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050B1 -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 Google Patents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050B1
KR102391050B1 KR1020167029958A KR20167029958A KR102391050B1 KR 102391050 B1 KR102391050 B1 KR 102391050B1 KR 1020167029958 A KR1020167029958 A KR 1020167029958A KR 20167029958 A KR20167029958 A KR 20167029958A KR 102391050 B1 KR102391050 B1 KR 10239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glass
light emitting
interlayer film
emitting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435A (ko
Inventor
유우스케 오오타
야스유키 이즈
다이스케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32B17/10669Luminescent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88Adjustment of the adherence to the glass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6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s B32B27/32 and B32B27/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2Luminescent, fluorescent, phosphor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판 유리의 특정 영역에 있어서 이중으로 표시되지 않고, 또한 일정 범위의 휘도로 콘트라스트가 높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발광 재료를 함유하는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단면 형상이 쐐기형이며, 상기 발광층의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의 차가 100 ㎛ 이하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다.

Description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합판 유리의 특정 영역에 있어서 이중으로 표시되지 않고, 또한 일정 범위의 휘도로 콘트라스트가 높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안전성 향상의 견지로부터, 예를 들어, 자동차용의 프론트 유리에 대하여, 이 프론트 유리와 동일한 시야 내에, 자동차 주행 데이터인 속도 정보 등의 계기 표시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HUD) 로서 표시시키고자 하는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HUD 의 기구로는, 지금까지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HUD 표시부가 프론트 유리 표면에는 없고,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속도 정보 등을 인스톨 멘탈·패널의 표시 유닛으로부터 프론트 유리에 반사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프론트 유리와 동일한 위치 (즉, 동일 시야 내) 에서 시인시키는 형태의 것이 있다. 이와 같은 반사형의 HUD 에는, 초점 거리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표시되는 정보가 먼 쪽에 존재하도록 시인되어 운전자의 눈의 초점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안전하다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2 장의 투명판 사이에, 발광 재료로서 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중간층이 적층된 합판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합판 유리는, 광선이 조사됨으로써, 콘트라스트가 높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HUD 의 이점을 감안하여, 이와 같은 발광 재료를 사용한 합판 유리를 이용한 HUD 와 반사형의 HUD 를 조합하는 요망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합판 유리에서는, 프론트 유리를 구성하는 합판 유리가 2 장의 평행한 유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에 비치는 계기 표시가 이중으로 보이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국제 공개 제2010/139889호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발명을 기초로, 소정의 쐐기각을 갖는 쐐기형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 중에 발광 재료를 배합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단면 형상이 쐐기형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는, 그 쐐기각을 조정함으로써, 일방의 유리에서 반사되는 계기 표시와, 타방의 유리에서 반사되는 계기 표시를 운전자의 시야에서 1 점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계기 표시가 이중으로 보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발광 재료를 배합한 단면 형상이 쐐기형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면, 발광 재료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가 합판 유리의 부위에 따라 상이해져 버린다는 새로운 문제가 생겼다.
본 발명은, 상기 현상황을 감안하여, 합판 유리의 특정 영역에 있어서 이중으로 표시되지 않고, 또한 일정 범위의 휘도로 콘트라스트가 높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발광 재료를 함유하는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단면 형상이 쐐기형이며, 상기 발광층의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의 차가 100 ㎛ 이하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발광 재료를 배합한 단면 형상이 쐐기형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가 상이한 이유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이 되는 것에 의해, 두께가 얇은 부분보다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있어서의 형광 재료의 면밀도가 높아지는 것이 원인인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자들은, 더욱 예의 검토한 결과, 발광 재료를 함유하는 발광층의 두께를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의 차를 100 ㎛ 이하로 하여 형광 재료의 면밀도의 변동을 일정 이하로 함과 함께, 수지층을 적층한 다층 구조로서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적인 단면 형상을 쐐기형으로 함으로써, 이중 이미지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일정 범위의 휘도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합판 유리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형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단면 형상이 쐐기형이다. 합판 유리의 설치 각도에 따라, 쐐기형의 쐐기각 (θ) 을 조정함으로써, 이중 이미지의 발생을 방지한 화상 표시가 가능해진다. 이중 이미지를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 상기 쐐기각 (θ) 의 바람직한 하한은 0.1 mrad,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2 mrad,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3 mrad 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1 mrad,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9 mrad 이다.
또한, 예를 들어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는 방법에 의해 단면 형상이 쐐기형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한 경우, 얇은 쪽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조금 내측의 영역 (구체적으로는,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를 X 로 했을 때에, 얇은 쪽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0X ∼ 0.2X 의 거리의 영역) 에 최소 두께를 가지고, 두꺼운 쪽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조금 내측의 영역 (구체적으로는,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를 X 로 했을 때에, 두꺼운 쪽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0X ∼ 0.2X 의 거리의 영역) 에 최대 두께를 갖는 형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형상도 쐐기형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발광 재료를 함유하는 발광층과, 수지층 (이하, 「형상 보조층」이라고도 한다) 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발광층의 두께를 일정 범위로 하는 한편, 상기 형상 보조층을 적층함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쐐기형이 되도록 조정한다.
상기 형상 보조층은, 상기 발광층의 일방의 면에만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양방의 면에 적층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형상 보조층을 적층해도 된다.
상기 발광층은, 단면 형상이 쐐기형이어도 되고, 사각형이어도 된다. 상기 발광층은, 단면 형상이 쐐기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의해 얻어진 합판 유리를 HUD 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발광층의 최소 두께를 HUD 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광층의 최대 두께를 HUD 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반사형의 HUD 의 광원을 HUD 의 하부 부근에, 발광형의 HUD 의 여기광 광원을 HUD 의 상부 부근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자발광층이 쐐기형인 것에 의해, 반사형의 HUD 의 광원에 가까운 자발광층을 얇게 함으로써 반사형의 HUD 의 광원에 발광 재료의 여기광이 포함되어 있어도 발광 재료의 예기치 않은 발광을 억제할 수 있어, 반사형의 HUD 의 화상을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자발광층이 쐐기형인 것에 의해, 발광형의 HUD 의 여기광 광원에 가까운 HUD 의 상부에 있어서는, 선명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서 충분한 양의 발광 재료를 존재시킬 수 있어, 발광형의 HUD 의 화상을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의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의 차는 100 ㎛ 이하이다. 이로 인해, 일정 범위의 휘도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의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의 차는 9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50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층의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의 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50 ㎛, 바람직한 상한은 700 ㎛ 이다. 상기 발광층의 두께가 이 범위 내이면, 충분히 높은 콘트라스트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7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00 ㎛ 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80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50 ㎛ 이다. 또한, 상기 발광층의 두께의 하한은, 발광층의 최소 두께 부분의 두께를 의미하고, 상기 발광층의 두께의 상한은, 발광층의 최대 두께 부분의 두께를 의미한다.
상기 형상 보조층은, 상기 발광층에 적층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쐐기형이 되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갖는다. 상기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일정한 쐐기각인 쐐기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쐐기형이면, 일정한 쐐기각을 갖지 않아도 된다.
상기 형상 보조층은, 단면 형상이 쐐기형,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 형상이 쐐기형,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형상 보조층을 적층 함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적인 단면 형상을 쐐기형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 보조층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상기 형상 보조층은, 예를 들어, 오각형, 육각형, 타원형 등의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복수의 형상 보조층을 조합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적인 단면 형상을 가지런히 해도 된다. 이 경우, 모든 형상 보조층의 단면 형상이 동일할 필요는 없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형상 보조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용면의 관점, 그리고, 접착력 및 내관통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하한은 10 ㎛, 바람직한 상한은 1000 ㎛ 이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0 ㎛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300 ㎛ 이다.
또한, 상기 형상 보조층의 두께의 하한은, 형상 보조층의 최소 두께 부분의 두께를 의미하고, 상기 형상 보조층의 두께의 상한은, 형상 보조층의 최대 두께 부분의 두께를 의미한다. 또, 복수의 형상 보조층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 두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100 ㎛, 바람직한 상한은 3000 ㎛ 이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5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00 ㎛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00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500 ㎛,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800 ㎛ 이다.
또한, 상기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의 두께의 하한은,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의 최소 두께 부분의 두께를 의미하고, 상기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의 두께의 상한은,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의 최대 두께 부분의 두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양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를, 도 1 ∼ 3 에 나타냈다. 또한, 도 1 ∼ 3 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구성하는 각 층의 두께나 쐐기각 (θ) 은, 실제의 두께 및 쐐기각과는 상이하게 나타나 있다.
도 1 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1) 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 (1) 은, 발광 재료를 함유하는 발광층 (11) 의 일방의 면에 형상 보조층 (12) 이 적층된 2 층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발광층 (11) 은 사각형인 데에 반해, 형상 보조층 (12) 의 형상을 쐐기형,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로 함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 (1) 전체적으로 쐐기각 (θ) 이 0.1 ∼ 1 mrad 인 쐐기형으로 되어 있다.
도 2 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2) 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 (2) 은, 발광 재료를 함유하는 발광층 (21) 의 양 면에 형상 보조층 (22) 과 형상 보조층 (23) 이 적층된 3 층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발광층 (21) 과 형상 보조층 (23) 이 두께가 일정한 사각형인 데에 반해, 형상 보조층 (22) 의 형상을 쐐기형,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로 함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 (2) 전체적으로 쐐기각 (θ) 이 0.1 ∼ 1 mrad 인 쐐기형으로 되어 있다.
도 3 에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3) 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 (3) 은, 발광 재료를 함유하는 발광층 (31) 의 양 면에 형상 보조층 (32) 과 형상 보조층 (33) 이 적층된 3 층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발광층 (31) 은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의 차가 100 ㎛ 이하인 완만한 쐐기형이며, 쐐기형의 형상 보조층 (32, 33) 을 적층함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 (3) 전체적으로 쐐기각 (θ) 이 0.1 ∼ 1 mrad 인 쐐기형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발광층 및 형상 보조층을 구성하는 성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발광층은,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발광 재료를 함유한다. 발광 재료를 함유하는 발광층을 갖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광선을 조사함으로써, 콘트라스트가 높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황 원소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소제와 병용한 경우에, 유리에 대해 우수한 접착성을 발휘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얻어지는 점에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 2 종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40 몰%, 바람직한 상한은 85 몰% 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0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5 몰%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수산기량의 바람직한 하한이 10 몰%, 바람직한 상한이 32 몰% 이다. 상기 발광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이 이 범위 내이면, 발광층의 성형이 용이하고, 또한 얻어지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8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8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0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25 몰% 이다.
또한, 상기 아세탈화도 및 수산기량은, 예를 들어, JIS K 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통상,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지고, 비누화도 70 ∼ 99.8 몰% 의 폴리비닐알코올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80 ∼ 99.8 몰%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500, 바람직한 상한은 4000 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가 500 이상이면, 얻어지는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가 4000 이하이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600 이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 10인 알데히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 10 인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알데히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유기 인산 가소제,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과,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페라르곤산 (n-노닐산), 데실산 등의 일염기성 유기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에틸렌디글리콜디카프로산에스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르산에스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틸산에스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실산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디프산, 세바크산, 아젤라인산 등의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 8 의 직사슬 또는 분기 구조를 갖는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부틸세바크산에스테르, 디옥틸아젤라인산에스테르, 디부틸카르비톨아디프산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리에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크산디부틸, 오일 변성 세바크산알키드,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의 혼합물, 아디프산에스테르, 탄소수 4 ∼ 9 의 알킬알코올 및 탄소수 4 ∼ 9 의 고리형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혼합형 아디프산에스테르, 아디프산헥실 등의 탄소수 6 ∼ 8 의 아디프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소제로서, 가수분해를 잘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3GH),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4GO), 디헥실아디페이트 (DHA)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4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층에 있어서의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30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100 중량부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30 중량부 이상이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용융 점도가 낮아지고, 이것을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 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할 때의 탈기성이 높아진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100 중량부 이하이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투명성이 높아진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4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5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63 중량부이다.
상기 발광 재료는, 발광 입자, 발광 안료 및 발광 염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다.
상기 발광 입자 및 상기 발광 안료는, 예를 들어, Y2O2S:Eu, BaMg2Al16O27:Eu,Mn, (SrCaBaMg)5(PO4)3Cl:Eu, BaMg2Al16O27:Eu, BaMg2Al16O27:Eu,Mn, Sr5(PO4)3Cl:Eu, LaPO4:Ce,Tb, MgAl11O19:Ce,Tb, Y2O3:Eu, Y(PV)O4:Eu, 3.5MgO·0.5MgF2·GeO2:Mn, Ca10(PO4)6FCl:Sb,Mn, Sr10(PO4)6FCl:Sb,Mn, (SrMg)2P2O7:Eu, Sr2P2O7:Eu, CaWO4, CaWO4:Pb, MgWO4, (BaCa)5(PO4)3Cl:Eu, Sr4Al14O25:Eu, Zn2SiO4:Mn 등으로 나타내는 형광체나 그것들로 이루어지는 복합체나, ZnS 입자, GaSe 입자, SiC 입자, CdTe 입자 등의 입자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광 염료는, 예를 들어, (카르바졸-나프탈이미드) 염료, (아세토니트릴-트리페닐렌아민) 염료, 아릴술포네이트시아닌 염료, 페릴렌 염료, 쿠마린 염료, 트리스(4,4,4-트리플루오로-1-(2-티에닐)-1,3-부탄디오네이트-O,O')비스(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O-)유로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광 염료로는, 그 중에서도, 나프탈이미드 골격을 갖는 화합물, 또는 쿠마린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나프탈이미드 골격을 갖는 화합물, 쿠마린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바인더 수지로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한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바인더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투명성이 높고, 헤이즈가 낮은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을 수 있다. 또, 나프탈이미드 골격을 갖는 화합물, 쿠마린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도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우수한 내광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나프탈이미드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4-브로모-1,8-나프탈이미드, 4-아미노-1,8-나프탈이미드, 4-메톡시-N-메틸나프탈산이미드, 나프탈이미드, 4-아미노나프탈이미드, N-메틸-4-아미노나프탈이미드, N-에틸-4-아미노나프탈이미드, N-프로필-4-아미노나프탈이미드, N-n-부틸-4-아미노나프탈이미드, 4-아세틸아미노나프탈이미드, N-메틸-4-아세틸아미노나프탈이미드, N-에틸-4-아세틸아미노나프탈이미드, N-프로필-4-아세틸아미노나프탈이미드, N-n-부틸-4-아세틸아미노나프탈이미드, N-메틸-4-메톡시나프탈이미드, N-에틸-4-메톡시나프탈이미드, N-프로필-4-메톡시나프탈이미드, N-n-부틸-4-메톡시나프탈이미드, N-메틸-4-에톡시나프탈이미드, N-에틸-4-에톡시나프탈이미드, N-프로필-4-에톡시나프탈이미드, N-n-부틸-4-에톡시나프탈이미드, Lumogen F Violet 570 (BASF 재팬사 제조), Lumogen F Blue 650 (BASF 재팬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쿠마린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쿠마린 고리 7 위치에 전자 공여성 치환기를 갖는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쿠마린 고리 7 위치에 아미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체인 3-(2'-벤조티아졸릴)-7-디에틸아미노쿠마린 (쿠마린 6), 3-(2'-벤조이미다졸릴)-7-N,N-디에틸아미노쿠마린 (쿠마린 7), 3-(2'-N-메틸벤조이미다졸릴)-7-N,N-디에틸아미노쿠마린 (쿠마린 30) 이나, 2,3,5,6-1H,4H-테트라하이드로-8-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리딘 (9,9a,1-gh)쿠마린 (쿠마린 153) 등의 쿠마린 색소, 베이직 옐로우 51 등의 쿠마린 색소 염료, 또, 쿠마린 고리 7 위치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하이드록시쿠마린, 3-시아노-7-하이드록시쿠마린, 7-하이드록시-4-메틸쿠마린, 7-디에틸아미노-4-메틸쿠마린, 7-디메틸아미노시클로펜타[c]-쿠마린, 1,2,4,5,3H,6H,10H-테트라하이드로-8-메틸[1]벤조피라노[9,9a,1-gH]퀴놀리딘-10-온, 7-아미노-4-트리플루오로메틸쿠마린, 1,2,4,5,3H,6H,10H-테트라하이드로-9-시아노[1]벤조피라노[9,9a,1-gH]퀴놀리딘-10-온, 1,2,4,5,3H,6H,10H-테트라하이드로-9-카르보-t-부톡시[1]벤조피라노[9,9a,1-gH]퀴놀리딘-10-온, 7-에틸아미노-6-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쿠마린, 1,2,4,5,3H,6H,10H-테트라하이드로-9-카르보에톡시[1]벤조피라노[9,9a,1-gH]퀴놀리딘-10-온, 7-디에틸아미노-3-(1-메틸벤즈이미다졸릴)쿠마린, 7-디메틸아미노-4-트리플루오로메틸쿠마린, 1,2,4,5,3H,6H,10H-테트라하이드로-9-카르복시[1]벤조피라노[9,9a,1-gH]퀴놀리딘-10-온, 1,2,4,5,3H,6H,10H-테트라하이드로-9-아세틸[1]벤조피라노[9,9a,1-gH]퀴놀리딘-10-온, 3-(2-벤즈이미다졸릴)-7-N,N-디에틸아미노쿠마린, 1,2,4,5,3H,6H,10H-테트라하이드로-8-트리플루오로메틸[1]벤조피라노[9,9a,1-gH]퀴놀리딘-10-온, 3-(2-벤조티아졸릴)-7-디에틸아미노쿠마린, 7-디에틸아미노쿠마린, 7-디에틸아미노-4-트리플루오로메틸쿠마린, 2,3,6,7-테트라하이드로-9-(트리플루오로메틸)-1H,5H,11H-[1]벤조피라노[6,7,8-ij]퀴놀리딘-11-온, 7-아미노-4-메틸쿠마린, 4,6-디메틸-7-에틸아미노쿠마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광 재료로서, 테레프탈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레프탈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04241306-pct00001
상기 일반식 (1) 중, R1 은 유기기를 나타내고, x 는 1, 2, 3 또는 4 이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투명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는 점에서, x 는 1 또는 2 인 것이 바람직하고, 벤젠 고리의 2 위치 또는 5 위치에 수산기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벤젠 고리의 2 위치 및 5 위치에 수산기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R1 의 유기기는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 ∼ 10 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 ∼ 5 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탄소수가 1 ∼ 3 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탄화수소기의 탄소수가 10 이하이면, 상기 테레프탈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를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기는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디에틸-2,5-디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2,5-디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콘트라스트가 보다 한층 높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디에틸-2,5-디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 (Aldrich 사 제조,「2,5-디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디에틸」)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405 ㎚ 의 파장을 갖는 광선에 의해 용이하게 여기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2) 중, R2 는 유기기를 나타내고, R3 및 R4 는 수소 원자 또는 유기기를 나타내며, y 는 1, 2, 3 또는 4 이다.
상기 R2 의 유기기는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 ∼ 10 인 탄화수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 ∼ 5 인 탄화수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탄소수가 1 ∼ 3 인 탄화수소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탄화수소기의 탄소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상기 테레프탈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를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기는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2) 중, NR3R4 는 아미노기이다. R3 및 R4 는,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벤젠 고리의 수소 원자 중, 하나의 수소 원자가 상기 아미노기여도 되고, 2 개의 수소 원자가 상기 아미노여도 되고, 3 개의 수소 원자가 상기 아미노기여도 되며, 4 개의 수소 원자가 상기 아미노기여도 된다.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 콘트라스트가 보다 한층 높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점에서, 디에틸-2,5-디아미노테레프탈레이트 (Aldrich 사 제조) 가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층 중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재료의 함유량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0.005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5 중량부이다. 충분한 발광을 얻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발광 재료를 배합할 필요가 있지만, 한편으로 대량의 발광 재료는 배합하면, 오히려 발광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여기된 발광 재료의 상호 작용에 의해, 흡수된 에너지가 광을 방사하지 않는 비복사 과정으로 천이되어, 발광 강도가 오히려 감소해 버린다는, 농도 소광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발광 재료의 함유량이 이 범위 내이면, 특정한 파장의 광을 조사했을 때에 충분히 콘트라스트가 높은 발광이 얻어진다. 상기 발광 재료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 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0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 중량부이다.
상기 발광층 중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재료의 함유량은, 상기 발광층 100 중량% 중, 바람직한 하한이 0.005 중량%, 바람직한 상한이 5 중량% 이다. 상기 발광 재료의 함유량이 0.005 중량% 이상이면, 보다 한층 높은 콘트라스트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발광 재료의 함유량이 5 중량% 이하이면, 보다 한층 높은 투명성을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발광 재료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1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 중량%,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02 중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 중량% 이다.
상기 발광층은, 추가로 분산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발광 재료를 층 중에 미분산시킬 수 있어, 보다 균일한 발광이 가능해진다.
상기 분산제는, 예를 들어, 직사슬 알킬벤젠술폰산염 등의 술폰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디에스테르 화합물, 리시놀산알킬에스테르, 프탈산에스테르, 아디프산에스테르, 세바크산에스테르, 인산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이나 알킬페닐-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등의 에테르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폴리카르복실산 등의 카르복실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라우릴아민, 디메틸라우릴아민, 나일프로필렌디아민, 폴리옥시에틸렌의 2 급 아민, 폴리옥시에틸렌의 3 급 아민, 폴리옥시에틸렌의 디아민 등의 아민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폴리알킬렌폴리아민알킬렌옥사이드 등의 폴리아민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올레산디에탄올아미드, 알칸올 지방산 아미드 등의 아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스테르산아마이드아민염 등의 고분자량형 아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 등이나, 트리에톡시프로필이소시아네이트실란, 트리에톡시부틸실란 등의 알킬기를 갖는 실란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트리에톡시프로필아크릴록시실란 등의 아크릴록시기를 갖는 실란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트리에톡시프로필비닐실란 등의 비닐기를 갖는 실란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에폭시기나 인산기, 카르복실기, 메르캅토기 등의 측사슬을 갖는 고분자량체인 폴리실록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 등의 종래 공지된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이나 고분자 폴리카르복실산, 축합 리시놀산에스테르 등의 고분자량 분산제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고분자량 분산제란, 그 분자량이 1 만 이상인 분산제라고 정의된다.
상기 분산제를 배합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층 중에 있어서의 발광 재료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분산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1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50 중량부이다. 상기 분산제의 함유량이 이 범위 내이면, 상기 발광 재료를 발광층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5 중량부이다.
상기 발광층은, 추가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발광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발광층의 내광성이 높아진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예를 들어,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화합물,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화합물,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화합물,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화합물,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화합물, 힌더드아민 구조를 갖는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층 중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0.1 중량부이다.
상기 발광층은, 우수한 내광성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페놀 구조를 갖는 산화 방지제, 황을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 인을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 구조를 갖는 산화 방지제는 페놀 골격을 갖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페놀 구조를 갖는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2,6-디-t-부틸-p-크레졸 (BHT),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 (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하이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틸릭애시드글리콜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발광층은,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차열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열선 흡수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열선 흡수제는, 적외선을 차폐하는 성능을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주석 도프 산화인듐 (ITO) 입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ATO) 입자,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AZO) 입자, 인듐 도프 산화아연 (IZO) 입자, 주석 도프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프 산화아연 입자, 6 붕화란탄 입자 및 6 붕화세륨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층은, 필요에 따라, 추가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착색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층의 일부에 청색 안료, 청색 염료, 녹색 안료, 녹색 염료 등의 착색제를 배합해도 된다.
상기 발광층의 마그네슘 원소의 농도는 8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 재료가 테레프탈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인 경우에는, 그 테레프탈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와 마그네슘 원소가 착물을 형성함으로써, 특히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변색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발광층의 마그네슘 원소의 농도를 80 ppm 이하로 함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변색을 억제할 수 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변색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발광층의 마그네슘 원소의 농도는 75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pp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30 pp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25 ppm 이하인 것이 더욱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층의 마그네슘 원소의 농도는 0 ppm 이어도 된다.
상기 마그네슘 원소는, 예를 들어, 금속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염으로서 상기 발광층에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변색이란,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2 장의 클리어 유리 (두께 2.5 ㎜) 사이에 적층된 합판 유리의 YI 값이 20 을 초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YI 값은, 분광 광도계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사 제조, 「U-4100」) 를 사용하여, JIS Z 8722 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YI 값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YI 값은, 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층의 리튬 원소의 농도는 25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층이 리튬 원소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경우,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변색되는 원인은, 상기 테레프탈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와 리튬 원소가 착물을 형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발광층의 리튬 원소의 농도를 25 ppm 이하로 함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변색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의 리튬 원소의 농도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 ppm,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0 ppm 이하이고, 바람직한 하한은 0 ppm,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 ppm 이다.
상기 형상 보조층은,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한다. 상기 형상 보조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나 가소제는, 상기 발광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나 가소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정 범위의 휘도로, 보다 한층 콘트라스트가 높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형상 보조층은 발광 재료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형상 보조층 중의 상기 발광 재료의 농도 (중량%) 가 상기 발광층 중의 상기 발광 재료의 농도 (중량%)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상 보조층의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상 보조층은, 추가로 접착력 조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력 조정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및 마그네슘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은, 칼륨 및 마그네슘 중의 적어도 1 종의 금속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은, 탄소수 1 ∼ 16 의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탄소수 1 ∼ 16 의 유기산의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탄소수 1 ∼ 16 의 유기산의 마그네슘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2 ∼ 16 의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탄소수 2 ∼ 16 의 유기산의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탄소수 2 ∼ 16 의 마그네슘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탄소수 2 ∼ 16 의 카르복실산의 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2 ∼ 16 의 카르복실산의 칼륨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 ∼ 16 의 카르복실산의 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 ∼ 16 의 카르복실산의 칼륨염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프로피온산마그네슘, 프로피온산칼륨, 2-에틸부탄산마그네슘, 2-에틸부탄산칼륨, 2-에틸헥산산마그네슘, 2-에틸헥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의 탄소수의 바람직한 하한은 1, 바람직한 상한은 10,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 이다.
상기 형상 보조층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력 조정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0.0005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0.05 중량부이다. 상기 접착력 조정제의 함유량이 0.0005 중량부 이상이면,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상기 접착력 조정제의 함유량이 0.05 중량부 이하이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투명성이 높아진다. 상기 접착력 조정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02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02 중량부이다.
상기 형상 보조층의 내습성이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형상 보조층 중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마그네슘의 함유량의 합계는 3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마그네슘은, 상기 접착력 조정제에서 유래하는 금속으로서 함유해도 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합성할 때에 사용하는 중화제에서 유래하는 금속으로서 함유해도 된다. 상기 형상 보조층 중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마그네슘의 함유량의 합계는 200 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0 pp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변색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형상 보조층에 함유되는 마그네슘 원소의 농도는 15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 pp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형상 보조층에 함유되는 마그네슘 농도는 0 ppm 이어도 되고, 0 ppm 을 초과해도 된다.
상기 형상 보조층은, 필요에 따라, 추가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열선 흡수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물을 함유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착색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형상 보조층의 일부에 청색 안료, 청색 염료, 녹색 안료, 녹색 염료 등의 착색제를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 및 형상 보조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모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발광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이, 상기 형상 보조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보다 낮아지도록 각 층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발광 재료가 발광층으로부터 형상 보조층으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 재료가 발광층으로부터 형상 보조층으로 이행하는 것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발광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과, 상기 형상 보조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의 차는, 6.5 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기량의 차는, 6.4 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2 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 몰%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5.8 몰%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상기 수산기량의 차는, 1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 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층 및 형상 보조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나 가소제의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얻어지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여러 가지의 성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층에 함유되는 가소제의 함유량을, 상기 형상 보조층에 함유되는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많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차음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의 차를,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높은 차음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의 차는, 5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발광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는, 상기 형상 보조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의 차를, 0.1 몰% 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 몰%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발광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은, 상기 형상 보조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산기량의 차를, 1 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 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발광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는, 상기 형상 보조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소제와 발광 재료를 함유하는 가소제 용액과,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충분히 혼합하여, 상기 발광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접착력 조정제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가소제 용액과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충분히 혼합하여, 상기 형상 보조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과 상기 형상 보조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하여, 발광층과 형상 보조층이 적층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발광층을 갖는 점에서, 특정한 파장의 광선을 조사함으로써 발광한다. 이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콘트라스트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파장의 광선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폿 광원 (하마마츠 호트닉스사 제조, 「LC-8」), 제논·플래시 램프 (헤레우스사 제조, 「CW 램프」), 블랙 라이트 (이우치 하네이도사 제조, 「캐리 핸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1 쌍의 유리판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합판 유리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상기 유리판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투명판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트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판 유리, 선입 판유리, 착색된 판유리, 열선 흡수 유리, 열선 반사 유리, 그린 유리 등의 무기 유리를 들 수 있다. 또, 유리의 표면에 자외선 차폐 코트층이 형성된 자외선 차폐 유리도 사용할 수 있지만, 특정한 파장의 광선을 조사하는 측과는 반대의 유리판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리판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유기 플라스틱스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리판으로서, 2 종류 이상의 유리판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투명 플로트판 유리와 그린 유리와 같은 착색된 유리판 사이에,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층한 합판 유리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유리판으로서, 2 종 이상의 두께가 상이한 유리판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판 유리의 특정 영역에 있어서 이중으로 표시되지 않고, 또한 일정 범위의 휘도로 콘트라스트가 높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양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양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양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발광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60 중량부에, 발광 재료로서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디에틸-2,5-디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 (Aldrich 사 제조, 「2,5-디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디에틸」) 1.5 중량부를 더하여, 발광성의 가소제 용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가소제 용액의 전체량과 중합도가 2300 인 폴리비닐알코올을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아세틸기량 12.5 몰%, 수산기량 23.6 몰%, 부티랄화도 63.9 몰%) 100 중량부를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함으로써, 발광층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 형상 보조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40 중량부에, 접착력 조정제로서 아세트산마그네슘을 더하여, 가소제 용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가소제 용액의 전체량과 중합도가 1700 인 폴리비닐알코올을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아세틸기량 0.9 몰%, 수산기량 30.0 몰%, 부티랄화도 69.1 몰%) 100 중량부를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함으로써, 형상 보조층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형상 보조층 중의 마그네슘 원소의 농도가 70 ppm 이 되도록, 아세트산마그네슘을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에 첨가하였다.
(3)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얻어진 발광층용 수지 조성물 및 형상 보조층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형상 보조층, 발광층 및 형상 보조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도 3 에 기재된 3 층 구조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중간막의 압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과 타단의 최단 거리를 측정하자 1 m 였다.
또,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발광층은 최소 두께 90 ㎛, 최대 두께 140 ㎛ 의 쐐기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에서는 최소 두께 800 ㎛, 최대 두께 1200 ㎛ 의 쐐기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단이 최소 두께를 가지고, 타단이 최대 두께를 가지고 있어,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최소 두께 및 최대 두께를 측정하였다.
(4) 합판 유리의 제조
얻어진 중간막을, 2 장의 투명한 플로트 유리 (세로 1000 ㎜ × 가로 300 ㎜ × 두께 2.5 ㎜) 로 사이에 두고, 적층체를 얻었다. 230 ℃ 의 가열 롤을 사용하여, 얻어진 적층체를 임시 압착하였다. 그 후, 임시 압착된 적층체를, 가열 롤법에 의해,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35 ℃, 압력 1.2 ㎫ 의 조건에서 20 분간 압착하여, 합판 유리 (세로 1000 ㎜ × 가로 300 ㎜) 를 제조하였다.
(5) 휘도 측정용 합판 유리의 제조
일단과 타단의 최단 거리 상에 있어서의, 일단으로부터 10 ㎝ 의 점을 중심이 되도록, 세로 10 ㎝ × 가로 10 ㎝ 의 중간막 (얇은 부분) 을 잘라내었다. 마찬가지로, 일단과 타단의 최단 거리 상에 있어서의, 타단으로부터 10 ㎝ 의 점을 중심이 되도록, 세로 10 ㎝ × 가로 10 ㎝ 의 중간막 (두꺼운 부분) 을 잘라내었다.
얻어진 중간막 (얇은 부분) 및 중간막 (두꺼운 부분) 각각을, 2 장의 투명한 플로트 유리 (세로 100 ㎜ × 가로 100 ㎜ × 두께 2.5 ㎜) 로 사이에 두고, 적층체를 얻었다. 230 ℃ 의 가열 롤을 사용하여, 얻어진 적층체를 임시 압착하였다. 그 후, 임시 압착된 적층체를, 가열 롤법에 의해,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35 ℃, 압력 1.2 ㎫ 의 조건에서 20 분간 압착하여, 휘도 측정용 합판 유리 (세로 100 ㎜ × 가로 100 ㎜) 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3)
발광 재료의 종류, 발광층의 두께 방향의 최대 두께 및 최소 두께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를 얻었다.
(비교예 1, 2)
발광 재료의 종류, 발광층의 두께 방향의 최대 두께 및 최소 두께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고, 형상 보조층을 적층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4 ∼ 8, 비교예 3, 4)
발광층의 두께 방향의 최대 두께 및 최소 두께, 그리고, 중간막의 최소 두께, 최대 두께 및 쐐기각을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9 ∼ 12, 비교예 5, 6)
사용하는 폴리비닐부티랄의 조성, 가소제의 함유량, 발광층의 두께 방향의 최대 두께 및 최소 두께, 그리고, 중간막의 최소 두께, 최대 두께 및 쐐기각을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13)
(1) 발광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40 중량부에, 발광 재료로서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디에틸-2,5-디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 (Aldrich 사 제조, 「2,5-디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디에틸」) 1.5 중량부를 더하여, 발광성의 가소제 용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가소제 용액의 전체량과 중합도가 1700 인 폴리비닐알코올을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아세틸기량 0.9 몰%, 수산기량 30.0 몰%, 부티랄화도 69.1 몰%) 100 중량부를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함으로써, 발광층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2)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40 중량부에, 접착력 조정제로서 아세트산마그네슘을 더하여, 가소제 용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가소제 용액의 전체량과 중합도가 1700 인 폴리비닐알코올을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아세틸기량 0.9 몰%, 수산기량 30.0 몰%, 부티랄화도 69.1 몰%) 100 중량부를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함으로써,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 중의 마그네슘 원소의 농도가 70 ppm 이 되도록, 아세트산마그네슘을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에 첨가하였다.
(3) 차음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60 중량부와 중합도가 2300 인 폴리비닐알코올을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아세틸기량 12.5 몰%, 수산기량 23.6 몰%, 부티랄화도 63.9 몰%) 100 중량부를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함으로써, 차음층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4) 형상 보조층의 제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과, 차음층용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제 1 수지층, 차음층 및 제 2 수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3 층 구조의 적층체를 형상 보조층으로서 얻었다.
(5)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얻어진 발광층용 수지 조성물을, 단층으로 압출함으로써 발광층을 얻었다. 형상 보조층 및 발광층을 제 1 수지층, 차음층, 제 2 수지층, 발광층의 순서로 적층함으로써 4 층 구조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중간막의 압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과 타단의 최단 거리를 측정하자 1 m 였다.
또,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발광층은 최소 두께 90 ㎛, 최대 두께 140 ㎛ 의 쐐기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에서는 최소 두께 800 ㎛, 최대 두께 1200 ㎛ 의 쐐기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제 1 수지층은 최소 두께 305 ㎛, 최대 두께 480 ㎛ 의 쐐기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차음층은 평균 두께 100 ㎛ 의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 2 수지층은 최소 두께 305 ㎛, 최대 두께 480 ㎛ 의 쐐기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단이 최소 두께를 가지고, 타단이 최대 두께를 가지고 있어,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최소 두께 및 최대 두께를 측정하였다.
(6) 합판 유리의 제조
얻어진 중간막을, 2 장의 투명한 플로트 유리 (세로 1000 ㎜ × 가로 300 ㎜ × 두께 2.5 ㎜) 로 사이에 두고, 적층체를 얻었다. 230 ℃ 의 가열 롤을 사용하여, 얻어진 적층체를 임시 압착하였다. 그 후, 임시 압착된 적층체를, 가열 롤법에 의해,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35 ℃, 압력 1.2 ㎫ 의 조건에서 20 분간 압착하여, 합판 유리 (세로 1000 ㎜ × 가로 300 ㎜) 를 제조하였다.
(7) 휘도 측정용 합판 유리의 제조
일단과 타단의 최단 거리 상에 있어서의, 일단으로부터 10 ㎝ 의 점을 중심이 되도록, 세로 10 ㎝ × 가로 10 ㎝ 의 중간막 (얇은 부분) 을 잘라내었다. 마찬가지로, 일단과 타단의 최단 거리 상에 있어서의, 타단으로부터 10 ㎝ 의 점을 중심이 되도록, 세로 10 ㎝ × 가로 10 ㎝ 의 중간막 (두꺼운 부분) 을 잘라내었다.
얻어진 중간막 (얇은 부분) 및 중간막 (두꺼운 부분) 각각을, 2 장의 투명한 플로트 유리 (세로 100 ㎜ × 가로 100 ㎜ × 두께 2.5 ㎜) 로 사이에 두고, 적층체를 얻었다. 230 ℃ 의 가열 롤을 사용하여, 얻어진 적층체를 임시 압착하였다. 그 후, 임시 압착된 적층체를, 가열 롤법에 의해,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35 ℃, 압력 1.2 ㎫ 의 조건에서 20 분간 압착하여, 휘도 측정용 합판 유리 (세로 100 ㎜ × 가로 100 ㎜) 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비교예 7, 8)
발광층의 최소 두께 및 최대 두께, 제 1 수지층의 최소 두께 및 최대 두께, 그리고, 제 2 수지층의 최소 두께 및 최대 두께를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하게 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합판 유리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 4 에 나타냈다.
(1) 이중 이미지의 발생의 평가
얻어진 합판 유리 (세로 1000 ㎜ × 가로 300 ㎜) 를 프론트 유리의 위치에 설치하였다. 합판 유리의 하방에 설치한 표시 유닛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합판 유리에 반사시켜, 소정의 위치에서 이중 이미지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이중 이미지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 이중 이미지가 확인되는 경우를 「×」로 하여 평가하였다.
(2) 휘도의 편차의 평가
얻어진 휘도 측정용 합판 유리를, 암실 하에서, 합판 유리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10 ㎝ 떨어진 위치에 배치한 High Power 제논 광원 (아사히 분광사 제조, 「REX-250」, 조사 파장 405 ㎚) 으로부터 합판 유리의 전체면에 광을 조사하고, 광을 조사한 합판 유리면으로부터 45 도의 각도로, 합판 유리면으로부터의 최단 거리로서 35 ㎝ 떨어진 위치에 배치한 휘도계 (탑콘 테크노 하우스사 제조, 「SR-3 AR」) 에 의해 휘도를 측정하였다.
중간막 (얇은 부분) 및 중간막 (두꺼운 부분) 에 있어서의 휘도차의 절대치가 200 이하인 경우를 「○」, 200 을 초과하는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16104241306-pct00002
Figure 112016104241306-pct00003
Figure 112016104241306-pct00004
Figure 112016104241306-pct00005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합판 유리의 특정 영역에 있어서 이중으로 표시되지 않고, 또한 일정 범위의 휘도로 콘트라스트가 높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1 : 합판 유리용 중간막
11 : 발광층
12 : 형상 보조층
2 : 합판 유리용 중간막
21 : 발광층
22 : 형상 보조층
23 : 형상 보조층
3 : 합판 유리용 중간막
31 : 발광층
32 : 형상 보조층
33 : 형상 보조층

Claims (7)

  1.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발광 재료를 함유하는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단면 형상이 쐐기형이며, 상기 발광층의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의 차가 100 ㎛ 이하이고,
    상기 발광 재료는, 테레프탈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발광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2. 제 1 항에 있어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단면 형상이, 쐐기각 (θ) 이 0.1 ∼ 1 mrad 인 쐐기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3.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층 및 수지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4. 제 3 항에 있어서,
    발광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이, 수지층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5.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층이, 발광층의 일방의 면에만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6.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층 중에 있어서의 발광 재료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05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1 쌍의 유리판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
KR1020167029958A 2014-09-29 2015-09-29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KR102391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9396 2014-09-29
JP2014199396 2014-09-29
PCT/JP2015/077456 WO2016052478A1 (ja) 2014-09-29 2015-09-29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435A KR20170063435A (ko) 2017-06-08
KR102391050B1 true KR102391050B1 (ko) 2022-04-26

Family

ID=5563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958A KR102391050B1 (ko) 2014-09-29 2015-09-29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562276B2 (ko)
EP (1) EP3202737B1 (ko)
JP (1) JP6978185B2 (ko)
KR (1) KR102391050B1 (ko)
CN (1) CN106132891B (ko)
MX (1) MX2017001152A (ko)
RU (1) RU2700354C2 (ko)
WO (1) WO2016052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57887B1 (en) * 2015-09-28 2020-08-05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WO2017170728A1 (ja) * 2016-03-30 2017-10-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7017411B2 (ja) * 2016-10-12 2022-02-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3604400A4 (en) * 2017-03-29 2020-12-23 Sekisui Chemical Co., Ltd. COLORED LIGHT EMITTING FILM AND COLORED LIGHT EMITTING GLASS
KR102416206B1 (ko) * 2017-03-30 2022-07-05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WO2018225795A1 (ja) 2017-06-07 2018-12-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3696023A4 (en) * 2017-10-10 2021-06-09 Sekisui Chemical Co., Ltd.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VEHICLE GLASS
US20200362114A1 (en) 2018-01-23 2020-11-19 Eastman Chemical Company Novel polyesteramides,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olyesteramide compositions
US11801667B2 (en) * 2019-03-20 2023-10-31 Sekisui Chemical Co., Ltd. Thermoplastic film and laminated glass
CN113573900B (zh) 2019-03-20 2023-09-15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热塑性膜及夹层玻璃
US20230182447A1 (en) * 2021-12-10 2023-06-15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Polymer fil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883A (ja) * 2005-12-26 2007-09-06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合せガラス
JP2014024313A (ja) * 2011-12-12 2014-02-06 Sekisui Chem Co Ltd 発光シート、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089A (en) 1978-06-23 1980-01-10 Aisin Seiki Co Ltd Driving method of proportional controller
US4791336A (en) * 1986-06-26 1988-12-13 Futaba Denshi Kogyo Kabushiki Kaisha Fluorescent composition and fluorescent luminous device
US5013134A (en) * 1989-09-28 1991-05-07 Hughes Aircraft Company Ghost-free automotive head-up display employing a wedged windshield
MX171971B (es) 1989-10-16 1993-11-24 Libbey Owens Ford Co Panel exhibidor para un parabrisas de vehiculo
DE69218007T2 (de) 1992-06-25 1997-08-28 Du Pont Zwischenschichte für windschutzscheiben mit head-up-display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schichten
JP2000044296A (ja) 1998-07-31 2000-02-15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用フイル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7846532B2 (en) * 2005-03-17 2010-12-07 Solutia Incorporated Sound reducing wedge shaped polymer interlayers
US7886871B2 (en) * 2006-05-12 2011-02-15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FR2946336B1 (fr) 2009-06-03 2011-05-20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pour systeme de visualisation tete haute
KR101784533B1 (ko) * 2009-08-24 2017-10-11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DE102009044181A1 (de) 2009-10-05 2011-04-07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bundglasscheibe als Head-Up-Display
EP2409833A1 (de) 2010-07-23 2012-01-25 Saint-Gobain Glass France Verbundglasscheibe als Head-Up-Display
PL2619003T3 (pl) 2010-09-21 2015-03-31 Sekisui Chemical Co Ltd „Szyba szklana jako Head-Up-Display”
JP5699568B2 (ja) * 2010-11-29 2015-04-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源装置、プロジェクター
FR2968240B1 (fr) * 2010-12-03 2012-12-14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pour systeme de visualisation tete haute
WO2012115197A1 (ja) * 2011-02-23 2012-08-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3001613A (ja) * 2011-06-17 2013-01-07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192281B2 (ja) * 2011-12-12 2017-09-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シート、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CN104411652B (zh) * 2012-09-28 2018-07-27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CA2951224A1 (en) 2014-08-01 2016-02-0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BR112017001868A2 (pt) 2014-08-01 2017-11-28 Sekisui Chemical Co Ltd filme intermediário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883A (ja) * 2005-12-26 2007-09-06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合せガラス
JP2014024313A (ja) * 2011-12-12 2014-02-06 Sekisui Chem Co Ltd 発光シート、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2478A1 (ja) 2016-04-07
CN106132891B (zh) 2021-05-04
RU2700354C2 (ru) 2019-09-16
JP6978185B2 (ja) 2021-12-08
RU2017114974A (ru) 2018-11-05
EP3202737A1 (en) 2017-08-09
RU2017114974A3 (ko) 2019-02-21
CN106132891A (zh) 2016-11-16
EP3202737B1 (en) 2020-12-09
EP3202737A4 (en) 2018-04-18
KR20170063435A (ko) 2017-06-08
US20170136742A1 (en) 2017-05-18
JPWO2016052478A1 (ja) 2017-07-06
US10562276B2 (en) 2020-02-18
MX2017001152A (es) 201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050B1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6192281B2 (ja) 発光シート、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10981360B2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6259683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027704B1 (ja) ディスプレイ装置、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188301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6362500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車両
JP2018168061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544849B1 (ko) 발광 디스플레이, 합판 유리용 중간막, 합판 유리, 및 발광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516915B1 (ko) 발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JP6411153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352026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8177637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車両
JP6791926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5196618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5218224A (ja) 発光シート、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発光粒子分散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