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634B1 -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634B1
KR102390634B1 KR1020150039801A KR20150039801A KR102390634B1 KR 102390634 B1 KR102390634 B1 KR 102390634B1 KR 1020150039801 A KR1020150039801 A KR 1020150039801A KR 20150039801 A KR20150039801 A KR 20150039801A KR 102390634 B1 KR102390634 B1 KR 102390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switch
switch
cabin
construction equipmen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761A (ko
Inventor
신동성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to KR102015003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63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91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y or capaci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는 건설 중장비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상기 건설 중장비의 캐빈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며, 캐빈 하네스와 연결되는 조작 스위치;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마스터 스위치; 및 상기 캐빈 하네스와 상기 마스터 스위치를 연결하며, 상기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상기 마스터 스위치에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건설 중장비의 캐빈에 탑승한 채로 마스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MASTER SWITCH OF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중장비에는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고 건설 중장비는 이 배터리를 이용하여 건설 중장비의 각 부위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처럼, 건설 중장비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엔진을 시동하거나 건설 중장비에 구비된 각종 전장 장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는 건설 중장비의 시동과 직결되는 주요 부품이다.
그런데, 건설 중장비를 장기적으로 보관하거나 전장 장비를 점검/정비 시에는 건설 중장비에 설치된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다. 이때, 운전자는 건설 중장비의 배터리 그라운드에 설치된 마스터 스위치를 조작하여 건설 중장비가 동작하지 않는 시간에는 전기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건설 중장비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마스터 스위치는 건설 중장비의 전장품 점검/정비시 손상 방지 및 장기간 주차시 배터리 방전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종래 건설 중장비에서 마스터 스위치를 조작하려면 운전자는 건설 중장비에서 내려서 배터리 그라운드에 설치된 마스터 스위치를 온/오프 조작을 하고, 다시 중장비에 탑승하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마스터 스위치를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 내부에 장착하지 못하는 이유는 마스터 스위치에는 180A 정도의 전류가 기본적으로 흐르고 마스터 스위치와 연결된 와이어의 묶음인 메인 하네스의 굵기가 단면적 기준으로 60~80 제곱 밀리미터(㎟)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메인 하네스를 건설 중장비의 캐빈까지 끌고 오려면 많은 비용과 전력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마스터 스위치와 연결된 와이어의 묶음인 메인 하네스의 굵기가 두꺼워서 케빈 내부로 연결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운전자가 건설 중장비의 캐빈에 탑승한 채로 마스터 스위치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는 건설 중장비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상기 건설 중장비의 캐빈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며, 캐빈 하네스와 연결되는 조작 스위치;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마스터 스위치; 및 상기 캐빈 하네스와 상기 마스터 스위치를 연결하며, 상기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상기 마스터 스위치에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스위치는 모터와 모터 컨트롤러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배터리와 직접 연결되는 메인 하네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어를 통해서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 동작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모터를 동작시켜 상기 메인 하네스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어를 통해서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오프 동작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켜 상기 메인 하네스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로부터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온/오프 동작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정지함으로써 상기 마스터 스위치의 구동을 동작/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의 굵기는 상기 와이어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모터 컨트롤러에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1.5 제곱 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건설 중장비의 캐빈에 탑승한 채로 마스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 운전자가 마스터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에 캐빈에서 내려서 마스터 스위치를 온/오프 조작을 하고 다시 캐빈에 탑승하는 것을 반복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캐빈에 탑승한 채로 마스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기에 운전자의 작업 효율성 및 편리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과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를 건설 중장비의 평면도 상에서 비교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과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를 회로도 상에서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직결'은 사이에 다른 것이 개입되지 아니하고 직접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 기술과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를 건설 중장비의 평면도 상에서 비교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과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를 회로도 상에서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 및 도 2의 (a)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 중장비에서 마스터 스위치(20)는 건설 중장비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의 그라운드(-)쪽과 직결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마스터 스위치(20)와 연결된 와이어의 묶음인 메인 하네스의 굵기가 단면적 기준으로 60~80 제곱 밀리미터(㎟)로 두꺼워서 마스터 스위치(20)와 연결된 메인 하네스를 캐빈(10)에 구비된 캐빈 하네스까지 직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스터 스위치(20)에는 기본적으로 약 180A 정도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마스터 스위치(20)를 캐빈 내부로 옮길 경우에 전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는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 캐빈 내부로 마스터 스위치(20)를 옮기지 못한다. 결국, 운전자가 전장 장비를 점검/정비시 배터리 방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캐빈에서 내려서 마스터 스위치를 온/오프 조작을 하고 다시 캐빈에 탑승하는 것을 반복해야만 한다.
반면, 도 1의 (b) 및 도 2의 (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에서 마스터 스위치(20)는 배터리의 (+) 쪽과 직결되어 위치한다. 이는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20)가 배터리의 그라운드(-) 쪽과 직결되어 위치하는 경우에 약 250A의 전류 손실이 발생함에 따른 건설 중장비의 시동성 저하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는 건설 중장비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상기 건설 중장비의 캐빈(10)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며 캐빈 하네스와 연결되는 조작 스위치(15), 상기 조작 스위치(15)의 온/오프 동작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마스터 스위치(20), 및 상기 캐빈 하네스와 상기 마스터 스위치를 연결하며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 스위치(15)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마스터 스위치(20)에 전달하는 와이어(2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스위치(15)는 온/오프 조작이 가능한 버튼 형태 또는 토글 스위치로 구비되며, 운전자가 탑승한 캐빈(10) 내에 장착되어 상기 캐빈(10) 내부에 존재하는 와이어 묶음인 캐빈 하네스와 연결된다. 여기서, 조작 스위치(15)와 연결된 캐빈 하네스는 와이어(25)를 통해서 마스터 스위치(20)와 연결되고, 예컨대, 건설 중장비의 캐빈(10)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가 캐빈(10) 내에 장착된 조작 스위치(15)를 온/오프 조작하면 캐빈 하네스와 마스터 스위치(20)를 연결하는 와이어(25)가 조작 스위치(15)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캐빈 하네스로부터 마스터 스위치(20)로 전달할 수 있다.
마스터 스위치(20)는 모터와 모터 컨트롤러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며, 상기 모터는 배터리에 직접 연결되는 메인 하네스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 컨트롤러는 와이어(25)와 연결된다. 이때, 와이어(25)의 굵기는 상기 와이어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모터 컨트롤러에 조작 스위치(15)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1.5 제곱 밀리미터(㎟) 정도이다.
이에 따라, 마스터 스위치(20)에 포함된 모터 컨트롤러는 와이어(25)로부터 조작 스위치(15)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전달받아 온/오프 동작 신호에 대응하여 모터를 동작시키고, 상기 모터는 조작 스위치(15)의 온/오프 동작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정지함으로써 마스터 스위치의 구동을 동작/정지시켜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모터 컨트롤러는 와이어(25)를 통해서 조작 스위치(15)의 오프 동작 신호를 전달받으면 모터를 정지시킴으로써 마스터 스위치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메인 하네스를 통해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모터 컨트롤러는 와이어(25)를 통해서 조작 스위치(15)의 온 동작 신호를 전달받으면, 모터를 동작시킴으로써 마스터 스위치의 구동을 동작시키고, 상기 메인 하네스를 통해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설 중장비의 캐빈(10)에 탑승한 운전자는 캐빈(10) 내부에 온/오프 조작이 가능한 버튼 또는 토글 스위치 형태의 조작 스위치(15)를 조작함으로써 마스터 스위치(20)를 제어하고, 건설 중장비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에 운전자가 캐빈에서 내려서 마스터 스위치를 온/오프 조작을 하고 다시 캐빈에 탑승하는 것을 반복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캐빈 외부로 나가지 않고 캐빈(10) 내부에서 버튼 또는 토글 스위치 형태의 조작 스위치(15)를 조작하여 마스터 스위치(20)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어 장비 사용의 편리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 캐빈 15 : 조작 스위치
20 : 마스터 스위치 25 : 와이어

Claims (7)

  1. 건설 중장비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상기 건설 중장비의 캐빈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며, 캐빈 하네스와 연결되는 조작 스위치;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마스터 스위치; 및
    상기 캐빈 하네스와 상기 마스터 스위치를 연결하며, 상기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상기 마스터 스위치에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스위치는 모터와 모터 컨트롤러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배터리와 직접 연결되는 메인 하네스와 연결되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어를 통해서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 동작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모터를 동작시켜 상기 메인 하네스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어를 통해서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오프 동작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켜 상기 메인 하네스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로부터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온/오프 동작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정지함으로써 상기 마스터 스위치의 구동을 동작/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굵기는 상기 와이어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모터 컨트롤러에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1.5 제곱 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KR1020150039801A 2015-03-23 2015-03-23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KR102390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801A KR102390634B1 (ko) 2015-03-23 2015-03-23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801A KR102390634B1 (ko) 2015-03-23 2015-03-23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761A KR20160113761A (ko) 2016-10-04
KR102390634B1 true KR102390634B1 (ko) 2022-04-26

Family

ID=5716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801A KR102390634B1 (ko) 2015-03-23 2015-03-23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4682B2 (ja) * 2019-02-25 2022-04-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2586A (ja) * 2010-10-27 2012-05-17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におけるバッテリの放電防止回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905B2 (ja) * 1994-06-09 2000-09-1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塵芥車
KR0148540B1 (ko) * 1995-08-30 1999-10-01 김태구 자동차용 배터리의 무단방전 방지장치
KR200144110Y1 (ko) * 1996-04-29 1999-06-15 양재신 자동차 배터리 방전 방지용 램프 소등 장치
KR19980050907U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야간 주차등
KR19990016538U (ko) * 1997-10-28 1999-05-25 김지홍 차량용 밧데리의 과방전 방지장치
KR20040065740A (ko) * 2003-01-16 2004-07-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밧데리의 방전 예방장치
KR100508452B1 (ko) * 2003-11-18 2005-08-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방전 방지를 위한 도어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2586A (ja) * 2010-10-27 2012-05-17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におけるバッテリの放電防止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761A (ko)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00263B (zh) 乘客输送机的辅助制动器控制装置和辅助制动器控制方法
CN101342938A (zh) 中小型电力推进船舶嵌入式推进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0099787A3 (de) Elektrodynamische bremseinrichtung für einen universalmotor
US20090230902A1 (en) Inverter system for vehicle-mounted air conditioner
CN102064601B (zh) 一种柱上开关双电源自动投切装置
KR102390634B1 (ko) 건설 중장비의 마스터 스위치 제어 장치
CN110406561B (zh) 道岔控制系统和轨道系统
CN105189187B (zh) 电力机车控制装置和电力机车控制方法
CN108067609B (zh) 用于混铁车加盖的电气控制方法
CN105604370A (zh) 带制动器监测的立体车库变频调速控制系统
WO2013171186A3 (de) Schienenfahrzeugsschaltungsanordnung
KR20140024184A (ko) 크레이터 기능 설정이 가능한 와이어 피더
KR101905925B1 (ko) 배터리 방전장치
WO2011120727A3 (de) Wechselrichte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echselrichters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US8587146B2 (en) Solid state contactor assembly
CN207124483U (zh) 一种用于机动车车载电气系统的供电电路
KR101219270B1 (ko) 용접장치
CN104129393A (zh) 一种本务机车给附挂的无火回送机车供电系统
CN104386059B (zh) 一种插电式混合动力汽车电机的模式控制方法
CN203998476U (zh) 一种电动松抱闸保护控制系统
JP2019017159A (ja) 電力スタンド
CN203276971U (zh) 一种自动电线剥离器
CN205869971U (zh) 轴承套圈自动车床控制装置
KR20110094533A (ko) 엘리베이터의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및 방법
CN205441743U (zh) 一种胶带机机尾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