208A KR20130052883A (ko) 2011-11-14 2011-11-14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288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0281A (zh) * 2013-07-16 2013-11-20 Tcl商用信息科技(惠州)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标牌系统及其播放方法
KR20160036747A (ko) * 2014-09-25 2016-04-05 디노플러스 (주)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광고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시스템
KR20180041856A (ko) * 2016-10-17 2018-04-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180041857A (ko) * 2016-10-17 2018-04-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180057476A (ko) * 2016-11-21 2018-05-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프로비저닝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클라이언트 단말
WO2018203581A1 (ko) * 2017-05-04 2018-11-08 디엑스스퀘어드 주식회사 옥외 광고 효과 측정 및 플래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5226A (ko) * 2020-12-15 2022-06-22 (주)티플러스네트워크 사물인터넷 기반 유동인구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0281A (zh) * 2013-07-16 2013-11-20 Tcl商用信息科技(惠州)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标牌系统及其播放方法
CN103400281B (zh) * 2013-07-16 2018-10-09 Tcl商用信息科技(惠州)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标牌系统及其播放方法
KR20160036747A (ko) * 2014-09-25 2016-04-05 디노플러스 (주)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광고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시스템
KR20180041856A (ko) * 2016-10-17 2018-04-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180041857A (ko) * 2016-10-17 2018-04-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중 콘텐츠 재생 장치 환경의 콘텐츠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10861048B2 (en) 2016-10-17 2020-12-08 Samsung Sds Co., Ltd. Content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57476A (ko) * 2016-11-21 2018-05-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프로비저닝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포함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클라이언트 단말
WO2018203581A1 (ko) * 2017-05-04 2018-11-08 디엑스스퀘어드 주식회사 옥외 광고 효과 측정 및 플래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5226A (ko) * 2020-12-15 2022-06-22 (주)티플러스네트워크 사물인터넷 기반 유동인구 분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2883A (ko)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11037193B1 (en) Content presentation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in real time
JP4603975B2 (ja) コンテンツ注目評価装置及び評価方法
US20080059994A1 (en) Method for Measuring and Selecting Advertisements Based Preferences
US20130300362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dvertising systems
TW201702957A (zh) 測量智慧型告示牌之使用者參與度
JP2017162374A (ja) 情報表示効果測定システムおよび情報表示効果測定方法
JP2012252613A (ja) 顧客行動追跡型映像配信システム
KR20160089176A (ko) 사이니지 스크린 분할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1027977A (ja) 表示システム
KR20130062413A (ko) 스크린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0470866B1 (ko) 디스플레이 광고 시스템
KR20090020746A (ko) 인터넷에 접속된 키오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광고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35151A (ko) 옥외 광고에서 차등적으로 광고비를 과금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64776B1 (ko) 무인 주차장 차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167770B2 (ja) 表示装置
KR20140094816A (ko) Did장치를 이용한 광고관리시스템
KR20220012476A (ko) 승강장 유료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31508A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5913A (ko)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지능화 정보 공유 기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9686A (ko) 개인 점포를 이용한 수익 창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716137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
KR20050050379A (ko)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60014189A (ko) 대중 교통 수단 내 광고 매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33669B1 (ko) 브랜디드 모빌리티로서의 광고매체 노출 카풀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