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305B1 - 트렘궤도 레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트렘궤도 레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305B1
KR102391305B1 KR1020210190576A KR20210190576A KR102391305B1 KR 102391305 B1 KR102391305 B1 KR 102391305B1 KR 1020210190576 A KR1020210190576 A KR 1020210190576A KR 20210190576 A KR20210190576 A KR 20210190576A KR 102391305 B1 KR102391305 B1 KR 102391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ipe connection
pipe
filling
connection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정섭
김광희
김기철
양근모
Original Assignee
트리폴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리폴건설(주) filed Critical 트리폴건설(주)
Priority to KR102021019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8Rail tracks for guiding vehicles when running on road or similar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20Dismountable rail joints with gap-bri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6Rail fastenings allowing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rails, so far as not included in the preceding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트램궤도 레일홈에 위치하는 레일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 상기 레일홈에 채워져 경화되어 상기 레일을 고정하는 채움재를 포함하며, 상기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레일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레일의 웨브에 접촉되게 위치하는 파이프연결소켓; 상기 파이프연결소켓들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파이프연결소켓들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파이프들; 및 상기 파이프연결소켓에 체결되어 상기 레일홈의 내벽에 접촉지지되며 회전에 의해 레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램궤도의 레일홈에 설치된 레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레일을 고정하기 위하여 채워지는 채움재의 양을 최소화하고, 레일홈에 설치된 레일의 위치 조절이 쉽고 간단하다.

Description

트렘궤도 레일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GROOVED RAIL OF TRAM TRACK}
본 발명은 트렘궤도 레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도시의 교통난 해소와 대기오염이 없는 친환경 대중교통망구축을 위해 주요 광역시와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도시철도의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도시철도의 궤도는 유지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대부분 슬래브궤도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으나, 자동차 중심의 기존 교통체계와 도로를 공유할 수 없는 관계로 도심을 관통하는 철도궤도의 경우 설치를 위해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은 물론 도시철도에서 유발되는 과다한 소음 및 진동으로 차량과 구조물의 내구성 감소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자동차 및 보행자와 도로를 공유할 수 있는 레일 매립형 궤도시스템(일명, 트램궤도)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0615호(2018. 09. 20. 공고일)(이하, 선행기술1 이라 함)에는 레일 매립형 궤도시스템(일명, 트램궤도)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레일홈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이 설치된 레일홈에 레일고정수지체가 채워져 레일을 고정할 뿐만 아니라 홈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레일홈에 고가인 수지재질의 레일고정수지체를 채워지게 되어 공사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레일홈에 용융 수지재를 채워 경화시키게 되어 공사 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일홈에 레일을 설치하고 수지재를 채움시 레일을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램궤도의 레일홈에 설치된 레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레일을 고정하기 위하여 채워지는 채움재의 양을 최소화시키는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램궤도의 레일홈에 설치된 레일의 위치 조절이 쉽고 간단한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트램궤도 레일홈에 위치하는 레일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 상기 레일홈에 채워져 경화되어 상기 레일을 고정하는 채움재를 포함하며, 상기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레일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레일의 웨브에 접촉되게 위치하는 파이프연결소켓; 상기 파이프연결소켓들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파이프연결소켓들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파이프들; 상기 파이프연결소켓에 체결되어 상기 레일홈의 내벽에 접촉지지되며 회전에 의해 레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파이프연결소켓은 레일의 웨브에 접촉되며 상기 간격조절볼트가 체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양쪽면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결합돌기부와, 상기 결합돌기부의 길이방향 한쪽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결합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부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이고, 상기 결합홀부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연결소켓의 한쪽에 연결는 파이프는 사각파이프이며, 상기 파이프연결소켓의 다른 한쪽에 연결되는 파이프는 원형파이프가 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육각형상의 볼트머리부와, 상기 볼트머리부의 일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수나사산부와, 상기 볼트머리부의 다른 일측면에 곡면 형상으로 연장 돌출된 접촉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트램궤도의 레일홈에 레일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레일의 양쪽에 각각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이 설치되고 그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이 설치된 레일홈에 채움재를 채워 경화시켜 레일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고가인 채움재가 레일홈에 채워지는 양을 적정량으로 감소시키게 되어 공사 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채움재를 경화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키게 되어 공사 기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은 파이프연결소켓에 간격조절볼트가 구비되어 레일홈에 위치한 레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므로 레일의 위치 조절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레일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시공의 정밀도를 높이게 된다. 아울러, 간격조절볼트가 수지재료인 경우 유지보수시 레일홈에서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 및 채움재를 절단하여 분리하는 분리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곡선구간 레일홈에 위치하는 곡선 레일의 양쪽에 원형파이프가 위치하게 되므로 원형파이프를 곡선 레일의 곡률 반경에 상응하게 밴딩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시공의 정밀도를 높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트램궤도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트램궤도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의 일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의 또다른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간격조절볼트를 도시한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트램궤도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트램궤도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는, 트램궤도 레일홈(10)에 위치하는 레일(20)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100)과, 레일홈(10)에 채워져 경화되어 레일(20)을 고정하는 채움재(200)를 포함한다.
트램궤도의 레일홈(10)은 직선 형태인 직선구간(11)과 곡선 형태인 곡선구간(12)을 포함한다.
레일(20)은 레일홈(10)을 따라 배치된다. 레일(20)은 균일한 폭과 높이를 갖는 웨브(21)와, 그 웨브(21)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22)와, 웨브(21)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홈(2)을 구비한 상부 홈형 플랜지(23)를 포함한다. 기차 바퀴가 레일(20)에 접촉시 상부 홈형 플랜지(23)에 기차 바퀴의 답면이 접촉되고 기차 바퀴의 플랜지가 홈(2)에 위치하게 된다.
레일(20)은 레일홈(10)의 바닥면에 패드(30)가 설치되고 그 패드(30)에 레일(20)의 하부 플랜지가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레일(20)은 레일홈(10)의 직선구간(11)에서 직선 형태가 되고, 레일홈(10)의 곡선구간(12)에서 곡선 형태가 된다.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100)의 일예로,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100)은 파이프연결소켓(110), 파이프(120)들, 간격조절볼트(130)를 포함한다.
파이프연결소켓(110)은 레일(20)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레일(20)의 웨브(21)에 접촉되게 위치한다. 파이프연결소켓(110)의 일예로,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연결소켓(110)은 레일(20)의 웨브(21)에 접촉되며 간격조절볼트(130)가 체결되는 몸체부(111)와, 그 몸체부(111)의 길이 방향 양쪽면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결합돌기부(112)와, 그 결합돌기부(112)의 길이방향 한쪽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결합홀부(113)를 포함한다.
몸체부(111)는 설정된 길이와 균일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몸체부(111)의 한쪽면이 레일(20)의 한쪽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며, 그 접촉면은 적어도 레일(20)의 웨브(21) 측면, 하부 플랜지(22) 상면 일부와 접촉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11)의 접촉면 반대편면에 간격조절볼트(130)가 체결되는 나사홀이 구비된다.
결합돌기부(112)와 결합홀부(113)의 제1예로, 결합돌기부(112)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이고, 결합홀부(113)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돌기부(112)와 결합홀부(113)의 제2예로, 결합돌기부(112)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그 결합돌기부(112)에 형성되는 결합홀부(113)의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이 될 수도 있다. 결합돌기부(112)와 결합홀부(113)의 제3예로, 한쪽 결합돌기부(112)의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이고 다른 한쪽 결합돌기부(112)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사각형인 결합돌기부(112)에 형성되는 결합홀부(113)는 원형이고, 원형인 결합돌기부(112)에 형성되는 결합홀부(113)는 사각형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결합돌기부(112)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링형 홈들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파이프(120)들은 파이프연결소켓(110)들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파이프연결소켓(110)들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즉, 레일(20)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파이프연결소켓(110)들이 위치하고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파이프연결소켓(110)들의 한 개 파이프연결소켓(110)에 파이프(120)의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다른 한 개 파이프연결소켓(110)에 그 파이프(120)의 다른 한쪽 단부가 연결된다. 파이프(120)들은 사각파이프와 원형파이프를 포함한다.
레일홈(10)이 직선구간(11)이고 그 직선 레일홈(10)에 배치되는 레일(20)이 직선 형태인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파이프연결소켓(110) 사이에 사각파이프(120)가 연결된다. 이때, 사각파이프(120)의 한쪽 단부는 한 개 파이프연결소켓(110)의 결합돌기부(112)에 결합되되 결합돌기부(112)가 사각파이프(120)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그 파이프(120)의 다른 한쪽 단부는 다른 한 개 파이프연결소켓(110)의 결합돌기부(112)에 결합되되 결합돌기부(112)가 사각파이프(120)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레일홈(10)이 곡선구간(12)이고 그 곡선 구간(12)의 레일홈(10)에 배치되는 레일(20)이 곡선 형태인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파이프연결소켓(110) 사이에 곡선 레일(20)과 같은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의 원형파이프(120')가 연결된다. 이때, 원형파이프(120')의 한쪽 단부는 한 개 파이프연결소켓(110)의 한쪽 결합돌기부(112)에 형성된 결합홀부(113)에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그 원형파이프(120')의 다른 한쪽 단부는 다른 한 개 파이프연결소켓(110)의 한쪽 결합돌기부(112)에 형성된 결합홀부(113)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원형파이프(120')이므로 곡선 레일(20)의 곡률반경과 같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레일(20)과 곡선 레일(20)의 경계부분에 위치한 파이프연결소켓(110)의 한쪽에는 사각파이프(120)가 연결되고 다른 한쪽에는 원형파이프(120')가 연결된다. 이때, 파이프연결소켓(110)의 한쪽 결합돌기부(112)에 사각파이프(120)의 한쪽 단부가 결합되되 결합돌기부(112)가 사각파이프(120)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그 파이프연결소켓(110)의 다른 한쪽 결합돌기부(112)에 형성된 결합홀부(113)에 원형파이프(120')의 한쪽 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파이프연결소켓(110)의 결합돌기부(112)의 결합홀부(113)에 원형파이프(120')가 결합시 원형파이프(120')의 외경을 크기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파이프(120')의 단부에 중간연결관(4)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그 중간연결관(4)에 결합홀부(113)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갖는 결합연결관(5)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그 결합연결관(5)이 결합홀부(113)에 결합될 수도 있다.
간격조절볼트(130)는 파이프연결소켓(110)에 체결되어 레일홈(10)의 내벽에 접촉지지되며 회전에 의해 레일(20)의 위치를 조절한다. 간격조절볼트(130)의 일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130)는 육각형상의 볼트머리부(131)와, 그 볼트머리부(131)의 일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수나사산부(132)와, 볼트머리부(131)의 다른 일측면에 곡면 형상으로 연장 돌출된 접촉돌기부(133)를 포함한다. 접촉돌기부(133)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조절볼트(130)는 수지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연결소켓(110)의 내부에 간격조절볼트(130)가 체결되는 너트(114)가 매립되고, 그 너트(114)에 간격조절볼트(130)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움재(200)는 수지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채움재(200)는 수지재질을 용융시켜 레일홈(10)에 주입하여 경화시키며 그 채움재(200)에 의해 레일(20)이 레일홈(10) 내부에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트램궤도의 레일홈(10)의 직선구간(11)과 곡선구간(12)에 걸쳐 직선 레일(20)과 곡선 레일(200을 위치시킨다. 레일(20)의 웨브(21) 양쪽으로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100)을 설치한다.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100)을 설치하는 과정은 파이프연결소켓(110)들을 일정 간격으로 위치시키고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파이프연결소켓(110)들 사이에 파이프(120)를 위치시키고 그 파이프(120)의 한쪽 단부를 한 개의 파이프연결소켓(110)의 한쪽에 결합시키고 파이프(120)의 다른 한쪽 단부를 다른 한 개의 파이프연결소켓(110)의 한쪽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파이프연결소켓(110)들과 파이프(120)들을 연결시킨다. 이때, 직선 레일홈 구간에 위치하는 파이프(120)들은 사각파이프를 파이프연결소켓(110)에 연결하고 곡선 레일홈 구간에 위치하는 파이프(120)들은 원형파이프를 파이프연결소켓(110)에 연결하되, 원형파이프는 곡선 레일의 곡률 반경과 상응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이다.
그리고 파이프연결소켓(110)들에 결합된 간격조절볼트(130)을 정역회전시키면서 조절하여 간격조절볼트(130)를 레일홈(10)의 내벽에 접촉지지시켜 레일홈(10)에 위치한 레일(20)을 고정시킨다. 이때, 레일(20)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레일(20)을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키면서 레일(20)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융상태의 채움재를 레일홈(10)에 주입하여 채우고 그 주입된 용융 상태의 채움재(200)를 경화시킨다. 채움재(200)가 경화되면서 레일홈(10)에 위치한 레일(20)을 레일홈(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트램궤도의 레일홈(10)에 레일(2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레일(20)의 양쪽에 각각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100)이 설치되고 그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100)이 설치된 레일홈(20)에 채움재(200)를 채워 경화시켜 레일(20)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고가인 채움재(200)가 레일홈(10)에 채워지는 양을 적정량으로 감소시키게 되어 공사 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채움재(200)를 경화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키게 되어 공사 기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100)은 파이프연결소켓(110)에 간격조절볼트(130)가 구비되어 레일홈(20)에 위치한 레일(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2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므로 레일(20)의 위치 조절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레일(20)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시공의 정밀도를 높이게 된다. 아울러, 간격조절볼트(130)가 수지재료인 경우 유지보수시 레일홈(10)에서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100) 및 채움재(200)를 절단하여 분리하는 분리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곡선구간 레일홈(20)에 위치하는 곡선 레일(20)의 양쪽에 원형파이프(120')가 위치하게 되므로 원형파이프(120')를 곡선 레일(20)의 곡률 반경에 상응하게 밴딩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시공의 정밀도를 높이게 된다.
100;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 110; 파이프연결소켓
120; 파이프 130; 간격조절볼트
200; 채움재

Claims (5)

  1. 트램궤도 레일홈에 위치하는 레일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
    상기 레일홈에 채워져 경화되어 상기 레일을 고정하는 채움재를 포함하며,
    상기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레일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레일의 웨브에 접촉되게 위치하는 파이프연결소켓;
    상기 파이프연결소켓들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파이프연결소켓들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파이프들; 및
    상기 파이프연결소켓에 체결되어 상기 레일홈의 내벽에 접촉지지되며 회전에 의해 레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연결소켓은 레일의 웨브에 접촉되며 상기 간격조절볼트가 체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양쪽면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결합돌기부와, 상기 결합돌기부의 길이방향 한쪽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결합홀부를 포함하는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이고, 상기 결합홀부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
  4. 트램궤도 레일홈에 위치하는 레일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
    상기 레일홈에 채워져 경화되어 상기 레일을 고정하는 채움재를 포함하며,
    상기 채움겸용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레일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레일의 웨브에 접촉되게 위치하는 파이프연결소켓;
    상기 파이프연결소켓들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파이프연결소켓들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파이프들; 및
    상기 파이프연결소켓에 체결되어 상기 레일홈의 내벽에 접촉지지되며 회전에 의해 레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연결소켓의 한쪽에 연결는 파이프는 사각파이프이며, 상기 파이프연결소켓의 다른 한쪽에 연결되는 파이프는 원형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렘궤도 레일 고정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육각형상의 볼트머리부와, 상기 볼트머리부의 일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수나사산부와, 상기 볼트머리부의 다른 일측면에 곡면 형상으로 연장 돌출된 접촉돌기부를 포함하는 트램궤도 레일 고정장치.
KR1020210190576A 2021-12-29 2021-12-29 트렘궤도 레일 고정장치 KR102391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576A KR102391305B1 (ko) 2021-12-29 2021-12-29 트렘궤도 레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576A KR102391305B1 (ko) 2021-12-29 2021-12-29 트렘궤도 레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305B1 true KR102391305B1 (ko) 2022-04-28

Family

ID=8144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576A KR102391305B1 (ko) 2021-12-29 2021-12-29 트렘궤도 레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474B1 (ko) * 2023-04-07 2023-10-11 트리폴건설(주) 레일매립궤도의 부품 가고정장치
KR102587468B1 (ko) * 2022-10-12 2023-10-11 트리폴건설(주) 레일매립궤도의 채움겸용 레일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79B1 (ko) * 2009-09-02 2010-03-18 주식회사 이알에스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79B1 (ko) * 2009-09-02 2010-03-18 주식회사 이알에스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468B1 (ko) * 2022-10-12 2023-10-11 트리폴건설(주) 레일매립궤도의 채움겸용 레일 고정장치
KR102587474B1 (ko) * 2023-04-07 2023-10-11 트리폴건설(주) 레일매립궤도의 부품 가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305B1 (ko) 트렘궤도 레일 고정장치
JP6584080B2 (ja) 陸上車両のための地表面での電力システムのトラック支持体、このようなトラック支持体を備えるレール及び設置方法
KR101158466B1 (ko) 교체가 용이한 3차원 입체형상의 궤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이 궤도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및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KR102078321B1 (ko) 레일매립궤도 하부틀분리형 거푸집장치
KR102380975B1 (ko) 레일매립궤도 단위콘크리트블록 거푸집장치
CN107724188A (zh) 一种预制式浮置板道床隔振系统
WO2003076245A2 (en) Railway crossing structure
KR102135562B1 (ko) 매립형 철도궤도의 설치구조 및 이를 위한 고정블럭
KR101131745B1 (ko) 노면트램용 궤도구조
KR101132952B1 (ko) 노면트램용 복합레일 및 이를 이용한 트램궤도
KR102276570B1 (ko) 레일매립궤도 단순하부틀분리형 거푸집장치
KR101670587B1 (ko) 철도궤도용 z형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철도궤도구조
KR102488421B1 (ko) 레일매립궤도의 분기기 지지장치
KR102587474B1 (ko) 레일매립궤도의 부품 가고정장치
KR102249391B1 (ko) 고무차륜 agt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주행로 블록 시공 방법
JPH09273102A (ja) まくらぎ
KR101767489B1 (ko) 모노레일용 궤도빔 신축이음장치
KR101192660B1 (ko) 연결 장치를 구비한 모노레일용 가이드 레일
KR102587468B1 (ko) 레일매립궤도의 채움겸용 레일 고정장치
KR20190124926A (ko) 고무차륜 agt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주행로 블록 및 이의 시공 방법
WO2018051067A2 (en) Tram, light rail and guided bus systems and components
CN209194247U (zh) 一种预制式浮置板道床隔振系统
KR20220007214A (ko) 산악철도용 궤도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03018912A1 (en) Method of making rail support assemblies
KR102488418B1 (ko) 레일매립궤도의 블록포장홈이 구비된 도상콘크리트 거푸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