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767B1 -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동시 적산이 가능한 건축물의 설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동시 적산이 가능한 건축물의 설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767B1
KR102391767B1 KR1020210105104A KR20210105104A KR102391767B1 KR 102391767 B1 KR102391767 B1 KR 102391767B1 KR 1020210105104 A KR1020210105104 A KR 1020210105104A KR 20210105104 A KR20210105104 A KR 20210105104A KR 102391767 B1 KR102391767 B1 KR 102391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area
specific
resource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오
강현택
황운종
Original Assignee
(주)하우코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우코스트 filed Critical (주)하우코스트
Priority to KR102021010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컴퓨터 장치에 기반한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은, 기본 자원들과 복합 자원들이 저장된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건축물의 설계 도면을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가 적산을 원하는 일 영역인 선택 영역을 상기 설계 도면 상에서 선택하는 단계,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건설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건설 자원을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 영역의 길이, 넓이, 또는 부피와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길이, 넓이, 또는 부피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필요한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수량과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가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대한 견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컴퓨터 장치 상에 표시된 상기 건축물이나 상기 설계 도면에서 상기 선택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된 건설 자원 정보와 적산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동시 적산이 가능한 건축물의 설계 시스템 및 방법{DESIG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S WHICH CAN ESTIMATE COST SIMULTANEOUSLY BASED ON CONSTRUCTION RESOURCE DATABAS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설계 및/또는 적산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은 형상 정보와 건설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설계된다. 형상 정보는 설계 도면에서 시각적으로 보이는 모습 또는 건설 자원의 외형을 의미한다. 건설 자원 정보는 건축물을 구성하는 자재들에 대한 품명, 규격, 단위, 제품 사진, 가격, 제조사 등을 포함하는 일반 정보와 일위대가, 단가산출, 견적단가 등 시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산(Estimate)이란 건축물의 공사에 소요되는 건설 자원들의 목록 및 수량을 산출하는 것을 의미하고, 내역서(Statement)란 상기 산출된 목록과 수량에 단가(가격)를 적용하여 산출된 공사비 정보를 의미한다.
최근 건설 분야에서 건설 정보 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적용 확대와 드론을 이용한 공사 현장 관리 등 다양한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다만, BIM 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들이 있다.
첫 번째로, 건설 자원 정보를 설계 도면 상에 수작업으로 하나씩 입력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두 번째로, 건설 자원 데이터와 형상 정보를 통합한 라이브러리(또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계 주체가 형상 정보를 확인 및 생성하고 건설 자원 정보를 이용한 적산/내역 과정을 별도로 적산 주체(예를 들어, 적산 사무소)에게 의뢰하여야 한다.
세 번째로, BIM에서 설계 도면을 변경하거나 편집하면 기존의 적산 내역은 의미가 없게 된다. 따라서, BIM을 통한 설계 변경시 변경된 건축물의 외형은 BIM 환경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 설계 변경된 건축물에 소요되는 건설 자원의 목록, 수량 또는 공사비를 다시 파악하기 위해서는 변경된 설계 도면에 대해서 재적산이 필요하다. 다만, 현재는 설계 주체와 적산 주체가 서로 다르고 설계 주체에 의해 설계가 완료되어야 이에 기반하여 적산 주체가 적산을 수행하므로, 설계 과정에서 설계 주체는 실무자의 경험적 지식에 의존하여 공사비를 예상할 수밖에 없다. 또한, 설계 변경과 적산과 내역서 생성이 반복되어 설계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적지 않고 시공 예상 비용과 실제 시공 비용 사이의 큰 오차가 발생함으로써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건축물의 설계는 도면을 작성함과 동시에 주어진 예산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설계와 적산 업무는 매우 강력하게 연결된 업무이지만 실무적으로는 두가지 업무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서 설계 후에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을 들여서 적산 업무를 진행하여야 하고, 설계 도면에 대한 자원이나 공사비 등 중요한 정보를 설계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 기술 문헌들은 이미 완성된 3차원 도면을 3차원 호환규정문서(IFC)를 변환하여 좌표 정보나 면적을 산정할 뿐이므로, 설계 과정에서 건설 자원 입력이나 적산이 수행되지 않을 뿐 아니라 건설 자원 입력과 적산 내역에 따라 3차원 도면이 생성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10-1558455 한국공개특허 10-2016-0025106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건축물의 형상 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자원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고, 실시간으로 건축물 또는 건축물의 일 영역의 시공 비용이 산출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기반한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은, 기본 자원들과 복합 자원들이 저장된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가 상기 건축물의 설계 도면을 획득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적산을 원하는 일 영역인 선택 영역을 상기 설계 도면 상에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건설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건설 자원을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 영역의 길이, 넓이, 또는 부피와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길이, 넓이, 또는 부피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필요한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수량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수량과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가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대한 견적이 산출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 장치 상에 표시된 상기 건축물의 모델이나 상기 설계 도면에서 상기 선택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된 건설 자원 정보와 상기 수량과 견적을 포함하는 적산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영역은, 실, 실의 벽면, 실의 천장면, 실의 바닥면, 실의 창호, 건축물의 옥상면, 또는 건축물의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 자원들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자재들에 대한 품명, 규격, 단위, 제품 사진, 가격, 제조사 등을 포함하는 자재 정보와 시공에 대한 노무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자원들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기본 자원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만든 건설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복합 자원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복합 자원을 구성하는 기본 자원들의 정보가 나타나도록 트리 구조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 장치의 외부에 별도로 위치하는 서버 컴퓨터 장치에 구축되고, 상기 서버 컴퓨터 장치는 상기 사용자를 포함한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신하는 건설 자원들을 취합하여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개별 컴퓨터 장치 노드들로 구성되는 분산 시스템으로 구현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 장치는 상기 분산 시스템에 노드로서 참여하고, 상기 분산 시스템에 참여하는 상기 사용자를 포함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건설 자원을 서로 공유함으로써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건설 자원을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선택 영역에 적합한 건설 자원이 없으면 사용자가 상기 기본 자원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복합 자원을 생성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복합 자원은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건설 자원을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 장치에 표시된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드롭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은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수량 결정과 견적 산출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 영역의 형상 정보, 입력된 상기 특정 건설 자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산출된 견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상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영역과 다른 영역에 대한 설계 및 적산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은 상기 건축물에 건설 자원이 입력되지 않거나 견적이 산출되지 않은 영역이 있으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창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의 설계 도면을 획득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정육면체 형태의 실의 설계 도면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 영역을 상기 설계 도면 상에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실의 벽면 영역 또는 창호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건설 자원을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벽체와 특정 창호를 선택하여 상기 벽면 영역과 상기 창호 영역에 각각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수량이 결정되는 단계는, 상기 벽면 영역에 상기 창호 영역이 위치하면, 상기 벽면 영역의 넓이에서 상기 창호 영역의 넓이를 공제한 넓이와 상기 벽체의 단위 넓이에 기반하여 상기 벽면 영역의 시공에 필요한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가 결정되는 단계와 상기 창호 영역의 넓이와 상기 특정 창호의 단위 넓이에 기반하여 상기 창호 영역의 시공에 필요한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영역에 대한 견적이 산출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 및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벽체와 상기 특정 창호의 가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벽면 영역과 상기 창호 영역에 대한 견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 영역은 상기 창호 영역이 있는 제1벽면과 상기 창호 영역이 없는 제2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수량이 결정되는 단계는, 상기 제1벽면의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 상기 제1벽면의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 상기 제2벽면의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 및 상기 제2벽면의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벽면의 상기 창호 영역을 상기 제2벽면으로 옮기도록 설계를 변경하는 단계, 및 설계가 변경되면, 상기 제1벽면의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 상기 제1벽면의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 상기 제2벽면의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 및 상기 제2벽면의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 정보가 각각 갱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건축물이나 각 실의 모습을 시각화한 형상 데이터를 확인하고 형상 데이터에 건설 자원을 입력함으로써 그에 따른 공사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주체에 의해 건축물의 내·외부 디자인과 배치 상황의 확인이 가능하고 공사 정보, 건설 자원, 비용 등에 대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건축물 설계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감소될 뿐 아니라 전문 지식이 없이도 설계와 적산 업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설계 변경시 변경되는 건설 자원 리스트와 적산 내역도 자동으로 변경되므로 설계에서부터 적산에 이르는 전반적인 과정이 간편해지고 정확한 건축 원가 관리가 가능하다.
도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설계와 적산이 동시에 가능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축된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가 획득한 설계 도면을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산이 필요한 실의 벽면과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도7의 실의 벽면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과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도7 또는 도8의 실의 벽면들에 대해 입력된 건설 자원의 종류, 건설 자원의 개수, 예상 견적 비용이 산출된 것을 나타낸다.
도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실의 설계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과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1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실의 설계가 변경됨에 따라 입력된 건설 자원의 종류, 건설 자원의 개수, 예상 견적 비용이 갱신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12a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도4의 선택 영역(SA) 창호와 벽체 정보가 입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12b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도12a의 설계 도면에 입력된 건설 자원들을 포함하는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13a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컴퓨터 장치에서 건축물의 일 영역이 선택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13b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도13a에서 선택된 일 영역의 속성 정보를 나타낸다.
도14a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14b는 일 실시 예에 따라, 2차원 레아이웃 정보에 건설 자원이 입력된 것을 나타낸다.
아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하, 통상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 예가 명확하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적산'이란 설계 도면으로부터 건축물의 공사에 소요되는 건설 자원의 목록 및 수량을 산출하는 것을 의미하고, '견적 산출'이란 상기 산출된 목록과 수량에 단가 내지 가격을 적용하여 시공비 내역서(Statement)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편의상 '적산'은 건설 자원의 목록 및 수량 산출과 견적 산출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적산은 구조, 마감, 토목, 조경, 전기, 설비, 통신 등으로 구분된다. 구조는 기초, 기둥, 벽, 슬라브, 보, 기타 모듈로 구성된 집합체를 의미하고, 마감은 구조물 위에 기능적ㆍ구조적ㆍ미적인 성능을 가진 재료를 동과 층, 실, 부위별로 위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중 '실(室, room)'이란, 건축물을 구성하는 하나의 구분 공간중 하나이다. 복수의 실들이 전개됨으로써 하나의 층이 구성될 수 있다. 실과 실 사이는 벽으로 구분되며, 벽은 내력벽과 비내력벽으로 구분된다. 벽은 마감재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실에는 창문이나 문과 같은 창호가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 실들 각각에 대해 설계와 적산을 수행함으로써 건축물 전체에 대한 설계와 적산을 수행할 수 있다. 건축물은 외벽과 옥상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외벽과 옥상에 대해서도 설계와 적산을 수행할 수 있다.
'속성 정보'란 건축물을 구성하는 기초, 기둥, 벽, 슬라브, 보, 마감, 창호 등을 나타내는 설계 정보의 선분, 면, 또는 3차원 객체에 부여된 형상 정보, 치수 정보, 면적 정보, 부피 정보, 건설 자원 정보, 산출된 견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설계와 적산이 동시에 가능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시스템(1000)에서 사용자는 건축물을 설계하면서 적산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건축물의 설계 후 적산 과정이 별도의 주체에 의해 따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설계 및 적산 내지 견적이 하나의 주체에 의해 동시에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설계에 따른 건축물의 형상 정보를 확인함과 동시에 그에 대응하는 건설 자원 정보와 적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하나의 주체에 의해 형상 정보와 적산 정보가 동시에 확인되므로, 실시간으로 건축물 또는 건축물의 일 영역(예를 들어, 실, 실들 각각의 벽면, 천장면, 바닥면, 창호, 실과 실 사이의 벽, 건축물의 옥상면, 건축물의 외벽, 건축물을 구성하는 하나의 층 등)의 시공 비용이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와 적산의 반복이 줄어들고 비교적 정확한 견적이 산출될 수 있으며 레이아웃만 수정하면 파라메트릭(parametric)하게 건설 자원이 입력된 형상 정보가 생성되고 적산이 동시에 수행되어 전문 지식이 없어도 쉽게 설계와 적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 장치(P)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설계하고 건축물을 설계하면서 적산 내지 견적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P)는 예로서, PC,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P)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ReRAM(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및 FRAM(Ferroelectrics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P)는 건축물 형상 설계 및 확인과 적산 작업이 가능한 소정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장치(P)는 서버(미도시)에 접속해 웹 기반으로 건축물 형상 설계 및 확인과 적산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시스템(1000)은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는 건축물의 건설에 필요한 각종 건설 자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클라우드, 메모리 장치, 서버 장치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는 수십만 종의 자재, 가격 정보와 해당하는 일위대가, 단가산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컴퓨터 장치(P) 상에 표시된 건축물의 일 영역에 건설 자원을 쉽게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건설 자원은 기본 자원과 복합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자원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무수히 많은 종류의 자재(철강류, 관류, 판재류, 선재류 등)들에 대한 품명, 코드(식별 코드), 규격(길이, 두께, 넓이, 폭 등), 단위, 제품 사진, 가격, 제조사 등을 포함하는 자재 정보와 시공에 대한 노무비 정보(예를 들어, 일위대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본 자원은 M2/M/MM/kg/L 등과 같은 표준 단위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표1은 기본 자원의 일 예(석고판 9.5mm 벽체)를 나타낼때 관련 제품 정보와 도면의 형상을 보여줄 수 있는 설계정보와 단위를 표준 단위로 환산하기 위한 환산계수, 환산단위를 표시해준다.
코드 A1250541
품명 일반석고판
규격/단위 900*1800*9.5MM/장
설계정보 T=9.5; W=900; L=1800;
환산계수
환산단위
1/0.9/1.8
M2(1장을 M2로 환산)
제품사진
라이브러리
Figure 112021092009186-pat00001
가격 1m2당 1,000원
제조사 K사
복합 자원들은 적어도 두 개의 기본 자원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만든 건설 자원들을 의미한다. 복합 자원은 실제 시공 과정에서 밀접하게 관련있고 일련의 기본 자원들의 조합에 기반한 구조물이나 시공을 나타내는 건설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박스'나 '커텐박스'는 철판을 여러 차례 굽혀서 만든 결과물이므로, 강판 + ㄱ형강 + 잡철물 제작설치 + 녹막이 페인트 + 유성페인트 등의 기본 자원들을 조합하여 등박스와 커텐박스에 대한 복합 자원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자원 '벽지 마감'은 석고판 나사 고정 + 벽지 마감 + 걸레받이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아래 표2는 복합 자원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복합 자원들 각각에도 코드(식별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코드 W01
구분 건축 > 내부 > 벽
품명 벽지 마감
복합명 석고보드9.5MM 2겹+ 벽지 마감(설계도면 생성시 명칭)
규격/단위 1m2
제품사진
Figure 112021092009186-pat00002
Figure 112021092009186-pat00003
Figure 112021092009186-pat00004
가격 1m2당 20,000원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는 사용자가 복합 자원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복합 자원을 구성하는 2차원, 3차원 좌표를 포함한 라이브러리 정보 또는 형상을 표현할 수 있는 설계 정보 및/또는 복합 자원을 구성하는 기본 자원들의 정보가 나타나도록 트리 구조로 구축될 수 있다. 즉, 복합 자원은 기본 자원들의 조합에 기반하므로, 복합 자원과 기본 자원을 상위 트리와 하위 트리로 각각 나타내는 트리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석고보드9.5MM 2겹+ 벽지 마감( : 복합자원코드 W01)' 복합 자원을 선택하면 선택된 복합 자원을 구성하는 기본 자원들이 나열되고 기본 자원들 중 하나(예를 들어, 석고판)를 선택하면 표1과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복합 자원들(200)은 건설 자원의 종류(창호, 내부/공용, 비내력벽, 외부, 계단 등)에 따라 분류될 수 있고, '내부/공용'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건설 자원인 '벽체'는 여러가지의 복합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자원 '면마무리+수성P3회(외부)'는 식별코드 'W090'를 갖고 3개의 기본 자원들(220)로 구성될 수 있다. 기본 자원들(220)의 식별코드는 각각 'ANS10000010S', 'AGA21100030S', 'ANC133410000'이고, 복합 자원 'W090'를 선택하면 복합 자원을 구성하는 기본 자원들(220)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는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P)의 내부 메모리에 구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P)와는 별도의 컴퓨터 장치인 외부 서버(미도시)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는 분산 시스템으로 구현되고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P)는 분산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드들 중 하나로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컴퓨터 장치(P)는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P)는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에 접근할 수 있다.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조달청이나 건설 자원협회와 같은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되는 자원 데이터나 건설 실무자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는 건설 자원들에 기반하여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가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는 조달청이나 건설물가협회와 같은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되는 자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파싱(Parsing)하거나 크롤링(Crawling)하여 구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들(도1의 사용자를 포함)이 각자 사용하는 건설 자원을 서버에 업로드하고, 서버는 이를 취합하여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를 생성, 확장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서버는 클라우드 또는 자원 공유플랫폼으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는 개별 컴퓨터(노드)들로 구성되는 분산 시스템(피어 투 피어(Peer-to-Peer), 미도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분산 시스템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들(도1의 사용자를 포함)은 건설 자원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들은 각자 자신이 사용하는 건설 자원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다른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자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분산 시스템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많아질수록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의 데이터량은 무한히 커지고 확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에 자신이 원하는 복합 자원이 없으면 새로운 복합 자원을 생성하고 이를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나중에 기 등록된 복합 자원을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본 자원 역시 새로운 기본 자원이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고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될 수 있다. 새로운 기본 자원이나 복합 자원은 사용자의 로컬 컴퓨터(P)의 메모리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의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에도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시스템(1000)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많아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DB)가 무한히 확장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P)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기반한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3 내지 13b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방법은 도1 내지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시스템(1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3을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는 건축물의 건설에 필요한 각종 건설 자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기본 자원들과 복합 자원들로 구성될 수 있다.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은 도1 내지 2를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건축물에 대한 설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설계 정보를 읽어오거나 읽어온 설계 정보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설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설계 정보는 실들 각각에 대한 형태 정보, 구조 정보, 수치 정보, 창호의 위치 정보, 창호의 수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설계 정보는 3차원 도면의 기초가 되는 2D 레이아웃 도면을 도식화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설계 정보는 설계 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설계 도면은 예로서, 3차원도면이나 캐드(CAD) 도면일 수 있다. 설계 도면은 건축물의 프레임(fram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정보는 건축물의 골조(구조) 정보로서 층의 개수, 건축물의 기둥, 보, 슬라브, 각 층의 실들의 전개도, 각 실의 형태와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가 획득하는 설계 정보의 예는 도4의 도면(D 또는 SA), 도12a의 도면, 도 14b의 실(14000)의 도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 S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가 획득한 설계 도면을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읽어온 설계 도면을 편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의 형태나 크기 정보를 수정하고 읽어온 설계 도면의 창호의 위치나 크기를 변경하거나 읽어온 설계 도면의 창호를 삭제하거나 창호가 없는 벽면에 창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3을 참조하면, 단계 S30에서, 사용자는 설계 정보에서 일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 영역에 건설 자원을 입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선택 영역에 대한 적산이 수행될 수 있다. 선택 영역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일 영역으로서 사용자가 건설 자원을 입력하고 적산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위이다. 선택 영역은 단계 S20에서 획득된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 실의 벽면, 천장면, 바닥면, 창호, 실과 실 사이의 벽, 상기 건축물의 옥상면, 외벽, 상기 건축물을 구성하는 하나의 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설계 도면(D)에서 일 영역(SA)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 영역은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 상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선택 영역에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건설 자원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의 벽면에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특정 벽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의 창호에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특정 창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나열된 건설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드래그(Drag)하여 선택 영역에 드롭(Drop)함으로써 건설 자원을 입력할 수 있다. 선택 영역에 건설 자원을 입력하는 방법은 도5 내지 13b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건설 자원이 입력되면 선택 영역에 대한 건설 자원의 수량이 결정되고 결정된 수량과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의 단가 내지 가격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 영역에 대한 견적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면의 넓이에서 창호의 넓이를 공제한 넓이와 특정 벽체의 단위 넓이에 기반하여 상기 벽면 시공에 소요되는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가 결정되고 견적이 산출될 수 있다. 또는, 창호의 넓이와 특정 창호의 단위 넓이에 기반하여 상기 창호 시공에 소요되는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가 결정되고 견적이 산출될 수 있다.
단계 S40에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건축물에 건설 자원이 입력되지 않거나 적산이 수행되지 않은 영역이 있는지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에 건설 자원이 입력되지 않거나 견적이 산출되지 않은 영역이 있으면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는 사용자에게 경고창을 출력하고 해당 영역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ID)를 표시하거나 해당 영역을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건설 자원이 입력되지 않거나 적산이 누락된 영역이 있으면(Yes), 사용자는 해당 영역에 대해 건설 자원을 입력하고 해당 영역에 대해 적산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50에서, 건축물의 모든 영역에 대해 건설 자원이 입력되고 적산이 수행되면(No),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는 완성된 전체 건축물의 형상 정보를 건설 자원 및 적산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완성된 전체 건축물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나 방향에서 볼 수 있는 삼차원 모델로 나타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도면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건축물의 일 영역을 선택하면 현재 선택된 일 영역에 대한 건설 자원의 종류, 건설 자원의 수량, 산출된 견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적산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선택되는 일 영역은 이차원 객체(선분이나 면) 또는 삼차원 객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3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컴퓨터 장치의 화면 상에서 건축물의 일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영역에 입력된 건설 자원 정보(도13b)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3의 실시 예에서, 건축물의 모든 영역에 대해 건설 자원이 입력되어야 사용자가 건축물의 형상 정보와 적산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반드시 모든 영역에 건설 자원이 입력되고 적산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는 현재까지 생성된 건축물의 형상 정보와 건설 자원 및 견적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건설 자원이 입력되지 않거나 견적이 산출되지 않은 영역에 대해서는 형상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3의 단계 S40이 생략되고 단계 S50에서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는 건설 자원 정보가 입력된 일 영역에 대한 형상 정보(예를 들어, 상세 도면, 3차원 도면)를 건설 자원 및/또는 적산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5의 흐름도가 나타내는 방법은 도3의 흐름도가 나타내는 방법을 구성하는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은 도2를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200에서,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는 건축물에 대한 설계 도면을 획득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설계 도면은 실들 각각에 대한 형태 정보, 실들 각각에 대한 수치 정보, 창호의 위치 정보, 창호의 수치 정보, 전개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4). 설계 도면을 획득하는 것은 도3의 단계 S20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300에서, 사용자는 적산을 원하는 일 영역인 선택 영역을 설계 도면 상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일 영역을 선택하는 것은 도3의 단계 S30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는 컴퓨터 장치 상에 표시된 설계 도면의 선분, 면, 또는 삼차원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적산의 대상이 되는 선택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 영역은 하이라이트되거나 확대될 수 있고 건설 자원이 입력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단계 S400에서, 사용자는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건설 자원을 선택 영역에 입력할 수 있다. 예로서, 도7와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실(K)의 벽면1과 벽면2에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특정 벽체 정보(R3)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K)의 창호에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특정 창호 정보(R1)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나열된 건설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를 드래그(Drag)하여 선택 영역에 드롭(Drop)함으로써 건설 자원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나열된 건설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또는, 일 영역)를 선택한 상태에서 선택된 건설 자원이 입력될 영역(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설 자원)을 선택함으로써 선택 영역에 특정 건설 자원이 입력될 수 있다.
다시 도5를 참조하면, 단계 S500에서, 선택 영역에 대한 건설 자원의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선택 영역의 길이, 넓이, 부피 등과 입력된 건설 자원의 단위 길이, 단위 넓이, 단위 부피 등에 기반하여 선택 영역에 필요한 건설 자원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도7을 참조하면, 벽면1의 넓이(L1 X H)에서 창호의 넓이(S1)를 공제한 넓이(L1 X H - S1)와 벽체(R3)의 단위 넓이(S1)에 기반하여 벽면1의 시공에 소요되는 벽체(R3)의 개수(10개)가 산출될 수 있다. 또는, 벽의 두께와 벽면의 넓이에 기반하여 결정된 벽의 부피와 특정 시멘트 벽돌의 단위 부피에 기반하여 벽의 시공에 소요되는 특정 시멘트 벽돌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도5를 참조하면, 단계 S600에서, 단계 S500에서 산출된 건설 자원의 수량과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건설 자원의 단가 내지 가격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 영역에 대한 견적이 산출될 수 있다. 예로서, 도7을 참조하면, 벽면1 시공에는 벽체(R3) 10개가 소요되므로 예상 견적은 800,000원이다.
단계 S700에서, 사용자가 다른 영역에 적산을 수행하고자 한다면(Yes), 설계 도면 상에서 적산을 수행하고자 하는 다른 영역이 새롭게 선택될 수 있다(단계 S300). 새롭게 선택된 영역에 대한 적산이 단계 S300 내지 S600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 S300 내지 S600에 따라 이전에 생성된 제1영역의 속성 정보(제1영역의 형상 정보, 입력된 건설 자원 정보, 산출된 견적 정보 등)가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나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새롭게 선택된 제2영역에 대해 상기 저장된 제1영역의 속성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영역에 대해 설계와 적산이 완료되어 속성 정보가 부여되면 동일한 작업이 요구되는 다른 영역에 대해서는 이전에 생성된 속성 정보를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건설 자원 입력이나 적산과 같은 계산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7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건설 자원이 입력되지 않거나 적산 정보가 생성되지 않은 건축물의 다른 영역이 있는지 탐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적산 내지 견적 정보가 생성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에 건설 자원이 입력되지 않거나 견적이 산출되지 않은 영역이 있으면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는 사용자에게 경고창을 출력하고 해당 영역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ID)를 표시하거나 해당 영역을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새로운 영역을 선택하지 않으면(No),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선택된 임의의 영역에 대해 속성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800). 또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선택된 임의의 영역에 대한 형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건설 자원 입력과 적산이 완료된 영역에 대해서는 가상의 최종적인 형상 정보가 생성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 상에 나타난 건축물의 임의의 영역을 선택하고 현재 선택된 영역의 속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컴퓨터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건축물이나 단계 S200에서 획득된 설계 도면에서 일 영역(예를 들어, 단계 S300에서 선택되었던 영역)을 마우스 호버링(hobering)하거나 클릭함으로써 선택하면 선택 영역에 입력된 건설 자원 정보(건설 자원의 식별코드, 종류, 제조사, 단위 크기 등)와 적산 정보(건설 자원 수량 정보, 산출된 견적 정보 등)가 화면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선택 영역에 입력된 건설 자원이 복합 자원이라면 도13b와 같이 복합 자원에 대한 내용과 복합 자원을 구성하는 기본 자원들이 트리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6의 흐름도는 건축물의 하나의 실의 벽면과 창호에 대한 적산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도5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가 될 수 있다. 도6의 단계 S1010은 도5의 단계 S300의 일 실시 예이고, 도6의 단계 S1020은 도5의 단계 S400의 일 실시 예이다. 도6의 단계 S1030은 도5의 단계 S500 내지 S600의 일 실시 예일 수 있다.
단계 S1010에서, 사용자는 적산을 원하는 실의 벽면을 자신의 컴퓨터 장치에 표시된 설계 도면 상에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상에 표시된 2차원 도면의 선분 또는 면을 선택하거나 3차원 도면의 면을 선택함으로써 실의 벽면을 선택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벽면은 가로길이(L1), 세로길이(L2), 높이(H)의 정육면체 형태의 실(K)의 벽면1(크기 : L1 X H) 또는 벽면2(크기 : L2 X H)일 수 있다. 설계 도면을 참조하면, 벽면1에는 LD X HD 크기의 창호(문, 점선으로 표시)이 위치하고, 벽면2에는 창호가 위치하지 않는다. 도7은 실(K)의 정면도(front view)에 의해 나타나는 벽면1과 우측면도(right view)에 의해 나타나는 벽면2를 나타낸다.
단계 S1020에서, 사용자는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벽체 또는 특정 창호를 벽면1 또는 벽면2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벽체(R3)를 벽면1와 벽면2로 드래그 앤 드롭함으로써 벽면1과 벽면2에 벽체 (R3)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창호(R1)를 벽면1의 창호 영역에 드래그 앤 드롭함으로써 벽면1의 창호 영역에 창호(R1)를 입력할 수 있다. 도7은 실(K)의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활용하여 벽면1(창호 포함)과 벽면2에 건설 자원을 입력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8은 평면도(plane view)를 활용하여 벽면1(창호 포함)과 벽면2에 건설 자원을 입력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다시 도6을 참조하면, 단계 S1030에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벽면의 시공에 소요되는 건설 자원 수량과 견적을 산출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벽면1의 넓이에서 창호의 넓이를 공제한 넓이(L1 X H - LD X HD)와 벽체(R3)의 넓이(S3)에 기반하여 벽면1의 벽체 시공에 벽체(R3) 10개가 소요됨을 산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벽면1의 창호의 넓이(LD X HD)와 창호(R1)의 넓이(S1)에 기반하여 벽면1의 창호 시공에 창호(R1) 1개가 소요됨을 산출할 수 있다(LD X HD = S1으로 가정). 벽면1의 전체 예상 견적은 1,000,000원(벽체 견적(80,000원 X 10개) + 창호 견적(200,000원 X 1개))로 산출될 수 있다(도9 참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벽면2의 넓이(L2 X H)와 벽체(R3)의 넓이(S3)에 기반하여 벽면2의 벽체 시공에 벽면2의 벽체 시공에 벽체(R3) 8개가 소요됨을 산출할 수 있다. 벽면2의 전체 예상 견적은 640,000원(벽체 견적(80,000원 X 8개))로 산출될 수 있다(도9 참조).
단계 S1040에서, 사용자는 실의 설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1030에서 산출된 견적이 예상보다 너무 비싸거나 저렴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설계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설계가 변경될 수도 있다. 설계 변경은 창호가 없는 벽면에 창호를 새롭게 만들거나 기존 벽면에 위치하던 창호를 다른 벽면으로 옮기거나 삭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설계 변경은 벽면의 크기나 창호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벽면과 창호에 이미 건설 자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설계가 변경되므로 시공에 필요한 건설 자원의 개수가 달라지고 산출된 견적에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도10과 도11을 같이 참조하면, 사용자는 벽면1의 창호를 벽면2로 옮기는 설계 변경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설계가 변경되면 벽면1의 창호는 삭제되고 벽면2에는 창호(R1)가 새롭게 생성된다. 따라서, 벽면1의 벽체 시공이 필요한 부분의 넓이는 L1 X H - LD X HD에서 L1 X H로 갱신되고 필요한 벽체의 개수는 10개에서 12개로 변동될 수 있다. 예상 견적 역시 1,000,000원에서 960,000원(벽체 견적(80,000원 X 12개))으로 변동될 수 있다. 벽면2의 벽체 시공이 필요한 부분의 넓이는 L2 X H에서 L2 X H - LD X HD 로 갱신되고 필요한 벽체의 개수는 8개에서 6개로 변동될 수 있다. 벽면2의 창호 시공에는 창호(R1) 1개가 필요하다. 예상 견적은 640,000원에서 680,000원(벽체 견적(80,000원 X 6개) + 창호 견적(200,000원 X 1개))으로 변동될 수 있다.
설계 변경이 되면(Yes), 건축물을 구성하는 객체들의 길이, 넓이, 부피 등이 자동으로 수정되고 건설 자원의 수량과 견적이 자동으로 재산출되어 갱신되므로 설계 변경에 따른 시공 비용을 예측하기 쉽고 추가적인 적산에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설계 변경에 따라 최종적인 실의 모습을 나타내는 3차원 형상 정보가 생성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12a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도12b의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도4의 선택 영역(SA)에 창호와 벽체 정보가 입력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다.
도12a와 12b를 함께 참조하면, 선택 영역(SA)의 창호 영역에는 도12b의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 내의 창호(식별코드 AW06 또는 AW07)가 입력되었고 벽체 영역에는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 내의 벽체(식별코드 W020, W070, W090)가 입력되었다. 도12a에는 설계 도면과 입력된 건설 자원이 함께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형상 정보에 건설 자원을 편리하게 입력하고 형상 정보와 건설 자원 정보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제1실과 제2실을 분리하기 위해 존재하는 벽은 양면(제1실 쪽의 벽면과 제2실쪽의 벽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실의 벽면과 제2실의 벽면이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벽체로 시공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이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12a를 참조하면, 제1실과 제2실은 하나의 벽에 의해 구분될 수 있고, 제1실의 우측 벽면에는 벽체(W090)가 입력되고 제2실의 좌측 벽면에는 벽체(W070)가 입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이를 구분하기 위해 건설 자원의 식별코드와 함께 방향 정보를 나타내는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14a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14a의 흐름도가 나타내는 방법은 도3의 흐름도가 나타내는 방법을 구성하는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3의 단계 S20, S30, 및 S50 은 도14a의 단계 S2000, S3000, 및 S400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은 도3의 단계 S10, S20, S30, 및 S50을 포함하고(S40이 생략), 도3의 S20, S30, 및 S50은 도14a의 단계 S2000, S3000, 및 S400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는 2차원 레이아웃 도면을 도식화한 정보(이하, 2차원 레이아웃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2차원 레이아웃 정보는 2차원 도면으로서 슬라브, 기둥, 벽, 보, 계단, 기초 등을 선분이나 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14b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획득된 2차원 레이아웃 정보를 나타낸다. 도14b를 참조하면, 2차원 레이아웃 정보는 임의의 실(14000)을 구성하는 기둥, 벽, 슬라브, 보, 및 창호를 선분으로 표시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00에서, 사용자는 2차원 레이아웃 정보에 건설 자원들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2차원 레이아웃 정보의 선분이나 면에 건설 자원을 입력할 수 있다.
슬라브에는 제1복합 자원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슬라브를 나타내는 사각형 선분에 제1복합 자원을 입력함으로써 슬라브의 속성을 입력할 수 있다.
창호에는 제2복합 자원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창호를 나타내는 사각형 선분에 제2복합 자원을 입력함으로써 창호의 속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창호의 시공에 소요되는 제2복합 자원의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벽에는 제3복합 자원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내력벽을 나타내는 중심선에 제3복합 자원을 입력함으로써 내력벽의 속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벽의 시공에 소요되는 제3복합 자원의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벽의 마감재에는 제4복합 자원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내력벽을 나타내는 중심선에 제4복합 자원을 입력함으로써 벽의 마감재의 속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벽의 마감의 시공에 소요되는 제4복합 자원의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보의 마감재에는 제5복합 자원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보를 나타내는 선분에 제5복합 자원을 입력함으로써 보의 마감재의 속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보의 시공에 소요되는 제5복합 자원의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4000에서,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는 실(14000)에 대해 상세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상세 도면은 단계 S3000에서 입력된 속성에 따라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가상의 형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의 가상의 마감선이 생성되고, 바닥, 천장의 마감선 등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보의 부피를 표현하는 외곽선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산을 수행하거나 건물의 형상 정보를 생성할 때 두 개 이상의 부재(기둥, 벽, 슬라브, 보, 또는 창호)가 접합함으로써 생기는 부피나 면적을 고려하여 각각의 부재의 시공에 필요한 부피나 면적을 공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4b의 실(14000)의 기둥(또는, 보)의 건설 자원으로서 '시멘트모르타르 18T' 의 복합 자원이 입력되면, 기둥(또는, 보)과 벽이 만나는 부분에 대해서는 '시멘트모르타르 18T'의 시공이 제외될 수 있고 이것이 적산 수행과 가상의 형상 정보 생성에 반영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도5 내지 9의 벽면 시공에 소요되는 건설 자원의 수량을 결정하기 위해 창호 면적을 공제하는 것과 유사하다.
한편, 상술한 방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설명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들 및 동작들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위 실시 예들을 단순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얻어질 수 있는 구현들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을 앞으로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달성될 수 있는 구현들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기반한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에 있어서,
    기본 자원들과 복합 자원들이 저장된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가 상기 건축물의 설계 도면을 획득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적산을 원하는 일 영역인 선택 영역을 상기 설계 도면 상에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건설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건설 자원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상기 설계 도면 상의 상기 선택 영역에 드롭하는 방법으로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 영역의 길이, 넓이, 또는 부피와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길이, 넓이, 또는 부피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필요한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수량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수량과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가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대한 견적이 산출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 장치 상에 표시된 상기 건축물의 모델이나 상기 설계 도면에서 상기 선택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된 건설 자원 정보와 상기 수량과 견적을 포함하는 적산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영역은, 실, 실의 벽면, 실의 천장면, 실의 바닥면, 또는 실의 창호로서 상기 설계 도면 상의 선분 또는 면이고,
    상기 기본 자원들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자재들에 대한 품명, 식별 코드, 규격, 단위, 제품 사진, 가격, 제조사를 포함하는 자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자원들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기본 자원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만든 건설 자원들로서, 상기 복합 자원들 각각은 식별 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복합 자원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복합 자원을 구성하는 기본 자원들의 정보가 나타나도록 트리 구조로 구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건설 자원을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선택 영역에 적합한 건설 자원이 없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본 자원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복합 자원을 생성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복합 자원은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저장되는 설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은 제1실과 제2실을 분리하기 위해 존재하는 벽의 양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실과 상기 제2실에는 서로 다른 식별코드를 갖는 건설 자원이 각각 입력되고, 상기 컴퓨터 장치 상에 상기 양면 각각에 입력된 건설 자원을 서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 장치의 외부에 별도로 위치하는 서버 컴퓨터 장치에 구축되고, 상기 서버 컴퓨터 장치는 상기 사용자를 포함한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신하는 건설 자원들을 취합하여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개별 컴퓨터 장치 노드들로 구성되는 분산 시스템으로 구현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 장치는 상기 분산 시스템에 노드로서 참여하고,
    상기 분산 시스템에 참여하는 상기 사용자를 포함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건설 자원을 서로 공유함으로써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수량 결정과 견적 산출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 영역의 형상 정보, 입력된 상기 특정 건설 자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산출된 견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상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영역과 다른 영역에 대한 설계 및 적산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
  8. 삭제
  9.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기반한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에 있어서,
    기본 자원들과 복합 자원들이 저장된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가 상기 건축물을 구성하는 정육면체 형태의 실의 설계 도면을 획득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적산을 원하는 일 영역인 선택 영역을 상기 설계 도면 상에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건설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건설 자원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드롭하는 방법으로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 영역의 길이, 넓이, 또는 부피와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길이, 넓이, 또는 부피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필요한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수량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수량과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가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대한 견적이 산출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 장치 상에 표시된 상기 설계 도면에서 상기 선택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된 건설 자원 정보와 상기 수량과 상기 견적을 포함하는 적산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자원들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자재들에 대한 품명, 식별 코드, 규격, 단위, 제품 사진, 가격, 제조사를 포함하는 자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자원들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기본 자원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만든 건설 자원들로서, 상기 복합 자원들 각각은 식별 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복합 자원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복합 자원을 구성하는 기본 자원들의 정보가 나타나도록 트리 구조로 구축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 영역을 상기 설계 도면 상에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실의 벽면 영역 또는 창호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건설 자원을 상기 선택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벽체와 특정 창호를 선택하여 상기 벽면 영역과 상기 창호 영역에 각각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수량이 결정되는 단계는,
    상기 벽면 영역의 넓이에서 상기 창호 영역의 넓이를 공제한 넓이와 상기 벽체의 단위 넓이에 기반하여 상기 벽면 영역의 시공에 필요한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가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창호 영역의 넓이와 상기 특정 창호의 단위 넓이에 기반하여 상기 창호 영역의 시공에 필요한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영역에 대한 견적이 산출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 및 상기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벽체와 상기 특정 창호의 가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벽면 영역과 상기 창호 영역에 대한 견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벽면 영역은 상기 창호 영역이 있는 제1벽면과 상기 창호 영역이 없는 제2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건설 자원의 수량이 결정되는 단계에서 상기 제1벽면의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 상기 제1벽면의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 상기 제2벽면의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 및 상기 제2벽면의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가 결정되고,
    상기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벽면의 상기 창호 영역을 상기 제2벽면으로 옮기도록 설계를 변경하는 단계; 및
    설계가 변경되면, 상기 제1벽면의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 상기 제1벽면의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 상기 제2벽면의 상기 특정 벽체의 개수, 및 상기 제2벽면의 상기 특정 창호의 개수 정보가 각각 갱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의 적산을 포함하는 설계 방법.
  10. 삭제
KR1020210105104A 2021-08-10 2021-08-10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동시 적산이 가능한 건축물의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391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104A KR102391767B1 (ko) 2021-08-10 2021-08-10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동시 적산이 가능한 건축물의 설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104A KR102391767B1 (ko) 2021-08-10 2021-08-10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동시 적산이 가능한 건축물의 설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767B1 true KR102391767B1 (ko) 2022-04-29

Family

ID=8142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104A KR102391767B1 (ko) 2021-08-10 2021-08-10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동시 적산이 가능한 건축물의 설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76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558A (ko) * 2000-09-22 2002-03-29 정지태 표준주택모델을 이용한 맞춤형 건축시스템
KR20020064510A (ko) * 2001-02-02 2002-08-09 (주)새암건축 실적공사비를 이용한 건축공사비 산출과 분석방법
KR20120076574A (ko) * 2010-12-03 2012-07-09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도면 파일 분석에 의한 구조물 공사비용 산출 방법, 그 장치 및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558455B1 (ko) 2015-01-14 2015-10-2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Bim기반의 건축물 유형별 면적 산출방법
KR20160025106A (ko) 2014-08-26 2016-03-08 주식회사 파이브디위드 Bim을 활용한 건축 적산 3d 모델링 시스템
WO2016060320A1 (ko) * 2014-10-16 2016-04-21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설계적산결과 표시장치 및 설계적산결과 표시방법
KR102038043B1 (ko) * 2019-03-15 2019-10-30 주식회사 고려적산사무소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558A (ko) * 2000-09-22 2002-03-29 정지태 표준주택모델을 이용한 맞춤형 건축시스템
KR20020064510A (ko) * 2001-02-02 2002-08-09 (주)새암건축 실적공사비를 이용한 건축공사비 산출과 분석방법
KR20120076574A (ko) * 2010-12-03 2012-07-09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도면 파일 분석에 의한 구조물 공사비용 산출 방법, 그 장치 및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60025106A (ko) 2014-08-26 2016-03-08 주식회사 파이브디위드 Bim을 활용한 건축 적산 3d 모델링 시스템
WO2016060320A1 (ko) * 2014-10-16 2016-04-21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설계적산결과 표시장치 및 설계적산결과 표시방법
KR101558455B1 (ko) 2015-01-14 2015-10-2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Bim기반의 건축물 유형별 면적 산출방법
KR102038043B1 (ko) * 2019-03-15 2019-10-30 주식회사 고려적산사무소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1405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building options configurator
KR101752913B1 (ko) Bim을 이용한 건물 시공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Logothetis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for cultural heritage: a review
Song et al. Development of a BIM-based structural framework optimization and simulation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Bansal et al. Potenti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building cost estimation and visualization
Jiang Developments in cost estimating and scheduling in BIM technology
JP2018063519A (ja) 3次元間取り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法
Machete et al.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two heritage BIMs for reconstruction support and facility management: The case study of the Chalet of the Countess of Edla, Sintra, Portugal
JP6749156B2 (ja) 建築設計施工計画方法及び建築設計施工計画システム
Agustín et al. Virtual reconstruction in BIM technology and digital inventories of heritage
US11263372B2 (en) Method for providing details to a computer aided design (CAD) model,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 server therefore
Continenza et al. HBIM for the archaeology of standing buildings: Case study of the Church of San Cipriano in Castelvecchio Calvisio (L’Aquila, Italy)
JP6395092B2 (ja) 光環境設計支援装置、光環境設計支援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102391767B1 (ko)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동시 적산이 가능한 건축물의 설계 시스템 및 방법
JP2002117080A (ja) 建築数量積算連動cadシステム
CN115455554B (zh) 建筑辅助设计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计辅助设备
JP2002197126A (ja) 建築設計施工管理システム
KR101142384B1 (ko) 마감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마감재의 설계 방법
Collins Incorporating BIM into architectural precast concrete fabrication
JP2021162995A (ja) 建築用システム
Wang et al. Cost estimation model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virtual reality for customizing presold homes
Xie et al. Incorpor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nto the super high-rise industrialized housing project: A case study
Szeląg et al. BIM in general construction
KR102671894B1 (ko) 웹 기반의 건축 설계 의사결정 지원 방법 및 시스템
Liang et al. Research on the Technical Integration of Heterogeneous Materials in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