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815B1 -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815B1
KR102209815B1 KR1020200059579A KR20200059579A KR102209815B1 KR 102209815 B1 KR102209815 B1 KR 102209815B1 KR 1020200059579 A KR1020200059579 A KR 1020200059579A KR 20200059579 A KR20200059579 A KR 20200059579A KR 102209815 B1 KR102209815 B1 KR 10220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attery
led lamp
mesh body
ultraviolet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천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인터내셔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인터내셔널(주) filed Critical 에이치피인터내셔널(주)
Priority to KR102020005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상부 및 하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대상물(10)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배터리(300)와, 배터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케이스(100)의 내부 및 덮개(200)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로 대상물(10)을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을 발산하는 UV LED램프(400)와, 배터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케이스(100)의 외부에 구비된 상태로 배터리(300)의 전원이 UV LED램프(400)로 인가되는 상태를 빛으로 표시하는 표시램프(500)와,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로 배터리(300)의 전원을 인가하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스위치(600)와,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UV LED램프(400)의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어서 살균되기 위한 대상물(10)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대상물고정부(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Portable UV LED ster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케이스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상부 및 하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는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을 전파하는 바이러스나 각종 유해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개인위생을 생활화하여야 함은 물론이라 할 것이고, 바이러스나 세균 전파의 근원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매개수단에 대한 철저한 방역이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코로나19, 메르스(mers), 홍콩독감, 신종플루, 사스(sars) 등과 같이 전염성 및 치사율이 높은 바이러스가 창궐하면 상당한 인명 손실이 발생함은 물론이고, 이동의 제약과 심리위축 등으로 인해 소비생활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역에 따른 방대한 인력과 재화가 투입되므로 국가적으로 엄청난 경제손실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사람을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공항이나 항만의 출입국 단계에서의 엄중한 검역(quarantine)을 통해 바이러스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야 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면서 타인과의 거리를 유지하여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가 전파됨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마스크를 착용하고 생활하는 과정에서 음식이나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착용한 마스크를 잠시 벗어두어야 하는데, 대부분 벗어둔 마스크를 주머니에 보관하다가 다시 착용하게 되므로, 바이러스에 의해 마스크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마스크뿐만 아니라 개인이 사용하는 머리빗, 손거울, 화장도구 등과 같은 소지품들도 가족이나 지인의 빈번한 사용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이 사용하는 소지품이나 여러 사람들이 함께 사용하는 생활용품들을 살균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등록특허공보 10-1971618호가 2019.04.17.일자로 대한민국특허청에 등록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스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상부 및 하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는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는, 대상물(10)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배터리(300)와, 배터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케이스(100)의 내부 및 덮개(200)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로 대상물(10)을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을 발산하는 UV LED램프(400)와, 배터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케이스(100)의 외부에 구비된 상태로 배터리(300)의 전원이 UV LED램프(400)로 인가되는 상태를 빛으로 표시하는 표시램프(500)와,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로 배터리(300)의 전원을 인가하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스위치(600)와,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UV LED램프(400)의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어서 살균되기 위한 대상물(10)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대상물고정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대상물고정부(700)는 대상물(10)이 지지되고 UV LED램프(400)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망체(710)와, 망체(710)의 둘레에 형성되는 외벽(720)과, 망체(710)에 형성된 상태로 대상물(10)을 가압하여서 지지하는 지지돌기(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망체(710)는 외벽(720)의 중간에 형성되고, 지지돌기(730)는 다수로 구성되어 망체(7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망체(7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돌기(730)는 외벽(720)의 중간에서부터 상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망체(7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돌기(730)는 외벽(720)의 중간에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대상물고정부(700)는 대상물(10)이 지지되고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UV LED램프(400)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하부망체(740)와, 하부망체(740)의 둘레에 형성되는 하부외벽(750)과, 하부망체(740)에 지지되는 대상물(10)을 커버하는 상태로 덮개(200)에 구비되는 UV LED램프(400)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상부망체(760)와, 상부망체(760)의 둘레에 형성되는 상부외벽(770)과, 하부외벽(750) 및 상부외벽(770)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780)와, 하부외벽(750) 및 상부외벽(770)의 타측을 분리가능하게 록킹하는 록킹부(7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케이스(100)에 구비되어 덮개(200)가 개방됨을 인식하면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로 인가되는 배터리(30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케이스(100)는 내주면에 반사도료가 도포되어 자외선이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상부 및 하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어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마스크, 머리빗, 손거울, 화장도구 등과 같은 대상물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물에 의한 바이러스전파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상물고정부을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내부에 소각물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a)(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상물고정부의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상물고정부의 폐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대상물고정부에 대상물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는, 대상물(10)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배터리(300)와, 배터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케이스(100)의 내부 및 덮개(200)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로 대상물(10)을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을 발산하는 UV LED램프(400)와, 배터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케이스(100)의 외부에 구비된 상태로 배터리(300)의 전원이 UV LED램프(400)로 인가되는 상태를 빛으로 표시하는 표시램프(500)와,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로 배터리(300)의 전원을 인가하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스위치(600)와,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UV LED램프(400)의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어서 살균되기 위한 대상물(10)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대상물고정부(700)를 포함한다.
먼저, 대상물(10)은 마스크, 머리빗, 손거울, 화장도구 등과 같은 생활용품일 수 있다.
케이스(100)의 일측에 덮개(200)가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덮개(20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서 케이스(100)를 덮어서 폐쇄하거나 역회전되어서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을 개방한다.
그리고, 케이스(100)는 UV LED램프(400)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덮개(200)는 힌지에 의해 케이스(100)에 회전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덮개(200)가 힌지를 축으로 회전되어서 케이스(100)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200)는 케이스(100)에 수용된 대상물(10)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덮개(200)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창(210)이나 투명한 덮개(200)에는 자외선이 외부로 유실됨을 차단하기 위한 UV차단필름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내주면에 반사도료(미러도금)가 도포되어 자외선이 반사될 수 있다. 즉, 케이스(100)에서 자외선이 반사되는 범위가 최대화되므로 살균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배터리(300)는 충전지로 구성되어 표시램프(500), UV LED램프(400) 및 전원스위치(600)에 전선이나 도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UV LED램프(400)는 복수로 구성되어 케이스(100) 및 덮개(20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분산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UV LED램프(400)들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이 대상물(10)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다. 즉, 대상물(10)은 자외선에 의해 전체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표시램프(500)는 LED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표시램프(500)가 발광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UV LED램프(400)에서 자외선이 발산되고 있는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전원스위치(600)는 배터리(300),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의 사이에 전선이나 도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식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원스위치(600)를 터치하면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가 점등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전원스위치(600)를 조작하여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를 소등시킬 수 있다. 즉, UV LED램프(400)를 소등된 상태로 대상물(10)을 케이스(100)에 보관할 수 있다.
대상물고정부(700)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금형으로 사출되어서 제조되거나 SUS(Steel Use Stainless)로 제조될 수 있다. 대상물고정부(700)가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경우 자외선을 반사시키기 위해 반사도료가 도포될 수 있고, 대상물고정부(700)가 SUS로 제조되는 경우 반사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폴리싱(Polishing)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대상물고정부(700)는 대상물(10)이 지지되고 UV LED램프(400)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망체(710)와, 망체(710)의 둘레에 형성되는 외벽(720)과, 망체(710)에 형성된 상태로 대상물(10)을 가압하여서 지지하는 지지돌기(730)를 포함한다.
망체(710)의 둘레가 외벽(720)의 내측에 연결된다. 즉, 망체(710)의 상부 및 하부에 공간이 분할되게 형성되므로 대상물(10)들이 각각 위치시킬 수 있다.
외벽(720)은 케이스(100)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외측지지돌기(721)가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지지돌기(721)가 케이스(100)의 내주면에 지지되므로 외벽(720)이 흔들리지 않으면서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지지돌기(730)는 다수로 구성되어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망체(710)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망체(710)의 하부에 위치되는 대상물(10)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730)는 다수로 구성되어 망체(710)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돌기(730)들은 망체(710)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되는 대상물(10)들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돌기(730)는 외벽(720)의 중간에서부터 끝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즉, 지지돌기(730)의 끝단이 외벽(720)의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외벽(720)의 내측에 위치되는 대상물(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730)들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분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돌기(730)들은 대상물(10)이 펼쳐지게 하면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대상물(10)을 수용시킨 후에 대상물고정부(700)를 수용시키고 대상물고정부(700)의 상부에 대상물(10)을 올려서 안착시킬 수 있다. 즉, 대상물고정부(700)의 상부 및 하부에 대상물(10)들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고정부(700)는 대상물(10)이 지지되고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UV LED램프(400)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하부망체(740)와, 하부망체(740)의 둘레에 형성되는 하부외벽(750)과, 하부망체(740)에 지지되는 대상물(10)을 커버하는 상태로 덮개(200)에 구비되는 UV LED램프(400)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상부망체(760)와, 상부망체(760)의 둘레에 형성되는 상부외벽(770)과, 하부외벽(750) 및 상부외벽(770)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780)와, 하부외벽(750) 및 상부외벽(770)의 타측을 분리가능하게 록킹하는 록킹부(790)를 포함한다.
하부망체(740)는 하부외벽(750)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부망체(760)는 상부외벽(770)의 상단에 형성된다.
하부외벽(750) 및 상부외벽(770)에는 전술한 외측지지돌기(721)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780)는 사출성형에 의해 하부외벽(750) 및 상부외벽(770)에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힌지부(780)는 고정핀에 의해 양단이 하부외벽(750) 및 상부외벽(770)에 고정될 수 있다.
록킹부(790)는 하부외벽(750) 및 상부외벽(770)에 각각 형성되는 록킹돌기 및 록킹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외벽(770)이 힌지부(78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서 하부외벽(750)에 마주되면 록킹돌기가 록킹홈에 삽입되어서 록킹된다. 즉, 상부외벽(770)이 힌지부(78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서 록킹부(790)에 의해 하부외벽(750)에 록킹되면, 하부망체(740) 및 상부망체(760)의 사이에 대상물(1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대상물고정부(700)에 대상물(10)을 삽입시킨 상태로 대상물고정부(700)를 케이스(100)에 수용시켜서 대상물(10)을 살균하여 멸균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0)에 구비되어 덮개(200)가 개방됨을 인식하면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로 인가되는 배터리(30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800)를 포함한다.
전원차단부(800)는 배터리(300),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의 사이에 전선이나 도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200)가 케이스(100)를 개방하면 전원차단부(800)가 감지하여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로 인가되는 배터리(300)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덮개(200)를 개방시킨 후에 UV LED램프(400)를 소등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해결될 수 있다.
물론, 덮개(200)가 전케이스(100)를 폐쇄되면 전원차단부(800)가 감지하여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로 배터리(300)의 전원을 인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케이스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상부 및 하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어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마스크, 머리빗, 손거울, 화장도구 등과 같은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대상물
100 : 케이스 200 : 덮개
210 : 투명창 300 : 배터리
400 : UV LED램프 500 : 표시램프
600 : 전원스위치 700 : 대상물고정부
710 : 망체 720 : 외벽
730 : 지지돌기 740 : 하부망체
750 : 하부외벽 760 : 상부망체
770 : 상부외벽 780 : 힌지부
790 : 록킹부

Claims (7)

  1. 대상물(10)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배터리(300)와,
    배터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케이스(100)의 내부 및 덮개(200)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로 대상물(10)을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을 발산하는 UV LED램프(400)와,
    배터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케이스(100)의 외부에 구비된 상태로 배터리(300)의 전원이 UV LED램프(400)로 인가되는 상태를 빛으로 표시하는 표시램프(500)와,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로 배터리(300)의 전원을 인가하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스위치(600)와,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UV LED램프(400)의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어서 살균되기 위한 대상물(10)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대상물고정부(700)와,
    케이스(100)에 구비되어 덮개(200)가 개방됨을 인식하면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로 인가되는 배터리(30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800)를 포함하며,
    케이스(100)는 내주면에 반사도료가 도포되어 자외선이 반사되고,
    덮개(200)는 케이스(100)에 수용된 대상물(10)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210)이 형성되며,
    투명창(210)에는 자외선이 외부로 유실됨을 차단하기 위한 UV차단필름이 코팅되고,
    대상물고정부(700)는
    대상물(10)이 지지되고 UV LED램프(400)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망체(710)와,
    망체(710)의 둘레에 형성되는 외벽(720)과,
    망체(710)에 형성된 상태로 대상물(10)을 가압하여서 지지하는 지지돌기(730)를 포함하며,
    망체(710)는 외벽(720)의 중간에 형성되어 망체(710)의 상부 및 하부에 공간이 분할되게 형성되므로 대상물(10)들이 각각 위치시킬 수 있고,
    지지돌기(730)는 다수로 구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분산되면서 망체(7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지지돌기(730)들이 망체(710)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되는 대상물(10)들을 각각 펼쳐지게 하면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고정시킬 수 있고,
    망체(7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돌기(730)는 외벽(720)의 중간에서부터 상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망체(7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돌기(730)는 외벽(720)의 중간에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전원차단부(800)는 배터리(300),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의 사이에 전선이나 도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센서로 구성되어, 덮개(200)가 케이스(100)를 개방하면 전원차단부(800)가 감지하여 표시램프(500) 및 UV LED램프(400)로 인가되는 배터리(300)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덮개(200)를 개방시킨 후에 UV LED램프(400)를 소등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59579A 2020-05-19 2020-05-19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 KR10220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579A KR102209815B1 (ko) 2020-05-19 2020-05-19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579A KR102209815B1 (ko) 2020-05-19 2020-05-19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815B1 true KR102209815B1 (ko) 2021-02-01

Family

ID=7457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579A KR102209815B1 (ko) 2020-05-19 2020-05-19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8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4639A1 (en) * 2021-03-18 2022-09-22 Signify Holding B.V. Shelf for uv-c disinfection chamber
WO2023201111A1 (en) * 2022-04-14 2023-10-19 Think Surgical, Inc. Processing tray and methods of use thereof
GR20220100325A (el) * 2022-04-14 2023-11-13 Χριστος Ιορδανη Καρσλιδης Εργονομικη συσκευη αποθηκευσης και αποστειρωσης εργαλειων χειρος και αναλογων εξαρτηματω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09B1 (ko) * 2013-06-21 2014-10-15 주식회사 신흥 멸균 처리용 케이스
KR20170036436A (ko) * 2015-09-24 2017-04-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소형 전자 기기 살균장치
KR20170119434A (ko) * 2016-04-19 2017-10-27 염승선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KR20180097032A (ko) * 2017-02-22 2018-08-30 최옥선 스마트 살균 수저통
KR20190094585A (ko) * 2018-02-05 2019-08-14 황중서 리드 살균소독 및 탈습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09B1 (ko) * 2013-06-21 2014-10-15 주식회사 신흥 멸균 처리용 케이스
KR20170036436A (ko) * 2015-09-24 2017-04-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소형 전자 기기 살균장치
KR20170119434A (ko) * 2016-04-19 2017-10-27 염승선 휴대용 미용기구 소독장치
KR20180097032A (ko) * 2017-02-22 2018-08-30 최옥선 스마트 살균 수저통
KR20190094585A (ko) * 2018-02-05 2019-08-14 황중서 리드 살균소독 및 탈습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4639A1 (en) * 2021-03-18 2022-09-22 Signify Holding B.V. Shelf for uv-c disinfection chamber
WO2023201111A1 (en) * 2022-04-14 2023-10-19 Think Surgical, Inc. Processing tray and methods of use thereof
GR20220100325A (el) * 2022-04-14 2023-11-13 Χριστος Ιορδανη Καρσλιδης Εργονομικη συσκευη αποθηκευσης και αποστειρωσης εργαλειων χειρος και αναλογων εξαρτηματω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815B1 (ko)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
US11839691B2 (en) System and device for sanitizing personal use items
US9138499B2 (en) Electronic gadget disinfection
US10456488B2 (en) Ultraviolet transparent structure for ultraviolet illumination using scattered and focused radiation
US20220072169A1 (en) Ultraviolet Disinfection for a Water Bottle
US10058169B2 (en) Hair brush sanitizing unit
US2005025499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terilization or disinfection of objects
US20100061887A1 (en) Ultraviolet Sterilizer for Cosmetic Applicators
WO2014172052A2 (en) Ultraviolet disinfection case
KR100818024B1 (ko) 자외선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장품 분첩케이스
KR20180135840A (ko)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KR101838571B1 (ko) 화장품 용기
KR102158599B1 (ko) 휴대폰 무선충전 살균기
KR101503774B1 (ko) 이·미용기기용 살균소독장치
KR101731708B1 (ko) 살균 소독기
KR101701187B1 (ko) 트레이 거치형 미용기구 살균소독장치
KR102104486B1 (ko) 자외선 살균 화장품 용기
KR102207947B1 (ko) 미용도구 살균장치
KR102465928B1 (ko) 미용 용품 살균기
KR102117262B1 (ko) 색광을 이용한 피부 진단 및 치료장치
KR20210002324U (ko) 마스크 살균장치
KR200470123Y1 (ko) 자외선 살균 화장대
KR20180008943A (ko) 살균 기능 키보드
KR102467085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2449348B1 (ko) 광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