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178B1 -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 Google Patents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178B1
KR102436178B1 KR1020220031443A KR20220031443A KR102436178B1 KR 102436178 B1 KR102436178 B1 KR 102436178B1 KR 1020220031443 A KR1020220031443 A KR 1020220031443A KR 20220031443 A KR20220031443 A KR 20220031443A KR 102436178 B1 KR102436178 B1 KR 102436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anel
crank mechanism
vertical direction
mov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무빙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무빙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무빙월
Priority to KR1020220031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4Glaz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 무빙월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고정장치를 가압해 주는 가압수단과, 가압수단을 작동시키는 크랭크기구를 모두 프레임 내부에 설치하여 고정장치를 천장과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해 줌으로써 밀폐력을 향상시켜 차음성이 뛰어나고, 벽체를 이루게 되는 패널이 유리로 제작되어 모던(modern)한 디자인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내화(耐火) 성능도 갖게 되는,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Glass moving wall with sound insulation an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본 발명은 글라스 무빙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라스 무빙월의 상부와 하부 밀폐력이 우수하여 차음성이 뛰어나고, 유리가 적용되어 모던한 디자인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내화성능도 갖게 되는, 상하부 밀폐력이 우수하여 차음성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에 관한 것이다.
무빙월(moving wall)은 제한된 공간을 가변적으로 운용하여 다양한 공간 활용을 위한 이동식 칸막이 또는 벽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넓은 공간을 갖는 전시회장, 행사장, 공연장, 콘퍼런스홀, 대형 음식점은 물론 사무실 등은 사용 목적에 따라 공간을 적절한 크기로 분할하여 구획하기 위하여 무빙월이 다양한 개소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무빙월은 간단한 조작으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이 간편하며,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구획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무빙월은 좁은 폭을 갖는 합성수지판을 이용하여 많은 주름이 형성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임시 칸막이처럼 설치했었으나, 주름이 많은 단순한 합성수지판을 이용하여 공간을 구획할 경우 고정벽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임시방편으로 설치한 커튼 같은 이동식 차단막처럼 보이고 외관이 조잡하며, 방음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금만 밀거나 부딪혀도 파손되거나 흔들리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403542호 "무빙월", 특허등록 제1721324호 "마그네틱 무빙월과 이의 시공방법", 특허등록 제1082006호 "이동식 패널의 고정장치" 등과 같은 무빙월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출현했는데, 상기 특허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무빙월은 주로 합판이나 MDF 재질의 패널을 사용하여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은 있으나, 벽체를 이루는 패널 자체가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시야를 단절시켜 공간을 좁아 보이게 하며 화재에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벽체 패널의 재질로 강화유리를 사용한 무빙월을 개발하여 실용신안등록 제0314374호 "이동형 글라스 월 시스템"을 등록받았다. 글라스 월의 구조를 살펴보면, 벽체를 이루게 되는 강화유리의 상부와 하부에 금속재 프레임을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부프레임에 이동을 위한 트롤리가 결합되며, 하부프레임에는 인접한 글라스 월과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와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기술은 벽체 패널이 투명한 강화유리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무빙월이 공간을 분할하면서 시야를 단절시키지 않으므로 답답하지 않고 공간이 넓어 보이며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강화유리의 상부와 하부를 천장과 바닥면에 밀착시킬 수 없는 구조이므로 무빙월의 상부와 하부에서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밀폐시킬 수가 없어서 차음(遮音)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렇듯 불투명한 재질의 패널을 사용하는 무빙월은, 무빙월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고정장치를 천장과 바닥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고정장치를 가압해 주는 크랭크기구를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 사이에 설치하는 구조인데, 패널에 불투명한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크랭크기구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구조이므로 크랭크기구 설치에 전혀 문제가 없다. 하지만, 패널에 투명한 유리를 사용하는 글라스 무빙월은 외부에서 패널의 내부가 훤히 보이기 때문에 무빙월의 상하부에 설치된 고정장치를 가압하여 고정장치를 천장과 바닥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크랭크기구를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 사이에 설치할 수 없으므로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밀폐시킬 수가 없어서 차음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글라스 무빙월의 가장 취약한 구조적인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스 무빙월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고정장치를 가압해 주는 가압수단과, 가압수단을 작동시키는 크랭크기구를 모두 금속재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하여 고정장치가 천장과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해 줌으로써 밀폐력을 향상시켜 차음성이 뛰어나고, 벽체를 이루게 되는 패널이 유리로 제작되어 모던(modern)한 디자인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내화(耐火) 성능도 갖게 되는,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은, 금속 재질의 각재(角材)로 제작된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이 구비되고, 프레임에 글라스(glass)를 부착 설치하여 구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 상기 패널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바닥면과 천장에 각각 밀착되면서 패널을 고정시키게 되는 제1 및 제2고정장치; 상기 패널의 프레임 중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하단프레임 및 상단프레임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1 및 제2고정장치가 상하방향로 이동하도록 가압해 주는 제1 및 제2가압수단; 상기 프레임 중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일측 수직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압수단을 작동시켜 주게 되는 크랭크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동핸들을 크랭크기구에 삽입하여 조작해 줌에 따라 제1 및 제2가압수단이 작동하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의 단부(端部)에 장착된 탄성 재질의 고무씰이 바닥면과 천장에 밀착되어 글라스 무빙월의 차음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크랭크기구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중앙부분에 작동핸들이 삽입되게 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회동판; 일단(一端)이 상기 회동판의 상단 또는 하단과 각각 힌지결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아암(arm)부재;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아암부재와 각각 힌지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샤프트;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샤프트와 각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완충수단;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완충수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제1 및 제2가압수단의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로드(rod);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아암부재가 회동판과 힌지결합되는 위치는 회동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중심에 두고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작동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크랭크기구가 작동하여 제1 및 제2고장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완충수단 각각은, 원통 형상이고, 상면에 상기 제1 또는 제2로드의 단부가 고정 연결되어 설치되며, 하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제1 또는 제2샤프트의 일부가 삽입되게 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샤프트 중에서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끼워진 완충스프링; 상기 완충스프링이 끼워진 제1 및 제2샤프트의 단부에 고정 설치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로드가 제1 및 제2가압수단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 및 제2가압수단의 단부에 일정 길이의 막대를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하여, 막대의 단부(端部) 부분이 제1 및 제2로드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막대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가압스프링을 더 끼워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가압수단 각각은, 일단(一端)이 크랭크기구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로드의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고정장치와 힌지결합되어 형성된 일정 길이의 가압레버; 상기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압레버의 일정 지점에서 가압레버와 힌지결합된 지지대; 상기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의 양단(兩端) 부분과, 제1 또는 제2고정장치의 양단 부분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연결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랭크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제1 및 제2로드가 가압레버를 작동시켜, 가압레버가 지지대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크랭크기구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중앙부분에 작동핸들이 삽입되게 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회동판; 일단(一端)이 상기 회동판의 상단 또는 하단과 각각 힌지결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아암(arm)부재;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아암부재와 각각 힌지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샤프트;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샤프트와 각각 고정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탄성수단; 로드의 직경을 관통하면서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slot)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 부분이 상기 제1 또는 제2탄성수단과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타단 부분이 제1 또는 제2가압수단의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로드(rod);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아암부재가 회동판과 힌지결합되는 위치는 회동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중심에 두고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작동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크랭크기구가 작동하여 제1 및 제2고장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탄성수단 각각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이루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상단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면이 상기 제1 또는 제2샤프트와 고정 결합되어 각각 설치된 제1간격유지구; 상기 하우징을 이루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하단부 부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간격유지구; 상기 제2간격유지구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관통구멍과 제2간격유지구에 형성된 관통공을 제1 또는 제2로드의 상단부분이 관통하게 되는 제1브라켓; 제1 및 제2로드에서 슬롯이 형성된 부분보다 하단부분에서 로드에 고정 설치된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에 위치한 제1 또는 제2로드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설치된 코일 형상의 탄성스프링; 상기 제1브라켓과 제2간격유지구 사이에서 제1 또는 제2로드에 형성된 슬롯의 홈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슬롯의 홈을 관통한 양단(兩端)이 하우징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랭크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제1간격유지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스프링이 신축되게 되어 제1 및 제2가압수단을 작동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가압수단 각각은, 일단(一端)이 크랭크기구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로드의 단부(端部) 부분과 각각 힌지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 제1가압레버; 일단이 제1 또는 제2고정장치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1가압레버의 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 제2가압레버; 상기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제1 또는 제2가압레버의 일정 지점에서 제1 또는 제2가압레버와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랭크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제1 및 제2로드가 제1 및 제2가압레버를 작동시키고, 제1 및 제2가압레버가 제1 및 제2지지대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가압수단 각각은, 일단(一端)이 크랭크기구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로드의 단부(端部) 부분과 각각 힌지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 제1가압레버; 일단에 베어링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제1가압레버의 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 제2가압레버; 상기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제1 또는 제2가압레버의 일정 지점에서 제1 또는 제2가압레버와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지지대; 상기 제1가압레버가 설치된 쪽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과 제1 또는 제2고정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랭크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제1 및 제2로드가 제1 및 제2가압레버를 작동시키고, 제1 및 제2가압레버가 제1 및 제2지지대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면서 상기 제2가압레버의 단부에 설치된 베어링이 제1 또는 제2고정장치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크랭크기구는, 작동핸들을 회전시켜 줌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치합(齒合)되어 회전하며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위치하는 제1 및 제2피동기어로 구성되며, 제1 및 제2피동기어의 후면에는 외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된 제1 및 제2샤프트가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 베벨기어;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샤프트와 나사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탄성수단; 로드의 직경을 관통하면서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slot)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 부분이 상기 제1 또는 제2탄성수단과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타단 부분이 제1 또는 제2가압수단의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로드(rod);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작동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기어가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피동기어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로드가 작동하여 제1 및 제2고장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탄성수단 각각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이루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상단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또는 제2샤프트가 관통공에 나사결합되게 되는 제1간격유지구; 상기 하우징을 이루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하단부 부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간격유지구; 상기 제2간격유지구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관통구멍과 제2간격유지구에 형성된 관통공을 제1 또는 제2로드의 상단부분이 관통하게 되는 제1브라켓; 제1 및 제2로드에서 슬롯이 형성된 부분보다 하단부분에서 로드에 고정 설치된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에 위치한 제1 또는 제2로드의 위주면에 끼워져서 설치된 코일 형상의 탄성스프링; 상기 제1브라켓과 제2간격유지구 사이에서 제1 또는 제2로드에 형성된 슬롯의 홈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슬롯의 홈을 관통한 양단(兩端)이 하우징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베벨기어를 작동시킴에 따라 제1간격유지구와 나사결합된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제1 또는 제2샤프트가 회전하면, 제1간격유지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스프링이 신축되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압수단을 작동시키게 된다.
글라스 무빙월의 가장 큰 단점은 구조적으로 무빙월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고정장치를 가압해 주는 가압수단과 크랭크기구를 설치할 수가 없어서 무빙월의 상부와 하부에서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밀폐력과 차음성에 취약하다는 점인데,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무빙월은 무빙월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고정장치를 가압해 주는 크랭크기구와 가압수단을 무빙월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금속재인 수직프레임과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내부에 설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크랭크기구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으므로 벽체를 이루는 패널이 글라스로 제작된 무빙월이 공간을 분할하면서 시야를 단절시키지 않으므로 답답하지 않고 공간이 넓어 보이며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크랭크기구가 강력한 힘으로 고정장치를 가압하여 바닥면과 천장에 밀착되게 한 구조이기 때문에 글라스 무빙월의 하부와 상부에서 밀폐력이 향상되어 차음성이 뛰어나고, 벽체를 이루는 무빙월의 패널을 글라스(강화유리)로 제작했기 때문에 모던(modern)한 디자인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패널에 강화유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목재 패널보다 훨씬 향상된 내화(耐火) 성능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글라스 무빙월이 설치된 정면도에서 내부구조를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크랭크기구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1개의 가압레버를 사용한 가압수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가압수단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완충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2개의 가압레버를 사용한 가압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2개의 가압레버를 사용한 가압수단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가압수단의 제2 및 제3실시예와 함께 사용되는 탄성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크랭크기구로 베벨기어를 사용한 실시예의 베벨기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베벨기어와 함께 사용되는 탄성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무빙월의 기술적 특징은, 글라스 무빙월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고정장치를 가압해 주는 가압수단과, 가압수단을 작동시키는 크랭크기구를 모두 프레임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고정장치가 천장과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글라스 무빙월의 차음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켰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무빙월(10)은 천장에 트랙이 고정 설치되고, 글라스로 제작된 패널의 상단에 설치된 트롤리(trolley)(17)가 트랙을 따라 회전하면서 패널을 이동시켜 벽체를 설치 또는 철거하게 되는데, 벽체의 측면에 설치된 격납고에 보관된 패널을 잡아서 끌고 밀어주기만 하면 되므로 힘들이지 않고 누구나 손쉽게 벽체를 설치하고 철거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에는 무빙월을 설치하기 위한 어떤 구성도 설치되지 않고, 천장에만 트랙이 고정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171은 트롤리의 휠과 패널 상단을 연결하는 트롤리연결축이다.
글라스 무빙월(10)은 벽체를 이루게 되는 패널과, 패널의 하면 및 상면을 따라 설치된 제1 및 제2고정장치(13, 13')와, 제1 및 제2고정장치(13, 13')에 압력(힘)을 가해 고정장치를 상하방향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제1 및 제2가압수단(16, 16')과, 가압수단을 작동시켜 고정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천장에 설치된 트랙의 하면과 바닥면에 밀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크랭크기구(14)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패널은 금속 재질의 각재(角材)로 제작된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1)이 구비되고, 프레임(11)의 전면과 후면에 강화유리로 된 글라스(glass)(12)를 부착 설치하여 구성되는데, 벽체를 이루는 패널이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어 패널 내부가 훤히 다 보이도록 노출되므로 고정장치를 작동시키는 크랭크기구(14)를 전면 유리와 후면 유리 사이에 설치할 수 없으므로, 크랭크기구(14)와 제1 및 제2가압수단(16, 16')을 패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수직프레임과 하단프레임 및 상단프레임 내부에 설치했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투명한 유리만 보이고 크랭크기구(14)와 가압수단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다. 글라스(12)는 프레임(11)의 전면과 후면에 부착하여 이중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글라스(12)의 가장자리를 프레임(11)에 삽입 설치하여 한 장의 유리로만 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고정장치(13, 13')는 패널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천장에 설치된 트랙의 하면과 바닥면에 각각 밀착되어 패널을 고정시키면서 패널에 의해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의 밀폐력을 유지시켜 주게 되는데, 제1 및 제2고정장치(13, 13')는 단면(斷面)이 사각형 형상에서 일면이 개방된 'ㄷ' 형상의 몰드로 형성되고, 몰드의 개방된 면이 바닥면 또는 천장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되고, 몰드의 개방된 면의 양측면 단부(端部)에는 탄성 재질로 제작된 고무씰이 각각 장착되어 구성되는데, 고무씰이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패널의 흔들림과 비틀림을 방지하고 보호해 주면서 벽체의 밀폐력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크랭크기구(14)는 프레임(11) 중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일측 수직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가압수단(16, 16')을 작동시켜 제1 및 제2고정장치(13, 13')에 압력(힘)을 가해 제1 및 제2고정장치(13, 13')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되거나 이격되게 해주는데, 크랭크기구(14)는 한 쌍씩의 로드와 샤프트 및 완충수단, 한 쌍씩의 아암부재 및 회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 참조).
작동핸들(146)을 회동판(144)에 삽입하여 크랭크기구(14)를 조작해 줌에 따라 제1 및 제2가압수단(16, 16')이 작동하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13, 13')에 압력을 가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13, 13')의 단부(端部)에 장착된 탄성 재질의 고무씰이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되어 글라스 무빙월(10)의 차음성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회동판(144)은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중앙부분에 작동핸들(146)이 삽입되게 되는 관통공(145)이 형성되어 있는데, 작동핸들(146)이 관통공(145)을 관통하여 회동판(144)을 회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관통공(145)의 형상은 원형이 아닌 비원형, 즉 다각형, 타원형, 양단(兩端)이 라운드 형상이면서 그 사이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육상트랙과 같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판(144)을 이루는 판상의 형상은 대략 마름모 형상에서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고, 일측 대각선의 길이가 다른 대각선의 길이보다 긴 형상으로 형성하며, 대각선의 길이가 긴 양단부(兩端部)에서 제1 및 제2아암부재(143,143')와 힌지결합시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핸들(146)은 크랭크기구(14)가 설치된 부분의 수직프레임 측면에서 회동판(144)의 관통공(145)에 삽입하게 되는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글라스 무빙월 벽체에서 맨 마지막에 설치되는 패널은 벽체를 완성하는 패널이므로 작동핸들(146)을 패널의 측면에서 삽입할 수 없으므로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삽입해야 한다.
제1 및 제2아암(arm)부재(143,14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부분에 홈을 형성하거나 중간 부분이 일정 각도 절곡되어 일부가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一端)이 회동판(144)의 상단 또는 하단과 각각 힌지결합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제1 또는 제2샤프트(141,141')와 힌지결합되어 설치된다. 제1 및 제2아암부재(143,143')가 회동판(144)과 힌지결합되는 위치는 회동판(144)에 형성된 관통공(145)을 중심에 두고 서로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있게 되며, 작동핸들(146)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동판(144)이 회동하면서 샤프트와 완충수단 및 로드가 상하운동을 하면서 제1 및 제2가압수단(16, 16')을 작동시키고, 가압수단의 작동에 따라 제1 및 제2고장장치(13, 1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1 및 제2샤프트(141,141')는 일단이 제1 또는 제2아암부재(143,143')와 각각 힌지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타단은 제1 또는 제2완충수단(147,147')과 결합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로드(rod)(142,142')는 일단이 제1 또는 제2완충수단(147,147')과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제1 또는 제2가압수단(16,16')의 단부(端部)와 결합 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구성이다(도 1 참조). 샤프트와 로드의 단면(斷面)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1 및 제2완충수단(147,147')은 샤프트와 로드 사이에 결합되어 크랭크기구(14)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가압수단(16,16')에 힘(압력)이 가해질 때 완충 역할을 해주게 된다. 도 4를 참고하여 완충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완충수단(147,147') 각각은 원통 형상의 케이싱(147a)과 완충스프링(147d) 및 스토퍼(147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완충수단(147,147')은 크랭크기구(14)를 작동시켜 샤프트와 완충수단 및 로드가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완충스프링(147d)이 압축되거나, 압축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완충 역할을 하게 된다.
케이싱(147a)은 원통 형상이고, 상면에 제1 또는 제2로드(142,142')의 단부가 고정 연결되어 설치되고, 하면(147b)에는 로드 또는 샤프트가 삽입되게 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케이싱(147a)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제1 또는 제2샤프트(141,141')의 일부가 삽입되게 되며, 제1 또는 제2샤프트(141,141') 중에서 케이싱(147a)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완충스프링(147d)이 끼워지게 되며, 완충스프링(147d)이 끼워진 제1 및 제2샤프트(141,141')의 단부에 스토퍼(147c)가 고정 설치되어 구성된다. 완충스프링(147d)은 스토퍼(147c)와 케이싱의 하면(147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완충수단이 완충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스토퍼(147c)와 케이싱의 상면은 약간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케이싱(147a)은 상면과 하면의 위치를 바꾸어서 설치하더라도 상관없다. 다시 말하면, 케이싱의 상면을 로드 또는 샤프트의 어느 구성과 연결하여 설치해도 상관없다.
도 2에 도시된 크랭크기구(14)는 구조적으로 회동판(144)이 회동하는 동안 지속적인 힘으로 밀어주는 구조가 아니므로, 지속적인 힘을 가해주기 위하여 제1 및 제2가압스프링(149, 149')를 더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 및 제2로드(142,142')가 제1 및 제2가압수단(16,16')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 및 제2가압수단(16,16')에서 가압레버(161)의 단부에 일정 길이의 막대(도면부호 미지정)를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하여, 막대의 단부(端部) 부분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로드(142,142')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막대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가압스프링(149, 149')을 끼워서 설치하며, 제1 및 제2가압스프링(149,149')의 단부는 제1 및 제2로드(142,14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로드와 가압수단 사이에 제1 및 제2가압스프링(149,149')을 설치해 줌으로써 크랭크기구(14)에서 가압수단에 가해지는 힘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지속적인 힘이 가해지게 된다.
제1 및 제2가압수단(16,16')은 패널의 프레임(11) 중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하단프레임 및 상단프레임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가 상하방향로 이동하도록 가압해 주는 구성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가압수단(16,16')의 제1실시예는 하나의 레버만 사용하는 실시예인데 가압레버(161)와, 가압레버(161)를 시소운동시키기 위한 지지대(162)와, 패널의 프레임과 고정장치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스프링(168)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한다. 가압레버(161)는 일단(一端)이 크랭크기구(14)에 구비된 제1 및 제2로드(142,142')의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와 힌지결합되며, 레버의 형상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 형상을 사용해도 되지만, 압력(힘)을 가하는 중에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단면(斷面)을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162)는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가압레버(161)의 일정 지점에서 가압레버(161)와 힌지결합되어, 가압레버(161)가 지지대(16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163은 고정장치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으로, 가압레버(161)가 브라켓(163)과 힌지결합되게 되며, 가압레버(161)를 고정장치에 힌지결합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브라켓(163)의 형상은 어떤 형상이더라도 상관없다.
연결스프링(168)은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의 양단(兩端) 부분과, 제1 또는 제2고정장치(13,13')의 양단 부분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한 쌍이 설치되는데, 크랭크기구(14)를 작동시켜 가압레버(161)가 제1 및 제2고정장치(13, 13')를 가압하도록 작동하면 연결스프링(168)이 늘어나면서 고정장치가 천장 및 바닥면에 밀착되게 된다. 반대로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천장 및 바닥면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밀착시켰을 때와 반대방향으로 크랭크기구(14)를 작동시키면, 가압레버(161)가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가압하지 않고 브라켓(163)과 힌지결합된 부분을 들어올리게 되고, 동시에 연결스프링(168)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가 천장 및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크랭크기구(14)에 작동핸들(146)을 회동판에 형성된 관통공(145)에 삽입시켜 작동핸들(146)을 회전시켜 줌에 따라 샤프트와 완충수단 및 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제1 및 제2로드(142,142')가 가압레버(161)의 일단(一端)을 밀거나 당기면, 가압레버(161)가 지지대(162)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게 된다.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시킬 때 제1 및 제2가압스프링(149,149')은 탄성력에 의해 가압레버(161)를 지속적인 힘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제1 및 제2고정장치(13, 13')의 밀폐력이 향상되고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가압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데, 제2실시예는 2개의 레버를 사용하여 시소운동 및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제1실시예는 1개의 레버만 사용하기 때문에 고정장치를 밀어주는 레버의 끝부분까지 전달되는 압력(힘)이 약할 수 있으나, 제2실시예는 2개의 레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정장치를 밀어주는 2번째 레버의 끝부분까지 큰 압력(힘)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압수단의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크랭크기구는 제1실시예의 크랭크기구와 동일한데, 제1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완충수단을 사용하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완충수단 대신 도 7에 도시한 탄성수단을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가압수단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크랭크기구에서는 가압수단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크랭크기구에 비해 탄성수단 및 로드의 다른 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탄성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탄성수단(15, 15')은 제1 및 제2샤프트(141,141')와 제1 및 제2로드(142,142')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인 힘으로 고정수단을 밀거나 당겨주는 구성이다. 제1 및 제2탄성수단(15,15') 각각은 하우징(151)과, 제1 및 제2간격유지구(152,152')와, 제1 및 제2브라켓(154,154')과, 탄성스프링(156) 및 핀(1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51)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형상이며, 하우징(151)을 이루는 플레이트의 상단부와 하단부 부분의 내측에 제1 및 제2간격유지구(152,152')가 각각 고정 설치되어 한 쌍의 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해주게 된다. 플레이트는 반드시 판상(板狀)일 필요는 없고 단면(斷面)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더라도 전혀 문제는 없다.
제1간격유지구(152)는 하우징(151)을 이루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상단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면이 제1 또는 제2샤프트(141,141')와 고정 결합되어 설치된다. 제2간격유지구(152')는 하우징(151)을 이루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하단부 부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부분에는 제1 및 제2로드(142,142')의 상단부분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로드(142,142')에는 로드의 직경을 관통하면서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슬롯(142a,142a')이 형성되어 있다.
제2간격유지구(15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브라켓(154)이 설치되며, 제1브라켓(154)의 중앙부분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슬롯이 형성된 제1 및 제2로드(142, 142')의 상단부분이 제1브라켓(154)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제2간격유지구(152')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게 되며, 제1브라켓(154)은 하우징(151) 및 탄성스프링(156)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로드에 슬롯(142a, 142a')이 형성된 부분보다 하단부분에서 제2브라켓(154')이 제1 및 제2로드(142, 142')에 고정 설치되며, 제2브라켓(154')은 탄성스프링(156)의 일단(一端)을 받쳐주는 구성이다.
탄성스프링(156)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브라켓(154,154')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또는 제2로드(142,142')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핀(155)은 제1브라켓(154)과 제2간격유지구(152') 사이에서 슬롯의 홈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슬롯(142a,142a')의 홈을 관통한 핀(155)의 양단(兩端)이 하우징(151)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크랭크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제1간격유지구(15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핀(155)이 하우징(151)과 함께 슬롯(142a,142a')의 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스프링(156)이 신축되게 되며, 제1 및 제2가압수단(16,16')이 작동하면서 제1 및 제2 고정수단(13,13')에 지속적인 힘을 가해 밀거나 당겨주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제1 및 제2가압수단(26,26')은 제1 및 제2가압레버(261,262)와, 제1 및 제2지지대(263,264)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제1가압레버(261)는 일단(一端)이 크랭크기구에 구비된 제1 및 제2로드(142,142')의 단부(端部) 부분과 각각 힌지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제2가압레버(262)는 일단이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1가압레버(261)의 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265는 고정장치에 고정 설치된 제1브라켓으로, 제2가압레버(262)의 일단이 제1브라켓(265)과 힌지결합되게 되며, 가압레버를 고정장치에 힌지결합시켜 줄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제1브라켓(265)의 형상은 어떤 형상이더라도 상관없다.
제1 및 제2지지대(263,264)는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제1 및 제2가압레버(261,262)의 일정 지점에서 제1 및 제2가압레버(261,262)와 힌지결합된다. 무빙월 패널의 상면에서는 제1지지대(263) 또는 제2지지대(264) 중 어느 하나는 트롤리연결축(171)을 활용해도 상관없다.
크랭크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샤프트와 탄성수단 및 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로드(142,142')가 제1가압레버(261)의 일단를 밀거나 당기면, 제1가압레버(261)가 제1지지대(263)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지렛대 역할을 하는 제1가압레버(261)의 타단이 제2가압레버(262)의 일단을 들어올리거나 당기면서 제2가압레버(262)가 제2지지대(264)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면서, 제2가압레버(262)가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와 힌지결합된 부분에서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로드(142,142')의 단부가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와 결합된 제2브라켓(267) 부분에서도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에 힘이 작용하게 되면서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게 된다.
미설명부호 267은 제2브라켓인데, 제1 및 제2로드(142,142')의 단부(端部)가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와 결합되어 있어야 하므로,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제2브라켓(267)을 설치한다. 제1 및 제2로드(142,142')의 단부(端部)와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가 제2브라켓(267)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크랭크기구를 조작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천장 및 바닥면에서 밀착시키거나 분리할 때 제1 및 제2브라켓(265,267)의 2군데에서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가압하거나 들어올리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제1 및 제2가압수단(26, 26')은 제1 및 제2가압레버(261, 262)와, 제1 및 제2지지대(263, 264)와 연결스프링(268)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에 비해 제2가압레버(262)의 단부에 베어링(266)이 설치되고, 연결스프링(268)이 설치된다는 점이 다르다.
제1가압레버(261)는 일단(一端)이 크랭크기구에 구비된 제1 및 제2로드(142, 142')의 단부(端部) 부분과 각각 힌지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제2가압레버(262)는 일단에 베어링(266)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제1가압레버(261)의 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지지대(263, 264)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스프링(268)은 제1가압레버(261)가 설치된 쪽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과 제1 또는 제2고정장치(13,13')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인데, 제2가압레버(262)의 단부(端部)에 베어링(266)이 설치되어 있어서 제2가압레버(262)의 단부와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가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정장치를 바닥면에서 들어서 바닥면과 분리시키기 위해 고정장치와 프레임을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구성이 연결스프링(268)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는, 크랭크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샤프트와 탄성수단 및 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로드(142,142')가 제1 및 제2가압레버(261,262)를 작동시키고, 제1 및 제2가압레버(261,262)가 제1 및 제2지지대(263,264)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면서 제2가압레버(262)의 단부에 설치된 베어링(266)이 제1 또는 제2고정장치(13,13')에 접하여 회전하고 슬라이딩하면서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시키게 된다. 또,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바닥면 또는 천장에서 분리시킬 때는 제1 및 제2로드(142,142')의 단부와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결합시키고 있는 제2브라켓(267) 부분과,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과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를 연결하여 결합시키고 있는 연결스프링(268)에 의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13,13')가 들려서 바닥면 또는 천장에서 이격되어 분리되게 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크랭크기구 대신 베벨기어(24)를 크랭크기구로 사용하는 실시예에서 베벨기어(24)를 도시한 도면이다. 베벨기어(24)는 작동핸들(146)을 회전시켜 줌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기어(241)와, 구동기어와 치합(齒合)되어 회전하며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위치하는 제1 및 제2피동기어(242,242')로 구성되며, 제1 및 제2피동기어(242,242')의 후면에는 외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된 제1 및 제2샤프트(243,243')가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다.
크랭크기구로 베벨기어(24)를 사용하는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1 및 제2탄성수단(15,15')은 일측은 제1 및 제2샤프트(243,243')와 나사결합되고, 제1 및 제2탄성수단(15,15')의 타측은 제1 및 제2로드(142,142')와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 및 제2로드(142,142') 각각은 로드의 직경을 관통하면서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142a,142a')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로드(142,142')는 일단 부분이 상기 제1 또는 제2탄성수단(15, 15')과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타단 부분이 제1 또는 제2가압수단(16,16')의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구성이다.
크랭크기구로 베벨기어(24)를 사용하는 글라스 무빙월의 실시예에서는 탄성수단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수단을 사용한다. 즉 제1 및 제2탄성수단(15,15') 각각은 하우징(151)과, 제1 및 제2간격유지구(152,152')와, 제1 및 제2브라켓(154,154')과, 탄성스프링(156) 및 핀(1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탄성수단이 도 7에 도시된 탄성수단과 다른 점은 제1간격유지구(152)에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된 제1 또는 제2샤프트(243,243')가 관통공과 나사결합되어 설치된다는 점이다. 탄성수단의 나머지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탄성수단과 동일하므로, 앞에서 이미 설명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작동핸들(146)을 회전시켜 베벨기어(24)의 구동기어(241)를 회전시키면 제1 및 제2피동기어(242,242')가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피동기어(242, 242')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샤프트(243,243')가 피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1 또는 제2샤프트(243,243')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 형상의 제1간격유지구(152)가 제1 또는 제2샤프트(243,24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하우징(151)과 제2간격유지구(152')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탄성스프링(156)을 밀게 되므로, 제1 및 제2가압수단(16,16')이 작동하면서 제1 및 제2 고정수단(13,13')에 지속적인 힘을 가해 밀거나 당겨주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글라스 무빙월 11 : 프레임
12 : 글라스 13, 13' : 제1 및 제2고정장치
14 : 크랭크기구 141, 141' : 제1 및 제2샤프트
142, 142' : 제1 및 제2로드 143, 143' : 제1 및 제2아암부재
144 : 회동판 145 : 관통공
146 : 작동핸들 147, 147' : 제1 및 제2완충수단
149, 149' : 제1 및 제2가압스프링
15, 15' : 제1 및 제2탄성수단 151 : 하우징
152, 152' : 제1 및 제2간격유지구 154, 154' : 제1 및 제2브라켓
155 : 핀 156 : 탄성스프링
16, 16' : 제1 및 제2가압수단 161 : 가압레버
162 : 지지대 163 : 브라켓
168 : 연결스프링
17 : 트롤리 171 : 트롤리연결축
24 : 베벨기어 241 : 구동기어
242, 242' : 제1 및 제2피동기어 243, 243' : 제1 및 제2샤프트
26, 26' : 제1 및 제2가압수단 261 : 제1가압레버
262 : 제2가압레버 263 : 제1지지대
264 : 제2지지대 265 : 제1브라켓
266 : 베어링 267 : 제2브라켓
268 : 연결스프링

Claims (11)

  1. 천장에 트랙이 고정 설치되고, 패널 상단에 설치된 트롤리가 트랙을 따라 회전하여 패널을 이동시켜 설치 또는 철거하게 되는 글라스 무빙월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무빙월은,
    금속 재질의 각재(角材)로 제작된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이 구비되고, 프레임에 글라스(glass)를 부착 설치하여 구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
    상기 패널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바닥면과 천장에 각각 밀착되면서 패널을 고정시키게 되는 제1 및 제2고정장치;
    상기 패널의 프레임 중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하단프레임 및 상단프레임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1 및 제2고정장치가 상하방향로 이동하도록 가압해 주는 제1 및 제2가압수단;
    상기 프레임 중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일측 수직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압수단을 작동시켜 주게 되는 크랭크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동핸들을 크랭크기구에 삽입하여 조작해 줌에 따라 제1 및 제2가압수단이 작동하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의 단부(端部)에 장착된 탄성 재질의 고무씰이 바닥면과 천장에 밀착되어 글라스 무빙월의 차음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크랭크기구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중앙부분에 작동핸들이 삽입되게 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회동판;
    일단(一端)이 상기 회동판의 상단 또는 하단과 각각 힌지결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아암(arm)부재;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아암부재와 각각 힌지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샤프트;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샤프트와 각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완충수단;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완충수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제1 및 제2가압수단의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로드(rod);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아암부재가 회동판과 힌지결합되는 위치는 회동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중심에 두고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작동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크랭크기구가 작동하여 제1 및 제2고장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제1 및 제2완충수단 각각은,
    원통 형상이고, 상면에 상기 제1 또는 제2로드의 단부가 고정 연결되어 설치되며, 하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제1 또는 제2샤프트의 일부가 삽입되게 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샤프트 중에서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끼워진 완충스프링;
    상기 완충스프링이 끼워진 제1 및 제2샤프트의 단부에 고정 설치된 스토퍼;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로드가 제1 및 제2가압수단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 및 제2가압수단의 단부에 일정 길이의 막대를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하여, 막대의 단부(端部) 부분이 제1 및 제2로드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막대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가압스프링을 더 끼워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압수단 각각은,
    일단(一端)이 크랭크기구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로드의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고정장치와 힌지결합되어 형성된 일정 길이의 가압레버;
    상기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압레버의 일정 지점에서 가압레버와 힌지결합된 지지대;
    상기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의 양단(兩端) 부분과, 제1 또는 제2고정장치의 양단 부분 사이를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연결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랭크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제1 및 제2로드가 가압레버를 작동시켜, 가압레버가 지지대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6. 천장에 트랙이 고정 설치되고, 패널 상단에 설치된 트롤리가 트랙을 따라 회전하여 패널을 이동시켜 설치 또는 철거하게 되는 글라스 무빙월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무빙월은,
    금속 재질의 각재(角材)로 제작된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이 구비되고, 프레임에 글라스(glass)를 부착 설치하여 구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
    상기 패널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바닥면과 천장에 각각 밀착되면서 패널을 고정시키게 되는 제1 및 제2고정장치;
    상기 패널의 프레임 중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하단프레임 및 상단프레임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1 및 제2고정장치가 상하방향로 이동하도록 가압해 주는 제1 및 제2가압수단;
    상기 프레임 중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일측 수직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압수단을 작동시켜 주게 되는 크랭크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동핸들을 크랭크기구에 삽입하여 조작해 줌에 따라 제1 및 제2가압수단이 작동하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의 단부(端部)에 장착된 탄성 재질의 고무씰이 바닥면과 천장에 밀착되어 글라스 무빙월의 차음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크랭크기구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중앙부분에 작동핸들이 삽입되게 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회동판;
    일단(一端)이 상기 회동판의 상단 또는 하단과 각각 힌지결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아암(arm)부재;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아암부재와 각각 힌지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샤프트;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샤프트와 각각 고정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탄성수단;
    로드의 직경을 관통하면서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slot)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 부분이 상기 제1 또는 제2탄성수단과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타단 부분이 제1 또는 제2가압수단의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로드(rod);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아암부재가 회동판과 힌지결합되는 위치는 회동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중심에 두고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작동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크랭크기구가 작동하여 제1 및 제2고장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탄성수단 각각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이루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상단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면이 상기 제1 또는 제2샤프트와 고정 결합되어 각각 설치된 제1간격유지구;
    상기 하우징을 이루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하단부 부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간격유지구;
    상기 제2간격유지구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관통구멍과 제2간격유지구에 형성된 관통공을 제1 또는 제2로드의 상단부분이 관통하게 되는 제1브라켓;
    제1 및 제2로드에서 슬롯이 형성된 부분보다 하단부분에서 로드에 고정 설치된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에 위치한 제1 또는 제2로드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설치된 코일 형상의 탄성스프링;
    상기 제1브라켓과 제2간격유지구 사이에서 제1 또는 제2로드에 형성된 슬롯의 홈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슬롯의 홈을 관통한 양단(兩端)이 하우징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랭크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제1간격유지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스프링이 신축되게 되어 제1 및 제2가압수단을 작동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압수단 각각은,
    일단(一端)이 크랭크기구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로드의 단부(端部) 부분과 각각 힌지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 제1가압레버;
    일단이 제1 또는 제2고정장치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1가압레버의 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 제2가압레버;
    상기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제1 또는 제2가압레버의 일정 지점에서 제1 또는 제2가압레버와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랭크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제1 및 제2로드가 제1 및 제2가압레버를 작동시키고, 제1 및 제2가압레버가 제1 및 제2지지대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압수단 각각은,
    일단(一端)이 크랭크기구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로드의 단부(端部) 부분과 각각 힌지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 제1가압레버;
    일단에 베어링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제1가압레버의 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형성된 제2가압레버;
    상기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제1 또는 제2가압레버의 일정 지점에서 제1 또는 제2가압레버와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지지대;
    상기 제1가압레버가 설치된 쪽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의 하단프레임 또는 상단프레임과 제1 또는 제2고정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크랭크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제1 및 제2로드가 제1 및 제2가압레버를 작동시키고, 제1 및 제2가압레버가 제1 및 제2지지대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면서 상기 제2가압레버의 단부에 설치된 베어링이 제1 또는 제2고정장치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바닥면 또는 천장에 밀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10. 천장에 트랙이 고정 설치되고, 패널 상단에 설치된 트롤리가 트랙을 따라 회전하여 패널을 이동시켜 설치 또는 철거하게 되는 글라스 무빙월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무빙월은,
    금속 재질의 각재(角材)로 제작된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이 구비되고, 프레임에 글라스(glass)를 부착 설치하여 구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
    상기 패널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바닥면과 천장에 각각 밀착되면서 패널을 고정시키게 되는 제1 및 제2고정장치;
    상기 패널의 프레임 중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하단프레임 및 상단프레임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1 및 제2고정장치가 상하방향로 이동하도록 가압해 주는 제1 및 제2가압수단;
    상기 프레임 중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일측 수직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압수단을 작동시켜 주게 되는 크랭크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동핸들을 크랭크기구에 삽입하여 조작해 줌에 따라 제1 및 제2가압수단이 작동하면서 제1 및 제2고정장치를 가압하여 제1 및 제2고정장치의 단부(端部)에 장착된 탄성 재질의 고무씰이 바닥면과 천장에 밀착되어 글라스 무빙월의 차음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크랭크기구는,
    작동핸들을 회전시켜 줌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치합(齒合)되어 회전하며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위치하는 제1 및 제2피동기어로 구성되며, 제1 및 제2피동기어의 후면에는 외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된 제1 및 제2샤프트가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 베벨기어;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샤프트와 나사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탄성수단;
    로드의 직경을 관통하면서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slot)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 부분이 상기 제1 또는 제2탄성수단과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타단 부분이 제1 또는 제2가압수단의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로드(rod);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작동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기어가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피동기어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로드가 작동하여 제1 및 제2고장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탄성수단 각각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이루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상단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또는 제2샤프트가 관통공에 나사결합되게 되는 제1간격유지구;
    상기 하우징을 이루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하단부 부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간격유지구;
    상기 제2간격유지구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관통구멍과 제2간격유지구에 형성된 관통공을 제1 또는 제2로드의 상단부분이 관통하게 되는 제1브라켓;
    제1 및 제2로드에서 슬롯이 형성된 부분보다 하단부분에서 로드에 고정 설치된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에 위치한 제1 또는 제2로드의 위주면에 끼워져서 설치된 코일 형상의 탄성스프링;
    상기 제1브라켓과 제2간격유지구 사이에서 제1 또는 제2로드에 형성된 슬롯의 홈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슬롯의 홈을 관통한 양단(兩端)이 하우징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베벨기어를 작동시킴에 따라 제1간격유지구와 나사결합된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제1 또는 제2샤프트가 회전하면, 제1간격유지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스프링이 신축되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압수단을 작동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KR1020220031443A 2022-03-14 2022-03-14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KR102436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443A KR102436178B1 (ko) 2022-03-14 2022-03-14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443A KR102436178B1 (ko) 2022-03-14 2022-03-14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178B1 true KR102436178B1 (ko) 2022-08-26

Family

ID=8311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443A KR102436178B1 (ko) 2022-03-14 2022-03-14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1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356A (ja) * 1992-12-25 1994-07-12 Nichibei Co Ltd 移動間仕切用のドア装置
JP2001082051A (ja) * 1999-09-13 2001-03-27 Itoki Co Ltd 移動壁
KR20030065101A (ko) * 2002-01-31 2003-08-06 허찬 이동식 칸막이
KR20040063232A (ko) * 2003-01-06 2004-07-14 김태완 슬라이딩 벽 패널의 봉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356A (ja) * 1992-12-25 1994-07-12 Nichibei Co Ltd 移動間仕切用のドア装置
JP2001082051A (ja) * 1999-09-13 2001-03-27 Itoki Co Ltd 移動壁
KR20030065101A (ko) * 2002-01-31 2003-08-06 허찬 이동식 칸막이
KR20040063232A (ko) * 2003-01-06 2004-07-14 김태완 슬라이딩 벽 패널의 봉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9329B2 (ja) 蝶番およびドア
KR102436178B1 (ko) 차음 및 내화성능을 구비한 글라스 무빙월
CN112177497B (zh) 装配式单元幕墙
KR102376096B1 (ko) 폴딩파티션 무빙월
CN211523680U (zh) 一种玻璃幕墙结构
JP6292517B2 (ja) 換気装置及びドア
CN207538674U (zh) 一种具有隔音效果的室内双扇式移门
CN213269625U (zh) 一种超高型活动隔断
KR20050113678A (ko) 마그네틱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그네틱슬라이드방식의 윈도우 블라인딩 시스템
CN214659705U (zh) 一种便于清洁的隔音窗
WO2005062845A2 (en) Room dividing system
KR101588239B1 (ko) 도어 차폐장치
CN210049771U (zh) 一种折叠门
CN111101813A (zh) 一种具有防震自锁功能的推拉窗
CN113685118B (zh) 一种磁吸式推拉门
CN220790201U (zh) 一种可移动隔断
CN220285095U (zh) 一种铝合金隔断墙框架结构
JPH03262889A (ja) 移動間仕切りにおける間仕切りパネルの遮音機構
CN218716305U (zh) 一种人防工程用抗震人防门
CN214994953U (zh) 会议室用电动隔断墙
CN212562998U (zh) 一种静音木门及门框
KR101896407B1 (ko) 양방향 개방 도어 시스템
JP7341799B2 (ja) 扉体付き間仕切パネル
CN214616083U (zh) 可降噪的断桥隔热铝合金窗
CN113513237B (zh) 一种静音装饰房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