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480B1 -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 - Google Patents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480B1
KR102389480B1 KR1020210149853A KR20210149853A KR102389480B1 KR 102389480 B1 KR102389480 B1 KR 102389480B1 KR 1020210149853 A KR1020210149853 A KR 1020210149853A KR 20210149853 A KR20210149853 A KR 20210149853A KR 102389480 B1 KR102389480 B1 KR 10238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anel
members
ro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무빙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무빙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무빙월
Priority to KR1020210149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의 상단에 연결된 트롤리가 천장에 설치된 트랙을 따라 이동하게 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고, 천장 및 바닥면에 접하게 되는 고정장치와 연결된 크랭크기구에 탄성수단을 장착하여 고정장치에 탄성력을 가하게 함으로써 고정장치가 경사진 천장 또는 바닥면에서도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A moving wall that is durable and has excellent sealing power even on sloping floors}
본 발명은 무빙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고, 경사진 천장 또는 바닥면에서도 고정장치가 천장 또는 바닥면에 밀착되어 패널의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넓은 공간을 갖는 전시회장, 행사장, 공연장은 물론 사무실 등에서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공간을 분할하여 구획하기 위하여 무빙월(moving wall)이 다양한 개소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무빙월은 제한된 공간을 가변적으로 운용하여 다양한 공간 활용을 위한 이동식 칸막이 또는 벽체를 말한다. 이와 같은 무빙월은 간단한 조작으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이 간편하며,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구획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무빙월은 좁은 폭을 갖는 합성수지판을 이용하여 많은 주름이 형성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임시 칸막이처럼 설치했었으나, 주름이 많은 단순한 합성수지판을 이용하여 공간을 구획할 경우 고정벽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임시방편으로 설치한 커튼 같은 이동식 차단막처럼 보이고 외관이 조잡하며, 방음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금만 밀거나 부딪혀도 움직이고 흔들리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403542호 "무빙월"과 같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상기 특허는 합성수지판을 중간에 공간부가 형성된 이중벽으로 형성함으로써 단순한 차단막이 아닌 벽체처럼 형성한다는 것인데, 좁은 폭을 갖는 판상(板狀)의 부재를 힌지로 연결하여 형성한 종래의 차단막에 비해 움직이거나 흔들림은 약간 개선되지만, 외관이 조잡하여 고정된 벽으로 느껴지지 않고 판상의 부재로 친 커튼과 같은 느낌을 주고 방음이 어렵다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상기와 같은 많은 주름이 형성된 절첩식 무빙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현한 기술이 특허등록 제1721324호 "마그네틱 무빙월과 이의 시공방법"인데, 기술내용은 단면(斷面)이 'ㄷ'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마그네틱 레일을 천장과 바닥 및 벽체에 각각 고정 설치하고, 레일의 개방된 면으로 벽체 패널을 삽입하여 고정벽과 같이 설치한 다음, 벽체 패널의 측면에 단면이 'ㄷ' 형상의 마그네틱 채널을 경첩으로 연결 설치하고 마그네틱 채널에 삽입된 벽체 패널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무빙월에 관한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천장과 바닥 및 벽체에 'ㄷ'자 형상의 마그네틱 레일을 각각 설치하고, 중량물인 벽체 패널을 하나씩 들어서 운반하여 마그네틱 레일에 삽입한 다음 작업자가 힘을 들여 밀어서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어려우며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작업일 뿐만 아니라 전문인력이 아니면 누구나 쉽게 설치하고 철거할 수 없으며, 철거한 벽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철거한 패널을 보관 장소까지 운반하기 위해서도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둘째, 무빙월의 벽체 패널을 철거한 후에도 천장과 바닥 및 벽체에 돌출되게 설치했던 마그네틱 레일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보기가 좋지 않고, 특히 바닥에 돌출되어 설치된 레일은 공간 사용에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며, 레일을 제거하려면 별도의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무빙월을 설치할 천장 또는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고 경사져 있을 때는 벽체 패널을 설치할 수 없게 되거나, 직사각형인 벽체 패널을 설치하더라도 패널과 레일이 경사진 천장 또는 바닥면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틈새가 생기게 되어 패널의 밀폐력이 떨어지게 되어 방음성과 차음성 및 단열성 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의 상단에 연결된 트롤리가 천장에 설치된 트랙을 따라 이동하게 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고, 천장 및 바닥면에 접하게 되는 고정장치와 연결된 크랭크기구에 탄성수단을 장착하여 고정장치에 탄성력을 가하게 함으로써 고정장치가 경사진 천장 및 바닥면에서도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은, 천장에 트랙이 고정 설치되고 패널 상단에 설치된 트롤리가 트랙을 따라 회전하여 패널을 이동시켜 설치 또는 철거하게 되는데, 무빙월은, 금속 재질의 각재(角材)로 제작된 프레임이 구비되고, 프레임 사이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구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 상기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천장에 설치된 트랙의 하면과 바닥면에 각각 밀착되어 패널을 고정시키게 되는 제1 및 제2고정장치; 상기 패널의 측면에 삽입되는 작동핸들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상하방향로 이동시키게 되며,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는 크랭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장치는 단면(斷面)이 사각형 형상에서 일면이 개방된 'ㄷ' 형상의 몰드로 형성되어 개방된 면이 천장 또는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되고, 몰드의 개방된 면의 양측면 단부(端部)에는 탄성 재질로 제작된 고무씰이 각각 장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기본틀부재와, 기본틀부재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수평부재를 구비하고,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제2 및 제3수평부재 사이를 연결하면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크랭크기구에서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높이조절기구는 제2 및 제3수평부재와 한 쌍의 수직부재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크랭크기구는, 제2 및 제3수평부재와 한 쌍의 수직부재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높이조절기구; 하단(下端)이 높이조절기구의 상단과 힌지 결합되고 제1 및 제2수평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제1로드(rod); 상방이 개방된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로드의 상단(上端)에 고정 설치되고, 'ㄷ' 형상에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부재가 기본틀부재의 상단 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 상단(上端)이 높이조절기구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고 제3수평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제2로드(rod); 하방이 개방된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로드의 하단(下端)에 고정 설치되고, 'ㄷ' 형상에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부재가 기본틀부재의 하단 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제1 및 제2고정장치는 기본틀부재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연결부재의 단부(端部)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높이조절기구는, 양단(兩端)이 한 쌍의 수직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된 볼스크류;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상기 볼스크류가 나사결합하여 관통되는 너트가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좌우이동부재; 일단(一端)이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각 상단과 하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며, 타단은 제1 및 제2로드의 하단 또는 상단과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경사부재를 구비하여 설치되고, 패널의 측면에서 삽입되는 작동핸들을 조작하여 볼스크류를 회전시킴에 따라 높이조절기구가 작동하여 제1 및 제2로드가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본틀부재의 상단 프레임과 제1수평부재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로드고정파이프가 더 설치되어 로드고정파이프의 중앙부분이 제1로드의 상단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제1연결부재는 상하방향에서 중간 정도의 높이에 로드고정파이프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는 'H' 형상으로 형성되며, 'H' 형상에서 상부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제1연결부재가 기본틀부재의 상단 프레임을 관통하고, 'H' 형상에서 하부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제1연결부재가 제1수평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1수평부재와 로드고정파이프 사이에 위치한 제1연결부재에는 코일스프링이 각각 끼워져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3수평부재의 하부에 하부제1수평부재가 더 설치되고, 기본틀부재의 하단 프레임과 하부제1수평부재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로드고정파이프가 더 설치되어 로드고정파이프의 중앙부분이 제2로드의 하단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제2연결부재는 상하방향에서 중간 정도의 높이에 로드고정파이프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는 'H' 형상으로 형성되며, 'H' 형상에서 하부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제2연결부재가 기본틀부재의 하단 프레임을 관통하고, 'H' 형상에서 상부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제2연결부재가 하부제1수평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제1수평부재와 로드고정파이프 사이에 위치한 제2연결부재에는 코일스프링이 각각 끼워져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빙월은, 패널의 내부에 금속 재질의 각재(角材)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흡음재, 난연재, 방염재 또는 단열재 등을 충전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패널의 차음성과 난연성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패널을 설치할 바닥면에는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고 천장에만 트랙을 설치하여 패널의 상단에 연결된 트롤리가 트랙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간단한 조작만으로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으며, 바닥에는 아무것도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무빙월을 철거할 때도 작동핸들을 돌려 고정장치를 천장 및 바닥면과 분리시키고 트랙을 따라 패널을 밀어서 격납고에 모아두면 끝나므로 사용 및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또, 패널 내부에 설치된 크랭크기구의 단부(端部)에 고정장치가 연결되고, 크랭크기구의 연결부재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을 장착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하로 이동하면서 천장 및 바닥면에 접하게 되는 고정장치에 탄성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패널을 설치할 천장 또는 바닥면이 경사져 있더라도 고정장치가 천장 및 바닥면에 압착되게 되어 경사진 천장 또는 바닥면에도 밀착력을 유지하여 패널의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무빙월의 방음성과 차음성 및 단열성 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빙월이 설치된 정면도에서 내부구조를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고정장치의 작동 전후를 도시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의 패널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의 패널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고정장치의 작동 전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빙월의 기술적 특징은, 무빙월을 설치할 천장 또는 바닥면이 경사져 있더라도 천장 또는 바닥면에 접하게 되는 고정장치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사진 천장이나 바닥면에서도 패널이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무빙월의 방음성과 차음성 및 단열성 등을 향상시켰다는 점이다.
무빙월(moving wall)은 제한된 공간을 가변적으로 운용하여 다양한 공간 활용을 위한 이동식 칸막이 또는 벽체를 말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무빙월은 천장에 트랙(21)이 고정 설치되고, 패널(10) 상단에 설치된 트롤리(trolley)(19)가 트랙을 따라 회전하면서 패널을 이동시켜 벽체를 설치 또는 철거하게 되는데, 벽체의 측면에 설치된 격납고에 보관된 패널을 잡아서 끌고 밀어주기만 하면 설치되므로 힘들이지 않고 누구나 손쉽게 벽체를 설치하고 철거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이나 벽면에는 무빙월을 설치하기 위한 어떤 구성도 설치되지 않고, 천장에만 트랙이 고정 설치되며, 트롤리(19)는 패널(10) 상단에 1개만 설치될 수도 있고, 2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191은 트롤리의 휠과 패널(10) 상단을 연결하는 트롤리연결축이다.
무빙월은 벽체를 이루게 되는 패널(10)과, 패널의 상단 및 하단을 따라 설치된 제1 및 제2고정장치(15, 15')와, 고정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천장에 설치된 트랙(21)의 하면과 바닥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크랭크기구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패널(10)은 금속 재질의 각재(角材) 파이프로 제작된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1)이 구비되고, 프레임(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전재(11')가 충전되는데, 충전재는 흡음재, 난연재, 방염재 또는 단열재 등 용도에 맞는 재질을 충전시키고 표면과 이면에는 플라이우드(plywood)와 인테리어 마감재 등을 부착하고 마감하여 구성된다(도 2 참조).
프레임(1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기본틀부재(111)와, 기본틀부재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수평부재(112,113,114)를 구비하고, 한 쌍의 수직부재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 및 제3수평부재(113, 114) 사이를 연결하면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수직부재(115, 11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물론 직사각형 형태로 된 기본틀부재(111)의 내부는 각재 파이프를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및 제2고정장치(15, 15')는 패널(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천장에 설치된 트랙(21)의 하면과 바닥면에 각각 밀착되어 패널(10)을 고정시키면서 패널(10)에 의해 형성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의 밀폐력을 유지시키게 되는데, 제1 및 제2고정장치(15, 15')는 단면(斷面)이 사각형 형상에서 일면이 개방된 'ㄷ' 형상의 몰드(151)로 형성되고, 몰드(151)의 개방된 면이 천장 또는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되고, 몰드(151)의 개방된 면의 양측면 단부(端部)에는 탄성 재질로 제작된 고무씰(152)이 각각 장착되어 구성된다. 고무씰(152)이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패널의 흔들림과 비틀림을 차단하여 보호해 주면서 벽체의 밀폐력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크랭크기구는 패널(1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패널(10)의 측면에 삽입되는 작동핸들(18)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15, 15')를 상하방향로 이동시키게 되며, 제1 및 제2고정장치(15, 1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기구(12)와, 높이조절기구(12)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로드(13) 및 제1연결부재(14), 높이조절기구(1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로드(13') 및 제2연결부재(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도 3 참조).
높이조절기구(12)는 제1 및 제2고정장치(15, 1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며, 제2 및 제3수평부재(113, 114)와 제1 및 제2 수직부재(115, 116)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게 된다. 높이조절기구(12)는, 수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좌우이동부재(122, 122'), 좌우이동부재(122, 12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경사부재(123,123',124,124')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다이아몬드 형상을 이루게 되고, 볼스크류(121)가 좌우이동부재(122, 122')의 각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패널의 측면에서 삽입되는 작동핸들(18)을 조작하여 볼스크류(121)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 및 제2로드(13, 13')가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고정장치(15, 1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미설명부호 125는 작동핸들(18)과 볼스크류(121)를 연결시키는 로드(rod) 형상의 연결재이다.
높이조절기구(12)는 볼스크류(121)와 좌우이동부재(122, 122'), 제1 및 제2경사부재(123, 123',124,124')를 연결하여 구성하지 않고 베벨기어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베벨기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작동핸들(18)을 조작하여 연결재(125)를 통해 베벨기어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로드(13, 13')를 상하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이므로 구성이 매우 콤팩트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무빙월 벽체에서 맨 마지막에 설치되는 패널(10)은 벽체를 완성하는 패널이므로 작동핸들(18)을 패널의 측면에서 삽입할 수 없으므로 패널의 표면에서 삽입해야 한다. 이때는 연결재(125)의 일정 지점에 베벨기어를 설치해 놓고 표면에서 작동핸들(18)을 삽입하여 연결재(125)에 설치된 베벨기어를 작동시켜서 높이조절부재(12)를 작동시켜야 한다.
볼스크류(121)는 양단(兩端)이 제1 및 제2수직부재(115, 116)에 각각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좌우이동부재(122, 122')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볼스크류(121)가 나사결합되어 관통하는 너트가 각각 구비되는데, 2개의 너트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선(오른나사, 왼나사)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제1 및 제2경사부재(123,123', 124,124')는 일단(一端)이 한 쌍의 좌우이동부재(122, 122')의 각 상단과 하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며, 타단은 제1 및 제2로드(13, 13')의 하단 또는 상단과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다.
제1로드(rod)(13)는 하단(下端)이 높이조절기구(12)의 상단과 힌지 결합되고 제1 및 제2수평부재(112, 113)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고, 제1연결부재(14)는 상방이 개방된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로드(13)의 상단(上端)에 고정 설치되며, 'ㄷ' 형상에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부재가 기본틀부재(111)의 상단 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제2로드(rod)(13')는 상단(上端)이 높이조절기구(12)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고 제3수평부재(114)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고, 제2연결부재(14')는 하방이 개방된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로드(13')의 하단(下端)에 고정 설치되며, 'ㄷ' 형상에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부재가 기본틀부재(111)의 하단 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제1 및 제2고정장치(15, 15')는 기본틀부재(111)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연결부재(14, 14')의 단부(端部)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어 천장(20)에 설치된 트랙(21)의 하면과 바닥면(20')에 각각 밀착되어 패널(10)을 고정시키게 된다.
제4 및 도 5에 도시된 무빙월의 제2실시예는 천장 또는 바닥면이 경사져 있더라도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천장 또는 바닥면이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고정장치가 수평상태만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면 천장이나 바닥면에 밀착되기 어려우므로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을 더 설치하여 탄성력으로 밀어서 경사면에 대응하여 고정장치가 천장 또는 바닥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구성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비해서 로드고정파이프(17)와 코일스프링(16)을 더 구비하고, 제1 및 제2연결부재(14, 14')의 형상이 'H'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수평부재(114)의 하부에 하부제1수평부재(112')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는 점만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물론 하부제1수평부재(112')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높이조절기구(12)가 설치되는 높이와 코일스프링(16)의 길이 등을 감안했을 때 제3수평부재(114)의 하부에 하부제1수평부재(11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틀부재(111)의 상단 프레임과 제1수평부재(112)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로드고정파이프(17)가 설치되어 로드고정파이프(17)의 중앙부분이 제1로드(13)의 상단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한 쌍이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14)는 상하방향에서 중간 정도의 높이에 로드고정파이프(17)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H' 형상으로 형성되며, 로드고정파이프(17)와 제1연결부재(14)는 용접되어 고정 연결된다. 제1수평부재(112)에는 제1연결부재(14)와 제1로드(13)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어야 하고, 제1연결부재(14)는 제1수평부재(112)를 관통하여 제1수평부재(112)의 하부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H' 형상에서 상부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제1연결부재(14)의 상단이 기본틀부재(111)의 상단 프레임을 관통하고, 'H' 형상에서 하부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제1연결부재(14)의 하단이 제1수평부재(11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1수평부재(112)와 로드고정파이프(17) 사이에 위치한 제1연결부재(14)에는 코일스프링(16)과 같은 탄성수단이 각각 끼워져서 구성된다(도 4, 도 5 참조).
이때 높이조절기구(12)의 작동에 따라 제1연결부재(14)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코일스프링(16)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제1고정장치(15)가 경사진 천장에서도 천장에 설치된 트랙(21)의 경사진 하면에 밀착되어 패널의 밀폐력을 유지시켜 준다. 즉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고정장치(15)의 일측단이 트랙의 하면에 닿으면, 닿은 쪽의 코일스프링은 닿지 않는 쪽의 코일스프링보다 더 압축되게 되면서 제1고정장치(15)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 기울어지게 되어 제1고정장치(15)의 고무씰(152) 전체가 트랙의 하면에 밀착하게 된다.
프레임의 제3수평부재(114) 하부에 하부제1수평부재(112')가 더 설치되고, 기본틀부재(111)의 하단 프레임과 하부제1수평부재(112')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로드고정파이프(17)가 설치되어 로드고정파이프(17)의 중앙부분이 제2로드(13')의 하단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한 쌍이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14')는 상하방향에서 중간 정도의 높이에 로드고정파이프(17)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H' 형상으로 형성되며, 로드고정파이프(17)와 제2연결부재(14')는 용접되어 고정 연결된다. 하부제1수평부재(112')에는 제2연결부재(14')와 제2로드(13')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어야 하고, 제2연결부재(14')는 하부제1수평부재(112')를 관통하여 하부제1수평부재(112')의 상부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H' 형상에서 하부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제2연결부재(14')의 하단이 기본틀부재(111)의 하단 프레임을 관통하고, 'H' 형상에서 상부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제2연결부재(14')의 상단이 하부제1수평부재(11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제1수평부재(112')와 로드고정파이프(17) 사이에 위치한 제2연결부재(14')에는 코일스프링(16)과 같은 탄성수단이 각각 끼워져서 구성된다(도 4, 도 5 참조).
이때 높이조절기구(12)의 작동에 따라 제2연결부재(14')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코일스프링(16)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제2고정장치(15')가 경사진 바닥면에 밀착되어 패널의 밀폐력을 유지시켜 준다. 즉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고정장치(15')의 일측단이 바닥면에 닿으면, 닿은 쪽의 코일스프링은 닿지 않는 쪽의 코일스프링보다 더 압축되게 되면서 제2고정장치(15')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 기울어지게 되어 제2고정장치(15')의 고무씰(152) 전체가 바닥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패널 11 : 프레임
111 : 기본틀부재 112 : 제1수평부재
113 : 제2수평부재 114 : 제3수평부재
115 : 제1수직부재 116 : 제2수직부재
12 : 높이조절기구 121 : 볼스크류
122, 122' : 좌우이동부재 123, 123' : 제1경사부재
124, 124' : 제2경사부재 125 : 연결재
13, 13' : 제1 및 제2로드 14, 14' : 제1 및 제2연결부재
15, 15' : 제1 및 제2고정장치 151 : 몰드
152 : 고무씰 16 : 코일스프링
17 : 로드고정파이프 18 : 작동핸들
19 : 트롤리 191 : 트롤리연결축
20 : 천장 20' : 바닥면
21 : 트랙

Claims (7)

  1. 천장에 트랙이 고정 설치되고, 패널 상단에 설치된 트롤리가 트랙을 따라 회전하여 패널을 이동시켜 설치 또는 철거하게 되는 무빙월에 있어서,
    상기 무빙월은,
    금속 재질의 각재(角材)로 제작된 프레임이 구비되고, 프레임 사이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구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
    상기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천장에 설치된 트랙의 하면과 바닥면에 각각 밀착되어 패널을 고정시키게 되는 제1 및 제2고정장치;
    상기 패널의 측면에 삽입되는 작동핸들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상하방향로 이동시키게 되며,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는 크랭크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장치는 단면(斷面)이 사각형 형상에서 일면이 개방된 'ㄷ' 형상의 몰드로 형성되어 개방된 면이 천장 또는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되고, 몰드의 개방된 면의 양측면 단부(端部)에는 탄성 재질로 제작된 고무씰이 각각 장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기본틀부재와, 기본틀부재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수평부재를 구비하고,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제2 및 제3수평부재 사이를 연결하면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크랭크기구에서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높이조절기구는 제2 및 제3수평부재와 한 쌍의 수직부재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게 되며,
    상기 기본틀부재의 상단 프레임과 제1수평부재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로드고정파이프가 더 설치되어, 로드고정파이프의 중앙부분이 높이조절기구의 상단과 힌지 결합된 제1로드의 상단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한 쌍이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는 상하방향에서 중간 높이에 로드고정파이프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H' 형상으로 형성되며,
    'H' 형상에서 상부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제1연결부재의 상단이 기본틀부재의 상단 프레임을 관통하고, 'H' 형상에서 하부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제1연결부재의 하단이 제1수평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1수평부재와 로드고정파이프 사이에 위치한 제1연결부재에는 코일스프링이 각각 끼워져서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장치는 기본틀부재의 상단프레임의 외측에서 제1연결부재의 단부(端部)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평부재의 하부에 하부제1수평부재가 더 설치되고, 기본틀부재의 하단 프레임과 하부제1수평부재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로드고정파이프가 더 설치되어 로드고정파이프의 중앙부분이 높이조절기구의 하단과 힌지 결합된 제2로드의 하단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한 쌍이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는 상하방향에서 중간 높이에 로드고정파이프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H' 형상으로 형성되며,
    'H' 형상에서 하부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제2연결부재의 하단이 기본틀부재의 하단 프레임을 관통하고, 'H' 형상에서 상부로 개방된 부분의 양측에 위치한 제2연결부재의 상단이 하부제1수평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제1수평부재와 로드고정파이프 사이에 위치한 제2연결부재에는 코일스프링이 각각 끼워져서 구성되며,
    상기 제2고정장치는 기본틀부재의 하단프레임의 외측에서 제2연결부재의 단부(端部)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
KR1020210149853A 2021-11-03 2021-11-03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 KR102389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853A KR102389480B1 (ko) 2021-11-03 2021-11-03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853A KR102389480B1 (ko) 2021-11-03 2021-11-03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480B1 true KR102389480B1 (ko) 2022-04-26

Family

ID=8139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853A KR102389480B1 (ko) 2021-11-03 2021-11-03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4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140Y1 (ko) * 2002-07-12 2002-10-25 (주)제일 내장 이동식 칸막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0296412Y1 (ko) * 2002-08-13 2002-11-23 김준석 흡음과 단열기능이 부가된 이동형 판넬 시스템
KR20110007904U (ko) * 2010-02-03 2011-08-10 서동학 이동식 칸막이의 실링부재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140Y1 (ko) * 2002-07-12 2002-10-25 (주)제일 내장 이동식 칸막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0296412Y1 (ko) * 2002-08-13 2002-11-23 김준석 흡음과 단열기능이 부가된 이동형 판넬 시스템
KR20110007904U (ko) * 2010-02-03 2011-08-10 서동학 이동식 칸막이의 실링부재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74821A (en) Movable space divider structure
CA1068872A (en) Portable and operable wall systems
US11480011B2 (en) Panel seal systems
US3300899A (en) Expanding jamb
KR102389480B1 (ko) 내구성을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무빙월
KR102376096B1 (ko) 폴딩파티션 무빙월
US3863404A (en) Building Construction
US11746524B2 (en) Portable and removable wall modules for residential living space
WO2024093113A1 (zh) 一种剧场大空间移动隔音墙及其施工方法
KR101330750B1 (ko) 슬라이드 접철식 도어의 수직축 높이조절장치
KR102395058B1 (ko) 측면 확장성을 구비한 무빙월
RU201647U1 (ru) Раздвижная перегородка
JP6299152B2 (ja) 耐震性間仕切装置
JPH03262889A (ja) 移動間仕切りにおける間仕切りパネルの遮音機構
KR102436178B1 (ko)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JPS6117183Y2 (ko)
US3331426A (en) Folding partition
KR102488387B1 (ko) 방화 단열 창호
FR2568914A1 (fr) Procede de realisation de cloisons
JP7083661B2 (ja) 移動間仕切装置
JP2022156893A (ja) 部屋構造及びユニット家具
JPH0331870B2 (ko)
BE1023358B1 (nl) Systeem voor het vormen en aanpassen van een afscheiding
KR101406302B1 (ko) 슬라이드 접철식 도어의 엔드가이드 장치
JP2001227073A (ja) 伸縮自在な目隠し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