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277B1 -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277B1
KR102389277B1 KR1020190048056A KR20190048056A KR102389277B1 KR 102389277 B1 KR102389277 B1 KR 102389277B1 KR 1020190048056 A KR1020190048056 A KR 1020190048056A KR 20190048056 A KR20190048056 A KR 20190048056A KR 102389277 B1 KR102389277 B1 KR 102389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nk
rotary screen
screen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561A (ko
Inventor
조영래
Original Assignee
조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래 filed Critical 조정래
Priority to KR102019004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2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8Particular kinds of wallp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200 내지 3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700 내지 800 중량부 및 편린상 안료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1.5 내지 3 중량부, 침전방지제 0.3 내지 0.5 중량부 및 반응지연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Ink composition for rotary screen print and preparing method for interior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체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사용하여 시트의 표면에 입체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과 이를 사용하여 입체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터리 스크린을 포함하여 스크린을 이용한 인쇄방식은 틀에 견포, 기타 스크린을 걸고 손작업 혹은 사진 원리의 방법에 의해 화상 이외 부분의 스크린 결을 막고 스퀴지로 스크린 결을 통해 잉크(적층 소재)를 압출하여 인쇄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인쇄법에서는 인쇄하기 곤란한 강한 표면이나 곡면체에도 쉽게 인쇄되며, 잉크의 선택도 자유로우며, 잉크층이 두껍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인테리어 벽지 등과 같은 장식 제품은 벽면과 같은 피착면을 보호하고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인테리어 벽지 등의 장식 제품을 제작 시 돌출되거나 입체적인 무늬를 구현하기 위해, 가죽, 비닐, 섬유, 종이 등에 패턴 인쇄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로터리 스크린을 사용한 인쇄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로터리 스크린 인쇄는 평면 스크린 인쇄에 비해 두터운 인쇄물을 제공할 수 있어, 상기 인쇄법을 이용한 돌출부 또는 입체형 인쇄물을 갖는 인테리어 물품 또는 장식물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1 (국내 특허등록 10-0968198호, 등록일 2010년06월29일)에는,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반응성 희석제; 흡수 파장이 250 nm 내지 350 nm인 제1광개시제; 및 흡수 파장이 400 nm 이상인 제2광개시제를 포함하고, 점도가 2,000 cps 내지 7,000 cps인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인쇄체 상에 두께가 0.2 mm 내지 2.0 mm인 돌출 무늬 패턴을 인쇄하는 제 1 단계를 포함하는 돌출 무늬 인쇄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은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 상에 입체적 무늬를 구현할 수 있는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및 인테리어 제품을 제공하나, 보다 경제적으로 잉크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통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주재로 하여 광택과 입체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편린상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벽지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는 전혀 언급이 없다.
따라서 편린상 안료를 사용하여 대량으로 인테리어 벽지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968198호(등록일 2010년06월29일)
따라서, 본 발명은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사용하여 대량으로 인테리어벽지를 생산하되, 편린상 안료를 사용하여 보다 입체감이 있는 인테리어 벽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200 내지 3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700 내지 800 중량부 및 편린상 안료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1.5 내지 3 중량부, 침전방지제 0.3 내지 0.5 중량부 및 반응지연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제는 케톤계 용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편린상 안료는 펄, 금분, 은분, 동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며, 평균입도가 100 내지 200 ㎛이고, 종횡비가 75 내지 1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편린상 안료는 상기 편린상 안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산화물 6.5 내지 10 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산화물은 TiO2, SnO2, ZrO2, MgO 및 MnO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점도가 4,000 내지 5,000 cp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수지 단량체를 용제와 혼합하고 안정제, 침전방지제를 첨가하여 에멀전(emulsion)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에멀전을 교반하면서 편린상 안료를 첨가하고, 반응지연제를 첨가하여 기저층 잉크를 준비하는 단계;
(c) 기재시트를 준비하고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의 스크린 스텐실 내부의 잉크 공급부의 상기 잉크를 충전하고, 스크린을 회전시켜 상기 기재시트 일부에 일정 패턴으로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d) 표면에 패턴이 인쇄된 기재시트를 건조하여 상기 용제를 일부 제거하는 단계;
(e) 상기 (b) 단계의 잉크에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코팅층 잉크를 준비하는 단계;
(f) 상기 (d) 단계의 기재시트를 회수하고,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의 스크린 스텐실 내부의 잉크 공급부에 상기 코팅층 잉크를 충전하고, 스크린을 회전시켜 상기 기재시트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에서 제조된 기재시트를 회수하여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편린상 안료는 펄, 금분, 은분, 동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며, 평균입도가 100 내지 200 ㎛이고, 종횡비가 75 내지 1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f) 단계는 상기 코팅층 잉크를 인쇄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표면의 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체감이 보다 증가된 인테리어벽지를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제공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및 편린상 안료를 혼합하되 편린상 안료가 고르게 분산되어 배향성을 가질 수 있는 조성물의 최적의 혼합비를 제공한다.
또한 종횡비를 조절한 편린상 안료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가지고 패턴으로 기재시트에 인쇄하여 인테리어 벽지를 제조한 이후에 다시 금속산화물을 첨가한 코팅층 형성용 잉크를 제조하여 기재시트에 재인쇄하여 인테리어 벽지의 명도를 조절하여 심미감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200 내지 3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700 내지 800 중량부 및 편린상 안료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1.5 내지 3 중량부, 침전방지제 0.3 내지 0.5 중량부 및 반응지연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유리 전이온도가 열경화성 수지에 비하여 낮고, 가열하면 녹고, 온도를 낮추면 고체로 되돌아 갈 수 있기 때문에 성형이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종래 스크린 인쇄용 잉크조성물의 경우 아크릴계 성분을 주로 이용하나, 수용성 수지는 인쇄 후 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고, 중합과정 중에서 분산제, 소포제, 증점제 및 경화제 등 다양한 첨가제가 첨가되어야 하며, 고속 인쇄에는 적합하나 로터리 스크린을 사용하되 스크린의 두께를 증가시켜 입체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갈바노(galvano) 인쇄법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별도의 중합과정 없이 고형분을 일정한 용제에 첨가하고 가열과정만으로 인쇄용 잉크로 제조되어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에서 기재시트의 표면에 인쇄되어 고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염화비닐(PVC)인 경우에는 케톤계 용제에 매우 잘 혼합되고, 유리전이 온도가 약 70 ℃이므로 80 내지 100 ℃의 온도로 가열하면 용융이 가능하며, 안정제 및 침전방지제를 첨가하는 것만으로 에멀전을 형성하여 편린상 안료를 매우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고형분을 준비하여 중합반응 없이 가열과정으로 에멀전을 형성하고 편린상 안료를 분산하여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용제와 혼합되어 펄프지와 같은 기재시트에 인쇄되며, 가열하면 경화되어 기재시트에 고착되고 장시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용제는 케톤계 용제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200 내지 3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700 내지 800 중량부로 포함한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용제가 첨가되는 경우에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경우에 별도의 가열과정 없이 자연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케톤계 용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톤계 용제는 메틸에틸케톤일 수 있다.
상기 케톤계 용제가 메틸에틸케톤으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비점이 약80 ℃이므로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하여 에멀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전은 편린상 염료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것만으로 편린상 염료를 균질하게 분산시켜 로터리 스크린 인쇄에 매우 적합한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케톤계 용제 중 메틸에틸케톤은 자연 건조가 매우 용이하여 다른 케톤계 용제에 비하여 보다 빠르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케톤계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열가소성 수지에서 용제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소성과정이 필요하지 않는다.
상기 편린상 안료는 펄, 금분, 은분, 동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며, 평균입도가 100 내지 200 ㎛이고, 종횡비가 75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편린상 안료는 광택을 유지하기 매우 용이하며, 특히 로터리 스크린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기재시트에 인쇄하는 경우 표면에 입체감을 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편린상 안료는 펄, 금분, 은분, 동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며, 특히 펄로 선택되는 경우 광택효과가 탁월하여 인테리어 벽지 제조에 유리하다.
상기 편린상 안료는 평균입도가 100 내지 200 ㎛일 수 있다.
상기 편린상 안료의 평균입도가 상기 범위 내의 편린상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인쇄 후 기재시트 표면에 고착된 돌출부위의 높이가 30 ㎛ 이상 유지되어 입체감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평균입도100 ㎛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입체감을 증가시키기 어렵고, 2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의 스크린을 통과시키기 어렵고, 닥터블레이드의 부하를 증가시켜 인쇄속도를 증가시키기 매우 어렵다.
상기 편린상 안료는 종횡비가 75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편린상 안료의 종횡비가 75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광택효과가 떨어지며 100을 초과하는 경우 광택성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가능성이 있다.
다만 상기 편린상 안료는 종횡비가 75 내지 100 내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인쇄 후 기재시트의 입체 돌출부위의 광택성이 더 요구되는 경우 종횡비를 더 증가시켜 광택성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1.5 내지 3 중량부, 침전방지제 0.3 내지 0.5 중량부 및 반응지연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정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 시 수지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변화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로 첨가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정제는 주석계 연질용 안정제일 수 있으며, 상기 안정제가 첨가되는 경우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사용하여 인쇄 시 열가소성 수지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쇄 후 안정제가 잔류하여 광택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침전방지제는 상기 편린상 안료가 응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편린상 안료가 분산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침전방지제는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상기 중량 범위로 첨가하는 경우 편린상 안료를 매우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지연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시 급격한 반응을 방지하여 거품이 생성되거나 온도가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로 첨가되는 경우에 편린상 안료가 뭉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응지연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반응하여 첨가되는 편린상 안료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으며, 2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잉크 조성물 도포 후 소성과정에서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응지연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이 열가소성 수지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편린상 안료는 상기 편린상 안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산화물 6.5 내지 10 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금속산화물을 첨가하는 경우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의 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경화 후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기재시트 표면 상에 패턴으로 인쇄된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의 형태를 보다 장시간 보전할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이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금속산화물 자체의 발색으로 인하여 편린상 안료의 발색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은 TiO2, SnO2, ZrO2, MgO 및 MnO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이 첨가되는 경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의 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TiO2일 수 있으며, 광학적 간섭을 일으켜 반짝거리거나, 가변색을 나타낼 수 있어서 인테리어벽지의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금속산화물이 더 첨가된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사용하여 기재시트에 인쇄하고 이를 소성하여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투명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이 인쇄되어 형성된 입체 돌출부위에 재 인쇄되는 경우 입체 돌출부위 상에 투명 코팅층을 형성하여 이중충을 가지는 인테리어 벽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점도가 4,000 내지 5,000 cps일 수 있다.
상기 점도의 범위 내에서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사용하여 기재시트에 패턴으로 인쇄할 수 있으며, 상기 점도 미만인 경우 일정 패턴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 고속인쇄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은,
(a) 열가소성 수지 단량체를 용제와 혼합하고 안정제, 침전방지제를 첨가하여 에멀전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에멀전을 교반하면서 편린상 안료를 첨가하고, 반응지연제를 첨가하여 기저층 잉크를 준비하는 단계;
(c) 기재시트를 준비하고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의 스크린 스텐실 내부의 잉크 공급부의 상기 잉크를 충전하고, 스크린을 회전시켜 상기 기재시트 일부에 일정 패턴으로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d) 표면에 패턴이 인쇄된 기재시트를 건조하여 상기 용제를 일부 제거하는 단계;
(e) 상기 (b) 단계의 잉크에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코팅층 잉크를 준비하는 단계;
(f) 상기 (d) 단계의 기재시트를 회수하고,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의 스크린 스텐실 내부의 잉크 공급부에 상기 코팅층 잉크를 충전하고, 스크린을 회전시켜 상기 기재시트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에서 제조된 기재시트를 회수하여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열가소성 수지 고형분을 용제와 혼합하고 안정제, 침전방지제를 첨가하여 에멀전을 형성한다(S100).
상기 열가소성 수지 고형분을 준비하여 용제와 혼합하고 안정제 침전방지제를 우선 첨가하고 가열 교반하여 에멀전을 형성한다.
이 때 반응온도는 100 ℃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전을 교반하면서 편린상 안료를 첨가하고, 반응지연제를 첨가하여 기저층 잉크를 제조한다(S200).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가지로 에멀전을 우선 제조하고 편린상 안료를 첨가하는 경우 편린상 안료를 고르게 분산할 수 있다.
상기 편린상 안료는 펄, 금분, 은분, 동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며, 평균입도가 100 내지 200 ㎛이고, 종횡비가 75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조절하여 입체감을 형성하고, 광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교반속도를 증가시켜 분산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반응지연제를 첨가하여 기저층 잉크의 안정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기재시트를 준비하고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의 스크린 스텐실 내부의 잉크 공급부의 상기 잉크를 충전하고, 스크린을 회전시켜 상기 기재시트 일부에 일정 패턴으로 인쇄한다(S300).
기저층 잉크를 사용하여 일정 패턴으로 인쇄하여 입체감이 있는 돌출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표면에 패턴이 인쇄된 기재시트를 건조하여 상기 용제를 일부 제거한다(S400).
상기 용제가 케톤계 용제인 경우에 별도의 가열을 통한 건조과정 없이 자연건조만으로 상기 용제를 기재시트 상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자연건조 후 기재시트를 회수하여 단일층으로 패턴이 형성된 인테리어벽지를 회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후에 상기 (b) 단계의 잉크에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코팅층 잉크를 준비한다(S500).
상기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코팅층 잉크를 제조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의 함량에 따라 명도를 조절하고, 패턴으로 형성된 돌출부위에 재 인쇄되어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d) 단계의 기재시트를 회수하고,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의 스크린 스텐실 내부의 잉크 공급부에 상기 코팅층 잉크를 충전하고, 스크린을 회전시켜 상기 기재시트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한다(S600).
상기 코팅층이 형성되어 패턴으로 형성된 돌출부위는 이중층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구성이 매우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패턴으로 형성된 돌출부위가 아닌 기재시트 표면에 그대로 인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저층 잉크와는 다른 발색과 입체감을 나타내어 인테리어 벽지의 심미감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층 잉크를 인쇄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표면의 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기저층 잉크의 제조
메틸에틸케톤 700 g에 폴리염화비닐 고형분 200 g을 첨가하고, 안정제로 주석계 연질용 안정제 3 g, 침전방지제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0.6 g을 교반기에 첨가하고 80 ℃에서 가열하여 교반하여 에멀전을 형성하였다.
3000 rpm으로 4시간 이상 교반하면서 평균입도가 100㎛이고 종횡비가 100인 펄 분말 2 g 및 반응지연제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2 g을 첨가하여 기저층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코팅층 잉크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펄 분말과 함께 이산화티타늄 0.1 g을 첨가하여 코팅층 잉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인테리어 벽지 제조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준비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기저층 잉크를 사용하여 기재시트에 패턴을 형성하여 인테리어벽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인테리어벽지를 회수하여 2 ~ 3일간 자연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한 이후에 상기 기재시트를 100 ℃에서 1시간 동안 소성하여 경화시킨 후 제조된 인테리어벽지의 입체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이중층 인테리어 벽지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인테리어 벽지를 다시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에 투입하고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코팅층 잉크를 사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고 패턴의 투명성을 확인하여 명도를 확인하고, 내구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인테리어 벽지의 입체감 확인
편린상 안료의 입도를 조절하여 기저층 잉크를 제조하고 이를 가지고 제조된 인테리어벽지의 패턴으로 형성된 돌출부위의 평균높이를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편린상 안료의 입도가 90 ㎛ 미만인 경우에는 소성하여 경화된 인테리어 벽지에서 패턴으로 형성된 돌출부위의 평균 높이가 30 ㎛ 미만으로 형성되어 입체감이 크게 증가되지 않을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종횡비에 따른 광택 확인
편린상 안료의 종횡비를 조절하여 기저층 잉크를 제조하고 이를 가지고 제조된 인테리어벽지의 패턴으로 형성된 돌출부위의 평균높이를 사진촬영을 통하여 광택을 확인하였다.
종횡비가 75 미만인 것은 광택이 발현되지 않았으나, 100인 경우 광학적 간섭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점도에 따른 로터리 스크린 인쇄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여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의 고속인쇄 가능성 및 입체감 증가여부를 확인하였다.
4,000 cps 미만인 경우에는 고속인쇄는 가능하나 소성 형성된 돌출부위의 평균 높이가 30 ㎛ 미만인 경우가 다수 확인되어 인테리어 벽지의 입체감을 증가시키기 어려운 것을 확인하였다.
6000 cps를 초과하는 경우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는 잉크 잔류물이 발생하여 편린상 안료의 입도가 100 내지 200 ㎛로 조절된 경우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통하여 인테리어 벽지를 인쇄하기 어려운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를 통하여 입체감이 크게 증가된 인테리어 벽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및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열가소성 수지 200 내지 3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700 내지 800 중량부 및 편린상 안료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1.5 내지 3 중량부, 침전방지제 0.3 내지 0.5 중량부 및 반응지연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편린상 안료는,
    펄, 금분, 은분, 동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며,
    평균입도가 100 내지 200 ㎛이고, 종횡비가 75 내지 100이며,
    상기 편린상 안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산화물 6.5 내지 10 중량부를 더 첨가하되, 상기 금속산화물은 TiO2, SnO2, ZrO2, MgO 및 MnO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케톤계 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점도가 4,000 내지 5,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8. (a) 열가소성 수지 단량체를 용제와 혼합하고 안정제, 침전방지제를 첨가하여 에멀전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에멀전을 교반하면서 편린상 안료를 첨가하고, 반응지연제를 첨가하여 기저층 잉크를 준비하는 단계;
    (c) 기재시트를 준비하고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의 스크린 스텐실 내부의 잉크 공급부의 상기 잉크를 충전하고, 스크린을 회전시켜 상기 기재시트 일부에 일정 패턴으로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d) 표면에 패턴이 인쇄된 기재시트를 건조하여 상기 용제를 일부 제거하는 단계;
    (e) 상기 (b) 단계의 기저층 잉크에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코팅층 잉크를 준비하는 단계;
    (f) 상기 (d) 단계의 기재시트를 회수하고, 로터리 스크린 인쇄장치의 스크린 스텐실 내부의 잉크 공급부에 상기 코팅층 잉크를 충전하고, 스크린을 회전시켜 상기 기재시트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에서 제조된 기재시트를 회수하여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편린상 안료는,
    펄, 금분, 은분, 동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며,
    평균입도가 100 내지 200 ㎛이고, 종횡비가 75 내지 100이며,
    상기 편린상 안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산화물 6.5 내지 10 중량부를 더 첨가하되, 상기 금속산화물은 TiO2, SnO2, ZrO2, MgO 및 MnO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코팅층 잉크를 인쇄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표면의 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
KR1020190048056A 2019-04-24 2019-04-24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 KR102389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056A KR102389277B1 (ko) 2019-04-24 2019-04-24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056A KR102389277B1 (ko) 2019-04-24 2019-04-24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561A KR20200124561A (ko) 2020-11-03
KR102389277B1 true KR102389277B1 (ko) 2022-04-21

Family

ID=7319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056A KR102389277B1 (ko) 2019-04-24 2019-04-24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2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068B1 (ko) * 2007-11-21 2009-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로타리 스크린 인쇄용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인테리어벽지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524B1 (ko) * 2003-09-25 2005-11-02 한국조폐공사 광 가변 복합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 조성물
KR100554956B1 (ko) * 2003-12-19 2006-03-03 한국조폐공사 고속 스크린 인쇄용 잉크
KR100649608B1 (ko) * 2004-12-16 2006-11-28 한국조폐공사 고속 인쇄용 수성잉크 조성물
EP2017310B1 (en) * 2007-07-17 2014-02-12 Eckart GmbH Ink jet printing ink containing thin aluminium effect pigments and method
KR100971509B1 (ko) * 2008-11-21 2010-07-21 (주)엘지하우시스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벽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68198B1 (ko) 2009-04-10 2010-07-05 (주)엘지하우시스 돌출 무늬 인쇄용 잉크 조성물, 인테리어 필름, 인테리어 제품 및 돌출 무늬 인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068B1 (ko) * 2007-11-21 2009-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로타리 스크린 인쇄용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인테리어벽지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561A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4489A (en) Synthetic, monodispersed color pigments for the coloration of media such as printing ink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JPH06509394A (ja) 高度に耐久性がある印画、とくに特殊な光反射性および着色領域の組み合わせを含む印画で表面を装飾する転写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260875A (ja) 光学薄膜フレ−ク、レプリケ−テツドオプテイカルコ−テイング、それを混合したコ−テイングおよびインキ並びにその方法
CN105966101A (zh) 一种印刷生产方法
CN109897204A (zh) 一种大面积水写显色的无色透明光子晶体膜及其制备方法
KR102389277B1 (ko)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벽지 제조방법
GB2339785A (en) Retroreflective PVC coatings
ITMI20080688A1 (it) Rivestimento decorativo per oggetti e relativo metodo per decorare
CN107699067B (zh) 离型剂、离型膜、复合膜、喷墨打印介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33696B1 (ko) 음각 및 양각 문양 조각 효과를 갖는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9397A (ko) 포토크로믹 칼라 야광 인쇄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PL190115B1 (pl) Kalkomania odbłyskowa, sitodrukowa oraz sposób wytwarzania kalkomanii odbłyskowej, sitodrukowej i jej zastosowanie
US6541561B1 (en) Resin reinforced cross-linkable printing inks and coatings
JP4273550B2 (ja) 化粧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01216002B1 (ko) 양각의 문양 조각 효과를 갖는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9517542A (zh) 一种转印膜用高透明度abs胶及其制备方法
CN108441028A (zh) 一种感光墨水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00057451A (ko) 로터리 스크린 인쇄용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벽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48116A (zh) 一种塑料薄膜的印花方法
JP7269633B2 (ja) ゲルワニス及びスクリーン印刷用インキ
CN214504117U (zh) 一种多层蓝图纸
KR100479636B1 (ko)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DE19715187C2 (de) Aufzeichnungsmaterial für wasserverdünnbare Tinten
JP2020520317A (ja) 織物・樹脂複合部材の調製方法
DE10125681C1 (de)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auf Druckvorlagen befindlichen Abbildungen auf farbige Unterlagen sowie hierzu geeignetes Vorlage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