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489B1 - 리드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 Google Patents

리드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489B1
KR100459489B1 KR10-2001-0073933A KR20010073933A KR100459489B1 KR 100459489 B1 KR100459489 B1 KR 100459489B1 KR 20010073933 A KR20010073933 A KR 20010073933A KR 100459489 B1 KR100459489 B1 KR 10045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metal electrode
polymer
fuse
s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982A (ko
Inventor
이안나
최수안
김도윤
고창모
한준구
이종환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48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6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fusibl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2Manufacture of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ses (AREA)

Abstract

폴리머 퓨즈의 금속전극에 강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한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는 PTC 특성을 갖는 전도성 폴리머, 전도성 폴리머의 양측 표면에 부착되는 금속전극, 및 금속전극 위에서 솔더에 의해 금속전극과 접합되며 외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고, 리드 와이어의 표면에는 금속전극과의 접합면을 넓히기 위한 다수의 홈이 형성되거나, 리드 와이어의 단부에 슬릿이 형성되어 여러 갈래의 영역으로 나뉘어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리드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LEAD WIRE AND POLYMER FUSE FOR BLOCKING OVER-CURR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머 퓨즈의 금속전극에 강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한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의 리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퓨즈는 전선로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일종의 자동차단기를 의미한다. 종래에 퓨즈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그 자체가 녹아 전선로를 끊어지게 하는 형태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최근에는 온도 상승에 따라 전기저항이 급증하는 성질을 갖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 퓨즈가 사용되기도 한다.
PTC 폴리머는 상온에서의 저항율이 충분하게 낮으므로 회로에서의 전류 흐름이 통상적인 상태를 유지하지만, 단락사고 등으로 인해 회로에 높은 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러한 높은 전류에 의해 PTC 폴리머에 주울(Joule)열이 발생하고, PTC 폴리머의 온도가 상승하며 저항률이 상승하므로, PTC 특성이 발현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회로가 보호된다. 또한, PTC 폴리머는 이후 전류가 정상이 되면 소자의온도가 하강하여 저항률이 다시 낮아지므로, 통상적인 전류 흐름을 보장하게 된다. 따라서, PTC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 퓨즈는 전선로의 단선과 같은 특정 부품의 소모가 없으므로 지속적으로 반복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TC 폴리머를 퓨즈에 적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종류와 형태를 갖는데, 이중 하나가 보호하고자 하는 소자에 연결하기 위한 리드 와이어가 접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리드 와이어의 접합법으로는 흔히 납땜이라 불리는 솔더링(Soldering)이 사용된다. 솔더링은 전자기기 제조에 있어 빠져서는 안될 접합법으로서, 납재를 이용하여 모재를 녹이지 않고 접합하게 된다.
솔더링은 보통 사용하는 납의 녹는점이 450℃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구별하여, 이것보다 고온이 아니면 녹지 않는 납을 사용하는 것을 경(硬)납땜 또는 브레이징(Brazing)이라 하고, 녹는점이 이보다 낮은 납을 사용하는 것을 연(軟)납땜 또는 납땜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퓨즈에 적용되는 솔더링은 융점 450℃ 미만의 연납을 사용하여, 금속 면간의 좁은 틈새를 통해 솔더를 피접합체 전체에 퍼지게 하여 접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대표적 연납은 납-주석의 합금인 땜납인데, 주석이 많은 것일수록 값이 비싸다. 땜납 이외의 연납에는 자기(磁器)를 접합시키는 납-주석-아연 합금, 납-카드뮴, 아연-카드뮴납이 있으며, 보다 녹는점이 낮은 납-주석-비스무트계(系) 땜납도 사용된다.
이때, 솔더링을 위해서는 솔더의 온도가 융점 이상으로 상승해야만 하며, 솔더의 가열방법에 따라 인두법, 침적법, 웨이브법, 리플로우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사용된다. 이중 전자기기의 솔더링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리플로우법이다. 리플로우 솔더링 장치는 IR(적외선), 열풍 및 각종 빛을 이용하는 것 등 여러 가지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가열식 연속로를 이용한 방법은 다수의 부품을 일괄적으로 솔더링할 수 있어 연속생산에 적당하다.
종래에는 리드 와이어를 폴리머 퓨즈의 금속전극 표면에 접합하기 위해서, 솔더가 리드 와이어와 금속전극 사이의 좁은 틈새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퍼지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금속전극과 리드 와이어의 표면이 매끄러운 금속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접합면이 서로 떨어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접합 방법은 솔더링 과정에서 솔더 페이스트가 파열되거나 솔더가 흩어져서 PTC 폴리머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이는 불량률 증가의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리드 와이어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폴리머 퓨즈는 리드 와이어의 일부를 꺾어서 전기기기에 장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각판 형상의 리드 와이어를 꺾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리드 와이어를 꺾는 과정에서 솔더링된 접합면에 힘이 가해져서 접합면이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표면에 홈을 형성하거나 끝부분에 슬릿을 형성하여 솔더링 과정에서 금속전극과의 접합력이 높아지고 솔더 페이스트가 외부로 유출되어 PTC 폴리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중간 부분의 폭을 얇게 구성하여 전기기기에 적용할 때 용이하게 꺽을 수 있는 리드 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리드 와이어가 장착된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폴리머 퓨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퓨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퓨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를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폴리머 퓨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10",20..폴리머 퓨즈 12..전도성 폴리머
14..금속전극 16,16',16",26..리드 와이어
17,17'..홈 19,29..목부분
27..슬릿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는 PTC 특성을 갖는 전도성 폴리머, 전도성 폴리머의 양측 표면에 부착되는 금속전극, 및 금속전극 위에서 솔더에 의해 금속전극과 접합되며 외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고, 리드 와이어의 표면에는 금속전극과의 접합면을 넓히기 위한 다수의 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홈은 리드 와이어에서 금속전극과 접합되는 표면에만 형성되며, 리드 와이어에 형성된 홈은 반구 형상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PTC 특성을 갖는 전도성 폴리머, 전도성 폴리머의 양측 표면에 부착되는 금속전극, 및 금속전극 위에서 솔더에 의해 금속전극과 접합되며 외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고, 리드 와이어의 단부는 슬릿이 형성되어 여러 갈래의 영역으로 나뉘어지는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가 제공된다.
위의 각 실시예에서, 리드 와이어는 중간영역에 폭이 좁은 목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 폴리머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및 과산화물 가교제를 함유하고, 30~60w%의 카본블랙이 첨가되도록 제작되고, 또한 금속전극은 니켈 도금박, 니켈 압연박 또는 구리 도금박에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을 한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의 금속전극에 접합되며 외부의 전기기기에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가 제공되며, 리드 와이어의 표면에는 금속전극과의 접합면을 넓히기 위한 반구형 홈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리드 와이어는 단부에 슬릿이 형성되어 여러 갈래로 나뉘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TC 특성을 갖는 폴리머 퓨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리머 퓨즈(10)는 PTC 특성을 갖는 전도성 폴리머(12)를 구비하며, 전도성 폴리머(12)의 양측 표면에는 각각 금속전극(14)이 부착된다. 또한, 각각의 금속전극(14) 위에는 외부의 전기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16)가 배치되며, 금속전극(14)과 리드 와이어(16) 사이에는 이들의 접합을 위한 솔더(18)가 배치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PTC 특성을 갖는 전도성 폴리머(12)는 특정 온도에서 저항값이 급상승하여 퓨즈에 과전류가 가해질 때 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전도성 폴리머(12)로는 어떠한 형태의 것도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어, 30~40w%의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40w%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및 10~30w%의 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EAA)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성분과, 무수말레인 화합물로 변성된 20~30w%의 변성 고밀도폴리에틸렌 또는 변성 저밀도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유기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PTC 폴리머(12)에 과산화물가교제를 첨가하여 열안정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전도성 폴리머(12)에 사용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또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는 대략 3~6의 용융지수를 가지며, 또한 카본 블랙을 대략 30~60w%의 질량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카본 블랙은 전도성 입자로서, PTC 폴리머가 전도성이 갖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도성 폴리머(12)는 카본 블랙에 의하여 통전되어 일상적인 전류흐름을 보장할 수 있으며, 과전류 등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폴리머가 팽창하면서 카본 블랙 입자 사이의 도전패스가 차단되어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금속전극(14)은 얇은 박막의 형태로 전도성 폴리머(12)의 양측 표면에 접합된다. 금속전극(14)으로는 니켈 도금막, 니켈 압연박, 구리 도금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에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을 한 박막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더(18)는 금속전극(14)과 리드 와이어(16)를 서로 접합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융점 450℃ 미만의 연납을 사용한다. 이러한 솔더(18)는 흔히 땜납이라 불리는 모든 종류의 것이 가능하나, 주석(Sn)과 납(Pb)만을 포함하는 2원계 솔더를 사용하거나, 또는 이 2원계 솔더에 아연(Zn), 카드뮴(Cd)과 같은 첨가물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 와이어(16)는 PTC 특성에 의해 퓨즈의 과전류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전도성 폴리머(12)를 전기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리드 와이어(16)가 전도성 폴리머(12)의 양측 표면에 부착된 금속전극(14)에 각각 접합된다. 이때, 각 리드 와이어(16)의 표면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홈(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홈(17)은 리드 와이어(16)의 표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금속전극(14)과 리드 와이어(16)를 접합시키기 위해 솔더링을 수행할 경우, 먼저 금속전극(14)에 용융된 솔더(18)가 흐르면서 퍼져나간 후, 금속전극(14)의 표면을 적신 솔더(18)가 접합될 부분의 틈새, 즉 금속전극(14)과 리드 와이어(18) 사이의 틈새로 빨려 들어가야 한다. 일반적으로 솔더링하는 금속표면에 요철이나 결정계면, 흠집 등이 있을 경우, 용융된 솔더는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이같은 금속표면을 따라서 보다 잘 흘러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리드 와이어(16)의 표면에 형성된 홈(17)은 솔더(18)가 금속전극(14) 및 리드 와이어(16) 사이의 틈으로 보다 잘 빨려 들어가게 하여 솔더링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도와준다. 또한, 솔더링은 보다 넓은 비표면적을 가질수록 접합성이 커지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 와이어(16)에 형성된 홈(17) 의해서 기존의 리드 와이어에 비해 넓은 표면적을 갖게 되어 보다 큰 접합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홈(17)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가장 안정적인 형태인 반구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 와이어(16)로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략 0.1~0.2mm의 두께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반구형 홈(17)은 대략 1~100μm의 지름을 갖도록 제작되고, 각 반구형 홈(17) 사이의 거리는 1~10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홈은 리드 와이어의 전체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솔더링 작업이 필요한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는 변형된 폴리머 퓨즈(1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변형예에서와 같이 리드 와이어(16')의 한쪽 표면, 즉 금속전극(14)과 접합되는 표면에만 홈(17')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폴리머 퓨즈는 또한 실제로 전기기기 등에 사용될 경우 협소한 공간 또는 주변 부품의 배치 등에 의해서 리드 와이어를 꺾어서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때, 리드 와이어를 꺾는 과정에서 리드 와이어가 파손되거나 또는 금속전극과의 접합면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리드 와이어의 중간 부분을 폭이 좁게 만들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변형된 폴리머 퓨즈(1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변형예에서 홈(17)이 형성된 리드 와이어(16")는 중간부분, 즉 금속전극(14)에 접합되는 부분과 외부의 전기기기에 연결되는 부분의 중간영역에 폭이 좁은 목부분(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목부분(19)은 향후 리드 와이어(16")를 꺾거나 구부릴 필요가 있을 때 용이하게 휘어지게 되며, 따라서 리드 와이어(16")를 꺾기 위해 과도한 힘이 필요하지 않고, 또한 리드 와이어(16")를 꺾는 과정에서 금속전극(14)과의 접합부에 전달되는 힘이 적으므로 접합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20)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폴리머 퓨즈(20)는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게 전도성 폴리머(12), 금속전극(14)을 구비하며, 금속전극(14)이 솔더(18)에 의해 리드 와이어(26)와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리드 와이어(26)는 앞선 실시예와는 다르게 단부측에 슬릿(27)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슬릿(27)에 의해서 리드 와이어(26)의 단부는 여러 갈래로 나뉘어지며, 폭이 좁은 다수의 영역(28)이 금속전극(14)에 접합되게 된다.
리드 와어어가 사각판 형상으로 제작될 경우, 리드 와이어 및 금속전극(14) 사이에 배치된 용융된 솔더는 리드 와이어의 외부러 빠져나가 전도성 폴리머(12)를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리드 와이어(26)의 단부에 슬릿(27)을 형성하게 되면, 솔더링 과정에서 플럭스에 의해 생기는 부산물들이 이 슬릿(27)으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리드 와이어(26)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용융된 솔더가 리드 와이어(26)의슬릿(27)에서 응고되므로, 보다 강한 접합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리드 와이어(26)를 이용하여 금속 전극(14)에 접합하게 되면, 용융된 솔더에 의한 페이스트의 파열을 방지함은 물론, 솔더링 과정에서 보다 강한 접합력을 발휘하게 되어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슬릿(27)은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리드 와이어(26)의 단부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뉘어지며, 두 개의 슬릿을 형성하여 리드 와이어(26)의 단부가 중간영역 및 좌우영역으로 나뉘어지도록 구성하여 측방향으로 균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슬릿(27)이 형성된 리드 와이어(26)에도 중간영역에 도 4와 같이 폭이 좁은 목부분(29)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목부분(29)에 대한 효과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리드 와이어를 구비한 폴리머 퓨즈는 리드 와이어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거나 리드 와이어의 단부에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솔더링 공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불량률 발생을 줄이고 또한 솔더링 후 리드 와이어와 금속전극 사이의 접합력을 매우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리드 와이어의 중간부분에 폭이 좁은 목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리드 와이어를 용이하게 꺾거나 구부릴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2)

  1. PTC 특성을 갖는 전도성 폴리머;
    상기 전도성 폴리머의 양측 표면에 부착되는 금속전극; 및
    상기 금속전극 위에서 솔더에 의해 상기 금속전극과 접합되며 외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와이어의 표면에는 상기 금속전극과의 접합면을 넓히기 위한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드 와이어는 상기 금속전극에 접합되는 부분과 외부의 전기기기에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중간영역에 폭이 좁은 목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리드 와이어에서 상기 금속전극과 접합되는 표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와이어에 형성된 홈은 반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4. PTC 특성을 갖는 전도성 폴리머;
    상기 전도성 폴리머의 양측 표면에 부착되는 금속전극; 및
    상기 금속전극 위에서 솔더에 의해 상기 금속전극과 접합되며 외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와이어의 양단부는 슬릿이 형성되어 여러 갈래의 영역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리드 와이어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중간영역에 폭이 좁은 목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폴리머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및 과산화물 가교제를 함유하고, 30~60w%의 카본블랙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전극은 니켈 도금박, 니켈 압연박 또는 구리 도금박에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을 한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PTC 특성을 갖는 전도성 폴리머;
    상기 전도성 폴리머의 양측 표면에 부착되는 금속전극; 및
    상기 금속전극 위에서 솔더에 의해 상기 금속전극과 접합되며 외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와이어는 상기 금속전극에 접합되는 부분과 외부의 전기기기에 연결되는 부분의 중간영역에 폭이 좁은 목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12.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의 금속전극에 접합되며 외부의 전기기기에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리드 와이어는 상기 금속전극에 접합되는 부분과 외부의 전기기기에 연결되는 부분의 중간영역에 폭이 좁은 목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의 리드 와이어.
KR10-2001-0073933A 2001-11-26 2001-11-26 리드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KR100459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933A KR100459489B1 (ko) 2001-11-26 2001-11-26 리드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933A KR100459489B1 (ko) 2001-11-26 2001-11-26 리드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982A KR20030042982A (ko) 2003-06-02
KR100459489B1 true KR100459489B1 (ko) 2004-12-03

Family

ID=2957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933A KR100459489B1 (ko) 2001-11-26 2001-11-26 리드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1725B2 (ja) * 2005-03-17 2010-08-11 エヌイーシー ショット 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感温ペレット型温度ヒューズ
KR100787154B1 (ko) * 2006-09-28 2007-12-21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자기복구형 퓨즈
US7843307B2 (en) 2007-10-05 2010-11-30 Nec Schott Components Corporation Thermal fuse employing thermosensitive pelle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01U (ja) * 1983-06-27 1985-01-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正特性サ−ミスタ装置
JPS6122307U (ja) * 1984-07-17 1986-02-08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正特性サ−ミスタ
JPH0386590A (ja) * 1989-08-30 1991-04-11 Fuji Photo Film Co Ltd 熱転写受像材料
JPH0386590U (ko) * 1989-12-22 1991-09-02
JPH0482801U (ko) * 1990-11-28 1992-07-20
US5801612A (en) * 1995-08-24 1998-09-01 Raychem Corporation Electrical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01U (ja) * 1983-06-27 1985-01-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正特性サ−ミスタ装置
JPS6122307U (ja) * 1984-07-17 1986-02-08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正特性サ−ミスタ
JPH0386590A (ja) * 1989-08-30 1991-04-11 Fuji Photo Film Co Ltd 熱転写受像材料
JPH0386590U (ko) * 1989-12-22 1991-09-02
JPH0482801U (ko) * 1990-11-28 1992-07-20
US5801612A (en) * 1995-08-24 1998-09-01 Raychem Corporation Electr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982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7368B2 (en) Protective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820143B2 (ja) 表面実装型小型ヒューズ
KR101688671B1 (ko) 보호 소자
US5777540A (en) Encapsulated fuse having a conductive polymer and non-cured deoxidant
US6094128A (en) Overload protected solid state varistors
JP2006164979A (ja) 広がったハンダを有する改善されたヒューズ
TWI490905B (zh) 保險絲及其製造方法
US11145480B2 (en) Fuse device
US4533896A (en) Fuse for thick film device
WO2014157585A1 (ja) ヒューズエレメント、及びヒューズ素子
US11640892B2 (en) Fuse element and protective element
WO2019138752A1 (ja) ヒューズ素子
EP4148763A2 (en) Surface mount fuse with solder link and de-wetting substrate
US20050083166A1 (en) Element for thermal fuse, thermal fuse and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0459489B1 (ko) 리드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과전류 차단용 폴리머 퓨즈
US20130164568A1 (en) Protective circuit module
JPH09306319A (ja) 過電圧・過電流保護装置
US10895609B2 (en) Circuit protection device with PTC element and secondary fuse
TWI514433B (zh) 表面貼著保險絲及具有表面貼著保險絲的結構
KR20030042980A (ko) Ptc 특성을 갖는 폴리머 퓨즈 및 그 제조방법
JP7149886B2 (ja) 半導体装置
CA1191178A (en) Fuse for thick film device
CN108231506B (zh) 小型熔断器及其制造方法
TWM602280U (zh) 保護元件
JP2544169Y2 (ja) 温度ヒュー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