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026B1 -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 Google Patents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026B1
KR101926026B1 KR1020170032925A KR20170032925A KR101926026B1 KR 101926026 B1 KR101926026 B1 KR 101926026B1 KR 1020170032925 A KR1020170032925 A KR 1020170032925A KR 20170032925 A KR20170032925 A KR 20170032925A KR 101926026 B1 KR101926026 B1 KR 101926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itary article
unit
sanitary
heating
storage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788A (ko
Inventor
안금종
Original Assignee
안금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금종 filed Critical 안금종
Priority to KR1020170032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02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0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7Receptacles for personal medical or care products, e.g. drugs, condoms or patches; Small first-aid 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용품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위생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생리대 등의 위생용품을 살균하는 살균기능과 체온을 보온하기 위한 발열기능을 가지는 위생용품을 수납하는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위생용품의 표면에 빛을 발사하여 위생용품의 오염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위생용품의 위생 상태를 눈으로 바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수납케이스에 위생용품을 수납 시, 살균부를 통해 위생용품을 살균하여 위생적으로 위생용품을 보관할 수 있다.
또 다른 효과는 위생용품 수납케이스가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수납된 위생용품의 개수에 따라 위생용품 수납케이스가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어 위생용품의 개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위생용품 수납이 가능하며, 소량의 위생용품이 수납되는 경우 위생용품 수납케이스의 크기가 줄어들어 공간활용이 용이하다.
그리고 위생용품 수납케이스에 보온기능이 추가됨으로 찜질 등이 온열 치료가 필요 시 수납케이스가 발열하여 찜질이 필요한 부위에 온열찜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omitted}
본 발명은 위생용품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위생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생리대 등의 위생용품을 살균하는 살균기능과 체온을 보온하기 위한 발열기능을 가지는 위생용품을 수납하는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사춘기에 생리를 시작하여 폐경기에 이르기까지 한 달에 한 번씩 생리를 하게 된다. 여성들은 생리기간에 생리대를 착용하는데, 일반적으로 핸드백이나 가방 등에 휴대, 보관하고 있다.
이러한, 생리대는 여성들에게 필수품이기는 하지만, 여성들은 소지한 생리대를 타인에게 노출시키기를 매우 꺼려하며, 특히, 남성들에게 소지하고 있는 생리대가 노출될 경우, 여성들은 심한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생리대를 대부분 비닐포장재로 포장된 상태로 핸드백 및 가방에 수납하여 휴대하게 되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생리대를 집에서 보관할 시에 화장실 화장장에 구입한 비닐포장 상태로 임의 방치 보관하거나 서랍속 팬티/브레이지어 및 심지어 양말 등과 함께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습기와 벌레 등이 침투하는 등 오염원에 노출되어 여성 생식기 위생에 부적합하다.
이와 같이 기존에는 생리대 등과 같은 위생용품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파우치형태의 보관케이스가 제공되어 있지 않아, 비위생적으로 위생용품이 보관되고, 이로 인하여 위생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위생용품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위생용품 수납케이스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7194호 (2008.12.1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12563호 (2009.08.10)
본 발명의 목적은 위생용품의 표면에 빛을 발사하여 위생용품의 오염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수납케이스에 수납된 위생용품을 살균하여 위생용품을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두번째 목적은 위생용품 수납케이스가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수납된 위생용품의 개수, 크기에 따라 위생용품 수납케이스가 신장되거나 수축되어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위생용품 수납케이스에 보온기능을 추가하여 찜질 등이 온열 치료가 필요 시 수납케이스가 발열하여 찜질이 필요한 부위에 온열찜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위생용품이 투입되도록 일측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되며, 신축성과 가요성을 갖는 재질의 외피와 내피로 구성된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 상기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개구부(12)에 설치되어 개구부(1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20); 상기 개폐부재(20)가 폐쇄되도록 마주보는 면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납공간(11)에 수납된 위생용품을 외부로 꺼내거나 위생용품을 수납공간(11)으로 투입할 때 위생용품의 오염상태를 확인하도록 빛이 발산되는 조명부(30); 상기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수납공간(11)으로 자외선을 발산하여 수납된 위생용품을 살균하는 살균부(40); 상기 개폐부재(20)와 연결되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발열선이 배선되며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50); 상기 발열부(50)로부터 발열되는 열이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수납공간(1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발열부(50)와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피 사이에 위치하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단열부재(60); 상기 개폐부재(20)의 외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30), 살균부(40), 발열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50)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되, 발열부(50)의 발열선은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신축 동작에 대응하여 배선형태가 가변되도록 일측이 만곡된 만곡부(51)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배치됨으로써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가 신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발열선의 만곡부(51)의 곡률이 변화하면서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 발열부(50)의 발열선, 단열부재(60)가 동반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조명부(30), 살균부(40), 발열부(50)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71); 상기 조명부(30)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강도를 조절하는 조명제어부(72); 상기 살균부(40)에 전원이 공급되면 기설정된 작동시간 동안 살균부(40)가 동작되는 살균제어부(73); 상기 발열부(50)의 발열온도와 기설정된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발열부(50)의 온도를 제어하는 발열제어부(74); 상기 조명부(30)를 통해 발산되는 빛의 강도를 표시하거나, 살균부(40)의 작동시간을 표시하거나, 발열부(50)의 발열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75);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제어부(74)는 설정된 설정온도보다 발열부(50)의 발열온도가 높으면, 전원차단 신호를 전원제어부(71)로 전송하여 발열부(5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설정된 설정온도가 발열부(50)의 발열온도보다 낮으면, 발열부(50)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발열부(50)로 가온신호를 전달하여 발열부(50)의 발열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납케이스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위생용품의 표면에 빛을 발사하여 위생용품의 오염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위생용품의 위생 상태를 눈으로 바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수납케이스에 위생용품을 수납 시, 살균부를 통해 위생용품을 살균하여 위생적으로 위생용품을 보관할 수 있다.
또 다른 효과는 위생용품 수납케이스가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수납된 위생용품의 개수, 크기에 따라 위생용품 수납케이스가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어 위생용품의 개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위생용품 수납이 가능하며, 소량의 위생용품이 수납되는 경우 위생용품 수납케이스의 크기가 줄어들어 공간활용이 용이하다.
그리고 위생용품 수납케이스에 보온기능이 추가됨으로 찜질 등이 온열 치료가 필요 시 수납케이스가 발열하여 찜질이 필요한 부위에 온열찜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위생용품 수납케이스가 열려있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위생용품 수납케이스의 사용예이다.
도 4, 5는 본 발명인 위생용품 수납케이스의 사용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위생용품 수납케이스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위생용품 수납케이스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생용품 수납케이스는 위생용품을 수납하는 케이스이다(이하 '수납케이스'라고도 함).
본 발명인 위생용품 수납케이스는 신축성을 가진 구조로서, 위생용품의 크기와 개수에 구애받지 않고 위생용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용품 수납케이스는 조명기능, 살균기능, 발열기능을 포함하며, 조명기능은 위생용품을 수납시 위생용품의 오염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이고, 살균기능은 수납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위생용품을 살균하여 위생적으로 위생용품 관리를 하기 위한 기능이며, 발열기능은 생리통, 근육통 등 찜질이 필요한 경우 찜질이 필요한 부위에 수납케이스를 두어 찜질하기 위한 기능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생용품 수납케이스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폐부재(2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 개폐부재(20), 조명부(30), 살균부(50), 단열부재(60)(도1, 2에는 미도시됨),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는 사람이 휴대할 수 있는 파우치 형태이며, 위생용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커버이다.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의 형태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는 통형상, 지갑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의 구성요소를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는 내부에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위생용품이 투입되도록 일측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되며, 신축성을 갖는 재질의 외피와 내피로 구성된다.
상기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는 발열부(50)의 발열선 또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와 함께 꾸기거나 접을 수 있도록 가요성과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외피는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며,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피는 전도성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열부(50)를 통해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가 발열 시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찜질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신축성이 있는 성질로 인해, 수납공간(11)에 위생용품을 넣으면 팽창하고, 수납공간(11)이 비어있는 경우 수축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는 소량의 위생용품(1)이 수납공간(11)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다수의 위생용품(1)이 수납공간(11)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팽창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가 신축됨에 따라 발열부(50)의 발열선이 신축되거나 배선위치가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는 패브릭, 면 등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는 수납공간(11)에 위생용품(1)이 수납되는 개수가 제한되어 있음을 개선한 것으로,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가 신축성이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생용품(1)의 개수에 대응하여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의 형태가 변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양한 크기의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경제성을 제공한다.
또한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수납공간(11)이 비어있을 경우, 도 5의 상태보다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상하좌우가 더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은 물론이다.
개폐부재(20)는 상기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개구부(12)에 설치되어 개구부(12)를 개폐한다.
상기 개폐부재(20)는 사용자가 손으로 개폐부재(20)를 여닫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개폐손잡이(21)가 추가로 구성된다. 개폐부재(20)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2개의 개폐부재(20)가 마주보고 있으며, 일측 개폐부재(20)에 하나의 개폐손잡이(21)가 형성되고, 타측 개폐부재(20)에 또 다른 개폐손잡이(21)가 일측 개폐부재(20)에 형성된 개폐손잡이(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를 안정적이고 쉽게 여닫을 수 있다.
조명부(30)는 상기 개폐부재(20)가 폐쇄되도록 마주보는 면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납공간(11)에 수납된 위생용품을 외부로 꺼내거나 위생용품을 수납공간(11)으로 투입할 때 위생용품의 표면 또는 내부에 세균, 이물질이 발생됐는지 등의 오염상태를 확인하도록 빛이 발산된다.
조명부(30)는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광원은 발광소자(LED), 적외선 발광소자, 램프, 형광등, 나트륨등 및 수은등 등의 발광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조명부(30)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에 내장되어 있는 축전지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킨다. 상기 조명부(30)는 광원에 의해 발생되는 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간략하게 도시된 제어부(70)를 조절(제어)하여 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70)의 조명제어부(72)를 통하여 빛의 강도를 조절하며, 상기 조명제어부(72)는 공급되는 전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부에 수납된 위생용품(1)을 화살표방향으로 꺼낼때, 조명부(3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위생용품(1)의 표면을 비추어 오염물질이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여성용품인 생리대는 여성들이 매달에 최소 4~7일을 사용하나, 겉으로는 생리대의 내부 위생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조명부(30)를 형성하여 생리대의 내부상태까지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빛의 강도로 빛이 발산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안심을 하고 생리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에 수납된 위생용품(1)을 외부로 꺼내는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로 위생용품(1)을 수납하면서 위생용품(1)의 오염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살균부(40)는 상기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수납공간(11)으로 자외선을 발산하여 수납된 위생용품을 살균한다.
상기 살균부(40)는 UV LED(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생성하고 여기서 발생한 자외선이 위생용품의 살균을 위해 사용된다.
살균부(40)에서 발생하는 UV는 파장의 크기에 따라 315nm ~ 400nm의 UV-A, 280nm ~ 350nm UV-B, 110nm ~ 280 nm의 UV-C로 구분할 수 있다. UV-A는 자연광에도 존재하는 파장으로 에너지 량은 UV-B, UV-C에 비해 낮지만 피부를 그을릴 수 있으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프린트잉크 경화기, 가스측정, 질소요소측정, 집충기, 조명, 위폐감지, 낚시용 등에 사용된다.
UV-B는 자연광에 극소량 포함되어 있으며, 비타민 D를 생산하며 의료용으로 활용된다. UV경화, 광학치료, 색조측정, 범죄분석, 단백질분석, 신약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다. UV-C는 자연광에 존재하지 않으며 당세포 유기물을 죽이며 살균, 오존 탐지, 표면 오염제거, 신약개발 등에 활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부(40)는 용도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파장의 UV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UV-C 계열이 사용되어 위생용품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40)는 UV LED에 한정되지 않고, UV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광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광원 이외에도 오존과 같은 물질을 이용하여 위생용품의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기타 물리적, 화학적으로 다양한 살균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40)는 살균부(40)를 통해 발생되는 UV가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부에 수납된 위생용품 전체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반사판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수납공간(11) 전면에 마련되거나, 살균부(40)가 형성된 부분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살균부(40)가 작동되기 위한 전원은 별도의 전원공급부에 의해 공급됨은 물론이며, 배터리 형태 등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50)는 상기 개폐부재(20)와 연결되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발열선이 배선되며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열부(30)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신축 동작이 원활하도록 한다.
발열부(50)로부터 발열되는 열은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외피를 통하여 외부로 열이 방출됨으로 사용자가 온찜질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피는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고 단열부재(60)가 형성됨으로써,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수납공간(11)에 위생용품(1)이 수납된 경우에도 수납공간(11)의 온도상태에 끼치는 영향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으로 위생용품(1)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50)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외피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찜질한다. 상기 발열선(도 1의 점선표시)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발열선으로 신축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발열부(50)의 발열선은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신축 동작에 대응하여 배선형태가 가변되도록 일측이 만곡된 만곡부(51)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가 신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발열선의 만곡부(51) 곡률이 변화하면서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 발열부(50)의 발열선, 단열부재(60)가 동반 신축된다.
도 4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부에 2개의 위생용품(1)이 수납되어있으며, 도 5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부에 9개의 위생용품(1)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일부 확대도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상부면에 내장된 발열부(50)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하부면에도 발열부(50)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와 도 5를 비교하면,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는 도 4에 비해 도 5에 수납된 위생용품(1)의 개수가 많으며, 도 5와 같이 좌우상하로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신장되어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가 팽창한다. 이와 같이 위생용품(1)의 수납된 개수에 따라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팽창도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발열부(50)도 도 4의 화살표방향으로 신장되어 도 5와 같이 배선의 위치가 변화된다.
즉 도 4에 확대 도시된 발열부(50)의 발열선(도 4의 굵은 선)에 형성된 만곡부(51)는 곡률이 작으며, 도 4에는 뾰족하게 도시했지만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처리될 수도 있다.
도 5에 확대 도시된 발열부(50)의 발열선(도 5의 굵은 선)에 형성된 만곡부(51)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가 팽창함에 따라 배선의 상태가 도시된 화살표의 좌우방향으로 신장되어 일자형태에 가깝도록 배선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발열부(50)의 발열선이 배선 가변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배선지지부재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전도 충전제를 함유하여 열전도성을 갖는 열전도성 고무와 같이 신축이 가능하면서 열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크기의 위생용품(1)가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에 수납될 수 있으며, 위생용품(1)의 크기가 작은 경우 위생용품(1)의 규격에 맞게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가 수축되고, 위생용품(1)의 크기가 큰 경우 큰 크기의 위생용품(1)의 규격에 맞게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가 팽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의 일부 단면도로서,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발열부(50)와 단열부재(60)가 위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단열부재(60)는 상기 발열부(50)로부터 발열되는 열이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수납공간(1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발열부(50)와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피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단열부재(6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열부재(60)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수납공간(11)에 발열부(50)의 열기가 전도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으로, 수납공간(11)의 온도변화로 인해 수납공간(11)에 수납된 위생용품(1)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납케이스의 일부 구성도를 간략하게 블록화한 것으로, 이를 참고하여 제어부(70)를 설명한다.
제어부(70)는 상기 개폐부재(20)의 외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30), 살균부(40), 발열부(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전원제어부(71), 조명제어부(72), 살균제어부(73), 발열제어부(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제어부(70)를 간략하게 도시했지만, 전원제어부(71), 조명제어부(72), 살균제어부(73), 발열제어부(74)가 각각 별도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제어부(71)는 조명부(30), 살균부(40), 발열부(50)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원제어부(71)는 조명부(30), 살균부(40), 발열부(50)와 각각 연동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다수의 온/오프(on/off) 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제어부(72)는 상기 조명부(30)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강도를 조절한다.
상기 조명제어부(72)는 전원제어부(71)의 작동으로 조명부(30)에 전원이 공급되어 빛을 발산할 때, 위생용품(1)의 두께, 개수 등으로 많은 빛을 발산해야 하는 경우, 빛의 강도를 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빛의 강도를 약하게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살균제어부(73)는 상기 살균부(40)에 전원이 공급되면 기설정된 작동시간 동안 살균부(40)가 동작된다.
상기 전원제어부(71)의 작동으로 인해 살균부(40)에 전원이 공급되면, 사전에 설정된 시간동안 살균부(40)가 동작을 하여,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수납공간(11)을 살균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30~60초라면, 살균부(40)로 전원공급시, 30~60초 동안 살균부(40)가 작동되어 수납공간(11)을 살균하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전원제어부(71)로 살균부(4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차단신호를 전달하여 살균부(40)의 전원이 차단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살균제어부(73)를 통해 살균부(40)의 작동시간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2시간에 한번씩 30~60초마다 살균부(40)가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등 주기별로 살균부(40)의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발열제어부(74)는 상기 발열부(50)의 발열온도와 기설정된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발열부(50)의 온도를 제어한다.
상기 발열제어부(74)는 설정된 설정온도보다 발열부(50)의 발열온도가 높으면, 전원차단 신호를 전원제어부(71)로 전송하여 발열부(5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한다.
그리고 설정된 설정온도가 발열부(50)의 발열온도보다 낮으면, 발열부(50)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발열부(50)로 가온신호를 전달하여 발열부(50)의 발열온도를 상승시킨다.
상기 제어부(70)는 표시부(75)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75)는 조명부(30)를 통해 발산되는 빛의 강도를 표시하거나, 살균부(40)의 작동시간을 표시하거나, 발열부(50)의 발열온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가 사용되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인 위생용품 수납케이스(100)는 신축성이 있는 성질로 인해 위생용품(1)의 개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수납이 가능하며, 위생용품(1)의 오염상태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어 안전성을 제공한다. 또한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살균부(40)를 통하여 위생용품(1)을 살균시킴으로 외부 환경에 의해 오염되기 쉬운 위생용품(1)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케이스에 발열부(50)를 추가하여 보온기능이 추가됨으로 사용자가 생리통, 근육통 등 온찜질이 필요한 경우 찜질이 가능하고 크기가 작아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 : 위생용품
100 :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10 :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
11 : 수납공간
12 : 개구부
20 : 개폐부재
21 : 개폐손잡이
30 : 조명부
40 : 살균부
50 : 발열부
60 : 단열부재
70 : 제어부
71 : 전원제어부
72 : 조명제어부
73 : 살균제어부
74 : 발열제어부

Claims (3)

  1. 내부에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위생용품이 투입되도록 일측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되며, 신축성과 가요성을 갖는 재질의 외피와 내피로 구성된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
    상기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개구부(12)에 설치되어 개구부(1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20);
    상기 개폐부재(20)가 폐쇄되도록 마주보는 면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납공간(11)에 수납된 위생용품을 외부로 꺼내거나 위생용품을 수납공간(11)으로 투입할 때 위생용품의 오염상태를 확인하도록 빛이 발산되는 조명부(30);
    상기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수납공간(11)으로 자외선을 발산하여 수납된 위생용품을 살균하는 살균부(40);
    상기 개폐부재(20)와 연결되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발열선이 배선되며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50);
    상기 발열부(50)로부터 발열되는 열이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수납공간(1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발열부(50)와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내피 사이에 위치하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단열부재(60);
    상기 개폐부재(20)의 외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30), 살균부(40), 발열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50)는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되,
    발열부(50)의 발열선은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의 신축 동작에 대응하여 배선형태가 가변되도록 일측이 만곡된 만곡부(51)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배치됨으로써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가 신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발열선의 만곡부(51)의 곡률이 변화하면서 위생용품수납하우징부(10), 발열부(50)의 발열선, 단열부재(60)가 동반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조명부(30), 살균부(40), 발열부(50)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71);
    상기 조명부(30)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강도를 조절하는 조명제어부(72);
    상기 살균부(40)에 전원이 공급되면 기설정된 작동시간 동안 살균부(40)가 동작되는 살균제어부(73);
    상기 발열부(50)의 발열온도와 기설정된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발열부(50)의 온도를 제어하는 발열제어부(74);
    상기 조명부(30)를 통해 발산되는 빛의 강도를 표시하거나, 살균부(40)의 작동시간을 표시하거나, 발열부(50)의 발열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75);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제어부(74)는
    설정된 설정온도보다 발열부(50)의 발열온도가 높으면, 전원차단 신호를 전원제어부(71)로 전송하여 발열부(5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설정된 설정온도가 발열부(50)의 발열온도보다 낮으면, 발열부(50)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발열부(50)로 가온신호를 전달하여 발열부(50)의 발열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2. 삭제
  3. 삭제
KR1020170032925A 2017-03-16 2017-03-16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Expired - Fee Related KR101926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925A KR101926026B1 (ko) 2017-03-16 2017-03-16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925A KR101926026B1 (ko) 2017-03-16 2017-03-16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788A KR20180105788A (ko) 2018-10-01
KR101926026B1 true KR101926026B1 (ko) 2018-12-06

Family

ID=6387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9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926026B1 (ko) 2017-03-16 2017-03-16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0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604A (ko) * 2019-03-11 2020-09-21 이상봉 Uv-c를 이용한 살균 장치
WO2022114469A1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생리컵 보관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컵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150B1 (ko) * 2021-02-25 2022-07-29 (주)쉴드론 살균 가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021B1 (ko) * 2016-05-02 2016-07-07 이현호 위생용품용 이동형 및 고정형 보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021B1 (ko) * 2016-05-02 2016-07-07 이현호 위생용품용 이동형 및 고정형 보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604A (ko) * 2019-03-11 2020-09-21 이상봉 Uv-c를 이용한 살균 장치
KR102197927B1 (ko) 2019-03-11 2021-01-04 이상봉 Uv-c를 이용한 살균 장치
WO2022114469A1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생리컵 보관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컵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788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0101B2 (ja) 靴滅菌装置
JP5148560B2 (ja) 滅菌または消毒のためのバンデージおよびシステム
RU2635175C2 (ru) Фото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гелевый пакет
BR112020016812A2 (pt) Dispositivo de far-uvc portátil e descartável
KR101926026B1 (ko) 위생용품 수납케이스
US200201463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sterilizing small objects
US20130004367A1 (en) Sanit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40155201A1 (en) Toothbrush sanitizer
KR100818024B1 (ko) 자외선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장품 분첩케이스
KR200459582Y1 (ko) 살균 소독 기능을 갖는 이미용기구 보관대
US20220008583A1 (en)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CN212437623U (zh) 一种用于消毒物体的便携式袋
KR100686703B1 (ko) 자외선 젖병 살균 장치
JP2021520860A (ja) ポータブル紫外線消毒容器
KR101731708B1 (ko) 살균 소독기
KR20090007699U (ko) 살균 보관 기능을 갖는 이·미용기구 보관 상자
WO2010058254A1 (en) Device for the sterilization of dental screws and/or dental prostheses
KR101981235B1 (ko) 생리컵 살균기
KR20150112079A (ko) 컵 소독장치
KR102027273B1 (ko)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칫솔 살균기
US11896725B2 (en) Portable bag for sterilizing an object
CN221266014U (zh) 一种湿纸巾消毒加热器
KR200340817Y1 (ko) 자외선램프가 내장된 식판 소독 보관장.
CN209137437U (zh) 棒状杀菌器及含该杀菌器的饮料瓶
KR200289621Y1 (ko) 자외선 온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