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508B1 -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508B1
KR102390508B1 KR1020150099406A KR20150099406A KR102390508B1 KR 102390508 B1 KR102390508 B1 KR 102390508B1 KR 1020150099406 A KR1020150099406 A KR 1020150099406A KR 20150099406 A KR20150099406 A KR 20150099406A KR 102390508 B1 KR102390508 B1 KR 10239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rol unit
braking system
electric brak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383A (ko
KR102390508B9 (ko
Inventor
김도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5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508B1/ko
Publication of KR10239050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50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8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 B60T8/9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automatically taking corrective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부가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프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오프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가 기 설정된 해지시간 이내에 도어가 오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해지시간 이내에 도어가 오픈되면, 제어부가 기 설정된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도어가 클로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도어가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클로즈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어부가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 MECHANICAL BRAKE SYSTEM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프 조건에서 비정상적으로 누설전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식 제동 시스템은 운전자의 제동의지를 측정하고 페달 반력을 형성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하며, 페달 시뮬레이터에서 전달된 제동 신호 및 차량 상태에 따라 목표 제동력을 결정한 후, 이 목표 제동력을 기반으로 제동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식 제동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끄고 차량 실내에 머무르고 있거나 또는 운전자가 시동을 끄고 차량을 벗어난 경우 등과 같이 기 설정된 오프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면, 내부의 제어부가 온되어 다시 온상태로 되면서 누설전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7893호(2014.05.14)의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프 조건 만족시 도어가 오픈되어 전동식 제동 시스템에 누설전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누설전류를 제한하여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프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오프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어부가 기 설정된 해지시간 이내에 도어가 오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해지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오픈되면, 상기 제어부가 기 설정된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도어가 상기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클로즈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이그니션 오프 상태이거나 또는 엔진 정지 상태이면 상기 오프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지시간 이내에 브레이크 신호가 입력되면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면 파워 래치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레귤레이터에 도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여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메인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동 장치는 도어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부; 이그니션 상태를 감지하는 이그니션 감지부; 및 상기 이그니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이그니션 상태에 따라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프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오프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도어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토대로 상기 도어가 오픈된 후 기 설정된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레귤레이터에 도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여 슬립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도어 신호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메인 전원을 차단하여 슬립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프조건이 만족한 후, 기 설정된 해지시간 이내에 브레이크 신호가 입력되면 배터리 전압 모니터링부를 통해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면 상기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파워 래치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프 조건 만족시 도어가 오픈되어 전동식 제동 시스템에 누설전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누설전류 증가로 인한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신호 입력부의 회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회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신호 입력부의 회로도이다.
도 1 과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레귤레이터 전원 공급부(10), 도어 신호 입력부(20), 이그니션 신호 입력부(30), 브레이크 신호 입력부(40), 메인 전원 신호 입력부(50), 레귤레이터(60), 이그니션 감지부(70), 도어 감지부(80), 브레이크 감지부(90), 제어부(100) 및 도어 신호 차단부(110)를 포함한다.
도어 신호 입력부(20)는 도어가 오픈되는지 여부에 따라 도어가 오픈되었음을 나타내는 도어 신호(D_OPN)를 레귤레이터(60)에 입력하고, 이그니션 신호 입력부(30)는 이그니션 신호(IGN)를 레귤레이터(60)에 입력한다. 또한 브레이크 신호 입력부(40)는 사용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 신호(BLS)를 레귤레이터(60)에 입력한다.
여기서, 도어 신호 입력부(20)와 이그니션 신호 입력부(30), 브레이크 신호 입력부(40) 및 메인 전원 신호 입력부(50)는 각각의 출력단이 서로 연결되어 레귤레이터(60)의 INH단자(Inhibit,Active Low)에 연결된다.
메인 전원 신호 입력부(50)는 제어부(100)의 래치 온 신호(LATCH_ON)에 따라 턴온되어 메인 전원 신호(M/PWR)를 레귤레이터(60)에 입력한다.
메인 전원 신호 입력부(50)는 그 출력단이 상기한 도어 신호 입력부(20)와 이그니션 신호 입력부(30) 및 브레이크 신호 입력부(40)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INH단자로 메인 전원 신호(M/PWR)를 입력한다.
레귤레이터 전원 공급부(10)는 레귤레이터(60)에 전원을 공급한다. 레귤레이터 전원 공급부(10)는 레귤레이터(60)에 입력되는 도어 신호(D_OPN), 이그니션 신호(IGN), 브레이크 신호(BLS) 및 메인 전원 신호(M/PWR)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턴온되어 레귤레이터(60)에 전원을 공급한다.
레귤레이터(60)는 도어 신호(D_OPN)와 이그니션 신호(IGN), 브레이크 신호(BLS) 및 메인 전원 신호(M/PWR)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되면 INH 단자가 하이가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시킨다.
레귤레이터(60)가 동작하면, 제어부(100)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RESET 신호가 입력되어 제어부(100)가 정상 동작한다.
이그니션 신호 감지부(70)는 이그니션 상태를 감지하여 이그니션 상태에 대한 이그니션 감지 신호(IGN_SEN)를 제어부(100)에 입력한다.
도어 감지부(80)는 도어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 상태에 대한 도어 감지 신호(D_OPN_SEN)를 제어부(100)에 입력한다.
브레이크 감지부(90)는 브레이크 상태를 감지하여 브레이트 상태에 대한 브레이크 감지 신호(BLS_SEN)를 제어부(100)에 입력한다.
도어 신호 차단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신호 즉, 슬립 온 신호(SLEEP_ON)에 따라 턴온되어 도어 신호(D_OPN)가 레귤레이터(60)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3 에는 도어 신호 입력부(20) 및 도어 신호 차단부(110)가 도시되었다.
도어 신호 입력부(20)는 도어 신호(D_OPN)에 따라 FET가 턴온되어 저항(R2)와 다이오드(D)를 통해 도어 신호(D_OPN)를 출력된다.
도어 신호 차단부(110)는 저항(R3)과 스위치(Q)를 포함한다. 저항(R3)은 일단이 다이오드의 애노드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스위치(Q)의 컬렉터단에 연결되며, 스위치(Q)는 컬렉터단이 상기한 저항(R3)에 연결되고 베이스단이 제어부(100)의 GPIO2단자와 연결되며 에미터단이 접지와 연결된다.
이에, 도어 신호(D_OPN)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D)를 통해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어부(100)의 슬립 온 신호(SLEEP_ON)에 의해 스위치(Q)가 턴온되면 도어 신호(D_OPN)가 저항(R3)를 통해 바이어스되어 접지된다.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60)에 도어 신호(D_OPN)가 더이상 입력되지 않게 된다.
제어부(100)는 레귤레이터(60)에 의해 턴온되면, GPIO0단자를 통해 릴레이 온 신호(RELY_ON)를 출력하여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메인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GPIO1단자를 통해 래치 온 신호(LATCH_ON)를 하이로 출력하여 메인 전원 신호(M/PWR)를 레귤레이터(60)에 입력한다.
여기서, 메인 전원이 공급되면, 래치 온 신호(LATCH_ON)에 의해 레귤레이터(60)의 INH단자를 하이 상태로 유지하는 파워 래치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치 파워 래치 상태에서, 제어부(100)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프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오프조건을 만족하면, 기 설정된 해지시간 이내에 도어가 오픈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해지시간 이내에 도어가 오픈되면, 제어부(100)는 기 설정된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도어가 클로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도어가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클로즈되지 않으면, 슬립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 해지시간은 오프조건이 만족한 후 전동식 제동 시스템을 오프시키는 시간으로써, 운전자의 주행 의지가 완전히 없음을 확인하는 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1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어제한시간은 도어가 오픈된 후 클로즈될 때까지의 설정된 시간으로써,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도어가 클로즈되는지 여부에 따라 파워 래치를 디스에이블(Disable)시키거나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기준이 된다.
이하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먼저 레귤레이터(60)는 이그니션 신호(IGN)와 도어 신호(D_OPN) 및 브레이크 신호(BLS)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되면(S10) 턴온되어 제어부(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부(100)를 리셋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가 턴온되면서 전동식 제동 시스템을 초기화시킨다(S12).
이어 제어부(100)는 이그니션 감지부(70)로부터 이그니션 신호(IGN)를 입력받고 엔진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엔진 RPM을 전달받아 현재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여기서, 제어부(100)는 차량이 현재 시동 온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한 바와 같이 이그니션 상태와 엔진 RPM(Revolution Per Minut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S14)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이 현재 시동 온 상태가 아니면, 제어부(100)는 도어 신호 차단부(110)에 슬립 온 신호(SLEEP_ON)를 입력하여 도어 신호(D_OPN)가 레귤레이터(60)에 입력되지 않도록 하고, 릴레이 온 신호(RELY_ON)를 로우로 출력하여 메인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슬립 모드로 진입한다(S36).
반면에, 상기한 단계(S14)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이 현재 시동 온 상태이면, 제어부(100)는 래치 온 신호(LATCH_ON)를 메인 전원 신호 입력부(50)에 입력하여 파워 래치를 인에이블(Enable)시킨다(S16).
이에 따라, 전동식 제동 시스템은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S18).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00)는 이그니션 감지부(70)로부터 이그니션 상태를 전달받고 엔진 제어부(100)로부터 엔진 RPM을 전달받아 이그니션 상태가 오프 상태이고 엔진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S20)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이 현재 오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20)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의 시동이 오프상태이면, 제어부(100)는 도어 감지부(80)로부터 입력된 도어 감지 신호(D_OPN_SEN)를 토대로 기 설정된 해지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도어가 오픈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S24).
이 경우, 단계(S22,S24)에서의 판단 결과 해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도어가 오픈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래치 온 신호(LATCH_ON)를 로우로 출력하여 파워 래치를 디스에이블시킨다(S34). 즉, 상기한 과정은 도어가 클로즈된 상태(도어 신호(D_OPN) 오프 상태)이고 이그니션 오프 상태(이그니션 신호(IGN) 오프 상태)이며, 브레이크 오프 상태(브레이크 신호(BLS) 오프 상태)이며, 메인 전원 오프 상태(래치 온(LATCH_ON) 로우 상태)이므로, 레귤레이터(60)의 INH 단자는 로우가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오프되고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동작은 정지한다.
반면에, 단계(S22,S24)에서의 판단 결과 해지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도어가 오픈되면, 제어부(100)는 브레이크 감지부(90)를 통해 브레이크가 작동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6), 브레이크가 작동 중이면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결과를 출력한다(S28).
이 경우는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오픈시키고 운전석에 있는 상태로 추정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00)는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배터리 전압이 저전압 상태이면 배터리 충전을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가 작동한 상태에서 도어가 오픈된 상태가 지속되면, 제어부(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결과를 출력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배터리 방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는 더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단계(S26)에서의 판단 결과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도어제한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도어가 클로즈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S32).
단계(S30,S32)에서의 판단 결과 도어가 클로즈되지 않은 상태로 도어제한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00)는 도어 신호 차단부(110)로 슬립 온 신호(SLEEP_ON)를 출력하여 도어 신호(D_OPN)가 레귤레이터(60)에 입력되지 않도록 하며, 릴레이 온 신호(RELY_ON)를 로우로 출력하여 메인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슬립 모드로 진입한다(S36).
반면에, 단계(S30,S32)에서의 판단 결과 도어제한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도어가 클로즈되면, 제어부(100)는 래치 온 신호(LATCH_ON)를 로우로 출력하여 파워 래치를 디스에이블시킨다(S34).
즉, 제어부(10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도어가 오픈된 후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도어가 클로즈되면 래치 온 신호(LATCH_ON)를 로우로 출력하여 파워 래치를 디스에이블시킨다.
반면에, 제어부(10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도어가 오픈된 후 도어제한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클로즈되지 않으면 도어 신호 차단부(110)를 통해 도어 신호(D_OPN)를 차단하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슬립모드로 진입한다.
따라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도어가 오픈된 후 클로즈되지 경우, 도어 신호(D_OPN)에 의해 제어부(100)와 전동식 제동 시스템이 온되어 누설전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프 조건 만족시 도어가 오픈되어 전동식 제동 시스템에 누설전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누설전류 증가로 인한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레귤레이터 전원 공급부
20: 도어 신호 입력부
30: 이그니션 신호 입력부
40: 브레이크 신호 입력부
50: 메인 전원 신호 입력부
60: 레귤레이터
70: 이그니션 감지부
80: 도어 감지부
90: 브레이크 감지부
100: 제어부
110: 도어 신호 차단부

Claims (13)

  1. 제어부가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프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오프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어부가 기 설정된 해지시간 이내에 도어가 오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해지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오픈되면, 상기 제어부가 기 설정된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도어가 상기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클로즈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지 않고 브레이크가 작동 중이면 슬립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제어부는 레귤레이터에 도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메인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그니션 오프 상태이거나 또는 엔진 정지 상태이면 상기 오프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지시간 이내에 브레이크 신호가 입력되면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면 파워 래치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도어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부;
    이그니션 상태를 감지하는 이그니션 감지부; 및
    상기 이그니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이그니션 상태에 따라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프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오프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도어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토대로 상기 도어가 오픈된 후 기 설정된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지 않고 브레이크가 작동 중이면 슬립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레귤레이터에 도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메인 전원을 차단하여 슬립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오프조건이 만족한 후, 기 설정된 해지시간 이내에 브레이크 신호가 입력되면 배터리 전압 모니터링부를 통해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면 상기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파워 래치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KR1020150099406A 2015-07-13 2015-07-13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9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406A KR102390508B1 (ko) 2015-07-13 2015-07-13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406A KR102390508B1 (ko) 2015-07-13 2015-07-13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383A KR20170008383A (ko) 2017-01-24
KR102390508B1 true KR102390508B1 (ko) 2022-04-26
KR102390508B9 KR102390508B9 (ko) 2023-05-11

Family

ID=5799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406A KR102390508B1 (ko) 2015-07-13 2015-07-13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1052B (zh) * 2022-01-12 2022-08-26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线控制动系统的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693A (ja) 2001-05-22 2002-12-06 Denso Corp 車両用電源供給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973B1 (ko) * 2011-02-01 2014-06-17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원 장치
KR20130033189A (ko) * 2011-09-26 2013-04-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부스터 제동시스템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952098B1 (ko) * 2012-09-04 2019-02-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부스터 시스템의 전원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2071422B1 (ko) * 2013-07-12 2020-03-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부스터 제동시스템의 모터 초기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693A (ja) 2001-05-22 2002-12-06 Denso Corp 車両用電源供給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383A (ko) 2017-01-24
KR102390508B9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2409B2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JP6790474B2 (ja) 二次電池の監視装置、電池システム、二次電池の保護システム、車両
US9779559B2 (en) Circuit for monitoring abnormality of ECU
JP2007203929A (ja) 車両用暗電流測定装置及び車両用電源制御装置
CN106249154B (zh) 二次电池的监视装置以及保护系统、电池包、车辆
JP6092638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GB2321141A (en) Overcurrent breaking circuit
KR20180005008A (ko) 환경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KR101967464B1 (ko)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제어 장치
KR102053399B1 (ko) 안전 모니터링 유닛
WO2015040911A1 (ja) 電池制御ユニットシステム
EP2782202B1 (en) Protec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390508B1 (ko) 전동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0023727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JP2009023421A (ja) 電力供給制御装置および電力供給制御方法
EP4328080A1 (en) Vehicle power-off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medium and device
EP2500554B1 (en)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US10095566B2 (en) Detecting activation of an operator control element in a motor vehicle
WO2020116261A1 (ja) 車載用のバックアップ電源制御装置、及び車載用のバックアップ電源
KR101845341B1 (ko) 충전식 전동공구의 배터리 초기 장착 구동 제한시스템
JP2007255254A (ja) 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JPH11341821A (ja) インバータ装置
US8737949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erating a mobile battery-operated personal emergency signal device
KR101673786B1 (ko) 차량과 외부기기 간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1327203B1 (ko) 이에스에스 스위치 고장 검출 장치 및 고장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