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466B1 -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466B1
KR101891466B1 KR1020180042068A KR20180042068A KR101891466B1 KR 101891466 B1 KR101891466 B1 KR 101891466B1 KR 1020180042068 A KR1020180042068 A KR 1020180042068A KR 20180042068 A KR20180042068 A KR 20180042068A KR 101891466 B1 KR101891466 B1 KR 101891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resistor
cutting
shape
p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선
강두원
문황제
신아람
윤생수
Original Assignee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6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fusibl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material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 조립체는 저항체; 및 상기 저항체와 일정 범위의 접합 거리내에서 직렬로 접합된 퓨즈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도금층이 형성된 퓨즈 로드; 상기 퓨즈 로드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도전성을 갖는 한 쌍의 퓨즈캡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Fuse resistor assembly and method manufacturing fuse resistor assembly}
본 발명은 퓨즈저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항체와 퓨즈를 접합한 퓨즈저항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비디오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전원 입력단에는 과전류 유입시 회로를 단선시켜 회로의 소손 및 기판의 화재발생을 예방하도록 마이크로 퓨즈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마이크로 퓨즈는 과부하 등의 이상시 용단(勇斷) 특성에 의해 회로 차단기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퓨즈는 퓨저블 엘리먼트층을 이루는 재료로서 다른 금속에 비하여, 고유비 저항치는 상당히 낮으면서도 온도계수와 용융점이 상당히 높은 구리를 사용함으로서 정격전류가 10A 이상의 고전류화 되더라도 안정적으로 흘릴 수 있으면서도 고전류 이상의 과전류에 의해서는 소정 시간 내에 안정적으로 용단될 수 있어 고전류를 사용하는 대형 TV, 모니터 등의 가전제품 등에 기존 퓨즈 대신에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퓨즈는 절연성의 보호막만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과전류가 인가되어 퓨저블 엘리먼트층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기 쉬워 용단시간을 단축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퓨즈는 과전류에 따른 퓨즈의 용단 시간을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항체와 퓨즈를 접합시키고, 퓨즈의 피막된 로드에 컷팅 처리를 하여 용단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 조립체는 저항체; 및 상기 저항체와 일정 범위의 접합 거리내에서 직렬로 접합된 퓨즈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도금층이 형성된 퓨즈 로드; 상기 퓨즈 로드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도전성을 갖는 한 쌍의 퓨즈캡들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는 스팟 용접, 레이저 용접 및 솔더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 사이의 상기 접합 거리는 0.5mm 이상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금층은, 상기 퓨즈 로드의 표면에 주석 성분으로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금층은, 상기 퓨즈의 용단시간 조정을 위해 트리밍 패턴에 따라 컷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리밍 패턴은, 컷팅 포인트 수 및 컷팅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달리하여 컷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컷팅 형상은 포인트형, 직선형 및 나선형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저항체 및 상기 저항체와 접합되는 퓨즈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를 일정 범위의 접합 거리내에서 직렬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를 제조하는 단계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퓨즈 로드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상기 퓨즈 로드의 양단부에 도전성을 갖는 한 쌍의 퓨즈캡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를 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를 스팟 용접, 레이저 용접 및 솔더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해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 사이의 상기 접합 거리는 0.5mm 이상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퓨즈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퓨즈 로드의 양단부에 상기 퓨즈캡들을 결합한 후에, 상기 퓨즈의 용단시간 조정을 위해 상기 도금층을 컷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금층을 컷팅하는 단계는, 컷팅 포인트 수 및 컷팅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상을 달리하여 상기 도금층을 컷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컷팅 형상은 포인트형, 직선형 및 나선형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항체와 퓨즈를 접합하되, 퓨즈를 구성하는 로드에 피막처리하여 컷팅하고, 저항체와 퓨즈의 접합 거리를 일정 거리 이내로 제한함으로써, 비정상적인 동작에 따른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의 용단 시간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퓨즈저항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퓨즈저항 조립체를 커버가 에워싸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저항체와 퓨즈 사이의 접합 거리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참조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저항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퓨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 조립체의 피막 컷팅에 따른 트리밍 패턴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6은 컷팅 포인트 수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7은 컷팅 형상 중 포인트 형태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8은 컷팅 형상 중 라인 형태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참조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퓨즈를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퓨즈저항 조립체(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퓨즈저항 조립체를 커버가 에워싸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저항체(110)는 도전성의 저항 성분을 포함하며,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퓨즈(120)는 열이나 과전류에 의한 회로 연결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항체(110)와 퓨즈(120)에 대한 세부 구조는 후술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퓨즈저항 조립체(100)는 저항체(110) 및 저항체(110)와 직렬로 연결되는 퓨즈(1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체(110)와 퓨즈(120)는 직렬로 접합(J)되어 있으며, 이때, 접합(J) 방식은 스팟 용접, 레이저 용접 및 솔더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저항체(110)와 퓨즈(120)의 접합에 따른 접합 거리는 일정 범위 즉, 0.5[mm] 이상 2[mm] 이하일 수 있다. 접합 거리를 2[mm] 이하로 제한하는 이유는 과전류에 따른 퓨즈(120)의 용단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접합 거리를 0.5[mm] 이상으로 제한하는 이유는 저항체(110)와 퓨즈(120)의 접합 내구성 및 접합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2는 저항체(110)과 퓨즈(120) 사이의 접합 거리(D)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참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저항체(110)와 퓨즈(120) 사이의 접합 거리의 차이에 따라 과전류에 따른 퓨즈(120)의 용단 시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접합 거리가 0.5[mm] 이상 2[mm] 이하일 경우에 과전류에 따른 퓨즈(120)의 용단 시간이 300[sec] 이내로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저항체(110)와 퓨즈(120) 사이의 접합 거리(D)를 0.5mm 이상 2mm 이하로 한정함으로써, 퓨즈(120)의 신속한 용단이 이루어져서 과전류에 따른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1b에 따르면, 퓨즈저항 조립체(100)는 저항체(110) 및 퓨즈(12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코팅층이 형성된 저항체(110) 및 퓨즈(120)를 에워싸는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0)는 저항체(110) 및 퓨즈(120)의 외피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사출 방식을 통한 몰딩 또는 튜브를 이용한 몰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저항체(11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저항체(110)는 저항 로드(111), 제1 저항캡(112-1), 제2 저항캡(112-2), 저항선(113), 제1 저항 리드선(114-1) 및 제2 저항 리드선(114-2), 저항체 보호층(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저항 로드(111)는 원기둥 또는 각기둥 등을 갖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라믹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저항캡(112-1) 및 제2 저항캡(112-2)은 저항 로드(111)의 양 끝단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저항캡(112-1) 및 제2 저항캡(112-2)은 각각 통형 구조(예를 들어, 원통 구조, 각통 구조)의 일단이 폐쇄되어 있는 캡 형태일 수 있다. 제1 저항캡(112-1) 및 제2 저항캡(112-2)은 도전성을 갖는다.
저항선(113)은 저항 로드(111)의 표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면서 제1 저항캡(112-1) 및 제2 저항캡(112-2)을 연결하기 위한 선이다. 이러한, 저항선(113)은 과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저항성분을 포함한다. 저항선(113)의 일단(113-1)은 제1 저항캡(112-1)의 일측에 접합되어 있고, 저항선(113)의 타단(113-2)은 제2 저항캡(112-2)의 일측에 접합되어 있다.
제1 저항 리드선(114-1) 및 제2 저항 리드선(114-2)은 각각 제1 저항캡(112-1) 및 제2 저항캡(112-2)의 외측에 접합되어 있다. 제1 저항 리드선(114-1) 및 제2 저항 리드선(114-2)은 각각 제1 저항캡(112-1) 및 제2 저항캡(112-2)과 스팟 용접, 레이저 용접, 솔더링 등의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저항 리드선(114-1) 및 제2 저항 리드선(114-2)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선이다.
저항체 보호층(115)은 저항 로드(111), 제1 저항캡(112-1), 제2 저항캡(112-2) 및 저항선(113)을 감싸서, 제1 저항캡(112-1) 및 제2 저항캡(112-2)과 접합되는 저항선(113)과의 접합 관계를 보호하며, 아울러, 저항 로드(111), 제1 저항캡(112-1), 제2 저항캡(112-2)의 표면을 보호한다. 또한, 저항체 보호층(115)은 외부(타 부품 등)와의 절연을 위한 절연 기능을 갖는다.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퓨즈(12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퓨즈(120)는 퓨즈 로드(121), 도금층(122), 제1 퓨즈캡(123-1), 제2 퓨즈캡(123-2), 제1 퓨즈 리드선(124-1), 제2 퓨즈 리드선(124-2) 및 퓨즈 보호층(125)을 포함할 수 있다.
퓨즈 로드(121)는 원기둥 또는 각기둥 등을 갖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라믹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금층(122)는 퓨즈 로드(121)의 표면에 도전성 피막이 형성된 것으로, 니켈 합금 또는 동 합금으로 이루어진 도금층(122)에 퓨저블 엘리먼트(Fusible Element)층으로 주석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금층(122)은 해당 표면에 원하는 저항값에 맞게 트리밍(trimming)이라고 불리는 피막 컷팅을 수행하여 트리밍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피막 컷팅은 레이저 컷팅 또는 다이아몬드 컷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트리밍 패턴은 컷팅 포인트 수 및 컷팅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달리하여 컷팅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컷팅 형상은 포인트형, 직선형 또는 나선형일 수 있으며, 이들이 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 조립체의 피막 컷팅에 따른 트리밍 패턴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5의 (a)는 포인트 형태의 트리밍 패턴을 예시하고, 도 5의 (b)는 라인 형태의 트리밍 패턴을 예시한다.
트리밍 패턴은 컷팅 포인트 수 또는 컷팅 형상의 차이에 따라, 과전류에 따른 도금층(122)의 용단 시간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트리밍 패턴에 따른 도금층(122)의 용단 시간의 차이는 다음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컷팅 포인트 수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고, 도 7은 컷팅 형상 중 포인트 형태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고, 도 8은 컷팅 형상 중 라인 형태에 따른 용단 시간을 비교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막 컷팅을 위한 컷팅 포인트 수가 증가함에 따라 용단 시간의 점차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피막 컷팅을 위한 컷팅 형상 중 컷팅 포인트가 길이 방향으로 증가함에 따라 용단 시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피막 컷팅을 위한 컷팅 형상 중 직선형 또는 나선형의 라인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용단 시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 목적에 따라 도금층(122)의 트리밍 패턴을 선택함으로써, 퓨즈저항 조립체(100)의 과전류에 대한 용단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퓨즈캡(123-1) 및 제2 퓨즈캡(123-2)은 도금층(122)이 형성된 퓨즈 로드(121)의 양 끝단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퓨즈캡(123-1) 및 제2 퓨즈캡(123-2)은 각각 통형 구조(예를 들어, 원통 구조, 각통 구조)의 일단이 폐쇄되어 있는 캡 형태일 수 있다.
제1 퓨즈 리드선(124-1) 및 제2 퓨즈 리드선(124-2)은 각각 제1 퓨즈캡(123-1) 및 제2 퓨즈캡(123-2)의 외측에 접합되어 있다. 제1 퓨즈 리드선(124-1) 및 제2 퓨즈 리드선(124-2)은 각각 제1 퓨즈캡(123-1) 및 제2 퓨즈캡(123-2)과 스팟 용접, 레이저 용접, 솔더링 등의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퓨즈 리드선(124-1) 및 제2 퓨즈 리드선(124-2)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퓨즈 보호층(125)은 도금층(122)이 형성된 퓨즈 로드(121), 제1 퓨즈캡(123-1), 및 제2 퓨즈캡(123-2)을 감싼다. 이에 따라, 퓨즈 보호층(125)은 도금층(122)의 피막을 보호하고, 제1 퓨즈캡(123-1) 및 제2 퓨즈캡(123-2)의 표면을 보호한다. 또한, 퓨즈 보호층(125)은 외부(예를 들어, 타 부품 등)와의 절연을 위한 절연 기능을 갖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참조도이다.
먼저, 저항체 및 상기 저항체와 접합되는 퓨즈를 제조한다(S200 단계).
저항체는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 로드, 제1 저항캡, 제2 저항캡, 저항선, 제1 저항 리드선 및 제2 저항 리드선, 저항체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퓨즈는,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로드, 도금층, 제1 퓨즈캡, 제2 퓨즈캡, 제1 퓨즈 리드선, 제2 퓨즈 리드선 및 퓨즈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퓨즈를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퓨즈 로드에 도금층을 형성한다(S300 단계). 퓨즈 로드의 표면에 니켈 합금 또는 동 합금으로 이루어진 도금층에 퓨저블 엘리먼트(Fusible Element)층으로 주석층이 형성될 수 있다.
S300 단계 후에, 도금층이 형성된 퓨즈 로드의 양단부에 도전성을 갖는 한 쌍의 퓨즈캡들을 결합한다(S302 단계). 퓨즈캡들은 각각 통형 구조(예를 들어, 원통 구조, 각통 구조)의 일단이 폐쇄되어 있는 캡 형태일 수 있다.
S302 단계 후에, 퓨즈의 용단시간 조정을 위해 도금층을 컷팅한다(S304 단계). 상기 도금층을 컷팅하는 단계는, 트리밍 패턴에 따라 컷팅 포인트 수 및 컷팅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달리하여 상기 도금층을 컷팅할 수 있다. 이때, 컷팅 형상은 포인트형, 직선형 및 나선형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컷팅 포인트 수 또는 컷팅 형상의 차이에 의한 트리밍 패턴에 따라, 과전류에 따른 도금층의 용단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다시, S200 단계 후에, 저항체와 상기 퓨즈를 일정 범위의 접합 거리내에서 직렬로 접합시킨다(S202 단계).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를 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를 스팟 용접, 레이저 용접 및 솔더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해 접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 사이의 상기 접합 거리는 0.5mm 이상 2mm 이하일 수 있다. 접합 거리를 2[mm] 이하로 제한하는 이유는 과전류에 따른 퓨즈(120)의 용단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접합 거리를 0.5[mm] 이상으로 제한하는 이유는 저항체(110)와 퓨즈(120)의 접합 내구성 및 접합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저항체와 퓨즈가 결합된 퓨즈저항 조립체는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도장 공정을 통해 코팅층을 형성한다. 그 후, 코팅층이 형성된 퓨즈저항 조립체는 이를 에워싸는 커버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는 저항체 및 퓨즈의 외피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사출 방식을 통한 몰딩 또는 튜브를 이용한 몰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퓨즈저항 조립체
110: 저항체
120: 퓨즈
130: 커버

Claims (13)

  1. 저항체; 및
    상기 저항체와 일정 범위의 접합 거리내에서 직렬로 접합된 퓨즈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도금층이 형성된 퓨즈 로드;
    상기 퓨즈 로드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도전성을 갖는 한 쌍의 퓨즈캡들을 포함하고,
    상기 도금층은, 트리밍 패턴에 따라 컷팅되어 있으며,
    상기 트리밍 패턴은, 상기 퓨즈의 용단시간에 대응하여 형성된 컷팅 포인트 수 및 컷팅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컷팅 형상은 포인트형, 직선형 및 나선형이 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 사이의 상기 접합 거리는 0.5mm 이상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는 스팟 용접, 레이저 용접 및 솔더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상기 퓨즈 로드의 표면에 주석 성분으로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저항체 및 상기 저항체와 접합되는 퓨즈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를 일정 범위의 접합 거리내에서 직렬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를 제조하는 단계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퓨즈 로드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상기 퓨즈 로드의 양단부에 도전성을 갖는 한 쌍의 퓨즈캡들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퓨즈의 용단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도금층을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 사이의 상기 접합 거리는 0.5mm 이상 2mm 이하이고,
    상기 도금층을 컷팅하는 단계는,
    컷팅 포인트 수 및 컷팅 형상을 달리하여 상기 도금층을 컷팅하고, 상기 컷팅 형상은 포인트형, 직선형 및 나선형이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를 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저항체와 상기 퓨즈를 스팟 용접, 레이저 용접 및 솔더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해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42068A 2018-03-06 2018-04-11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891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26539 2018-03-06
KR1020180026539 2018-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466B1 true KR101891466B1 (ko) 2018-08-27

Family

ID=6345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068A KR101891466B1 (ko) 2018-03-06 2018-04-11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04884A1 (en) * 2019-10-07 2021-04-08 Smart Electronics Inc. Circuit protection device
KR20210041529A (ko) * 2019-10-07 2021-04-15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회로 보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385B1 (ko) * 2012-11-09 2014-02-20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92889B1 (ko) * 2013-02-20 2014-05-12 김용운 저항타입 퓨즈 및 그를 구비하는 퓨즈 저항 조립체
KR20150066697A (ko) * 2013-12-09 2015-06-17 (주)엠에스테크비젼 과열 및 과전류 차단용 복합퓨즈
KR20160115458A (ko) * 2015-03-27 2016-10-06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 저항기용 금속선 및 금속선의 표면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385B1 (ko) * 2012-11-09 2014-02-20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92889B1 (ko) * 2013-02-20 2014-05-12 김용운 저항타입 퓨즈 및 그를 구비하는 퓨즈 저항 조립체
KR20150066697A (ko) * 2013-12-09 2015-06-17 (주)엠에스테크비젼 과열 및 과전류 차단용 복합퓨즈
KR20160115458A (ko) * 2015-03-27 2016-10-06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퓨즈 저항기용 금속선 및 금속선의 표면처리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04884A1 (en) * 2019-10-07 2021-04-08 Smart Electronics Inc. Circuit protection device
KR20210041529A (ko) * 2019-10-07 2021-04-15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회로 보호 장치
KR20210041249A (ko) * 2019-10-07 2021-04-15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회로 보호 장치
KR102265518B1 (ko) * 2019-10-07 2021-06-16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회로 보호 장치
KR102295891B1 (ko) * 2019-10-07 2021-08-31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회로 보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0143B2 (ja) 表面実装型小型ヒューズ
TWI521558B (zh) 熔絲
US9508519B2 (en) Fu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471498B2 (en) Wound capacitor having a thermal disconnect at a hot spot
CN101483117A (zh) 提供过电流和热保护的熔断器
KR101891466B1 (ko)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918160B1 (ko)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US20170278663A1 (en) Electric wire
KR20170032225A (ko) 퓨즈 소자 및 퓨즈 엘리먼트
JP7075665B2 (ja) ヒューズ抵抗組立体及びヒューズ抵抗組立体の製造方法
TWI758638B (zh) 熔斷電阻器組件及製造該熔斷電阻器組件的方法
KR101995217B1 (ko) 퓨즈저항 조립체 및 퓨즈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244234B1 (ko) 방폭 기능을 갖는 온도 퓨즈 저항기
KR102392382B1 (ko) 퓨즈 저항 조립체 및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359612B1 (ko) 퓨즈 저항 조립체 및 퓨즈 저항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987019B1 (ko) 전력형 온도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TWI514433B (zh) 表面貼著保險絲及具有表面貼著保險絲的結構
KR100459489B1 (ko) 리드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KR200356587Y1 (ko) 보호소자
US20140226259A1 (en) Mitigating the Effects of Cracks in Metallized Polymer Film Capacitor Arc-Sprayed End Connections
US1252412A (en) Protective device for electric circuits.
JP2008166114A (ja) 面実装型電流ヒュ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