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382B1 - 퓨즈 저항 조립체 및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퓨즈 저항 조립체 및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382B1
KR102392382B1 KR1020190086314A KR20190086314A KR102392382B1 KR 102392382 B1 KR102392382 B1 KR 102392382B1 KR 1020190086314 A KR1020190086314 A KR 1020190086314A KR 20190086314 A KR20190086314 A KR 20190086314A KR 102392382 B1 KR102392382 B1 KR 102392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fuse
resistance
ro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598A (ko
Inventor
문황제
이용학
윤생수
Original Assignee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382B1/ko
Priority to JP2019192094A priority patent/JP6934681B2/ja
Priority to TW108138257A priority patent/TWI727473B/zh
Priority to CN201911030249.6A priority patent/CN112242219A/zh
Publication of KR2021000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3/00Non-adjustable metal resistors made of wire or ribbon, e.g. coiled, woven or formed as grids
    • H01C3/14Non-adjustable metal resistors made of wire or ribbon, e.g. coiled, woven or formed as grids the resistive element being formed in two or more coils or loops continuously wound as a spiral, helical or toroidal winding
    • H01C3/16Non-adjustable metal resistors made of wire or ribbon, e.g. coiled, woven or formed as grids the resistive element being formed in two or more coils or loops continuously wound as a spiral, helical or toroidal winding including two or more distinct wound elements or two or more wind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2Manufacture of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 조립체는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분배하는 제1 저항체와 제2 저항체; 상기 제1 저항체와 상기 제2 저항체 사이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제1 저항체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저항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저항체 및 상기 제2 저항체와 직렬 연결된 퓨즈; 및 상기 제1 저항체, 상기 제2 저항체 및 상기 퓨즈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는 세라믹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튜브는, 일측이 상기 제1 저항체, 상기 제2 저항체 및 상기 퓨즈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이 전체적으로 폐쇄되어 있되 상기 제1 저항체와 연결되는 제1 리드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퓨즈 저항 조립체 및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Fuse resisto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use resistor assembly}
본 발명은 퓨즈저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항체 사이에 존재하는 퓨즈를 포함하는 퓨즈저항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비디오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전원 입력단에는 과전류 유입시 회로를 단선시켜 회로의 소손 및 기판의 화재발생을 예방하도록 마이크로 퓨즈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마이크로 퓨즈는 과부하 등의 이상시 용단 특성에 의해 회로 차단기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퓨즈는 퓨저블 엘리먼트층을 이루는 재료로서 다른 금속에 비하여, 고유비 저항치는 상당히 낮으면서도 온도계수와 용융점이 상당히 높은 구리를 사용함으로서 정격전류가 10A 이상의 고전류화 되더라도 안정적으로 흘릴 수 있으면서도 고전류 이상의 과전류에 의해서는 소정 시간 내에 안정적으로 용단될 수 있어 고전류를 사용하는 대형 TV, 모니터 등의 가전제품 등에 기존 퓨즈 대신에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퓨즈 저항 조립체는 저항체의 발열에 따른 퓨즈의 용단 특성이 일정하지 않고, 퓨즈의 용단 특성이 과전류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항체들 사이에 퓨즈를 직렬로 접합시켜서 퓨즈의 용단 특성을 개선시키는 퓨즈저항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 조립체는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분배하는 제1 저항체와 제2 저항체; 및 상기 제1 저항체와 상기 제2 저항체 사이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제1 저항체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저항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저항체 및 상기 제2 저항체와 직렬 연결된 퓨즈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는, 스틱 형태의 퓨즈로드; 및 상기 퓨즈로드의 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제1 저항체 및 상기 제2 저항체 중에서 발생되는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는 가용체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저항체는, 제1 저항로드; 상기 제1 저항로드의 일측에 결합된 제1 외측 저항캡; 상기 제1 저항로드의 타측에 결합된 제1 내측 저항캡; 및 상기 제1 저항로드를 감싸면서 상기 제1 외측 저항캡과 상기 제1 내측 저항캡을 연결하는 제1 저항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저항체는, 제2 저항로드; 상기 제2 저항로드의 일측에 결합된 제2 외측 저항캡; 상기 제2 저항로드의 타측에 결합된 제2 내측 저항캡; 및 상기 제2 저항로드를 감싸면서 상기 제2 외측 저항캡과 상기 제2 내측 저항캡을 연결하는 제2 저항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측 저항캡은, 일측이 상기 제1 저항로드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1 저항삽입홈; 및 타측이 상기 퓨즈의 일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1 퓨즈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내측 저항캡은, 일측이 상기 제2 저항로드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2 저항삽입홈; 및 타측이 상기 퓨즈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2 퓨즈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용체 코팅층은, 상기 퓨즈로드의 표면에 주석 성분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용체 코팅층은, 상기 과전류에 의한 용단시간 조정을 위해 트리밍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리밍 패턴은, 컷팅 포인트 수 및 컷팅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달리하여 컷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저항체, 상기 제2 저항체 및 상기 퓨즈를 에워싸는 조립체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분배하는 제1 저항체와 제2 저항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저항체 및 상기 제2 저항체 중에서 발생되는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를 상기 제1 저항체와 상기 제2 저항체 사이에 직렬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저항체, 상기 제2 저항체 및 상기 퓨즈를 조립체 보호커버로 에워싸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의 일측은 상기 제1 저항체를 구성하는 제1 내측 저항캡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퓨즈의 타측은 상기 제2 저항체를 구성하는 제2 내측 저항캡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퓨즈를 상기 제1 저항체와 상게 제2 저항체 사이에 직렬연결시키는 단계는, 일측이 제1 저항로드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1 저항삽입홈과 타측이 상기 퓨즈의 일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1 퓨즈 삽입홈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저항체를 상기 퓨즈와 직렬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퓨즈를 상기 제1 저항체와 상게 제2 저항체 사이에 직렬연결시키는 단계는, 일측이 제2 저항로드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2 저항삽입홈과 타측이 상기 퓨즈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2 퓨즈 삽입홈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저항체를 상기 퓨즈와 직렬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퓨즈는, 스틱 형태의 퓨즈로드 상에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는 가용체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용체 코팅층은, 상기 과전류에 의한 용단시간 조정을 위해 트리밍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리밍 패턴은, 컷팅 포인트 수 및 컷팅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달리하여 컷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항체와 퓨즈를 접합하되, 2개의 저항체 사이에 퓨즈를 연결함으로써, 저항체들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이 퓨즈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저항체에 흐르는 과전류에 따라 퓨즈의 용단 특성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과전류에 따른 부하의 회로 소자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저항체들 사이에 가용체로 코팅된 퓨즈로드를 포함하는 퓨즈를 직렬 연결함으로써, 퓨즈 저항 조립체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퓨즈 저항 조립치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트리밍 패턴에 따라 과전류에 따른 퓨즈의 용단 특성을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퓨즈 저항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퓨즈 저항 조립체의 길이방향 절단면(AA'절단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저항체 또는 제2 저항체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3은 제1 저항체과 제2 저항체 사이에 결합되는 퓨즈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300)의 가용체 코팅층(304)에 형성된 트리밍 패턴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5는 컷팅 포인트 수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6은 컷팅 형상 중 포인트 형태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7은 컷팅 형상 중 라인 형태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퓨즈 저항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세라믹 튜브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저항 조립체의 특성 테스트를 예시하는 참조표이다.
도 12는 도 11a 내지 도 11h에 도시된 특성 테스트에 대한 결과 종합을 비교한 표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퓨즈 저항 조립체(10)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퓨즈 저항 조립체의 길이방향 절단면(AA'절단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퓨즈 저항 조립체(10)는 제1 저항체(100), 제2 저항체(200), 퓨즈(300) 및 조립체 보호커버(400)를 포함한다.
제1 저항체(100)는 도전성의 저항 성분을 포함하며,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저항체(200)의 경우에도 도전성의 저항 성분을 포함하며,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제1 저항체(100) 또는 제2 저항체(200)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저항체(100)는 제1 저항 로드(102), 제1 외측 저항캡(104), 제1 내측 저항캡(106), 제1 저항선(108)을 포함한다.
제1 저항 로드(102)는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 것일 수 있으며, 원기둥 또는 각기둥 등을 갖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 저항캡(104)은 제1 저항로드(102)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제1 외측 저항캡(104)은 제1 저항로드(102)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외측 저항캡(104)은 제1 저항로드(102)의 일측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만 형성된 단방향 삽입 홈(G0)(예를 들어, 원형 홈 또는 각형 홈)을 포함하는 캡 일 수 있다. 제1 외측 저항캡(104)은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외측 저항캡(104)의 타측(즉, 캡의 외측)에는 제1 저항 리드선(104-2)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저항 리드선(104-2)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선이다. 제1 저항 리드선(104-2)은 제1 외측 저항캡(104)과 스팟 용접, 레이저 용접, 솔더링 등의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내측 저항캡(106)은 제1 저항로드(102)의 타측 끝단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내측 저항캡(106)은 양방향 홈(예를 들어, 원형 홈 또는 각형 홈) 구조로서, 제1 저항 삽입홈(G1)과 제1 퓨즈 삽입홈(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항 삽입홈(G1)은 제1 저항로드(102)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해 형성된 홈 구조이고, 제1 퓨즈 삽입홈(G2)은 퓨즈(300)의 일측과 삽입 결합을 위해 형성된 홈 구조이다. 이러한, 제1 내측 저항캡(106)은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저항선(108)은 제1 저항로드(102)를 감싸면서 제1 외측 저항캡(104)과 제1 내측 저항캡(106)을 연결하는 도전성의 선이다. 제1 저항선(108)은 제1 저항로드(102)의 표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면서 제1 외측 저항캡(104)과 제1 내측 저항캡(106)을 연결한다. 이러한, 제1 저항선(108)은 과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저항성분을 포함한다. 제1 저항선(108)의 일단(108-1)은 제1 외측 저항캡(104)의 일측에 접합되어 있고, 제1 저항선(108)의 타단(108-2)은 제1 내측 저항캡(106)의 일측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2 저항체(200)는 제2 저항 로드(202), 제2 외측 저항캡(204), 제2 내측 저항캡(206), 제2 저항선(208)을 포함한다.
제2 저항 로드(202)는 원기둥 또는 각기둥 등의 형상을 포함하는 세라믹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외측 저항캡(204)은 제2 저항로드의 일측에 결합되는 캡구조를 포함한다.
제2 내측 저항캡(206)은 제2 저항로드의 타측에 결합되는 캡구조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2 내측 저항캡(206)은 일측이 상기 제2 저항로드(202)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2 저항 삽입홈(G1') 및 타측이 퓨즈(300)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2 퓨즈 삽입홈(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항선(208)은 제2 저항로드(202)를 감싸면서 제2 외측 저항캡(204)과 제2 내측 저항캡(206)을 연결한다. 제2 저항선(208)은 전술한 제1 저항선(108)의 저항과 동일한 저항값을 가질 수도 있고, 제1 저항선(108)과 다른 저항값을 가질수도 있다.
전술한, 제2 저항 로드(202)는 제1 저항체(100)의 제1 저항 로드(102)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이고, 제2 외측 저항캡(204)은 제1 저항체(100)의 제1 외측 저항캡(104)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이고, 제2 내측 저항캡(206)은 제1 저항체(100)의 제1 내측 저항캡(106)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이고, 제2 저항선(208)은 제1 저항체(100)의 제1 저항체(108)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서, 제2 저항체(2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퓨즈(300)는 제1 저항체(100)와 제2 저항체(20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저항체(100)와 제2 저항체(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과전류에 의해 끊어지는 가용체 기능을 수행한다. 즉, 퓨즈(300)는 일측이 제1 저항체(100)와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저항체(200)와 결합되어 제1 저항체(100) 및 제2 저항체(200)와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열이나 과전류에 의한 회로 연결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제1 저항체(100)의 제1 내측 저항캡(106)과 제2 저항체(200)의 제2 내측 저항캡(206) 사이에 결합되는 퓨즈(300)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퓨즈(300)의 일측은 제1 저항체(100)의 제1 내측 저항캡(106)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고, 퓨즈(300)의 타측은 제2 저항체(200)의 제2 내측 저항캡(206)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퓨즈(300)는 스틱 형태의 퓨즈로드(302)와 퓨즈로드(302)의 표면에 도포되어 제1 저항체(100) 및 상기 제2 저항체(200) 중에서 발생되는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는 가용체 코팅층(304)을 포함할 수 있다.
퓨즈 로드(302)는 원기둥 또는 각기둥 등을 갖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라믹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가용체 코팅층(304)은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인가되어 제1 저항체(100) 또는 제2 저항체(200)가 발열하면, 그 열에 의해 용단되어 전기접속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가용체 코팅층(304)은 퓨즈로드(302)의 표면에 주석 성분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가용체 코팅층(304)은 450℃ 이하의 융점을 갖는 저융점 금속 또는 합금, 예를 들어 Sn, Ag, Sb, In, Bi, Al, Zn, Cu 및 Ni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는 가용체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용체 코팅층(304)은 과전류에 의한 용단시간 조정을 위해 트리밍 패턴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트리밍 패턴은 레이저 컷팅 또는 다이아몬드 컷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트리밍 패턴은, 컷팅 포인트 수 및 컷팅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달리하여 컷팅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컷팅 형상은 포인트형, 직선형 또는 나선형일 수 있으며, 이들이 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300)의 가용체 코팅층(304)에 형성된 트리밍 패턴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의 (a)는 포인트 형태의 트리밍 패턴을 예시하고, 도 4의 (b)는 라인 형태의 트리밍 패턴을 예시한다.
트리밍 패턴은 컷팅 포인트 수 또는 컷팅 형상의 차이에 따라, 과전류에 따른 가용체 코팅층(304)의 용단 시간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트리밍 패턴에 따른 가용체 코팅층(304)의 용단 시간의 차이는 다음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컷팅 포인트 수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고, 도 6은 컷팅 형상 중 포인트 형태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고, 도 7은 컷팅 형상 중 라인 형태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리밍 패턴의 컷팅 포인트 수가 증가함에 따라 용단 시간의 점차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트리밍 패턴의 컷팅 형상 중 컷팅 포인트가 길이 방향으로 증가함에 따라 용단 시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트리밍 패턴의 컷팅 형상 중 직선형 또는 나선형의 라인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용단 시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 목적에 따라 가용체 코팅층(304)의 트리밍 패턴을 선택함으로써, 퓨즈저항 조립체(10)의 과전류에 대한 용단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조립체 보호커버(400)는 제1 저항체(100), 제2 저항체(200) 및 퓨즈(300)를 에워싼다. 조립체 보호커버(400)는 제1 저항체(100), 제2 저항체(200) 및 퓨즈(300)의 표면을 보호한다. 또한, 조립체 보호 커버(400)는 제1 저항체(100), 제2 저항체(200) 및 퓨즈(300)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해 외부와의 절연을 위한 커버로 기능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분배하는 제1 저항체와 제2 저항체를 형성한다(S500 단계). 여기서, 제1 저항체는, 제1 저항로드, 상기 제1 저항로드의 일측에 결합된 제1 외측 저항캡, 상기 제1 저항로드의 타측에 결합된 제1 내측 저항캡 및 상기 제1 저항로드를 감싸면서 상기 제1 외측 저항캡과 상기 제1 내측 저항캡을 연결하는 제1 저항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측 저항캡은, 일측이 상기 제1 저항로드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1 저항삽입홈; 및 타측이 상기 퓨즈의 일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1 퓨즈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항체는, 제2 저항로드, 상기 제2 저항로드의 일측에 결합된 제2 외측 저항캡, 상기 제2 저항로드의 타측에 결합된 제2 내측 저항캡 및 상기 제2 저항로드를 감싸면서 상기 제2 외측 저항캡과 상기 제2 내측 저항캡을 연결하는 제2 저항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내측 저항캡은, 일측이 상기 제2 저항로드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2 저항삽입홈; 및 타측이 상기 퓨즈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2 퓨즈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항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저항 로드의 양단에 제1 외측 저항캡 및 제1 내측 저항캡을 결합시킨 후에, 상기 제1 외측 저항캡의 일측에 제1 저항 리드선을 결합시킨다. 그 후, 제1 저항선으로 상기 제1 저항 로드를 감싸면서 상기 제1 외측 저항캡과 상기 제1 내측 저항캡을 연결한다. 제2 저항체를 형성하는 과정도 상기의 제1 저항체를 형성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S500 단계 후에, 상기 제1 저항체 및 상기 제2 저항체 중에서 발생되는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를 상기 제1 저항체와 상기 제2 저항체 사이에 직렬 결합시킨다(S502 단계). 퓨즈는 저융점 금속 또는 합금, 예를 들어 Sn, Ag, Sb, In, Bi, Al, Zn, Cu 및 Ni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는 바(bar) 형상의 가용체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퓨즈는 세라믹 튜브관과, 상기 세라믹 튜브관의 양단에 형성된 단자와, 상기 세라믹 튜브관 내에 삽입된 가용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퓨즈의 일측은 제1 저항체의 제1 퓨즈 삽입홈과 직렬 연결되기 위해, 제1 퓨즈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고, 퓨즈의 타측은 제2 저항체의 제2 퓨즈 삽입홈과 직렬 연결되기 위해, 제2 퓨즈 삽입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퓨즈는 스틱 형태의 퓨즈로드 상에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는 가용체 코팅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용체 코팅층은, 상기 과전류에 의한 용단시간 조정을 위해 트리밍 패턴이 형성된 것으로, 컷팅 포인트 수 및 컷팅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달리하여 컷팅된 것일 수 있다.
S502 단계 후에, 상기 제1 저항체, 상기 제2 저항체 및 상기 퓨즈를 조립체 보호커버로 에워싼다(S504 단계). 조립체 보호커버는 제1 저항체, 제2 저항체 및 퓨즈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절연 기능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퓨즈 저항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세라믹 튜브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퓨즈 저항 조립체는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분배하는 제1 저항체와 제2 저항체; 상기 제1 저항체와 상기 제2 저항체 사이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제1 저항체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저항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저항체 및 상기 제2 저항체와 직렬 연결된 퓨즈; 및 상기 제1 저항체, 상기 제2 저항체 및 상기 퓨즈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는 세라믹 튜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라믹 튜브는, 일측이 상기 제1 저항체, 상기 제2 저항체 및 상기 퓨즈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이 전체적으로 폐쇄되어 있되 상기 제1 저항체와 연결되는 제1 리드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라믹 튜브는, 공기 완충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1 저항체, 상기 제2 저항체 및 상기 퓨즈가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주면과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고, 상기 수용 공간이 외부와 밀폐되도록 상기 개구부와 상기 중공부가 몰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라믹 튜브는, 에폭시 수지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와 상기 중공부가 몰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저항 조립체(10)는 와인딩 저항체 2개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 저항체 사이에 가용체에 해당하는 퓨즈가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퓨즈 저항 조립체(10)의 특성을 살펴보면, reflow, surge, 반단락 등의 열/전기적 특성에 의한 테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저항 조립체의 특성 테스트를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12는 도 11a 내지 도 11h에 도시된 특성 테스트에 대한 결과 종합을 비교한 표이다.
도 11a 내지 도 11h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퓨즈 저항 조립체(10)는 사출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나 열경화성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하게 되는데, reflow공정을 진행시 외부의 열에 대한 가용체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유입되는 열(reflow-wire를 타고 들어오는 열)에 대한 기존의 사출제품보다 가용체가 내부로 위치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열에 대한 영향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퓨즈의 양쪽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저항체의 세라믹 로드로 인한 heat sink효과가 있어 퓨즈로 접근하는 열은 제1 및 제2 저항체에서 일차적으로 차단되므로, 외부열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퓨즈 위치가 제1 저항체와 제2 저항체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동작시에 퓨즈를 양옆의 제1 저항체 및 제2 저항체가 발열함으로써 저항체가 1개만 구비되어 있던 종래에 비해서 용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저항체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1 저항체(100)와 제2 저항체(200)의 와인딩 시에 서지특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저항체의 한쪽에 감을 저항값을 2개로 선경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분배하는 제1 저항체와 제2 저항체;
    상기 제1 저항체와 상기 제2 저항체 사이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제1 저항체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저항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저항체 및 상기 제2 저항체와 직렬 연결된 퓨즈; 및
    상기 제1 저항체, 상기 제2 저항체 및 상기 퓨즈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는 세라믹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튜브는,
    일측이 상기 제1 저항체, 상기 제2 저항체 및 상기 퓨즈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이 전체적으로 폐쇄되어 있되 상기 제1 저항체와 연결되는 제1 리드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퓨즈는,
    스틱 형태의 퓨즈로드; 및
    상기 퓨즈로드의 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제1 저항체 및 상기 제2 저항체 중에서 발생되는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는 가용체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체는,
    제1 저항로드;
    상기 제1 저항로드의 일측에 결합된 제1 외측 저항캡;
    상기 제1 저항로드의 타측에 결합된 제1 내측 저항캡; 및
    상기 제1 저항로드를 감싸면서 상기 제1 외측 저항캡과 상기 제1 내측 저항캡을 연결하는 제1 저항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저항체는,
    제2 저항로드;
    상기 제2 저항로드의 일측에 결합된 제2 외측 저항캡;
    상기 제2 저항로드의 타측에 결합된 제2 내측 저항캡; 및
    상기 제2 저항로드를 감싸면서 상기 제2 외측 저항캡과 상기 제2 내측 저항 캡을 연결하는 제2 저항선을 포함하고,
    상기 퓨즈로드의 일측은 상기 제1 내측 저항캡과 삽입 결합되고, 상기 퓨즈로드의 타측은 상기 제2 내측 저항캡과 삽입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튜브는,
    공기 완충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1 저항체, 상기 제2 저항체 및 상기 퓨즈가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주면과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고, 상기 수용 공간이 외부와 밀폐되도록 상기 개구부와 상기 중공부가 몰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튜브는,
    에폭시 수지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와 상기 중공부가 몰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저항캡은,
    일측이 상기 제1 저항로드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1 저항삽입홈; 및
    타측이 상기 퓨즈의 일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1 퓨즈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 저항캡은,
    일측이 상기 제2 저항로드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2 저항삽입홈; 및
    타측이 상기 퓨즈의 타측과 삽입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 제2 퓨즈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용체 코팅층은,
    상기 퓨즈로드의 표면에 주석 성분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용체 코팅층은,
    상기 과전류에 의한 용단시간 조정을 위해 트리밍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
KR1020190086314A 2019-07-17 2019-07-17 퓨즈 저항 조립체 및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392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314A KR102392382B1 (ko) 2019-07-17 2019-07-17 퓨즈 저항 조립체 및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JP2019192094A JP6934681B2 (ja) 2019-07-17 2019-10-21 ヒューズ抵抗組立体及びヒューズ抵抗組立体の製造方法
TW108138257A TWI727473B (zh) 2019-07-17 2019-10-23 熔斷電阻器組件
CN201911030249.6A CN112242219A (zh) 2019-07-17 2019-10-28 保险丝-电阻器组件和制造保险丝-电阻器组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314A KR102392382B1 (ko) 2019-07-17 2019-07-17 퓨즈 저항 조립체 및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598A KR20210009598A (ko) 2021-01-27
KR102392382B1 true KR102392382B1 (ko) 2022-04-29

Family

ID=7416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314A KR102392382B1 (ko) 2019-07-17 2019-07-17 퓨즈 저항 조립체 및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34681B2 (ko)
KR (1) KR102392382B1 (ko)
CN (1) CN112242219A (ko)
TW (1) TWI727473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135B1 (ko) * 2014-03-17 2014-08-26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 저항기
JP2016184574A (ja) * 2015-03-25 2016-10-20 スマート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ク ヒューズ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18160B1 (ko) * 2018-03-06 2018-11-13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2601Y2 (ko) * 1974-03-27 1982-05-17
GB2182811B (en) * 1985-11-08 1990-09-19 Cooper Ind Inc Time lag electrical fuse
JP3747530B2 (ja) * 1996-10-07 2006-0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抵抗器
JP2008097943A (ja) * 2006-10-11 2008-04-24 Uchihashi Estec Co Ltd 温度ヒューズ内蔵抵抗器
JP2009117288A (ja) * 2007-11-09 2009-05-28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ヒューズ抵抗器
JP3141883U (ja) * 2008-03-10 2008-05-22 幸亞電子工業股▲フン▼有限公司 遮断式高温多層型抵抗器
JP2010061894A (ja) * 2008-09-02 2010-03-18 Uchihashi Estec Co Ltd 温度ヒューズ付き抵抗器
CN101944463B (zh) * 2010-08-31 2012-11-28 广东风华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片式保险丝及其制备方法
KR101434118B1 (ko) * 2013-12-20 2014-08-26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 저항기
KR101614123B1 (ko) * 2014-08-19 2016-04-20 김용운 퓨즈가 일체화된 저항기
CN205069566U (zh) * 2015-10-14 2016-03-02 东莞市贝特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贴片式过温过流保护保险丝
CN107978402A (zh) * 2016-10-24 2018-05-01 天津市汉陆电子有限公司 复合快速熔断绕线电阻器
CN207425500U (zh) * 2017-09-19 2018-05-29 天津市汉陆电子有限公司 复合保险丝电阻器
JP6951780B2 (ja) * 2018-10-24 2021-10-20 スマート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ク ヒューズ抵抗組立体及びヒューズ抵抗組立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135B1 (ko) * 2014-03-17 2014-08-26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 저항기
JP2016184574A (ja) * 2015-03-25 2016-10-20 スマート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ク ヒューズ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18160B1 (ko) * 2018-03-06 2018-11-13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598A (ko) 2021-01-27
JP6934681B2 (ja) 2021-09-15
TW202105420A (zh) 2021-02-01
JP2021018975A (ja) 2021-02-15
CN112242219A (zh) 2021-01-19
TWI727473B (zh)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1558B (zh) 熔絲
US4680567A (en) Time delay electric fuse
KR101918160B1 (ko)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US2914636A (en) Miniaturized high current-carrying capacity current-limiting fuses with built-in indicating plungers
US5418516A (en) Surge resistor fuse
KR101891466B1 (ko)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JP7075665B2 (ja) ヒューズ抵抗組立体及びヒューズ抵抗組立体の製造方法
KR101407759B1 (ko) 퓨즈 저항기
KR102392382B1 (ko) 퓨즈 저항 조립체 및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365385B1 (ko)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JP6951780B2 (ja) ヒューズ抵抗組立体及びヒューズ抵抗組立体の製造方法
KR102359612B1 (ko) 퓨즈 저항 조립체 및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CN111128493B (zh) 保险丝电阻器组件及其制造方法
KR102244234B1 (ko) 방폭 기능을 갖는 온도 퓨즈 저항기
KR101987019B1 (ko) 전력형 온도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JPS62113332A (ja) タイムラグ電気ヒユ−ズ
US2453397A (en) Fuse link
US2392703A (en) High voltage fuse
US2542738A (en) Circuit interrupter
US1252412A (en) Protective device for electric circuits.
US3748622A (en) Electric fuse with fusible element in form of a wire
US3313899A (en) Electric fuse including heater winding for solder joint
KR20210081883A (ko) 인버터 보호 소자용 퓨즈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