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150B1 - 살균 가방 - Google Patents

살균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150B1
KR102390150B1 KR1020210025253A KR20210025253A KR102390150B1 KR 102390150 B1 KR102390150 B1 KR 102390150B1 KR 1020210025253 A KR1020210025253 A KR 1020210025253A KR 20210025253 A KR20210025253 A KR 20210025253A KR 102390150 B1 KR102390150 B1 KR 102390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space
irradiation unit
pocket
uni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하
나인식
Original Assignee
(주)쉴드론
(주)캐롯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쉴드론, (주)캐롯 filed Critical (주)쉴드론
Priority to KR1020210025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86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4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9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pplied to measurement of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가방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공간을 향하여 UV를 조사할 수 있는 UV 조사부;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 중 하나 이상에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살균 가방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 가방{STERILIZTION BAG}
본 발명은 살균 기능을 구비한 살균 가방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사용자가 개인적인 물품을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가방에는 책, 의류 및 화장품 등과 같이 사용자의 개인적인 물품이 수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수용 공간은 외부에 대하여 개폐될 수 있다.
한편, 가방 내부에 수납되는 물품은 외부에서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어 세균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며, 가방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수용 공간이 개방되는 경우 세균이 수용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가방 내에 의류 및 화장품과 같이 피부와 접촉할 수 있는 물품을 수용 공간에 오랜 시간 보관하는 경우 물품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가방이 외부에 대하여 폐쇄된 경우에는 수용 공간 내에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세균에 의해 오염된 물품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세균에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건강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가방 내부에 세균이 번식하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세균에 의해 이미 오염된 물품이 가방 내에 수납될 경우 오염된 물품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 가방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가방 내의 공간 및 수납 물품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살균 가방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UV 조사부의 온/오프 타이밍 및 살균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살균 가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공간을 향하여 UV를 조사할 수 있는 UV 조사부;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 중 하나 이상에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을 둘러싸도록 제공되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노출된 일면에는 상기 UV 조사부를 수용할 수 있는 조사부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에 노출된 타면에는 배터리 포켓이 형성된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사부 포켓에는, 상기 UV 조사부에서 조사된 UV가 상기 제1 수용공간을 향하여 나아갈 수 있도록 상기 조사부 포켓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UV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조사부 포켓의 상측에 상기 센서부가 관통할 수 있는 센서홀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홀을 관통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이 상기 제2 수용공간에 노출된 채로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UV 조사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센서부의 상기 일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며, 상기 센서홀의 상측에서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 채로 상기 구획부의 타면에 지지되는, 살균 가방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조사부 포켓 내부에 놓인 UV 조사부가 상기 배터리 포켓에 놓인 배터리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부를 관통하는 충전홀이 형성된, 살균 가방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부 포켓은, 상기 제1 수용공간과 대향하는 일면이 상기 복수 개의 UV홀을 통과한 UV를 다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경면(鏡面)으로 구성된, 살균 가방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에 형성된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센서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조사된 빛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및 UV 조사부에서 UV가 조사되지 않는 오프 상태 및 상기 UV 조사부에서 UV가 조사되는 온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상기 UV 조사부가 놓이도록 상기 UV 조사부를 작동시키는 UV 조사부 작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V 조사부는,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 중 하나 이상이 외부에 대하여 노출된 개방 상태 및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이 외부에 대하여 차단된 폐쇄 상태에 놓일 수 있고, 상기 UV 조사부 작동 단계는, 상기 개방 상태에 놓인 케이스가 상기 폐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오프 상태에 놓인 UV 조사부를 상기 온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UV 조사부가 상기 온 상태로 전환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살균 시간이 지나면 상기 UV 조사부를 상기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살균 가방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가 상기 개방 상태에 놓인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살균 시간을 결정하는 살균 시간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살균 가방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방 내의 공간 및 수납 물품을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UV 조사부의 온/오프 타이밍 및 살균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수용공간이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보았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수용공간이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살균 가방을 제어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지지', '연결' 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지지,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가방(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가방(1)은 케이스(100), 개폐부재(200), UV 조사부(300), 센서부(400), 고정부재(5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물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제1 수용공간(S1) 및 제2 수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개폐부재(200)에 의해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방 상태는 제1 수용공간(S1) 및 제2 수용공간(S2) 중 하나 이상이 외부에 대하여 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폐쇄 상태는 제1 수용공간(S1) 및 제2 수용공간(S2)이 외부에 대하여 차단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바디부(110) 및 구획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제1 수용공간(S1) 및 제2 수용공간(S2)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구획부(120)는 제1 수용공간(S1)과 제2 수용공간(S2)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구획부(120)는 UV 조사부(300), 센서부(400) 및 고정부재(5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부(120)에는 조사부 포켓(121) 및 배터리 포켓(122)이 형성될 수 있다.
조사부 포켓(121)은 UV 조사부(30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UV 조사부(300)는 구획부(120) 중 제1 수용공간(S1)에 노출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사부 포켓(121)에는 UV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UV홀(121a)은 조사부 포켓(121)에 수용된 UV 조사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수용공간(S1)에 노출되도록 조사부 포켓(12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V 조사부(300)로부터 조사된 UV는 UV홀(121a)을 통하여 제1 수용공간(S1)으로 나아갈 수 있다. 또한, UV홀(121a)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조사부 포켓(121)은 제1 수용공간(S1)과 대향하는 일면이 경면(鏡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사부 포켓(121)의 경면은 제1 수용공간(S1)에서 나아가는 UV를 다방향(multi direction)으로 반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UV홀(121a)을 통과한 UV는 제1 수용공간(S1)에서 다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제1 수용공간(S1) 내의 살균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배터리 포켓(122)은 배터리(2)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포켓(122)은 구획부(120) 중 제2 수용공간(S2)에 노출된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획부(120)에는 구획부(120)를 관통하는 센서홀(123), 관통홀(124) 및 충전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123)은 센서부(400)가 통과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홀(123)은 조사부 포켓(12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24)은 배터리(2)의 전선이 통과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24)은 조사부 포켓(12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충전홀(125)은 조사부 포켓(121)에 수용된 UV 조사부(300)가 배터리 포켓(122)에 수용된 배터리(2)로부터 전원을 무선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홀(125)은 조사부 포켓(121)과 배터리 포켓(1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200)는 케이스(100) 내부가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200)는 일 예로, 지퍼(Zippe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UV 조사부(300)는 케이스(100)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살균하기 위하여 UV(Ultraviolet Ray)를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UV 조사부(300)는 조사부 포켓(121) 내측에 배치되며, UV홀(121a)을 통하여 UV를 제1 수용공간(S1)으로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V 조사부(300)는 패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배터리(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UV 조사부(300)는 온 상태 및 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온 상태는 UV 조사부(300)에서 UV가 조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오프 상태는 UV 조사부(300)에서 UV가 조사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UV 조사부(300)의 온 상태 및 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의 상태로의 전환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400)는 케이스(100) 외부로부터 내부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400)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주지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조도센서(illuminance senso) 및 광 센서(optical sens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센서부(400)는 센서홀(123)을 관통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400)의 일단은 제2 수용공간(S2)에 노출된 채로 고정부재(5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400)는 제2 수용공간(S2)에 조사되는 빛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고정부재(500)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400)의 일단은 빛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미도시)가 위치한 단부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00)의 타단은 UV 조사부(300)와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UV 조사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500)는 센서부(4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500)는 제2 수용공간(S2)에 놓이도록 구획부(120)의 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500)는 센서부(400)를 지지할 수 있는 주지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스트랩(strap), 벨크로(Velcro)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500)는 센서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 채로 센서부(40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재(500)는 센서부(400)의 일단은 제2 수용공간(S2)에 노출시키면서 센서부(800)의 다른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500)는 센서홀(123)의 상측에 배치되며, 센서홀(123)을 관통한 센서부(400)의 일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센서부(40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제1수용공간(S1)에 노출되도록 상기 구획부(12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센서홀(123)을 관통하지 않고 바로 상기 고정부재(5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부(400)로부터 빛 감지 여부를 전달받아 UV 조사부(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센서 등의 측정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UV 조사부(300), 센서부(400) 및 고정부재(500)는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UV 조사부(300), 센서부(400) 및 고정부재(500)는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UV 조사부(300), 센서부(400) 및 고정부재(500)가 각각 두 개로 제공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두 개의 UV 조사부(300) 중 어느 하나는 제1 수용공간(S1)에 배치되어 제1 수용공간(S1)에 UV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UV 조사부(300) 중 다른 하나는 제2 수용공간(S2)에 배치되어 제2 수용공간(S2)에 UV를 조사할 수 있다.
두 개의 센서부(400) 중 어느 하나는 제1 수용공간(S1)에 배치되어 제1 수용공간(S1)에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센서부(400) 중 다른 하나는 제2 수용공간(S2)에 배치되어 제2 수용공간(S2)에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두 개의 고정부재(500) 중 어느 하나는 제1 수용공간(S1)에 놓인 센서부(400)를 지지하도록 구획부(120)의 일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고정부재(500) 중 다른 하나는 제2 수용공간(S2)에 놓인 센서부(400)를 지지하도록 구획부(120)의 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 가방(1)은 제1 수용공간(S1) 및 제2 수용공간(S2) 중 어느 하나가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더라도 UV 조사부(300)가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살균 가방(1)을 제어하는 살균 가방 제어 방법(S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살균 가방 제어 방법(S10)은 살균 가방(1) 내에 수납된 물품을 살균하기 위하여 살균 가방(1)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살균 가방 제어 방법(S10)은 감지 단계(S100), UV 조사부 작동 단계(S200) 및 살균 시간 결정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단계(S100)에서는 제1 수용공간(S1) 및 제2 수용공간(S2)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센서부(400)가 케이스(100) 내부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 단계(S100)에서는 센서부(400)가 케이스(100)가 개방상태에 놓였을 때, 케이스(100) 내부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UV 조사부 작동 단계(S200)에서는 UV 조사부(300)가 온 상태 및 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UV 조사부(300)를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V 조사부 작동 단계(S200)에서는 개방 상태에 놓인 케이스(100)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면 오프 상태에 놓인 UV 조사부(300)가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UV 조사부(300)는 온 상태로 전환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살균 시간 동안 UV를 조사할 수 있다. 즉, UV 조사부(300)는 살균 시간 동안 UV를 조사한 후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UV 조사부(300)는 케이스(100)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오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UV 조사부 작동 단계(S200)에서 UV 조사부(300)는 소정 주기로 UV를 조사할 수 있으며, 매 주기마다 살균 시간 동안 UV를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V 조사부 작동 단계(S200)에서 UV 조사부(300)는 2분마다 10초 동안 UV를 조사할 수 있다.
살균 시간 결정 단계(S300)에서는 제어부가 케이스(100)가 개방 상태에 놓인 시간에 기초하여 살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00)가 오랜 시간 동안 개방 상태에 놓이면 케이스(100) 내의 물품은 더 많은 세균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200) 내의 물품은 오랜 시간 동안 살균될 필요가 있으며, 살균 시간은 보다 긴 소정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살균 시간 결정 단계(S300)에서 결정된 살균 시간 동안 UV 조사부 작동 단계(S200)에서 UV 조사부(300)가 온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살균 가방 2: 배터리
100: 케이스 110: 바디부
120: 구획부 121: 조사부 포켓
121a: UV홀 122: 배터리 포켓
123: 센서홀 124: 관통홀
125: 충전홀 200: 개폐부재
300: UV 조사부 400: 센서부
500: 고정부재
S1:제1 수용공간 S2:제2 수용공간

Claims (3)

  1. 내부에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공간을 향하여 UV를 조사할 수 있는 UV 조사부;
    상기 UV 조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 중 하나 이상에 조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제공되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노출된 일면에는 상기 UV 조사부를 수용할 수 있는 조사부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에 노출된 타면에는 배터리 포켓이 형성된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사부 포켓에는,
    상기 UV 조사부에서 조사된 UV가 상기 제1 수용공간을 향하여 나아갈 수 있도록 상기 조사부 포켓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UV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조사부 포켓의 상측에 상기 센서부가 관통할 수 있는 센서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센서부의 일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며, 상기 센서홀의 상측에서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 채로 상기 구획부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지지된,
    살균 가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조사부 포켓 내부에 놓인 UV 조사부가 상기 배터리 포켓에 놓인 배터리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부를 관통하는 충전홀이 형성된,
    살균 가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 포켓은,
    상기 제1 수용공간과 대향하는 일면이 상기 복수 개의 UV홀을 통과한 UV를 다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경면(鏡面)으로 구성된,
    살균 가방.
KR1020210025253A 2021-02-25 2021-02-25 살균 가방 KR102390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253A KR102390150B1 (ko) 2021-02-25 2021-02-25 살균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253A KR102390150B1 (ko) 2021-02-25 2021-02-25 살균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150B1 true KR102390150B1 (ko) 2022-07-29

Family

ID=8260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253A KR102390150B1 (ko) 2021-02-25 2021-02-25 살균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1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77B1 (ko) * 2014-06-10 2015-06-23 이화정 건조 및 살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가방 어셈블리
JP2017191075A (ja) * 2016-04-15 2017-10-19 株式会社日本未来医療研究所 容積検知装置、容積検知装置を備えたブリスターパックの内容物検知装置、及び容積検知装置用の収容空間画定部材
KR20170119434A (ko) * 2016-04-19 2017-10-27 염승선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KR20180105788A (ko) * 2017-03-16 2018-10-01 안금종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KR20190090924A (ko) * 2018-01-26 2019-08-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살균 기능을 구비한 가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77B1 (ko) * 2014-06-10 2015-06-23 이화정 건조 및 살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가방 어셈블리
JP2017191075A (ja) * 2016-04-15 2017-10-19 株式会社日本未来医療研究所 容積検知装置、容積検知装置を備えたブリスターパックの内容物検知装置、及び容積検知装置用の収容空間画定部材
KR20170119434A (ko) * 2016-04-19 2017-10-27 염승선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KR20180105788A (ko) * 2017-03-16 2018-10-01 안금종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KR20190090924A (ko) * 2018-01-26 2019-08-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살균 기능을 구비한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6981B2 (en) Combination electronic device dock and dissinfector
GB2460957A (en) Desktop sterilizer for books
WO2014153313A2 (en) Flexible ultraviolet device
KR200459582Y1 (ko) 살균 소독 기능을 갖는 이미용기구 보관대
JP3237038U (ja) ポータブル紫外線消毒容器
WO2016175368A1 (ko) 구강스캐너 거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스캐너 시스템
KR20190140513A (ko) IoT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미용도구 소독 시스템
KR20220002986A (ko) 소형 자외선 광원 장치
KR100911729B1 (ko) 청진기용 살균장치
KR102390150B1 (ko) 살균 가방
KR20090050723A (ko) 초음파프로브를 살균할 수 있는 초음파 진단 장치
KR20220121327A (ko) 살균 가방의 제어방법
KR200417336Y1 (ko) 위생신발장
KR200335622Y1 (ko) 살균 소독 기능을 갖는 미용기구 거치대
KR101926026B1 (ko)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KR101890917B1 (ko) 욕실용 수납함의 살균장치
KR102195358B1 (ko) 자외선 살균장치
KR20130000919U (ko) 살균함
KR20060002349A (ko) 치과의료기기용 소독 및 살균장치
JP3230753U (ja) 紫外線照射機能付きのデシケーター
CN210932870U (zh) 一种消毒箱包
KR101553349B1 (ko) 여성용 성 보조기구 살균 및 건조 장치
KR20220094164A (ko) 출입용 키패드 uv 살균장치
KR100879724B1 (ko) 신발 건조장치
KR20210156127A (ko) 도난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uv-led 수저통 살균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