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043B1 -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043B1
KR102038043B1 KR1020190029590A KR20190029590A KR102038043B1 KR 102038043 B1 KR102038043 B1 KR 102038043B1 KR 1020190029590 A KR1020190029590 A KR 1020190029590A KR 20190029590 A KR20190029590 A KR 20190029590A KR 102038043 B1 KR102038043 B1 KR 102038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integration
construction
drawings
out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적산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적산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적산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2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적산DB 및 견적 DB와 연동되는 적산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적산제공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적산 제공방법은 대상 건축물에 대한 도면 및 시방서를 입력받고, 상기 대상 건축물 중 적어도 일부 구성에 대한 복수의 선택적 시방서를 입력받는 기초정보 입력 단계; 상기 도면 및 시방서로부터 기 설정된 데이터 형식의 공사 개요, 마감재료표, 공사비 산출의 기초데이터, 공사 내역서 및 시공방법을 결정하는 표준화 단계;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와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대상 건축물을 섹터별로 구분하는 구조 검토 단계; 상기 도면을 상기 대상 건축물의 섹터 개별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섹터별로 구분된 도면 중 구조물의 표면정보만을 추출하여 섹터별 외형도를 작성하고, 상기 섹터별 구분된 도면 중 구조물의 전체 3D 도면이 저장된 구조물 3D 도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대상 건축물을 섹터별로 적산하는 적산 단계; 상기 섹터별 외형도 및 상기 구조물 3D 도면 데이터 베이스 중 적산항목에 대응하는 3D 데이터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전자 적산보고서를 작성하는 전자 보고서 작성 단계; 및 상기 작성된 전자 적산보고서에 따른 견적서를 작성하는 견적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 검토 단계에서는 상기 시방서에 기초한 시공형태에 따른 구조물의 종류를 우선하고, 이에 건축 자재의 종류를 반영하여 섹터를 구분하며,
상기 외형도 작성 단계에서는, 특정위치의 시점 및 광원에 따른 상기 섹터별 외형도에 대한 명암 상태를 나타내는 필터를 작성하는 필터작성 단계; 상기 특정 위치의 시점에서의 외형도에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외형도에 대응하는 마감재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마감재에 대응하는 텍스타일을 적용하는 텍스타일 적용단계; 및 상기 텍스타일이 적용된 외형도에 상기 작성된 필터를 합성하여 섹터별 조감도를 작성하는 섹터별 조감도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정보 입력 단계에서는 상기 대상 건축물 중 적어도 일부 구성에 대한 복수의 선택적 시방서를 입력받는다.

Description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 제공방법{Providing method of building cost estimate}
본 발명은 복수의 조건에 대한 정보제공을 통하여 선택이 용이한 건축적산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빌딩 등을 신축하기에 앞서 부지를 선정하고 용도에 맞도록 설계를 한 다음 시공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 설계를 하기 전 또는 설계 후에 실제 시공에 투입될 건축재료의 수량을 예상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건축적산은 지금까지 설계자 또는 시공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산출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구비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산출했던 것이 보통이다.
또한, 산출 수량에 기초하여 건축 시공에 소요되는 재료비와 건축자재 및 인건비 등에 대한 사전 견적도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건축적산과 견적은 건축의 기획단계에서 코스트 플래닝(Cost Planning), 시공 비용 제어 및 건물 완성의 유지 관리 비용의 경제성 추구 등 종합기술로서 적산 업무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러한 업무는 경제학, 통계학, 도시공학 등의 기초적인 소양이나 건설 산업론, 건축 생산론, 원가 계산론 등에 대해서 충분한 지식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특허문헌 1) KR10-2001-0007721 A
본 발명은 도면 및 시방서를 기초로 대상 건축물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섹터별 적산을 수행하고 도면의 누락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건축적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마감재와 시공형태에 따른 복수의 적산 보고서를 제공하고, 각 선택에 대한 개략적인 조감도를 참고할 수 있는 건축적산 방법을 제공한다.
적산DB 및 견적 DB와 연동되는 적산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적산제공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적산 제공방법은 대상 건축물에 대한 도면 및 시방서를 입력받고, 상기 대상 건축물 중 적어도 일부 구성에 대한 복수의 선택적 시방서를 입력받는 기초정보 입력 단계; 상기 도면 및 시방서로부터 기 설정된 데이터 형식의 공사 개요, 마감재료표, 공사비 산출의 기초데이터, 공사 내역서 및 시공방법을 결정하는 표준화 단계;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와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대상 건축물을 섹터별로 구분하는 구조 검토 단계; 상기 도면을 상기 대상 건축물의 섹터 개별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섹터별로 구분된 도면 중 구조물의 표면정보만을 추출하여 섹터별 외형도를 작성하고, 상기 섹터별 구분된 도면 중 구조물의 전체 3D 도면이 저장된 구조물 3D 도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대상 건축물을 섹터별로 적산하는 적산 단계; 상기 섹터별 외형도 및 상기 구조물 3D 도면 데이터 베이스 중 적산항목에 대응하는 3D 데이터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전자 적산보고서를 작성하는 전자 보고서 작성 단계; 및 상기 작성된 전자 적산보고서에 따른 견적서를 작성하는 견적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 검토 단계에서는 상기 시방서에 기초한 시공형태에 따른 구조물의 종류를 우선하고, 이에 건축 자재의 종류를 반영하여 섹터를 구분하며,
상기 외형도 작성 단계에서는, 특정위치의 시점 및 광원에 따른 상기 섹터별 외형도에 대한 명암 상태를 나타내는 필터를 작성하는 필터작성 단계; 상기 특정 위치의 시점에서의 외형도에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외형도에 대응하는 마감재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마감재에 대응하는 텍스타일을 적용하는 텍스타일 적용단계; 및 상기 텍스타일이 적용된 외형도에 상기 작성된 필터를 합성하여 섹터별 조감도를 작성하는 섹터별 조감도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정보 입력 단계에서는 상기 대상 건축물 중 적어도 일부 구성에 대한 복수의 선택적 시방서를 입력받는다.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상기 3D 도면 데이터 베이스 중 적산항목에 대응하는 3D 데이터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주소가 호출되는 경우 호출된 적산 항목에 대응하는 3D 데이터를 포함하는 3D 도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보고서에 포함되는 섹터별 외형도는 상기 섹터별 조감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형도 작성 단계에서는, 특정위치의 시점 및 광원에 따른 상기 섹터별 외형도에 대한 명암 상태를 나타내는 필터를 작성하는 필터작성 단계; 상기 특정 위치의 시점에서의 외형도에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외형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마감재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복수의 마감재에 대응하는 텍스타일을 상기 마감재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섹터별 외형도에 각각 적용하는 텍스타일 적용단계; 및 상기 텍스타일이 적용된 복수의 외형도에 각각 상기 작성된 필터를 합성하여 복수의 섹터별 조감도를 작성하는 섹터별 조감도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선택적 시방서로부터 특정 섹터에 복수의 시공형태가 있는 경우 상기 외형도 작성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섹터에 대하여 복수의 외형도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면 및 시방서를 기초로 대상 건축물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섹터별 적산을 수행하고 도면의 누락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마감재와 시공형태에 따른 복수의 적산 보고서를 제공하고, 각 선택에 대한 개략적인 조감도를 참고할 수 있어 이를 통하여 마감재 및 시공형태의 변경에 따른 반복적인 건축적산이나 견적이 수행되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적산 제공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조감도 작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적산 제공방법의 모습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적산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적산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적산 제공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조감도 작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적산은 물량, 내역, 일위대가 등의 공사에 필요한 재료 및 품의 수량 즉 공사량을 산출하는 기술활동의 의미가 강하고, 견적은 이러한 건축물의 실행에 기초한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의미가 강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베이스는 적산 데이터 베이스(200)와 견적 데이터 베이스(300)로 구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구분으로서 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항목들이 반드시 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단일의 데이터 베이스로 구현하여 모든 조회 항목들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산 데이터베이스(200)와 견적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는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철근콘크리트, 조적, 미장 등 적산이 필요한 시공 방식에 대한 구분정보, 철근콘크리트 시공에 있어서 기초, 기둥, 보, 스라브, 바닥, 벽체, 계단, 옹벽 등과 같이 시공 종류 또는 형태에 대한 구분정보, 기초나 기둥, 계단, 보, 스라브, 바닥, 벽체, 옹벽의 구체적인 시공 형태에 대한 구분정보, 사용자가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적산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 규격 정보, 마감재에 따른 텍스타일 그래픽 정보, 시공형태에 따른 기초 구조물 그래픽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또한 적산 데이터베이스(200)와 견적 데이터베이스(300)에는 의뢰인으로부터 제공되는 도면 중 구조물 명칭, 흙막이, 터파기, 되메우기, 잔토처리, 지반정리, 미장 콘트리트 타설 등의 구조물 별 시공방식, 해당 구조물 별 자재, 해당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장비, 인건비 등의 견적과 관련된 사항들이 저장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적산서버(100)의 관리자의 관리하에 적산 의뢰인의 도면, 시방서 등을 입력받는 구성부이다. 또한 최종 승인자로부터 최종 적산 보고서에 대한 승인을 입력받는다.
도면 변환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도면을 적산서버(100) 내부에서 사용될 일정한 형식에 따라 변환한다.
기초정보 표준화부(130)는 대상 건축물에 대한 도면 및 시방서로부터 기 설정된 데이터 형식의 공사 개요, 마감재료표, 공사비 산출의 기초데이터, 공사 내역서 및 시공방법을 결정하는 등 적산 대산 건축물 공사의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파악하고 일정한 형식으로 변환 및 저장하는 구성부이다. 도면 및 시방서는 적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며, 표준화된 데이터들도 적산 데이터베이스(200) 또는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구조물 3D 도면 데이터베이스에 별도로 도면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중복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며, 3D 도면 데이터베이스에는 3D 영상 출력을 위한 변환과정을 거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조검토부(140)는 표준화된 데이터와 도면을 참조하여 대상 건축물을 섹터별로 구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적산 기초정보의 구조물 명칭, 시공 형태, 마감재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한 기준으로 대상 건축물을 섹터별로 구분한다. 이 때 시방서에 기초한 시공형태에 따른 구조물의 종류를 우선하고, 이에 건축 자재의 종류를 반영하여 섹터를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도면 및 이에 대응하는 시방서의 내용 중에는 해당 도면과 연결되는 도면들의 정보가 기재되고, 이들 정보는 섹터의 구분을 위하여 구조물의 연결 및 구분에 활용될 뿐 아니라 특정 도면이 누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도면의 누락이 확인되면, 별도의 알림수단 등을 통하여 적산서버의 도면 등의 누락 사실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조감도 작성부(150)는 입력된 도면을 대상 건축물의 섹터 개별단위로 구분한 뒤 섹터별로 구분된 도면 중 구조물의 표면정보만을 추출하여 섹터별 외형도를 작성한다. 이외에도 광량에 따른 명암상태를 추가하거나, 마감재에 대응하여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텍스타일 그래픽 이미지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조감도 작성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작성부(151), 텍스타일 정용부(153) 및 조감도 작성부(155)를 포함한다. 필터 작성부(151)는 입력된 도면, 특히 3D 도면을 기준으로 특정위치의 시점 및 광원에 따른 섹터별 외형도에 대한 명암 상태를 나타내는 필터를 작성한다.
텍스타일 적용부(153)는 특정 위치의 시점에서의 섹터별 외형도에 표준화된 기초 데이터로부터 외형도에 대응하는 마감재를 조회한다. 이 후 조회된 마감재에 대응하는 텍스타일을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이를 외형도에 적용한다.
조감도 작성부(155)는 텍스타일이 적용된 외형도에 상기 작성된 필터를 합성하여 섹터별 조감도를 작성한다. 섹터별 외형도의 경우 3D 객체에 대한 공간 정보와 볼륨 정보를 모두 제외시키고 면에 대한 정보만을 고려하거나, 이를 특정 시점에서 바라보는 2D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입체 형상에 텍스쳐링을 수행한 후 관량을 고려하여 렌더링을 하는 일반적인 렌더링 프로세스에 비하여 품질면에서는 다소 떨어질 수 있으나, 월등한 계산속도를 보인다. 따라서 간단한 조감도를 작성하여 이를 참조자료로서 활용하기 위한 용도로서는 유리하다.
적산모듈(170)은 적산 소프트웨어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적산 데이터베이스(200) 또는 견적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적산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견적모듈(180)은 일반적인 견적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적산 데이터베이스(200) 및 견적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견적서를 작성하는 구성부이다. 다만, 이는 사내 또는 용역을 통하여 작성된 견적서를 입력받는 입력수단으로서 대체되는 것도 가능하다.
3D 도면 조회모듈(190)은 사용자가 적산 보고서에 포함된 구조물 3D 도면 데이터의 네트워크 주소를 호출하는 경우 해당 주소에 저장된 3D 도면 데이터를 요청하여 전송받는다. 이 때 3D 도면 조회모듈(190)은 구조물 3D 도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도면을 3D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적산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적산 제공방법의 모습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적산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적산DB 및 견적 DB와 연동되는 적산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적산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된다.
먼저 기초정보 입력 단계(S100)에서는 대상 건축물에 대한 도면 및 시방서를 입력받는다. 이 때 대상 건축물 중 적어도 일부 구성에 대한 복수의 선택적 시방서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선택적 시방서로부터 특정 섹터에 복수의 시공형태가 있는 경우나 특정 시공형태에 대한 중복되는 마감재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건축물 시공 계획 단계에서 도면 등이 미작성 등의 이유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건축물 종류, 넓이 등에 따른 표준 건축모델링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를 대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설계 등의 단계까지 진행되지 못한 상태에서도 최대한 제공된 정보를 통하여 개략적인 적산과 견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표준화 단계(S200)에서는 입력된 도면을 적산 서버에서 사용하기 위한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고, 입력된 도면 및 시방서로부터 미리 결정되어 있는 데이터 형식의 공사 개요, 마감재료표, 공사비 산출의 기초데이터, 공사 내역서 및 시공방법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구조 검토 단계(S300)에서는 표준화된 데이터와 도면을 참조하여 대상 건축물을 섹터별로 구분한다. 이 때 시방서에 기초한 시공형태에 따른 구조물의 종류와 저장되어 있는 도면의 작성 상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이에 건축 자재의 종류를 반영하여 섹터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개의 도면으로 작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복수의 도면에 걸쳐 하나의 종류의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으며, 건축 자재의 종류 및 비율이 일정 이상 일치하는 경우 이는 하나의 섹터로 취급할 수 있다. 반면, 단일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경우라도 복수의 시공 형태가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시공 형태들에 투입되는 건축 자재의 종류 및 비율 등이 일정 비율 이상 상이한 경우에는 각 시공 형태에 대하여 별개의 섹터로 취급할 수 있다.
섹터별 외형도/조감도를 작성 및 구조물 3D 도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400)에서는 섹터별로 구분된 도면 중 구조물의 표면정보만을 추출하여 섹터별 외형도를 작성한다. 섹터별 외형도/조감도 작성 단계는 필터작성 단계, 텍스타일 적용단계 및 섹터별 조감도 작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작성 단계에서는 특정위치의 시점 및 광원에 따른 상기 섹터별 외형도에 대한 명암 상태를 나타내는 필터를 작성하고, 텍스타일 적용단계에서는 특정 위치의 시점에서의 외형도에 표준화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외형도에 대응하는 마감재를 조회하고, 조회된 마감재에 대응하는 텍스타일을 적용하여 외형에 질감을 입히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별도의 렌더링을 수행하는 것보다는 특정 시점에서의 2D 그래픽 이미지로 변환하여 합성을 수행한다. 이 후 섹터별 조감도 작성단계에서는 텍스타일이 적용된 외형도에 광량에 따른 명암 상태를 나타내는 필터를 합성하여 섹터별 조감도를 작성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상 건축물 중 적어도 일부 구성에 대한 복수의 선택적 시방서를 입력받은 경우에는 각 경우에 대하여 별개의 외형도 또는 조감도를 작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시공 형태나 마감재 등에 대하여 적산 및 견적을 의뢰받은 경우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외형도와 함께 구조물 3D 도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다만, 구조물 3D 도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유동적으로 타 단계들 사이에서 병행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표준화 단계에서 도면 저장 시 3D 도면 출력에 용이한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면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적산 단계(S500)에서는 대상 건축물을 섹터별로 적산한다. 즉, 섹터별로 철근 수량, 레미콘, 거푸집 수량 등을 산출한다. 이 때 전자 적산보고서 형태로 중간 형태의 보고서가 작성된다. 여기에는 복수의 시공 형태나 마감재에 따른 복수의 선택적(중복적)인 적산 보고서가 포함되며, 작성된 선택적 적산 보고서에 대한 외형도/조감도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견적의 요청이 있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적 단계(S600)를 수행한다. 견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에 의한 수행 및 용역 등에 의한 보고서의 입력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작성된 견적인 전자 적산 보고서에 포함된다.
한편, 선택적 또는 중복적인 적산 및 견적 내용에 대해서는 이를 의뢰인에 의하여 선택되는 수단, 예를 들면 선택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선택사항을 다시 적산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 예를 들면 메일 발송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적산보고서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공사에 필요한 콘크리트, 철근, 거푸집 등의 필요량이 나타나 있고, 그 결과값은 정미량과 소정 할증된 양 즉, 3%, 4%, 5%, 6%, 7% 증가된 양으로 나누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적산보고서에는 의뢰인이 입력한 또는 시방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공사에 필요한 기본 조건과 자재들에 대한 정보와 단가 및 총액 등이 표시된다.
또한 전자 적산보고서에 포함되는 섹터별 외형도는 단수 또는 복수의 섹터별 조감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때 별도의 회신수단을 통하여 의뢰인은 복수의 적산 보고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산서버로 회신할 수 있다.
이후 회신된 적산 보고서를 기초로 최종 선정된 전자 보고서에 대하여 책임자의 승인여부를 입력받아 최종적인 적산/견적 보고서 등을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상기 3D 도면 데이터 베이스 중 적산항목에 대응하는 3D 데이터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주소가 호출되는 경우 호출된 적산 항목에 대응하는 3D 데이터를 포함하는 3D 도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순히 외형도만을 적산 보고서에 포함하는 것에 비하여 실제 입체 영상을 통하여 복수의 옵션에 대한 구조적/시각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신속성과 구체성으로 구분가능한 2가지의 특징 파악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목적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통하여 적산 보고서의 구조적 시각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적산 서버(100)
110: 입력부
120: 도면 변환부
130: 기초정보 표준화부
140: 구조검토부
150: 조감도 작성부(150)
160: 보고서 작성부
170: 적산 모듈
180: 견적 모듈

Claims (5)

  1. 적산DB 및 견적 DB와 연동되는 적산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적산제공 방법에 있어서,
    대상 건축물에 대한 도면 및 시방서를 입력받고, 상기 대상 건축물 중 적어도 일부 구성에 대한 복수의 선택적 시방서를 입력받는 기초정보 입력 단계;
    상기 도면 및 시방서로부터 기 설정된 데이터 형식의 공사 개요, 마감재료표, 공사비 산출의 기초데이터, 공사 내역서 및 시공방법을 결정하는 표준화 단계;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와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대상 건축물을 섹터별로 구분하는 구조 검토 단계;
    상기 도면을 상기 대상 건축물의 섹터 개별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섹터별로 구분된 도면 중 구조물의 표면정보만을 추출하여 섹터별 외형도를 작성하고, 상기 섹터별 구분된 도면 중 구조물의 전체 3D 도면이 저장된 구조물 3D 도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대상 건축물을 섹터별로 적산하는 적산 단계;
    상기 섹터별 외형도 및 상기 구조물 3D 도면 데이터 베이스 중 적산항목에 대응하는 3D 데이터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전자 적산보고서를 작성하는 전자 보고서 작성 단계; 및
    상기 작성된 전자 적산보고서에 따른 견적서를 작성하는 견적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 검토 단계에서는 상기 시방서에 기초한 시공형태에 따른 구조물의 종류를 우선하고, 이에 건축 자재의 종류를 반영하여 섹터를 구분하며, 섹터간의 관계를 검토하여 누락된 도면을 파악하고, 상기 누락된 도면을 상기 적산서버의 관리자에게 보고하며,
    상기 기초정보 입력 단계에서는 상기 대상 건축물 중 적어도 일부 구성에 대한 복수의 선택적 시방서를 입력받고,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상기 3D 도면 데이터 베이스 중 적산항목에 대응하는 3D 데이터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주소가 호출되는 경우 호출된 적산 항목에 대응하는 3D 데이터를 포함하는 3D 도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 보고서에 포함되는 섹터별 외형도는 상기 섹터별 조감도로 제공되고,
    상기 외형도 작성 단계에서는,
    특정위치의 시점 및 광원에 따른 상기 섹터별 외형도에 대한 명암 상태를 나타내는 필터를 작성하는 필터작성 단계;
    상기 특정 위치의 시점에서의 외형도에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외형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마감재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복수의 마감재에 대응하는 텍스타일을 상기 마감재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섹터별 외형도에 각각 적용하는 텍스타일 적용단계; 및
    상기 텍스타일이 적용된 복수의 외형도에 각각 상기 작성된 필터를 합성하여 복수의 섹터별 조감도를 작성하는 섹터별 조감도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선택적 시방서로부터 특정 섹터에 복수의 시공형태가 있는 경우 상기 외형도 작성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섹터에 대하여 복수의 외형도를 작성하는 건축전산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29590A 2019-03-15 2019-03-15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 제공방법 KR102038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590A KR102038043B1 (ko) 2019-03-15 2019-03-15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590A KR102038043B1 (ko) 2019-03-15 2019-03-15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043B1 true KR102038043B1 (ko) 2019-10-30

Family

ID=6846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590A KR102038043B1 (ko) 2019-03-15 2019-03-15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0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767B1 (ko) * 2021-08-10 2022-04-29 (주)하우코스트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동시 적산이 가능한 건축물의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396257B1 (ko) * 2021-11-02 2022-05-09 유동표 건축적산시스템
KR102396259B1 (ko) * 2021-11-02 2022-05-09 유동표 건축적산시스템 제공방법
KR102420803B1 (ko) * 2021-11-02 2022-07-13 유동표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시스템 구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558A (ko) * 2000-09-22 2002-03-29 정지태 표준주택모델을 이용한 맞춤형 건축시스템
KR20090126574A (ko) * 2008-06-04 2009-12-09 조정구 기본건축유닛의 조합 방식에 의한 포스트와 빔 구조의목조건축물의 설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설계방법
KR20180001261A (ko) * 2016-06-27 2018-01-04 (주) 아키드로우 인테리어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558A (ko) * 2000-09-22 2002-03-29 정지태 표준주택모델을 이용한 맞춤형 건축시스템
KR20090126574A (ko) * 2008-06-04 2009-12-09 조정구 기본건축유닛의 조합 방식에 의한 포스트와 빔 구조의목조건축물의 설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설계방법
KR20180001261A (ko) * 2016-06-27 2018-01-04 (주) 아키드로우 인테리어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767B1 (ko) * 2021-08-10 2022-04-29 (주)하우코스트 건설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동시 적산이 가능한 건축물의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396257B1 (ko) * 2021-11-02 2022-05-09 유동표 건축적산시스템
KR102396259B1 (ko) * 2021-11-02 2022-05-09 유동표 건축적산시스템 제공방법
KR102420803B1 (ko) * 2021-11-02 2022-07-13 유동표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시스템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043B1 (ko)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 제공방법
US69965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ake-off of materials using two-dimensional CAD interface
CN108550020A (zh) 基于bim技术的工程造价控制方法
US200600746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ariance in building structures
Hanna et al. State of practic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the electrical construction industry
EP3767563B1 (en) Work order placement/receiving system, server, and work order placement/receiving method
JP6749156B2 (ja) 建築設計施工計画方法及び建築設計施工計画システム
WO2007014866A2 (en) System and process for the detailed design and production of reinforcement for buildings
KR101976514B1 (ko) 건축적산 제공방법
KR102396259B1 (ko) 건축적산시스템 제공방법
KR102420803B1 (ko)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시스템 구축방법
Grzyl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small and middle sized buildings–case study
KR100441978B1 (ko) 실적공사비를 이용한 건축공사비 산출 및 분석 시스템
Peansupap et al. Levels of development in BIM for supporting cost estima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KR102396257B1 (ko) 건축적산시스템
KR102112747B1 (ko) 수직 관계와 수평 관계를 이용한 건설 공사 통합 일정 계획 방법과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eschamps et al. The impact of variability in workflow
KR20020075109A (ko) 건설통합db를 이용한 건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Hosny et al. Reducing Reinforced Concrete Materials Waste in Construction Projects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Egypt.
KR102671894B1 (ko) 웹 기반의 건축 설계 의사결정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2545098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건설자재 거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Attia Workflows for the automation of 4D & 5D BIM models: master thesis no.: 154/II. GR-BIM
JAMAL et al. Scan-to-BIM approach towards producing quantity take-off of heritage buildings in Malaysia
Jaya et al. Development of Contingency Value Analysis Model Using Cost-Time Risk Integration and WBS-Pareto Hybrid in Construction Projects.
Trijeti Comparison Of Estimated Cost Of Estimation With Detailed Cost Estimation In Building Pro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