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729B1 - 청진기용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청진기용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729B1
KR100911729B1 KR1020080000920A KR20080000920A KR100911729B1 KR 100911729 B1 KR100911729 B1 KR 100911729B1 KR 1020080000920 A KR1020080000920 A KR 1020080000920A KR 20080000920 A KR20080000920 A KR 20080000920A KR 100911729 B1 KR100911729 B1 KR 100911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thoscope
case
sterilizing
sterilization
stethoscop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136A (ko
Inventor
최동수
최광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디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디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디더블유
Priority to KR1020080000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7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진기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파관과 청진기 헤드로 이루어진 청진기를 살균하기 위한 청진기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원형으로 형성된 개구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청진기 헤드가 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홀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청진기 헤드를 살균 또는 가열될 수 있도록 제어부가 구비되는 살균장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장치의 살균 또는 가열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진기용 살균장치에 의하면,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청진기 헤드를 살균 또는 가열함으로써, 진찰시 환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세균 감염의 위험 또는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진기 헤드의 살균 또는 가열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청진기, 살균, 히터

Description

청진기용 살균장치{Sterilization device for stethoscope}
본 발명은 청진기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사의 진료시 환자의 몸에 접촉되어 오염된 청진기를 살균함과 동시에 진찰시 환자가 차가움을 느끼지 않도록 체온과 유사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청진기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진기는 의사가 환자의 심장음을 청취하기 위한 의료용 기기로서, 환자의 몸에 접촉하여 환자의 심장음을 청취하는 청진기헤드와, 이 청진기헤드에서 청취한 심장음을 전달하는 도파관과, 이 도파관으로부터 전달된 환자의 심장음을 청취하는 이어폰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청진기는 환자들의 몸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사용된 청진기 헤드를 별다른 살균작업을 거치지 않고 다른 환자에게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청진기 헤드가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진찰시 환자가 차가움을 느끼기 쉽고, 특히 겨울철에 유아 및 어린이들을 진찰할 경우 차가움으로 인해 놀라서 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청진기 헤드를 살균할 수 있는 청진기용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열선을 이용하여 청진기 헤드를 사람의 체온에 가까운 온도로 유지하여 환자들이 느끼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청진기용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진기용 살균장치는, 도파관과 청진기 헤드로 이루어진 청진기를 살균하기 위한 청진기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원형으로 형성된 개구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청진기 헤드가 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홀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청진기 헤드를 살균 또는 가열될 수 있도록 제어부가 구비되는 살균장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장치의 살균 또는 가열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이송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딩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ㆍ하 회전될 수 있도록 일측에 회동 돌기가 구비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자석, 상기 덮개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전달된 상기 덮개의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청진기 헤드를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청진기 헤드를 가열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홀더에 탈착되는 상기 청진기 헤드를 가열하도록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크기의 원형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진기용 살균장치에 의하면,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청진기 헤드를 살균 또는 가열함으로써, 진찰시 환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세균 감염의 위험 또는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진기 헤드의 살균 또는 가열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 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용 살균장치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용 살균장치는 덮개(100), 케이스(200), 살균장치(300), 제어부(400), 전원공급부(500) 및 조작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200)에 대해 상ㆍ하 회전되도록 상기 케이스(200)의 상측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100)에는 전면에 청진기 도파관(20)이 인출되도록 홀(110)이 형성되고, 전면 내측에는 자력을 갖는 자석(120)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200)는 살균장치(300), 제어부(400), 조작부(600) 및 전원공급부(500)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210) 및 하부케이스(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케이스(210)는 내부에 구비된 살균장치(300)에서 발생되는 빛 또는 열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상측에 원형으로 형성된 개구부(211)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살균 또는 가열의 작동 상태와 전원 공급 또는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2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210)에는 전면 내측에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 213)가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 213)는 상기 자석(120)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0)에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 213)는 자석(120)의 자력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자기적 성질 혹은 그 변화를 기전력, 전기 저항 등의 변화로서 검출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전압, 전류, 재질 또는 결함 등을 식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자석(120)과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 213)의 부착 부위를 상호 교체하여도 무방하다. 즉, 자석(120)을 상기 케이스(200)에 구비하도록 하고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 213)를 덮개(100)에 부착하여도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20)에는 사용자가 살균 또는 가열되도록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60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10)와 결합하여 입체형상을 이룬다.
상기 조작부(60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살균장치(300)의 살균 또는 가열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61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610)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외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살균장치(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0) 내부에 설치되고, 하우징(310), 자외선 램프(320)(320), 홀더(330), 히터(340), 보호판(3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310)은 중앙이 상기 개구부(211)의 중심부와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200)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10)은 내부에 돌출 형성되고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쌍으로 구비되는 고정돌기(311)와 일측에 한 쌍의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안내홈(313)이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311)에는 자외선 램프(320)가 고정된다.
상기 자외선 램프(320)는 소정의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방출하여 세균에 오염된 청진기 헤드(10)를 살균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310)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311)에 고정된다. 즉, 상기 자외선 램프(320)가 작동되면 상기 상부케이스(210)에 형성된 개구부(211)를 통해 자외선 램프(320)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에 의해 오염된 청진기 헤드(10)가 살균된다.
상기 홀더(330)는 이송부(331) 및 지지부(332)로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331)는 상기 하우징(310)에 슬라이딩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333)와 상기 가이드부(333)의 슬라이딩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334)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33)는 상기 이송부(331)의 일측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333a)와, 상기 가이드 돌기(333a)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310)에 형성된 가이드홈(314)과, 상기 가이드 돌기(333a)가 상기 가이드홈(31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때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333a)에 삽입되는 스프링(333b)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332)는 상기 케이스(200)의 상측에 원형으로 형성된 개구부(21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즉, 청진기 헤드(10)를 상기 개구부(211)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332)에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스(200)의 상측에 안착시키면 상기 안내돌기(334)가 상기 안내 홈(313)에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부(333)가 슬라이딩 왕복운동되어 청진기 헤드(10)를 홀더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히터(340)는 소정의 전원에 의해 열을 방출하여 청진기 헤드(10)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211)의 크기와 동일한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하우징(310)에 구비된 받침판(312)에 안착된다. 즉, 상기 히터(340)가 작동되면 상기 개구부(211)를 통해 열이 전달되어 상기 케이스(200)의 상측에 안착된 차가운 청진기 헤드(10)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350)은 외부의 먼지 및 습기로부터 상기 자외선 램프(320)를 보호하고, 상기 받침판(312)에 안착된 상기 히터(34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보호판(350)은 빛을 통과시켜야 하므로 투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호판(350)은 상기 자외선 램프(32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을 일방향으로 집중되도록 볼록렌즈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 213)로부터 상기 덮개(100)의 개폐신호에 따라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후술되는 전원공급부(500)를 제어하고, 전원의 공급 유무와 자외선 램프(320) 또는 히터(340)의 동작 유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212)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는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 213), 표시부(212), 조작부(600), 전원공급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221)에 설치된다.
상기 전원공급부(500)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상기 살균장치(300)가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회로기판(221)에 설치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용 살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용 살균장치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용 살균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용 살균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용 살균장치의 덮개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청진기 헤드 20 : 도파관
100 : 덮개 110 : 홀
120 : 자석 200 : 케이스
210 : 상부케이스 211 : 개구부
212 : 표시부 213 : 마그네틱 센서
220 : 하부케이스 221 : 회로기판
300 : 살균장치 310 : 하우징
311 : 고정돌기 312 : 받침판
313 : 안내홈 314 : 가이드홈
320 : 자외선 램프 330 : 홀더
331 : 이송부 332 : 지지부
333 : 가이드부 333a : 가이드돌기
333b : 스프링 334 : 안내돌기
340 : 히터 350 : 보호판
400 : 제어부 500 : 전원공급부
600 : 조작부 610 : 조작버튼

Claims (6)

  1. 도파관과 청진기 헤드로 이루어진 청진기를 살균하기 위한 청진기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원형으로 형성된 개구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청진기 헤드가 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홀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청진기 헤드를 살균 또는 가열될 수 있도록 제어부가 구비되는 살균장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장치의 살균 또는 가열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용 살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이송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딩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청진기용 살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ㆍ하 회전될 수 있도록 일측에 회동돌기가 구비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자석;
    상기 덮개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청진기용 살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전달된 상기 덮개의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청진기용 살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청진기 헤드를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청진기 헤드를 가열하는 히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청진기용 살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홀더에 탈착되는 상기 청진기 헤드를 가열하도록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크기의 원형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청진기용 살균장치.
KR1020080000920A 2008-01-03 2008-01-03 청진기용 살균장치 KR100911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920A KR100911729B1 (ko) 2008-01-03 2008-01-03 청진기용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920A KR100911729B1 (ko) 2008-01-03 2008-01-03 청진기용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136A KR20090075136A (ko) 2009-07-08
KR100911729B1 true KR100911729B1 (ko) 2009-08-10

Family

ID=4133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920A KR100911729B1 (ko) 2008-01-03 2008-01-03 청진기용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6542B2 (en) 2014-07-04 2019-03-12 EGOHEALTH S.r.l. Device for the sterilization of stethoscop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239B1 (ko) * 2011-09-21 2013-08-26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휴대용 수의기구 박스
KR101303611B1 (ko) * 2012-01-12 2013-09-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CN103845744A (zh) * 2012-12-06 2014-06-11 黎大能 听筒加热消毒器
KR101441078B1 (ko) * 2014-04-30 2014-09-17 주식회사 엠이티엔지니어링 청진기용 살균기
DE202015100925U1 (de) * 2015-02-26 2016-05-30 Margret Schmidt Sterilisationsvorrichtung
KR20170094773A (ko) * 2016-02-11 2017-08-2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청진기의 살균 장치
KR101875507B1 (ko) * 2016-12-27 2018-07-06 이승용 청진기용 소독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2972A1 (en) 2001-04-17 2002-11-07 Lawrence Pleet Stationary enclosure for sterilizing stethoscopes using ultraviolet ligh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2972A1 (en) 2001-04-17 2002-11-07 Lawrence Pleet Stationary enclosure for sterilizing stethoscopes using ultraviolet l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6542B2 (en) 2014-07-04 2019-03-12 EGOHEALTH S.r.l. Device for the sterilization of stethoscop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136A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729B1 (ko) 청진기용 살균장치
US9114184B2 (en) Device for the hygienisation of medical instruments
JP5148560B2 (ja) 滅菌または消毒のためのバンデージおよびシステム
KR101236335B1 (ko) 엘이디 패치를 구비하는 미용 마스크
JP6734959B2 (ja) 歯科用システム
JP6657208B2 (ja) 被験者に光線療法を提供するためのマットレス
KR101497617B1 (ko)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US20130331657A1 (en) Self-powered lighting system for use with an electrosurgical pencil
KR102131593B1 (ko)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키오스크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오스크
CN116648178A (zh) 内窥镜用推车及内窥镜用设备
CN212668887U (zh) 一种用于电梯楼层按钮上的杀菌消毒装置
KR101441078B1 (ko) 청진기용 살균기
KR20150003596U (ko) 인체감지센서와 전자식 타이머가 내장된 충전식 자외선 살균장치
EP2806904A1 (en) Disinfecting ophthalmic lenses
KR20220065404A (ko) 엘리베이터 버튼부의 살균장치
KR101875507B1 (ko) 청진기용 소독기
JPH09201422A (ja) 光治療器
KR200389668Y1 (ko) 자외선 살균등과 건조히터가 내장된 보청기 수납함
KR102310896B1 (ko) Led 마스크를 이용한 면도 및 피부 관리 장치
KR102409367B1 (ko) 청진기
CN113694230A (zh) 一种洗眼杯紫外线消毒器
TWM653647U (zh) 感應式自動殺菌馬桶蓋
JP2000060943A (ja) 殺菌器具
KR20120105111A (ko) 진료도구용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