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272B1 -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272B1
KR102391272B1 KR1020210113206A KR20210113206A KR102391272B1 KR 102391272 B1 KR102391272 B1 KR 102391272B1 KR 1020210113206 A KR1020210113206 A KR 1020210113206A KR 20210113206 A KR20210113206 A KR 20210113206A KR 102391272 B1 KR102391272 B1 KR 102391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heet
semi
combustible
tank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재
여민구
송현복
Original Assignee
프라임에너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임에너텍(주) filed Critical 프라임에너텍(주)
Priority to KR102021011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18Impregnating foam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29C31/08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of preforms to be moulded, e.g. tablets, fibre reinforced preforms, extruded ribbons, tubes or profiles; Manipul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eeding preforms, e.g. support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81Covering the foamed object with, e.g. a 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2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the sheet or web-like material being supported by a moving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2063/027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applied by a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26Flame proofing or flame retard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20) 속에서 발포폼시트(11)의 압착시 핀홀(11a) 또는 핀홈(11b)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함과 동시에 발포폼시트(11)의 압착 해제시 에어셀들의 탄성에 따른 순간적인 복원에 의해 핀홀(11a) 또는 핀홈(11b) 속으로 불연조성물(12)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발포폼시트(11)의 릴투릴 공급 및 회수 과정에서 발포폼시트(11)로의 불연조성물(12)의 채움을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YNTHETIC RESIN FOAM SHEET}
본 발명은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 속에서 발포폼시트의 압착시 핀홀 또는 핀홈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함과 동시에 발포폼시트의 압착 해제시 에어셀들의 탄성에 따른 순간적인 복원에 의해 핀홀 또는 핀홈 속으로 불연조성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열재는 합성수지를 발포시켜 건축분야의 내외장재나 마감재, 각종 산업현장의 포장재 또는 내장재, 나아가 공산품 등의 주요 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데, 공통적으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난연 또는 준불연 나아가 불연을 주요 이슈로 다루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69721호(선행기술문헌 1)에서는 팽창흑연을 함유한 불연성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수지입자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고, 그 주된 기술은 폴리스티렌 발포입자 100중량부에 팽창흑연 2∼30중량부, 열경화성 수지 10∼300중량부, 및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경화 촉매 0.02∼30중량부 코팅, 가교시키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19087호(선행기술문헌 2)에서는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를 제안하고 있고, 그 주된 기술은 팽창질석 100중량부와 스티렌발포수지 3∼50중량부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난연성강화 및 팽창질석과 스티렌발포수지 두 재료의 접착력강화를 위해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난연성우레탄 접착제 등 유,무기계 난연성 접착 화합물 3∼300중량부 및 기타 유무기계 충진재 등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32448호(선행기술문헌 3)에서는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를 제안하고 있고, 그 주된 기술은 폴리스티렌 수지 알갱이를 1차 발포하는 1차 발포단계와; 상기 1차 발포된 1차 발포체를 성형금형으로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상기 1차 발포단계에서 발포된 1차 발포체를 상기 성형금형으로 투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발포체의 표면에 팽창흑연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난연코팅재를 코팅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성형금형 내에서 1차 발포체에 스팀을 공급하여 2차 발포하는 발포성형단계와; 상기 성형금형 내에서 2차 발포 성형된 제품을 압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금형의 내부로 1차 발포체를 투입할 때, 상기 성형금형의 내부로 와류를 형성하도록 송풍을 하여 상기 1차 발포체들을 상호 이격시키는 송풍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62512호(선행기술문헌 4)에서는 팽창 흑연을 함유한 난연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연성 폴리우레탄폼의 시공방법을 제안하고 있고, 그 주된 기술은 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MDI)를 포함하는 제 1 혼합액과 팽창 흑연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제 2 혼합액을 준비하되, 상기 팽창 흑연은 상대적으로 굵은 입자분말,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분말 및 산화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액이 충진된 제 1 혼합탱크와 상기 제 2 혼합액이 충진된 제 2 혼합탱크를 스프레이건이 구비된 발포장비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액 및 제 2 혼합액을 상기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제 1 두께범위로 초벌 발포하여 1차 난연성 폴리우레탄폼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제 2 두께범위로 적어도 1회 추가 발포하여 추가 난연성 폴리우레탄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혼합액은, 해포석, 황산바륨 및 광물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광물질은 부여규석, 월나이트라이트 및 프리트6280에서 선택되고, 상기 제 2 혼합액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폴리옥시알킬렌블록코폴리머(polyoxy alkylene block copolymer), 산화실리케이트, 실리콘 오일 및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nonyl phenol ethoxyl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계면활성제와, 디올(diol) 또는 디아민(diamine)이 선택되는 2관능성 물질이 사용되는 사슬연장제와, 트리올(triol), 테트라올(tetraol) 및 폴리아민(polyamine)에서 선택되는 다관능성 물질이 사용되는 가교제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94866호(선행기술문헌 5)에서는 팽창질석과 발포수지를 이용한 단열패널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고, 그 주된 기술은 알갱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팽창된 팽창질석(10)을 난연성 접착제(30)에 투입하여 팽창질석(10) 표면을 난연성 접착제(30)로 코팅하는 단계; 발포수지(20)로 제조된 발포 스티로폼(20)을 난연성 접착제(30)에 투입하여 발포 스티로폼(20) 표면을 난연성 접착제(30)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난연성 접착제(30)로 코팅된 팽창질석(10)과 발포 스티로폼(20)을 혼합기(2)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기(2)에서 혼합되는 팽창질석(10) 및 발포 스티로폼(20)을 금형(3)에 투입하고, 금형(3)을 가열하여 발포 스티로폼(20)을 발포시킴으로 금형(3)의 형상으로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를 참조할 때 발포폼 또는 단열재 분야의 난연, 준불연, 불연을 가능케 하는 조성물로서 팽창흑연, 팽창질석과 같은 열반응팽창제 나아가 난연제 등이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본 출원인은 이러한 팽창흑연, 팽창질석 등의 열반응팽창제 나아가 난연제 등의 성질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를 본 발명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6972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190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324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625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948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PE 또는 PVC 등의 합성수지로 된 발포폼시트를 릴투릴 공급 및 회수하면서 준불연 발포폼시트를 제조하여 건축분야의 내외장재나 마감재, 각종 산업현장의 포장재 또는 공산품 등의 주요 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탱크 속에서 발포폼시트의 압착시 핀홀 또는 핀홈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함과 동시에 발포폼시트의 압착 해제시 에어셀들의 탄성에 따른 순간적인 복원에 의해 핀홀 또는 핀홈 속으로 불연조성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폼시트의 릴투릴 공급 및 회수 과정에서 발포폼시트로의 불연조성물의 채움을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준불연 발포폼시트의 제조를 실현케 한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탱크 내의 불연조성물 속에 마련된 채움롤러모듈에 핀을 직접 마련함으로써 설비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을 보장케 한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탱크 내에서 열반응팽창제를 핀홀 또는 핀홈 속으로 미리 채워 밀도를 높인 후 제2탱크 내에서 액상불연제를 핀홀 또는 핀홈 속으로 채워 고밀도의 열반응팽창제에 의한 준불연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포폼시트를 릴투릴 공급 및 회수하면서 준불연 발포폼시트를 제조하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불연조성물을 수용한 탱크와,
상기 발포폼시트를 상기 탱크의 불연조성물 속으로 통과시킴과 동시에 상기 발포폼시트를 압착 및 해제시키면서 상기 발포폼시트가 압착된 후 복원되는 순간 상기 불연조성물로 하여금 상기 발포폼시트에 마련된 핀홀 또는 핀홈 속으로 채워지도록 하는 채움롤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PE 또는 PVC 등의 합성수지로 된 발포폼시트를 릴투릴 공급 및 회수하면서 준불연 발포폼시트를 제조하여 건축분야의 내외장재나 마감재, 각종 산업현장의 포장재 또는 공산품 등의 주요 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탱크 속에서 발포폼시트의 압착시 핀홀 또는 핀홈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함과 동시에 발포폼시트의 압착 해제시 에어셀들의 탄성에 따른 순간적인 복원에 의해 핀홀 또는 핀홈 속으로 불연조성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포폼시트의 릴투릴 공급 및 회수 과정에서 발포폼시트로의 불연조성물의 채움을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준불연 발포폼시트의 제조를 실현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탱크 내의 불연조성물 속에 마련된 채움롤러모듈에 핀을 직접 마련함으로써 설비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을 보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탱크 내에서 열반응팽창제를 핀홀 또는 핀홈 속으로 미리 채워 밀도를 높인 후 제2탱크 내에서 액상불연제를 핀홀 또는 핀홈 속으로 채워 고밀도의 열반응팽창제에 의한 불연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불연조성물의 불필요한 소모를 미연에 방지하고, 탈수롤러모듈을 통과한 발포폼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로를 더 포함하여 신속한 경화를 보장하며, 나아가 건조로를 통과한 발포폼시트의 표면에 알루미늄필름을 부착시키는 필름부착모듈을 더 포함하여 준불연에 대한 작용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로 제작된 준불연 발포폼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로 제작된 준불연 발포폼시트의 화재시 반응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로 제작된 준불연 발포폼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 또는 PVC 등의 합성수지로 된 발포폼시트(11)를 릴투릴 공급 및 회수하면서 준불연 발포폼시트(100)를 제조하여 건축분야의 내외장재나 마감재, 각종 산업현장의 포장재 또는 공산품 등의 주요 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PE 또는 PVC 등의 합성수지로 된 발포폼시트(11)는 열 또는 화염에 취약하여 화재시 대형사고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기 공지된 팽창흑연, 팽창질석과 같은 열반응팽창제(12a) 또는 액상불연제(12b) 등으로 된 불연조성물(12)을 발포폼시트(11)에 보다 효율적으로 침투시켜 준불연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는 불연조성물(12)을 수용한 탱크(20)와, 발포폼시트(11)를 탱크(20)의 불연조성물(12) 속으로 통과시킴과 동시에 발포폼시트(11)를 압착 및 해제시키면서 발포폼시트(11)가 압착된 후 복원되는 순간 불연조성물(12)로 하여금 발포폼시트(11)에 마련된 핀홀(11a) 또는 핀홈(11b) 속으로 채워지도록 하는 채움롤러모듈(30)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발포폼시트(11)는 합성수지의 발포에 의해 수많은 에어셀(Air Cell)들을 지니고 있고, 이러한 발포폼시트(11)를 압착한 후 해제할 경우 에어셀들의 자체 탄성에 의해 수축 후 순간 복원될 수 있고, 이러한 성질을 적극 활용하여 발포폼시트(11)에 핀홀(11a) 또는 핀홈(11b)을 마련시킬 경우 탱크(20) 속에서 발포폼시트(11)의 압착시 핀홀(11a) 또는 핀홈(11b)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감과 동시에 발포폼시트(11)의 압착 해제시 에어셀들의 탄성에 따른 순간적인 복원에 의해 핀홀(11a) 또는 핀홈(11b) 속으로 불연조성물(12)이 채워질 수 있게 되어 발포폼시트(11)의 릴투릴 공급 및 회수 과정에서 발포폼시트(11)로의 불연조성물(12)의 채움을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준불연 발포폼시트(100)의 제조를 실현케 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로 제작된 준불연 발포폼시트의 화재시 반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연조성물(12)은 선행기술문헌들과 같이 열반응팽창제(12a) 및 액상불연제(12b)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반응팽창제(12a)는 선행기술문헌들에 소개된 팽창흑연 또는 팽창질석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은 산, 알칼리 및 염 등의 화학물질을 천연 인상흑연에 혼합시키면서 탄소원자를 결합시켜 제조된 흑연층간화합물(Graphite Intercalation on Compounds)로서 가열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연층간화합물이 빠르게 팽창 및 분해되면서 많은 양의 탄소를 발생시켜 주변의 산소와 결합함으로써 화재시 산소결핍을 유도하여 화재를 진압함과 동시에 화염전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액상불연제(12b)는 규산칼륨 또는 규산나트륨, 분산제, 경화지연 및 촉진제, 이산화티타늄 등이 첨가될 수 있으며, 알칼리금속실리케이트 화합물 중 소듐실리케이트(SiO2/Na2O), 포타슘실리케이트(SIO2/K2O), 리튬실리케이트(SiO2/Li2O) 1종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75∼95wt%를 사용하고, 티타늄옥사이드(TiO2/Rutile), 지르코늄옥사이드 (ZrO2), 실리콘옥사이드(SiO2), 징크옥사이드(ZnO), 칼슘옥사이드(CaO), 칼슘카보네이트(CaCO3), 칼슘하이도로옥사이드(Ca(OH)2), 알루미늄옥사이드(Al2O3), 실리콘카바이드(SiC), 탈크(3MgOㅇ4SiO2ㅇH2O) 등 1종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0.1∼10wt%를 첨가하며, 첨가제들의 표면 개질을 위해 계면활성제의 한 형태인 분산제를 사용하고,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등 지방성 비이온성 분산제나 카본 블랙 등 도전성 분산제가 선택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발포폼시트(11)의 핀홀(11a) 또는 핀홈(11b)은 채움롤러모듈(30)에 마련된 핀(P)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탱크(20) 내의 불연조성물(12) 속에 마련된 채움롤러모듈(30)에 핀(P)을 직접 마련함으로써 설비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을 보장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발포폼시트(11)의 핀홀(11a) 또는 핀홈(11b)은 릴투릴공급롤러(40)에 마련된 핀(P)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여 채움롤러모듈(30)에 핀(P)을 형성시킬 때의 탱크(2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탱크(20)의 크기를 임팩트화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나아가, 탱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조성물(12) 중 열반응팽창제(12a)를 수용하는 제1탱크(21)와, 불연조성물(12) 중 액상불연제(12b)를 수용하는 제2탱크(2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탱크(21) 내에서 열반응팽창제(12a)를 핀홀(11a) 또는 핀홈(11b) 속으로 미리 채워 밀도를 높인 후 제2탱크(22) 내에서 액상불연제(12b)를 채워 고밀도의 열반응팽창제(12a)에 의한 준불연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는 탱크(20)를 통과하면서 채움롤러모듈(30)에 의해 발포폼시트(11)에 채움 및 함유된 불연조성물(12)의 함량을 저감시키는 탈수롤러모듈(50)을 더 포함하여 불연조성물(12)의 불필요한 소모를 미연에 방지하고, 탈수롤러모듈(50)을 통과한 발포폼시트(11)를 건조시키는 건조로(60)를 더 포함하여 신속한 경화를 보장하며, 나아가 건조로(60)를 통과한 발포폼시트(11)의 표면에 알루미늄필름(13)을 부착시키는 필름부착모듈(70)을 더 포함하여 준불연에 대한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탈수롤러모듈(50) 및 건조로(60) 사이에 개재되어 발포폼시트(11)의 표면에 달라붙은 불연조성물(12)을 제거하는 표면제거롤러모듈(80)을 더 포함하여, 필름부착모듈(70)을 통한 발포폼시트(11)로의 알루미늄필름(13)의 부착시 더욱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건축분야의 내외장재나 마감재, 각종 산업현장의 포장재 또는 내장재, 나아가 공산품 등의 주요 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 : 준불연 발포폼시트 11 : 발포폼시트
11a : 핀홀 11b : 핀홈
12 : 불연조성물 12a : 열반응팽창제
12b : 액상불연제 13 : 알루미늄필름
20 : 탱크 21 : 제1탱크
22 : 제2탱크 30 : 채움롤러모듈
40 : 릴투릴공급롤러 P : 핀
50 : 탈수롤러모듈 60 : 건조로
70 : 필름부착모듈 80 : 표면제거롤러모듈

Claims (9)

  1. 삭제
  2. 발포폼시트(11)를 릴투릴 공급 및 회수하면서 준불연 발포폼시트(100)를 제조하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불연조성물(12)을 수용한 탱크(20)와, 상기 발포폼시트(11)를 상기 탱크(20)의 불연조성물(12) 속으로 통과시킴과 동시에 상기 발포폼시트(11)를 압착 및 해제시키면서 상기 발포폼시트(11)가 압착된 후 복원되는 순간 상기 불연조성물(12)로 하여금 상기 발포폼시트(11)에 마련된 핀홀(11a) 또는 핀홈(11b) 속으로 채워지도록 하는 채움롤러모듈(30)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폼시트(11)의 핀홀(11a) 또는 핀홈(11b)은 상기 채움롤러모듈(30)에 마련된 핀(P)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3. 발포폼시트(11)를 릴투릴 공급 및 회수하면서 준불연 발포폼시트(100)를 제조하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불연조성물(12)을 수용한 탱크(20)와, 상기 발포폼시트(11)를 상기 탱크(20)의 불연조성물(12) 속으로 통과시킴과 동시에 상기 발포폼시트(11)를 압착 및 해제시키면서 상기 발포폼시트(11)가 압착된 후 복원되는 순간 상기 불연조성물(12)로 하여금 상기 발포폼시트(11)에 마련된 핀홀(11a) 또는 핀홈(11b) 속으로 채워지도록 하는 채움롤러모듈(30)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폼시트(11)의 핀홀(11a) 또는 핀홈(11b)은 릴투릴공급롤러(40)에 마련된 핀(P)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조성물(12)은 열반응팽창제(12a) 및 액상불연제(12b)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20)는
    상기 불연조성물(12) 중 열반응팽창제(12a)를 수용하는 제1탱크(21)와,
    상기 불연조성물(12) 중 액상불연제(12b)를 수용하는 제2탱크(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20)를 통과하면서 상기 채움롤러모듈(30)에 의해 상기 발포폼시트(11)에 채움 및 함유된 상기 불연조성물(12)의 함량을 저감시키는 탈수롤러모듈(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롤러모듈(50)을 통과한 상기 발포폼시트(11)를 건조시키는 건조로(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60)를 통과한 상기 발포폼시트(11)의 표면에 알루미늄필름(13)을 부착시키는 필름부착모듈(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롤러모듈(50) 및 건조로(6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발포폼시트(11)의 표면에 달라붙은 불연조성물(12)을 제거하는 표면제거롤러모듈(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KR1020210113206A 2021-08-26 2021-08-26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KR10239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206A KR102391272B1 (ko) 2021-08-26 2021-08-26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206A KR102391272B1 (ko) 2021-08-26 2021-08-26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272B1 true KR102391272B1 (ko) 2022-04-27

Family

ID=8139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206A KR102391272B1 (ko) 2021-08-26 2021-08-26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27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721A (ko) 2004-12-18 2006-06-22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팽창흑연을 함유한 불연성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수지입자의 제조방법
KR100659942B1 (ko) * 2005-07-01 2006-12-21 (주)재현 난연성 스티로폼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9087A (ko) 2007-08-20 2009-02-25 최진영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
KR20180117511A (ko) * 2017-04-19 2018-10-29 서진호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20180128815A (ko) * 2017-05-24 2018-12-04 서진호 천공된 피막구조를 가지는 준불연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1932448B1 (ko) 2017-11-06 2018-12-26 강성복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KR101978112B1 (ko) * 2019-02-14 2019-05-14 조기석 강도가 향상된 폴리우레탄 압축스펀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압축스펀지
KR20190094866A (ko) 2018-02-06 2019-08-14 이명선 팽창질석과 발포수지를 이용한 단열패널 제조방법
KR102162512B1 (ko) 2020-07-08 2020-10-06 강응선 팽창 흑연을 함유한 난연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연성 폴리우레탄폼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721A (ko) 2004-12-18 2006-06-22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팽창흑연을 함유한 불연성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수지입자의 제조방법
KR100659942B1 (ko) * 2005-07-01 2006-12-21 (주)재현 난연성 스티로폼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9087A (ko) 2007-08-20 2009-02-25 최진영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
KR20180117511A (ko) * 2017-04-19 2018-10-29 서진호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20180128815A (ko) * 2017-05-24 2018-12-04 서진호 천공된 피막구조를 가지는 준불연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1932448B1 (ko) 2017-11-06 2018-12-26 강성복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KR20190094866A (ko) 2018-02-06 2019-08-14 이명선 팽창질석과 발포수지를 이용한 단열패널 제조방법
KR101978112B1 (ko) * 2019-02-14 2019-05-14 조기석 강도가 향상된 폴리우레탄 압축스펀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압축스펀지
KR102162512B1 (ko) 2020-07-08 2020-10-06 강응선 팽창 흑연을 함유한 난연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연성 폴리우레탄폼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6415C (en)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rigid foam with inorganic fillers
KR101977804B1 (ko) 외부 벽체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360474A (ja) 無機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06149A (ja)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これにより得られた発泡体及びその使用法
KR20180007737A (ko) 재활용 준불연 단열재
KR20210000932A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기능성 콘크리트 벽돌
KR20190027500A (ko) 준불연 기능을 갖는 단차단열재
KR102391272B1 (ko)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KR100507582B1 (ko) 난연성 및 소화성이 우수한 스치로폴 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5821A (ko) 난연 조성물
KR102183825B1 (ko) 내외장재용 합성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내외장재용 합성패널
KR20060126292A (ko)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19958B1 (ko) 재활용 복합압축 보온 단열재 보드 제조방법
CN110643099A (zh) 一种环保聚乙烯发泡板及其制备方法
KR101530508B1 (ko) 열가소성수지를 이용한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용 난연 코팅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532274B1 (ko) 스티로폼 코팅용 난연재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스티로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8189B1 (ko) 건축용 스티로폼 블록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스티로폼 블록재
KR102070809B1 (ko)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KR100536854B1 (ko) 발포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유리 전구체의제조방법
KR20150056918A (ko) 폐단열재를 이용한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단열재
CN114981509A (zh) 耐火隔热板及耐火隔热结构体
KR102149236B1 (ko) 팽창흑연 도막이 형성된 불연성의 페놀 폼의 제조방법 및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페놀 폼
KR100860046B1 (ko) 압축공법을 이용한 난연성 및 내화성이 우수한발포플라스틱 성형체와 그 제조방법
CN111608283A (zh) 一种岩棉板复合聚氨酯保温板及其制备方法
KR101019980B1 (ko) 내화 불연성 스티로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