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809B1 -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 Google Patents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809B1
KR102070809B1 KR1020180014983A KR20180014983A KR102070809B1 KR 102070809 B1 KR102070809 B1 KR 102070809B1 KR 1020180014983 A KR1020180014983 A KR 1020180014983A KR 20180014983 A KR20180014983 A KR 20180014983A KR 102070809 B1 KR102070809 B1 KR 10207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fiber
powder
composite panel
combus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685A (ko
Inventor
최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혁진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혁진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혁진그룹
Priority to KR102018001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8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09J1/02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containing water-soluble alkali silic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02Noble metals
    • B32B2311/08Silv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2001/742Use of special materials; Materials having special structures or shape
    • E04B2001/746Recycled materials, e.g. made of used tires, bumpers or newsp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섬유폐기물에서 회수된 폐섬유 스크랩에 입자조성물 및 무기접착제를 혼합하여 단열성 및 불연성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함을 제공하도록, 섬유폐기물에서 회수된 폐섬유 스크랩을 타면한 후 성형 및 니들링 처리하여 패널형태로 제작하되 최종 열압착시켜 제조되는 섬유패널에 다공성 장석분말을 포함한 무기질분말 및 무기접착제를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자체적인 내구성을 강화하면서 단열효과와 불연효과가 일괄적으로 향상되고, 조성 구성 간에 우수한 접착력을 도모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Composite Panel for Insulation and Nonflammable Using Waste Fiber Scrap}
본 발명은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섬유폐기물에서 회수된 폐섬유 스크랩에 무기질분말 및 무기접착제를 혼합하여 단열성 및 불연성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자재(예를 들면, 폐섬유, 폐 플라스틱, 폐유리 등)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폐자재 중 폐섬유의 경우에는 하루에 버려지는 양이 약 250톤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면서도 폐섬유의 처리가 곤란하여 불법소각에 따른 심각한 환경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폐섬유의 재활용 방안이 계속해서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각종 건축물에 사용되는 마감재나 축조용으로 사용되는 토목 및 건축자재는 대부분 천연자원인 화강석이나 대리석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구성되며, 특히 건물 내부의 마감재로 큰 각광을 받고 있으나 가격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폐섬유를 산업원료로 재활용하여 자원의 낭비를 막고 환경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며, 최근 폐자원을 활용한 건축자재에 대한 재생처리기술들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폐섬유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재생처리기술로는 기본적으로 각종 섬유폐기물을 수거하여 일정 크기로 분쇄처리함에 따라 섬유스크랩을 제조하고, 섬유스크랩을 이용하여 건축자재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내구성 및 내열성, 난연성 등이 발휘될 수 있게 가공처리함에 따라 새롭게 재생된 섬유패널을 제조 생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섬유폐기물을 이용하여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21066호(1998.04.14.)에는 폴리에스테르재질로 구성된 폐섬유와 나이론 재질로 구성된 폐섬유 중의 하나로 이루어진 제1폐섬유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해 주는 제1절단기, 상기 절단기로부터 절단되어 나오는 제1폐섬유를 불어서 다음 단계로 이송시켜 주는 제 송풍기, 이 송풍기에 의해 이송되어온 제1폐섬유를 저장하여 일정량씩 다음 단계로 투입시켜 주는 저장호퍼, 이 저장호퍼로부터 투입된 제1폐섬유를 타면해 주는 타면기, 상기 타면기로부터 타면되어 나오는 제1폐섬유를 불어서 다음 단계로 이송시켜 주는 제2송풍기, 타면된 제1폐섬유를 일정두께로 평탄하게 깔아주는 평탄기, 평탄하게 깔아진 제1폐섬유를 콘베이어 상에서 이송시켜 주면서 두들겨서 압착시켜 주는 압착기 및, 평판 상으로 압착된 제1폐섬유를 콘베이어에 의한 이송중에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주는 제2절단기로 구성되어 제1폐섬유중간판재를 제조해 주는 제1중간판재라인; 상기 제1중간판재라인과 동일한 장치가 병렬상태로 추가 설치되어 상기 2 가지의 폐섬유 중 나머지 하나의 폐섬유로 이루어진 제2폐섬유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과 과정으로 제2폐섬유중간판재를 제조해 주는 제2중간판재라인; 상기 제1 및 제2 중간판재라인으로부터 콘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2개의 중간판재를 가열·압착시켜 2겹으로 융착시켜 주는 융착기; 융착된 판재를 가열상태에서 더욱 압축시켜 주는 압축롤; 가열 압축된 판재를 냉각시켜 주는 냉각기 및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하여 완성시켜 주는 제3절단기가 연속적인 라인으로 구성됨에 따라 섬유패널의 제조에 완전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는 섬유폐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0285호(2001.11.14.)에는 융착성 섬유, 일반 화학섬유, 자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폐섬유를 수집하고 종류별, 색상별로 분류하는 단계와, 분류된 페섬유를 배합에 적당한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폐섬유를 색상별, 종류별로 배합하는 단계와, 상기 배합된 페섬유를 타면기로 솜상으로 만드는 단계와, 혼합된 솜을 카드기로 카딩하는 단계와, 카딩된 솜을 성형기로 원하는 폭과 두께로 섬유판체로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된 섬유판체를 펀칭기로 니들링하는 단계와, 상기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다수개의 섬유판체 중의 열융착성 섬유가 용융하여 다른 섬유와 결합하도록 오븐기로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여러 겹의 섬유판체를 다수개의 로울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폐섬유를 이용한 열 압축매트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제조장치 또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일반적인 종래 섬유패널의 경우에는 기본적인 내구성능이 있기는 하지만, 소정 수준 이상의 단열이나 볼연효과를 충족시킬만한 별도의 단열 및 불연 조성물이 부재하여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섬유패널의 기본적인 재질 자체가 연소성을 갖기 때문에 화재시 모두 타버려 화재피해를 가중시키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21066호 (1998.04.14.)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0285호 (2001.11.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섬유패널에 다공성 장석분말을 포함한 무기질분말과 함께 무기접착제를 혼합 조성하여 구성하므로 패널의 기본적인 내구성을 보강함은 물론 단열성 및 불연성을 높일 수 있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섬유패널의 외부 노출면에 불연코팅한 표면구조로 구성하므로 화재에 대비한 내화구조적 기능으로 화재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은 섬유폐기물에서 회수된 폐섬유 스크랩을 타면한 후 성형 및 니들링 처리하여 패널형태로 제작하되 최종 열압착시켜 제조되는 섬유패널에 다공성 장석분말을 포함한 무기 질분말 및 무기접착제를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무기질분말은 다공성 장석분말에 흑운모분말 및 황토분말을 혼합 조성하되, 상기 다공성 장석분말 : 흑운모분말 : 황토분말의 중량비가 2 ~ 3 :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 조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다공성 장석분말은 입자크기가 40㎛ ~ 1mm인 것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무기접착제는 액상규산나트륨(Na2O·nSiO2·xH2O)에 실리카졸을 물과 함께 혼합 조성하되, 상기 액상규산나트륨 : 실리카졸 : 물을 1 : 0.5 : 1 중량비로 혼합 조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의 상하면에 박막형태로 코팅되어 외부 가열원으로부터 보호가능하게 형성되는 불연코팅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불연코팅층은 표면에 단층 또는 복층의 코팅층을 형성하되 알루미늄 은박으로 접착 또는 코팅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불연코팅층은 복층의 코팅층 사이에 직조형태로 접착 형성되는 유리섬유층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에 의하면 섬유패널에 다공성 장석분말을 포함한 무기질분말과 함께 무기접착제를 혼합 조성하므로, 자체적인 내구성을 강화하면서 단열효과와 불연효과가 일괄적으로 향상되고, 조성 구성 간에 우수한 접착력을 도모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은 조성성분 간에 무기접착제로 혼합 조성함과 동시에 외부 노출면에 별도의 가열원으로부터 보호가능한 불연구조를 구현하므로 구조적인 내화성을 향상시키면서 재해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불연코팅층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불연코팅층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섬유폐기물에서 회수된 폐섬유 스크랩을 타면한 후 성형 및 니들링 처리하여 패널형태로 제작하되 최종 열압착시켜 제조되는 섬유패널에 다공성 장석분말을 포함한 무기질분말 및 무기접착제를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지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질분말은 다공성 장석분말에 흑운모분말 및 황토분말을 혼합 조성하되, 상기 다공성 장석분말 : 흑운모분말 : 황토분말의 중량비가 2 ~ 3 :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 조성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장석분말은 입자크기 40㎛ ~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접착제는 액상규산나트륨(Na2O·nSiO2·xH2O)에 실리카졸을 물과 함께 혼합 조성하되, 상기 액상규산나트륨 : 실리카졸 : 물을 1 : 0.5 : 1 중량비로 혼합 조성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의 상하면에 박막형태로 코팅되어 외부 가열원으로부터 보호가능하게 형성되는 불연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연코팅층은 표면에 단층 또는 복층의 코팅층을 형성하되 알루미늄 은박으로 접착 또는 코팅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연코팅층은 복층의 코팅층 사이에 직조형태로 접착 형성되는 유리섬유층을 포함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고,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고, 도면에서 나타내는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10)의 일실시예는, 섬유폐기물에서 회수된 폐섬유 스크랩을 타면한 후 성형 및 니들링 처리하여 패널형태로 제작하되 최종 열압착시켜 제조되는 섬유패널에 다공성 장석분말를 포함한 무기질분말 및 무기접착제를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합패널(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패널(10)의 사용용도 즉 건축 마감재, 각종 내장재,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대용의 자재 등 다양한 자재의 사용용도에 맞춰 다양한 형상으로 맞춤 제작가능하다.
상기 복합패널(10)은 융착성 섬유나 일반 화학섬유, 면, 양모 등과 같은 자연 섬유를 수집 회수하여 사용하며, 회수 폐섬유의 경우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한 폐섬유 스크랩을 사용한다.
상기 복합패널(10)은 기본적인 섬유로 조성된 섬유패널의 구성에 다공성 장석분말을 포함한 무기질분말 및 무기접착제가 혼합 조성된 구조로서, 복합패널의 제조공정 중 무기질분말과 무기접착제를 혼합 조성하여 상기 복합패널(10)을 일괄 제조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복합패널의 기초적인 형태로 제조된 상태에서 무기질분말과 무기접착제가 혼합된 별도의 표면층을 구비토록 상기 복합패널(10)을 구분 제조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합패널에는 부직포나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폴리에스터섬유, 금속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섬유를 혼합 조성토록 구성하므로, 전반적인 섬유패널의 구조가 보다 우수한 인장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질분말은 다공성 장석분말만을 적용하여 구성하거나 다공성 장석분말에 흑운모분말 및 황토분말을 혼합 조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무기질분말을로 다공성 장삭분말과 함께 흑운모분말 및 황토분말을 혼합 조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공성 장석분말 : 흑운모분말 : 황토분말의 중량비는 2 ~ 3 :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 조성한다.
상기 다공성 장석분말은 본 발명에서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구성으로서, 통상적으로 장석은 지각을 구성하는 무질 중 가장 흔한 자연계 물질이며 산업광물로서 유리, 도료 등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석의 광물구조는 일차적으로 Al과 Si의 배열-비배열, 쌍정, 연정 및 이들의 복합적 구조와 연관되고(Parsons, 1994; Smith & Brown, 1988; Deer et al., 2001), 이차적으로 풍화와 변질에 의한 미세구조로 구분된다.
특히, 풍화과정에서 장석의 표면에는 미세한 공극이 특징적으로 발달하고 있는데, 이러한 장석의 다공체 구조로 인해 비표면적이 증가하며, 체적특성은 감소하고 표면특성이 증대되어 이에 따른 전기/자기적, 광학적 성질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 Lee, 2000).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공성 장석분말의 자체적인 미세한 공극을 활용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복합패널을 구현하는 것이 특징적 기술 중 하나이다.
상기 다공성 장석분말은 입자크기가 40㎛ ~ 1mm인 것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단열효과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다공성 장석분말은 입자크기 40~500㎛인 것과 500~1,000㎛인 것을 구분하여 상호 혼합조성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장석 고유의 다공성을 유지하면서 제품의 전반적인 조밀도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흑운모분말은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는 광물로서 화학성분은 K(Mg,Fe)3(OH)2AlSi3O12이다. 유색 조암 광물 중에 가장 넓게 분포되어 있고 많은 화성암 ·변성암에서 산출되며, 퇴적암에도 드물지 않다. 페그마타이트에서는 거대한 흑운모 결정을 얻을 수 있다. 판상 또는 인상(鱗狀)을 이루며 흔히 육각형 또는 능면체를 나타낸다. 밑면에 쪼개짐이 완전하고 박편은 탄성을 가지는데 금운모(金雲母)에 비하여 작다. 흑색 ·갈흑색 ·녹흑색 등을 띠며, 쪼개짐면은 진주광택이 있고, 때로는 금속광택을 가진다. 굳기 2.5∼3.0, 비중 2.7∼3.1이다. 풍화되기 쉬운 광물로서 다소 변질된 것이 있는데, 이를 버미큘라이트라고 한다. 전기 절연체로 이용된다. 흑운모는 황토와 맥반석 보다 약 3배 이상 원적외선 방사율(94%)이 높으며 게르마늄 함유량이 36ppm에 이르는 생명의 돌로서 발암물질도 제거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옛부터 흑운모석을 약돌이라 부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흑운모분말을 원적외선 방사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황토분말과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다공성 장석분말에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황토 분말은 가소성, 흡착성, 흡수 및 탈수성, 현탁성, 이온교환성 등의 점토광물의 광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광물에 비해 활성도가 높으며 촉매성, 높은 표면적, 전자파의 흡수 및 방출 등의 다양한 성질을 가진 천연 재료이며, 이러한 황토를 사용하게 되면 토양의 습도 조절 능력이 우수하고, 탄산칼슘이 함유되어 있어 산성비를 중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황토 스스로 습도조절능력이 우수하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므로써 인체에 매우 유익한 재료이며, 다양한 무기물 과 효소의 작용에 의해 수질 및 토양개선 및 치료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매우 환경친화적인 성분이다.
상기 황토분말은 상기 흑운모분말과 마찬가지로 흑운모분말과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다공성 장석분말에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무기접착제는 액상규산나트륨(Na2O·nSiO2·xH2O)에 실리카졸을 물과 함께 혼합 조성하되, 상기 액상규산나트륨 : 실리카졸 : 물을 1 : 0.5 : 1 중량비로 혼합 조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액상규산나트륨(Na2O·nSiO2·xH2O)은 물유리라고도 불리우며 점성질의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투명한 용액으로, 한국공업규격(KSM1415)에서 정하는 종류는 Na2O와 SiO2의 몰비가 1 : 2.064 ~ 4.300으로 여러 가지 조성을 갖는다.
상기 실리카졸은 실리카 등으로 불리는 이산화규소(SiO2)가 물에서 음이온의 콜로이드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점성이 있는 액상의 물질이며, 상기 액상규산나트륨(Na2O·nSiO2·xH2O)과 실리카졸을 배합하면, 이산화규소의 성분이 아주 많은 액상규산나트륨(Na2O·nSiO2·xH2O)이 되어 강력한 접착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액상규산나트륨(Na2O·nSiO2·xH2O)은 물이 증발하면 고형화되면서 접착성을 가지므로 무기접착제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 액상규산나트륨(Na2O·nSiO2·xH2O) 중의 나트륨 이온이 공기 중의 수분 또는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생성하면서 친수성으로 변화되므로, 수분에 의하여 강도가 급격히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그 자체로 무기접착제로 사용하기에는 부적당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상규산나트륨(Na2O·nSiO2·xH2O)의 접착강도가 강하고 수분에 안정적이도록 상기 액상규산나트륨(Na2O·nSiO2·xH2O)에 실리카졸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되, 상기 액상규산나트륨 : 실리카졸 : 물을 1 : 0.5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적정한 점도범위 내에서 액상규산나트륨(Na2O·nSiO2·xH2O)에 실리카졸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여 접착성을 증대시킨다.
이때, 상기 무기접착제의 사용량은 상기 복합패널(10)의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무기접착제를 5 중량부 미만 사용하면 무기접착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상기 무기접착제의 사용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복합패널의 강도는 증가하지만 고유의 단열효과 및 흑운모, 황토분말의 기능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10)에 의하면, 복합패널에 다공성 장석분말을 포함한 무기질분말과 함께 무기접착제를 혼합 조성하므로, 자체적인 내구성을 강화하면서 단열효과와 불연효과가 일괄적으로 향상되고, 조성 구성 간에 우수한 접착력을 도모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10)의 다른 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합패널(10)의 상하면에 박막형태로 코팅되어 외부 가열원으로부터 보호가능하게 형성되는 불연코팅층(1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불연코팅층(15)은 외부 표면에 불연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불연코팅층(15)에 사용가능한 재질로는 알루미늄 은박을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연코팅층(15)은 불연분말에 난연조성물을 혼합 제조하여 구성하므로, 보다 고효율의 난연성을 갖는 불연코팅층(15)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불연분말로는 알루미늄이나 천매암, 폴리스티렌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용하며, 난연조성물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활석, 안티몬, 규산염을 사용하여 불연코팅층의 불연재료를 제조가능하다.
상기 불연코팅층(15)은 상기 복합패널(10)의 외부 표면에 코팅형태로 도포 적용하여 구성하거나, 상기 불연코팅층(15)은 시트지 형태로 접착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불연코팅층(15)은 상기 복합패널(10)의 사용유형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 구조를 이루도록 조성가능하다.
또한 상기 불연코팅층(15)에는 내측에 유리섬유를 직조하여 구성하므로, 상기 복합패널의 단열성 및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외부충격에 따른 내구성을 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불연코팅층(15)의 제1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합패널(10)의 외부 표면에 단층 또는 복층의 코팅층을 형성하되 알루미늄 은박으로 접착 또는 코팅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불연코팅층(15)의 제2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 은박으로 조성된 복층의 코팅층 사이에 직조형태로 접착 형성되는 유리섬유층(17)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불연코팅층(15)에 유리섬유층(17)을 적용하여 구성하면, 제품의 단열성 및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외부충격에 따른 내구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조성성분 간에 무기접착제로 혼합 조성함과 동시에 외부 노출면에 별도의 가열원으로부터 보호가능한 불연구조를 구현하므로, 구조적인 내화성을 향상시키면서 재해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복합패널
15 : 불연코팅층
17 : 유리섬유층

Claims (7)

  1. 섬유폐기물에서 회수된 폐섬유 스크랩을 타면한 후 성형 및 니들링 처리하여 패널형태로 제작하되 최종 열압착시켜 제조되는 섬유패널에 다공성 장석분말을 포함한 무기질분말 및 무기접착제를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지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로서, 상기 무기질분말은 다공성 장석분말에 흑운모분말 및 황토분말을 혼합 조성하되, 상기 다공성 장석분말 : 흑운모분말 : 황토분말의 중량비가 2 ~ 3 :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장석분말은 입자크기 40㎛ ~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접착제는 액상규산나트륨(Na2O·nSiO2·xH2O)에 실리카졸을 물과 함께 혼합 조성하되, 상기 액상규산나트륨 : 실리카졸 : 물을 1 : 0.5 : 1 중량비로 혼합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5.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패널의 상하면에 박막형태로 코팅되어 외부 가열원으로부터 보호가능하게 형성되는 불연코팅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불연코팅층은 표면에 단층 또는 복층의 코팅층을 형성하되 알루미늄 은박으로 접착 또는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불연코팅층은 복층의 코팅층 사이에 직조형태로 접착 형성되는 유리섬유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KR1020180014983A 2018-02-07 2018-02-07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KR102070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83A KR102070809B1 (ko) 2018-02-07 2018-02-07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83A KR102070809B1 (ko) 2018-02-07 2018-02-07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85A KR20190095685A (ko) 2019-08-16
KR102070809B1 true KR102070809B1 (ko) 2020-01-29

Family

ID=6780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983A KR102070809B1 (ko) 2018-02-07 2018-02-07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395B1 (ko) * 2020-07-06 2021-04-12 대한민국 목섬유를 이용한 난연 섬유판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65B1 (ko) * 2015-01-09 2015-07-10 (주)엔아이테크 무기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무기 불연 보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066Y1 (ko) 1995-08-11 1998-07-15 박동현 섬유 폐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장치
KR20010100285A (ko) 2000-04-10 2001-11-14 노창용 폐섬유를 이용한 열 압축 매트의 제조방법
KR101114949B1 (ko) * 2008-09-12 2012-03-07 (주)소프트백코리아 친환경 난연 단열재
KR101313693B1 (ko) * 2010-09-20 2013-10-02 강수행 준 불연 특성을 갖도록 제공되는 다용도 섬유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3874A (ko) * 2014-10-14 2016-04-22 영화개발산업 주식회사 건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65B1 (ko) * 2015-01-09 2015-07-10 (주)엔아이테크 무기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무기 불연 보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395B1 (ko) * 2020-07-06 2021-04-12 대한민국 목섬유를 이용한 난연 섬유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85A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5954A (en) Compositions of vermiculite lamellae and solid particulate materials
DE1471296A1 (de) Verfahren zur Impraegnierung von Schaumkunststoffen
KR101535465B1 (ko) 무기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무기 불연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291337B1 (ko) 친환경 건축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468780B1 (ko)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KR100252673B1 (ko) 불연성 건축물 내외장용 보-드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0541414B1 (ko) 팽창성 광물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CN202644762U (zh) 一种高强度岩棉夹芯板
JP4465802B2 (ja) サイディング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パネル
KR101179170B1 (ko) 석면 대체용 규사질 불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70507B1 (ko) 건축용 기능성 경량판재와 그 제조방법
KR102070809B1 (ko) 폐섬유 스크랩을 이용한 단열 및 불연 복합패널
KR100732625B1 (ko)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995606B1 (ko) 친환경적인 내화패널
EP3406581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aus einer trockenmischung mit graphitpartikeln und so hergestelltes formteil
CN112533884B (zh) 一种阻燃性建筑用轻量面板及其制造方法
KR101229107B1 (ko) 팽창성 광물과 중성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KR101973186B1 (ko) 탄소섬유 그리드 기술을 적용한 고강도 산화마그네슘 복합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21115A (ko) 난연과 흡음 방음 기능을 갖는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내장재의 구조
KR102397688B1 (ko) 친환경 건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72947A (zh) 一种用于复合板的芯材及其制备方法
KR101815649B1 (ko) 건축용 실내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0799612B1 (ko) 난연성 발포유리입자를 이용한 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H04305048A (ja) 無機質防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27451A (ko) 왕겨를 이용한 난연성 판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