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434A -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434A
KR20170119434A KR1020160047433A KR20160047433A KR20170119434A KR 20170119434 A KR20170119434 A KR 20170119434A KR 1020160047433 A KR1020160047433 A KR 1020160047433A KR 20160047433 A KR20160047433 A KR 20160047433A KR 20170119434 A KR20170119434 A KR 20170119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lcohol
plate
beauty instrument
beau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416B1 (ko
Inventor
염승선
Original Assignee
염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승선 filed Critical 염승선
Priority to KR1020160047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41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30Combs specially adapted for removing dirt or grea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18Receptacles for hair brushes or tooth brushes as travell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4/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소독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면에 미용기구를 올려놓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자외선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제1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에 삽입가능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올려진 상기 미용기구를 덮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상부에 배치되며, 자외선 및 소독액이 통과가능한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미용기구가 올려지는 내부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저부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자외선을 조사해 상기 케이스 내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자외선 소독하는 자외선 LED램프; 상기 플레이트상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탄성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탄성밴드; 상기 내부케이스상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탄성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탄성밴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알코올을 분사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살균소독하는 알코올분사유닛; 및,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기 덮개가 개폐되도록 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PORTABLE DISINFECTING APPARATUS FOR BEAUTY TOOL}
본 발명은 빗, 가위, 클리퍼, 핀셋 등의 미용기구를 소독하기 위한 미용기구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하기 용이하고 소독력이 개선된 형태의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숍에서는 가위, 빗, 면도기, 일명 '바리깡'이라 하는 이발기(이하, '클리퍼'라 함) 등과 같은 미용기구를 이용하여 고객의 머리카락을 자르거나 손질하고 있다.
이러한 미용기구는 여러 고객들을 상태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세균오염들에 의한 전염에 위험이 있어 위생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
이에 따라, 미용기구들을 살균소독하여 사용하기 위한 미용기구 소독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미용기구 소독장치에 대해 등록특허 10-1043616호, 등록실용 20-0335622호, 공개실용신안 20-2011-0009802호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미용기구 소독장치는 미용기구를 꽂아 놓는 구조로서 손잡이부분은 소독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고 전체적으로 소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병원, 요양원, 장애인, 교도소, 해외미용봉사 등을 위한 외부에서의 미용작업시, 또는 미용고등학교, 미용대학교, 미용기관에서 학생들의 미용작업에서도 미용도구 소독장치를 휴대하여 운반해 사용할 필요성이 매우 많았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미용기구 소독장치는 미용기구를 꽂아두는 구조로서 운반시 미용기구들이 뒤섞이거나 덜컹거려 손상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운반을 할 수 없고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1043616호 등록실용 20-0335622호 공개실용신안 20-2011-000980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할 뿐 아니라, 소독효율이 향상되며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면에 미용기구를 올려놓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자외선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제1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에 삽입가능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올려진 상기 미용기구를 덮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상부에 배치되며, 자외선 및 소독액이 통과가능한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미용기구가 올려지는 내부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저부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자외선을 조사해 상기 케이스 내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자외선 소독하는 자외선 LED램프; 상기 플레이트상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탄성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탄성밴드; 상기 내부케이스상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탄성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탄성밴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알코올을 분사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살균소독하는 알코올분사유닛; 및,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기 덮개가 개폐되도록 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코올분사유닛의 분사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상기 자외선 LED램프, 상기 센서부 및, 상기 개폐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알코올분사유닛의 분사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덮개가 상기 케이스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소정시간동안 유지하도록 상기 개폐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분사유닛은, 알코올을 수용하는 알코올저장통; 일측에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푸쉬동작에 의해 상기 알코올저장통 내에 수용된 상기 알코올을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시키는 작동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작동버튼을 누름동작을 감지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전동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는 네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면이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지지다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덮개의 외면에는 사용자와의 마찰력을 높여 그립감을 향상시키도록 마찰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사용자와의 마찰력을 높여 그립감을 향상시키도록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의 내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자외선이 반사되도록 알루미늄 필름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자외선 LED램프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놓여진 클리퍼와 접속되어 상기 클리퍼를 충전시키는 클리퍼 충전단자;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상기 클리퍼와 접속된 충전코드가 통과하는 케이블통과홀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탄성밴드에 의해 미용기구가 위치고정되어 운반시에도 흔들리거나 덜컹거리지 않아 고가의 미용기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휴대하여 손쉽게 운반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자외선 뿐 아니라, 알코올을 분사하여 소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독효율 즉 살균력이 높아, 미용기구를 더욱더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의 전원으로 구동됨으로써 사용장소에 제한을 덜 받아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코올이 분사된 후, 덮개가 바로 닫히지 않고 소정시간 후에 닫히게 되어 덮개가 닫힌 후에 본체부 내부에 알코올이 잔존하지 않아 사용자의 건강에 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에서 덮개가 열리고, 케이스에서 알코올분사유닛과 내부케이스를 꺼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에서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에서 케이스 내에 미용기구들이 보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에서 덮개가 케이스에 대해 회동되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에서 배터리 충전단자와 클리퍼 충전단자가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의 제어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의 다른 형태의 내부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의 또 다른 형태의 내부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는 헤어숍에서 사용하는 헤어미용기구, 애견숍에서 사용하는 애견미용기구, 네일숍에서 사용하는 네일미용기구 등 다양한 미용기구의 소독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는 본체부(101), 플레이트(130), 제1탄성밴드(134), 내부케이스(140), 제2탄성밴드(144), 자외선 LED램프(150), 알코올분사유닛(160), 개폐구동수단(170)를 포함한다.
본체부(101)는 케이스(101)와 덮개(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체부(101)는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예에서 본체부(101)의 사이즈는 가로25cm, 세로 12cm, 높이 9cm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측면 상단에 케이블통과홀(113)이 형성된다.
케이스(110)의 일측에 격벽(115)이 설치되어, 플레이트(130) 및 내부케이스(140)가 배치되는 제1공간(s1)과 알코올분사유닛(160)이 장착되는 제2공간(s2)으로 구획된다.
또한, 케이스(110)의 하면에는 도 7과 같이 미끄럼방지부재(118)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미끄럼방지부재(118)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 있고, 여타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알코올분사유닛(160)을 제2공간(s2)에 삽입장착시키면, 알코올분사유닛(160)의 분사노즐(163)이 알코올을 제2공간(s2) 상으로 분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덮개(120)는 케이스(1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덮개(120)의 후방 하단과 케이스(110)의 후방 상단에는 힌지(h)가 설치되어, 덮개(120)가 케이스(110)에 힌지되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30)는 다수의 제1통공(132)이 형성된 판재형태로 구성되며, 케이스(101)의 제1공간(s1)에 수평되게 고정설치된다. 플레이트(130)는 케이스(10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케이스(101)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케이스(101)의 내측벽에 접착제나 열융착에 의해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30)는 상부에 빗,가위 등의 미용기구(c1)를 올려놓을 경우,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탄성밴드(134)는 고무밴드재질로 이루어져 일단은 케이스(101)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케이스(101)의 타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제1탄성밴드(134)는 도 2와 같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되며, 제1탄성밴드(134)는 플레이트(1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제1탄성밴드(134)의 일단은 본딩이나 열융착 등의 방식에 의해 케이스(101)의 일측면에 부착고정된다. 또한, 제1탄성밴드(134)의 타단은 케이스(101)의 타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케이스(101)의 타측면에는 반원링 형태의 걸림부(135a)가 설치되고, 제1탄성밴드(134)의 타단에는 걸고리(135b)가 설치되어, 걸고리(135b)를 걸림부(135a)에 걸어주거나 분리시켜 줌으로써 제1탄성밴드(134)의 타단이 케이스(101)의 타측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빗, 가위 등의 미용기구(c1)를 플레이트(130)에 올려놓을 때,걸고리(135b)가 걸림부(135a)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제1탄성밴드(134)와 플레이트(130) 사이로 미용기구(c1)를 집어넣는 형태를 취하거나, 걸고리(135b)를 걸림부(135a)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미용기구(c1)를 플레이트(130) 위에 올려 놓은 후 걸고리(135b)를 걸림부(135a)에 걸어 고정시켜 주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플레이트(130)에 올려진 미용기구(c1)는 제1탄성밴드(134)에 의해 탄성가압됨으로써 제1탄성밴드(134)에 의해 미용기구(c1)가 플레이트(130) 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위치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탄성부재(134)에 의해 미용기구(c1)가 플레이트(13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운반시 미용기구(c1)가 흔들리지 않아 휴대성이 향상되게 된다.
내부케이스(140)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케이스(110)의 제1공간(s1)에 삽입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내부케이스(140)에는 다수의 제2통공(1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통공(142)은 내부케이스(140)의 상면부, 양측면부, 전면부, 후면부 모두에 형성되게 된다.
내부케이스(14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케이스(140) 상에 올려진 미용기구(c2)가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줄 수 있다.
내부케이스(140)는 플레이트(130) 상에 올려놓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케이스(140)가 플레이트(130) 상에 올려지면 플레이트(130)에 놓여진 미용기구(c1)를 덮게 된다.
제2탄성밴드(144)는 고무밴드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탄성밴드(134)와 마찬가지로 제2탄성밴드(144)의 일단은 케이스(110)의 일측면에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타단은 케이스(110)의 타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2탄성밴드(144)의 타단에는 제1탄성밴드(134)의 걸고리와 동일한 형태의 걸고리가 구성되고, 케이스(110)의 타측면에는 제1탄성밴드(134)의 걸림부와 동일한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걸고리를 걸림부에 분리가능하게 걸어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탄성밴드(144)는 도 2와 같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된다. 제2탄성밴드(144)는 제1탄성밴드(134)의 상부에 설치되되, 플레이트(130)위에 장착된 내부케이스(140)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5와 같이, 클리퍼 등의 미용기구(c2)를 내부케이스(140)에 올려놓을 때, 제2탄성밴드(144)와 내부케이스(140) 사이로 미용기구(c2)를 집어넣는 형태를 취하거나, 제2탄성밴드(144) 타단의 걸고리를 걸림부에서 분리해낸 상태에서 내부케이스(140) 위에 미용기구(c2)를 올려놓은 후, 제2탄성밴드(144) 타단의 걸고리를 걸림부에 걸어 고정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케이스(140) 상에 놓여진 미용기구(c2)는 제2탄성밴드(144)에 의해 탄성가압되어 미용기구(c2)가 움직이지 않고 위치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2탄성부재(144)에 의해 미용기구(c2)가 내부케이스(140)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케이스(140)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운반시 미용기구(c2)가 흔들리지 않아 휴대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4와 같이 자외선 LED램프(150)는 케이스(101)의 저부에 설치되되, 케이스(101)의 저부와 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자외선 LED램프(150)는 1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자외선 LED램프(150)가 점등되면, 자외선이 조사되며, 조사된 자외선은 제1통공(132) 및 제2통공(142)을 통해 케이스(110) 내부 전체에 전달되어, 플레이트(130)에 올려진 미용기구(c1) 및 내부케이스(140)에 올려진 미용기구(c2)를 살균소독할 수 있게 된다.
알코올분사유닛(160)은 제1공간(s1)에 알코올을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110) 내부의 제2공간(s2)에 분리가능하게 삽입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즉, 알코올분사유닛(160)은 케이스(110)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110) 내에 알코올을 분사함으로써 케이스(110) 내에 놓여진 미용기구(c1,c2)를 알코올에 의해 살균 소독하도록 구성된다.
알코올분사유닛(160)은 알코올을 수용하는 알코올저장통(161)과, 이 알코올저장통(161)의 상부에 설치되며 분사노즐(163)이 구비된 작동버튼(16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알코올저장통(161)의 상면 일측에는 알코올을 알코올저장통(161)에 주입하기 위한 알코올주입부(16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알코올주입부(167)는 뚜껑(미도시)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알코올분사유닛(160)은 알코올저장통(161)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알코올저장통(161) 내에 수용된 알코올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하도록 알코올저장통(161) 상에 수위표시 눈금(168)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알코올분사유닛(160)은 사용자가 작동버튼(165)을 눌러 푸쉬동작하게 되면, 작동버튼(165)의 푸쉬동작에 의해 알코올저장통(161) 내에 수용된 알코올이 분사노즐(163)을 통해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알코올분사유닛(160)은 작동버튼(165)의 푸쉬동작에 의해 알코올저장통(161) 내의 알코올이 분사노즐(163)을 통해 분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코올분사유닛(160)은 통상의 향수병 등과 같은 수동펌프식 분사기(수동펌프식 분무기)의 구성 및 원리와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알코올분사유닛(160)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110)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알코올을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이면, 통상의 수동펌프식 분사기의 구성이 아니라 전자식 등 다양한 형태의 분사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알코올분사유닛(160)을 케이스(110)의 제2공간(s2)에 삽입장착하고, 작동버튼(165)을 누르면 분사노즐(163)을 통해 알코올이 케이스(110)의 제1공간(s1)으로 분출되어, 이 알코올에 의해 케이스(110)의 제1공간(s1)에 놓여진 미용기구(s1,s2)를 살균소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알코올분사유닛(160)에서 분사되는 알코올은 내부케이스(140)의 상부를 향해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부케이스(140)에 놓여진 미용기구(c2)를 살균하며, 분사된 알코올은 내부케이스(140)의 제2통공(142)을 통해 내부케이스(140)와 플레이트(130)의 사이공간으로 유입되어, 플레이트(130)에 놓여진 다른 미용기구(c1)도 살균소독하게 된다.
개폐구동수단(170)은 전동실린더나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져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며, 일단은 케이스(110)의 일측에 힌지되게 고정되고, 타단은 덮개(110)의 일측에 힌지되게 고정될 수 있다.
개폐구동수단(170)이 신장하면 도 4와 같이 덮개(120)가 열려 케이스(110)를 개방하게 되고, 개폐구동수단(170)이 수축하면 도 1과 같이 덮개(120)가 닫혀 케이스(110)를 폐쇄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개폐구동수단(170)은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덮개(120)의 상면에 조작부(182)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이 조작부(182)를 조작하면 제어부(180)가 개폐구동수단(170)을 제어하여 전자식으로 덮개(120)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82)에는 덮개열림/닫힘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 덮개열림/닫힘버튼을 누름조작함으로써, 개폐구동수단(170)이 작동되어 덮개(120)가 도 1 및 도 4와 같이 열리거나 닫힐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개폐구동수단(170)은 전동실린더나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폐구동수단(170)은 덮개(120)를 개폐할 수 있으면, 베벨기어, 레크피니언 등의 기어와 구동모터 등의 조합체 및 그외의 여타의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면상에서 조작부(182)는 덮개(12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120)의 측면, 전면, 후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아울러, 케이스(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제어부(180)는 자외선 LED램프(150)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하며 조작부(182)의 조작에 의해 자외선 LED램프(150)의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182)를 통해 작동시간을 설정하고 램프작동버튼을 누르면 제어부(180)는 설정된 시간만큼 자외선 LED램프(150)를 온시켜 작동시킨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설정된 작동시간 동안에는 사용자가 조작부(182)의 덮개열림/닫힘버튼을 누르더라도 덮개(120)가 열리지 않도록 개폐구동수단(17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82)에는 램프시간설정부가 구비될 수 있고, 이 램프시간설정부는 버튼식 또는 조그식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82)의 램프시간설정부를 조작하여 30분, 40분, 50분, 60분 등의 시간을 설정한 후, 램프작동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180)는 자외선 LED램프(150)를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자외선 LED램프(15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덮개열림버튼을 누르더라도 제어부(180)는 덮개(120)가 열리지 않도록 개폐구동수단(170)을 구동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덮개(120)가 열린 상태에서 작동버튼(165)을 눌러, 분사노즐(163)에서 알코올이 분사되어 미용기구(c1,c2)의 소독할 경우, 덮개(120)가 너무 일찍 닫히게 되면 케이스(110)와 덮개(120) 내부에 알코올이 잔존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분사노즐(163)에서 알코올이 분사되어 미용기구(c1,c2)를 소독한 후, 케이스(110) 내부에 알코올이 잔존하지 않고 환기될 수 있도록 일정시간동안은 덮개(12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알코올분사유닛(160)의 분사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19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센서부(190)을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180)가 개폐구동수단(17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센서부(190)는 근접스위치, 적외선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동버튼(165)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동버튼(165)의 푸쉬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센서부(190)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덮개(120)가 케이스(110)에 열린 상태를 소정시간동안 유지하도록 개폐구동수단(170)을 제어한다.
예로서, 도 4와 같이, 덮개(120)가 열린 상태에서 작동버튼(165)을 눌러 제어부(180)에 센서부(190)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설정된 시간만큼을 카운팅한 후, 카운팅 시간이 지나면 개폐구동수단(170)을 구동하여 덮개(120)를 닫을 수 있다. 이처럼, 작동버튼(165)을 눌러 알코올이 분사되면 설정된 시간동안은 덮개(120)가 닫히지 않게 되어, 이 시간동안 알코올이 미용기구(c1,c2)를 소독한 다음 환기가 이루어져 덮개(120)가 닫혀도 본체부(101) 내부에 알코올이 잔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센서부(19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덮개(120)가 케이스(110)에 대해 극히 서서히 닫히도록 개폐구동수단(170)을 제어함으로써, 덮개(120)가 서서히 닫히는 시간동안 알코올이 케이스(110) 내의 미용기구(c1,c2)를 소독하고 환기까지 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덮개(120)의 외표면에 그물 또는 허니컴형태의 마찰돌출부(122)가 형성된다.
마찰돌출부(122)는 사용자의 손과 덮개(120)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보다 용이하게 덮개(120)를 잡을 수 있도록 그립감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손에 물이 자주 묻어 있는 미용사가 본 발명의 소독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잡아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마찰돌출부(122)는 그물 또는 허니컴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찰력을 증가시켜 그립갑을 높여줄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 본 발명은 마찰돌출부(122)가 덮개(120) 표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켜 주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찰돌출부(122)를 형성하지 않고, 덮개(120)의 재질을 사용자의 손과의 마찰력이 우수한 실리콘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덮개(120)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120)의 전면부에 투시창(123)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110)의 내부에 놓여진 미용기구(c2)를 외부에서 들여다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투시창(123)이 덮개(12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것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120)의 상면부, 좌우 양측면 또는 후면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덮개(120)의 내면과 케이스(110)의 내면에 자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필름이 덮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외선 LED램프(150)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상기 알루미늄 필름에 반사되어 케이스(110) 내에 놓여진 미용기구(c1,c2)을 자외선 살균효과가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 및 도 8과 같이, 자외선 LED램프(150), 개폐구동수단(170), 제어부(180), 센서부(180), 조작부(182) 등 전기를 필요로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모듈(184)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배터리모듈(184)은 케이스(110)의 저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184)을 구비하여, 배터리모듈(184)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휴대성을 향상되고 사용성이 편리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배터리모듈(184)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단자(186)가 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배터리 충전단자(186)는 마이크로 5핀, 아이폰 라이트닝 8핀, usb 방식 등 다양한 형태의 단자로 이루어져, 스마트폰 충전기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케이스(110)의 하면에는 배터리모듈(184)을 교체하기 위한 배터리교체용 도어(117)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배터리모듈(184)을 교체장착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4와 같이, 케이스(110)의 일측에 케이블 통과홀(113)이 형성되어, 클리퍼(c2)와 접속된 충전코드(미도시)가 이 케이블통과홀(113)을 통해 통과될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 클리퍼는 외부 상용전원과 충전코드(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충전할 수 있으며, 이 충전코드(미도시)가 연결된 상태에서 클리퍼(c2)를 본 발명의 소독장치를 통해 소독해야 할 경우, 충전코드가 연결된 클리퍼(c2)를 도 4와 같이 내부케이스(140) 상에 올려놓고, 충전코드(미도시)는 케이블통과홀(113)에 통과되도록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케이블통과홀(113)를 삽입하여 막을 수 있는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된 마개(113a)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1) 내에서 클리퍼(c2)를 소독하면서 충전할 경우에는 마개(113a)를 케이블통과홀(113)에서 분리해 낸 상태에서 클리퍼에 연결된 충전코드(미도시)를 통과시키고, 클리퍼를 충전하지 않고 소독만 할 경우에는 내부의 자외선이 본체부(101)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개(113a)를 케이블통과홀(113)에 삽입하여 케이블통과홀(113)을 막아둘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 및 도 9와 같이, 배터리모듈(184)의 전원을 통해 클리퍼(c2)를 충전할 수 있도록 클리퍼충전단자(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리퍼충전단자(188)는 배터리모듈(18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모듈(184) 전원을 클리퍼(c2)에 제공하도록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리퍼(c2)를 케이스(110) 내에서 소독하면서 클리퍼충전단자(188)를 연결하여 배터리모듈(184)의 전원으로 충전할 수 있으므로, 휴대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소독장치는 케이스(110)의 전면에 열쇠고리(1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열쇠고리(119)에 열쇠를 걸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쉽게 열쇠고리(119)를 잡아 소독장치를 운반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부케이스(140)의 네 모서리에는 접철가능한 지지다리(148)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지지다리(148)는 내부케이스(140)의 높이 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플레이트(130)에 놓여진 미용기구(c1)의 크기가 내부케이스(140)의 높이보다 클 경우, 지지다리(148)를 펼쳐서, 지지다리(148)를 플레이트(130)에 지지되게 내부케이스(14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다리(148)는 1단으로 접철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단으로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접철형태가 아니라 셀카봉과 같은 다단안테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지지다리(148)는 내부케이스(140)의 지지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은 알코올분사유닛(160)이 케이스(110)의 제2공간(s2)에 분리가능하게 삽입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경우, 알코올분사유닛(160)을 케이스(110)에서 분리하여 손소독기로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알코올분사유닛(160)을 케이스(110)의 제2공간(s2)에서 분리한 경우에는 케이스(110)의 제2공간(s2)을 핸드폰 등의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2탄성밴드(144)는 케이스(110) 내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과 같이 제2탄성밴드(144)가 내부케이스(140)의 상면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탄성밴드(144)의 일단은 내부케이스(140)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에는 걸고리(135b')가 형성되고, 걸림부(135a')가 내부케이스(140) 상면 타측에 고정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케이스(140)를 케이스(110) 내에서 꺼낸 상태에서도 내부케이스(140) 상에 올려진 미용기구를 내부케이스(140) 상에 설치된 제2탄성밴드(144)로 고정해 둘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1...본체부
110...케이스
113...케이블 통과홀
115...격벽
117...배터리교체용 도어
118...미끄럼방지부재
120...덮개
122...마찰돌출부
123...투시창
130...플레이트
132...제1통공
134...제1탄성밴드
140...내부케이스
142...제2통공
144...제2탄성밴드
148...지지다리
150...자외선 LED램프
160...알코올분사윤닛
161...알코올저장통
163...분사노즐
165...작동버튼
167...알코올주입부
170...개폐구동수단
180...제어부
182...조작부
184...배터리모듈
186...배터리충전단자
188...클리퍼충전단자
190...센서부

Claims (12)

  1.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면에 미용기구를 올려놓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자외선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제1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에 삽입가능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올려진 상기 미용기구를 덮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상부에 배치되며, 자외선 및 소독액이 통과가능한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미용기구가 올려지는 내부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저부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자외선을 조사해 상기 케이스 내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자외선 소독하는 자외선 LED램프;
    상기 플레이트상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탄성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탄성밴드;
    상기 내부케이스상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탄성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탄성밴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알코올을 분사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살균소독하는 알코올분사유닛; 및,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기 덮개가 개폐되도록 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분사유닛의 분사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상기 자외선 LED램프, 상기 센서부 및, 상기 개폐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알코올분사유닛의 분사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덮개가 상기 케이스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소정시간동안 유지하도록 상기 개폐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분사유닛은,
    알코올을 수용하는 알코올저장통;
    일측에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푸쉬동작에 의해 상기 알코올저장통 내에 수용된 상기 알코올을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시키는 작동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작동버튼을 누름동작을 감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전동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네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면이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지지다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외면에는 사용자와의 마찰력을 높여 그립감을 향상시키도록 마찰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사용자와의 마찰력을 높여 그립감을 향상시키도록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놓여진 미용기구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자외선이 반사되도록 알루미늄 필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자외선 LED램프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놓여진 클리퍼와 접속되어 상기 클리퍼를 충전시키는 클리퍼 충전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상기 클리퍼와 접속된 충전코드가 통과하는 케이블통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KR1020160047433A 2016-04-19 2016-04-19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KR101808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433A KR101808416B1 (ko) 2016-04-19 2016-04-19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433A KR101808416B1 (ko) 2016-04-19 2016-04-19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434A true KR20170119434A (ko) 2017-10-27
KR101808416B1 KR101808416B1 (ko) 2017-12-14

Family

ID=6030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433A KR101808416B1 (ko) 2016-04-19 2016-04-19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41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618B1 (ko) * 2019-01-09 2019-05-09 주식회사 유렌코리아 미용 마스크팩의 온열살균장치
CN110448709A (zh) * 2019-08-19 2019-11-15 张德君 一种手术刀具消毒设备
EP3626104A1 (en) * 2018-09-19 2020-03-25 LG Electronics Inc. -1- Storage device
KR102209815B1 (ko) * 2020-05-19 2021-02-01 에이치피인터내셔널(주)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
CN112494696A (zh) * 2020-12-23 2021-03-16 张燕秀 一种医院手术室用便携式刀具消毒设备
CN113198028A (zh) * 2021-05-24 2021-08-03 青海国际旅行卫生保健中心(西宁海关口岸门诊部) 一种医学检验用便于携带的消毒箱
US11083910B2 (en) 2018-09-19 2021-08-10 Lg Electronics Inc. Pet car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t care device
KR20220008968A (ko) 2020-07-14 2022-01-24 (주)링크옵틱스 광촉매를 이용한 플라즈마 네일아트 장비 살균기
KR102390150B1 (ko) * 2021-02-25 2022-07-29 (주)쉴드론 살균 가방
US11445702B2 (en) 2018-09-19 2022-09-20 Lg Electronics Inc. Pet car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241B1 (ko) * 2020-06-09 2022-01-12 (주)덴토스 마스크 살균, 건조 및 탈취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22Y1 (ko) * 2003-07-11 2003-12-11 손석길 살균 소독 기능을 갖는 미용기구 거치대
KR200377892Y1 (ko) * 2004-12-23 2005-03-16 김순식 살균수단을 가지는 전동헤어커터기의 충전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6104A1 (en) * 2018-09-19 2020-03-25 LG Electronics Inc. -1- Storage device
US11083910B2 (en) 2018-09-19 2021-08-10 Lg Electronics Inc. Pet car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t care device
US11445702B2 (en) 2018-09-19 2022-09-20 Lg Electronics Inc. Pet care device
KR101971618B1 (ko) * 2019-01-09 2019-05-09 주식회사 유렌코리아 미용 마스크팩의 온열살균장치
CN110448709A (zh) * 2019-08-19 2019-11-15 张德君 一种手术刀具消毒设备
KR102209815B1 (ko) * 2020-05-19 2021-02-01 에이치피인터내셔널(주)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
KR20220008968A (ko) 2020-07-14 2022-01-24 (주)링크옵틱스 광촉매를 이용한 플라즈마 네일아트 장비 살균기
CN112494696A (zh) * 2020-12-23 2021-03-16 张燕秀 一种医院手术室用便携式刀具消毒设备
KR102390150B1 (ko) * 2021-02-25 2022-07-29 (주)쉴드론 살균 가방
CN113198028A (zh) * 2021-05-24 2021-08-03 青海国际旅行卫生保健中心(西宁海关口岸门诊部) 一种医学检验用便于携带的消毒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416B1 (ko)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416B1 (ko)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EP3090649B1 (en) Electric oral hygiene device storage container
KR102054265B1 (ko)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US9006680B2 (en) Ultraviolet disinfection case
US20230372568A1 (en) Uv sanitizing apparatus
KR102161470B1 (ko) IoT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미용도구 소독 시스템
KR102023974B1 (ko) 화장도구 건조장치
US20160302567A1 (en) Hair brush sanitizing unit
US20220249718A1 (en) Compact Ultraviolet Light Source Apparatus
KR102209815B1 (ko)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
KR20190061290A (ko) 퍼프 살균이 가능한 교체식 화장품 용기
US20170182196A1 (en) Apparatus configured for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of expectorates
KR20090007699U (ko) 살균 보관 기능을 갖는 이·미용기구 보관 상자
KR102118572B1 (ko) 살균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화장용 퍼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101554664B1 (ko) 손톱깎이 살균 케이스
KR101731708B1 (ko) 살균 소독기
KR20150025510A (ko) 이·미용기기용 살균소독장치
KR101164458B1 (ko) 휴대용 소독기
KR20180133960A (ko)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KR101594808B1 (ko) 마우스 케이블의 권취기능이 구비된 마우스 살균기
KR20170004209U (ko) 휴대 가능하고 덮이식 이미용기구용 살균장치
CN212755204U (zh) 一种消毒收纳箱
CN211327062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洁面仪
JP3220780U (ja) 殺菌灯カバーを有する美容硬化用装置
CN215308628U (zh) 便携式小物件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