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414B1 -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414B1
KR102388414B1 KR1020200043087A KR20200043087A KR102388414B1 KR 102388414 B1 KR102388414 B1 KR 102388414B1 KR 1020200043087 A KR1020200043087 A KR 1020200043087A KR 20200043087 A KR20200043087 A KR 20200043087A KR 102388414 B1 KR102388414 B1 KR 102388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d waste
casing
animal fe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671A (ko
Inventor
김혜숙
Original Assignee
김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숙 filed Critical 김혜숙
Priority to KR102020004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4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of meat, fish wast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mixing feeding-stuff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of silage, e.g. upgrading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2Fodder mash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가공하여 동물사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동물사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물사료의 재료가 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적재부에 저장해 두는 적재 단계;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음식물 쓰레기를 쿠킹부에서 전달받아 삶는 쿠킹 단계; 상기 쿠킹 단계에서 삶는 과정이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착유부에서 압착시켜 기름을 짜내는 착유 단계; 상기 착유 단계에 의해 기름이 분리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부에서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분쇄 단계; 및 상기 분쇄 단계에서 제조된 분말 상태의 동물사료를 저장부에 저장해 두는 저장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ANIMAL FEED MANUFACTUR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리, 닭, 어류 등의 머리, 꼬리, 날개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가공하여 동물사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발달과 함께 소득증대, 소비성향의 변화 및 유통구조의 발달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의 양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오리, 닭, 물고기 등의 가공품의 경우 훈제를 한 다음 머리, 꼬리, 날개, 내장, 발 등의 경우 대부분 음식 쓰레기물로서 폐기됨에 따라 환경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이와 같은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는 매립지를 확보하여 매립처리하는 방법, 소각하여 처리하는 소각방법, 재가공하여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매립처리방법의 경우 처리 후 매립지의 지질오염, 유해가스발생 및 수질오염 등의 공중위생상 많은 문제점과 매립지 확보를 위한 경제적 부담에 따른 결함이 있으며, 소각처리방법의 경우 소각처리를 위한 경비 부담과 소각시 대기오염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으며 처리대상물인 쓰레기의 종류에 제한을 받고 있다.
또한, 재활용처리방법의 경우 최상의 처리방법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나, 재활용으로 인한 효율성에 따라 재활용처리과정에서 이차적인 환경오염 발생 여부를 중요시하여 처리방법을 동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8851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6350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에 따른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오리, 닭, 어류 등의 머리, 꼬리 등을 가공하여 반려견이나 닭 등의 가축용 사료로 제공하여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화장품, 비누제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기름을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동물사료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될 수 있는 액상의 이물질을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구현한 동물사료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방법은, 동물사료의 재료가 되는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적재부에 저장해 두는 적재 단계;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쿠킹부에서 전달받아 삶는 쿠킹 단계; 상기 쿠킹 단계에서 삶는 과정이 완료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착유부에서 압착시켜 기름을 짜내는 착유 단계; 상기 착유 단계에 의해 기름이 분리 제거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부에서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분쇄 단계; 및 상기 분쇄 단계에서 제조된 분말 상태의 동물사료를 저장부에 저장해 두는 저장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쿠킹 단계는, 19 톤 내지 21 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113℃ 내지 117℃의 온도로 1시간 20분 내지 1시간 40분 동안 삶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방법은, 상기 분쇄 단계 이전에 상기 착유 단계에서 가열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의 온도를 38℃ 내지 42℃까지 자연냉각시키는 냉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착유 단계는, 상기 쿠킹 단계에서 삶는 과정이 완료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115℃ 내지 125℃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단계; 상기 가열 단계에 의해 가열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켜 기름을 분리시키는 압착 단계; 상기 압착 단계에서 분리된 기름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기름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 분리 단계; 상기 슬러지 분리 단계에 의해 슬러지가 분리된 기름을 9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는 열처리 단계; 및 상기 열처리 단계에 의해 열처리가 수행된 기름을 저장조에 저장하는 기름 저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 단계는, 상기 착유 단계에 의해 기름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1차 분쇄 단계; 상기 1차 분쇄 단계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0.4mm 내지 0.7mm의 거름망을 이용하여 거르는 거름 단계; 상기 거름 단계에서 걸러진 분말 상태의 동물사료를 다시 분쇄시키는 2차 분쇄 단계; 및 상기 1차 분쇄 단계, 상기 거름 단계 및 상기 2차 분쇄 단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반복 수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장치는, 동물사료의 재료가 되는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저장해 두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로부터 전달되는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삶는 쿠킹부; 상기 쿠킹부에서 삶는 과정이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켜 기름을 짜내는 착유부; 상기 착유부에서 기름이 분리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에서 제조된 분말 상태의 동물사료를 전달받아 저장해 두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착유부에서 기름이 분리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1차 분쇄하는 1차 분쇄기; 0.4mm 내지 0.7mm의 메쉬를 이용하여 상기 1차 분쇄기에서 분쇄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거름망을 이용하여 거르는 거름망; 및 상기 거름망에 걸러진 분말 상태의 동물사료를 다시 분쇄시키는 2차 분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착유부는, 상기 쿠킹부에서 삶는 과정이 완료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115℃ 내지 125℃의 온도로 가열시킨 뒤 압착시켜 기름을 분리하는 착유기; 상기 착유기에서 분리된 기름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기름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 제거기; 상기 슬러지 제거기에서 슬러지가 분리된 기름을 9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는 열처리기; 및 상기 열처리기에서 열처리가 수행된 기름을 전달받아 저장해 두는 저장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동물사료 제조 장치는, 상기 적재부와 상기 쿠킹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부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측 경사 방향으로 액상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이송시켜 상기 쿠킹부로 전달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적재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쿠킹부의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로부터 상기 쿠킹부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액상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전달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및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후단 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중인 음식물 쓰레기를 진동시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액상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후단을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후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안착되며, 후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시키는 투입구; 상기 케이싱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통해 상기 케이싱의 전단으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쿠킹부의 상측 입구로 낙하시키는 배출구; 상기 케이싱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홀; 상기 파이프의 전단을 회전시키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단홀에 설치되는 베어링; 및 상기 케이싱을 통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분리되는 액상 이물질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는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부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전면이 상기 케이싱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전면에 상기 구동모터의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진동 블록; 상기 진동 블록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진동 블록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 블록이 진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두 개의 구동 날개를 회전시켜 상기 진동 블록의 후단 하측을 승강시킨 뒤 자유낙하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날개는, 상기 진동 블록과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단부에 롤러를 구비하며, 직립시 상기 설치홈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진동 블록의 후단 하측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양질의 영양분이 풍부한 가축원료 생산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최적의 경제성을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될 수 있는 액상의 이물질을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쿠킹, 압축 및 분쇄 등과 같이 이후의 공정에서의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스크류 컨베이어 및 진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장에 의한 이물질의 제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장치(10)는, 적재부(100), 쿠킹부(200), 착유부(300), 분쇄부(400) 및 저장부(500)를 포함한다.
적재부(100)는, 동물사료의 재료가 되는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저장해 두며, 저장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후술하는 이송부(600) 등의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쿠킹부(200)로 전달한다.
쿠킹부(200)는, 적재부(100)로부터 전달되는 19 톤 내지 21 톤(바람직하게는 20 톤)의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113℃ 내지 117℃(바람직하게는 120℃)의 온도로 1시간 20분 내지 1시간 40분(바람직하게는 1시간 30분) 동안 삶는 과정을 수행한 뒤 착유부(300)로 전달한다.
착유부(300)는, 쿠킹부(200)에서 삶는 과정이 완료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켜 기름을 짜내며, 기름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부(4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착유부(300)는, 착유기(310), 필터(320), 슬러지 제거기(330), 열처리기(340) 및 저장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유기(310)는, 쿠킹부(200)에서 삶는 과정이 완료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115℃ 내지 125℃의 온도(바람직하게는 120℃)로 가열시킨 뒤 압착시켜 기름을 분리하여, 분리된 기름은 필터(320)를 거처 슬러지 제거기(330)로 전달되고, 걸러진 슬러지는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부(400)로 전달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필터(320)는, 착유기(310)에서 분리된 기름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 뒤 슬러지 제거기(330)로 전달되고, 걸러진 슬러지는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부(400)로 전달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슬러지 제거기(330)는, 필터(32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기름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깨끗한 기름을 열처리기(340)로 전달한다.
열처리기(340)는, 슬러지 제거기(330)에서 슬러지가 분리된 기름을 9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처리를 수행한다.
저장조(350)는, 열처리기(340)에서 열처리가 수행된 기름을 전달받아 저장해 둔다.
분쇄부(400)는, 착유부(300)에서 기름이 분리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분쇄하여 분말 형태의 동물사료 형태로 제조한 뒤 저장부(500)로 전달한다. 이러한 분말형태의 동물사료는 환 제조기에 의해 환형태로 제조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쇄부(400)는, 1차 분쇄기(410), 거름망(420) 및 2차 분쇄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분쇄기(410)는, 착유부(400)에서 기름이 분리된 걸러진 슬러지는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부(400)로 전달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1차 분쇄한다.
거름망(420)은, 0.4mm 내지 0.7mm의 메쉬를 이용하여 1차 분쇄기(41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거름망(420)을 이용하여 거른다.
2차 분쇄기(430)는, 거름망(420)에 걸러진 분말 상태의 동물사료를 다시 분쇄시킨다.
저장부(500)는, 분쇄부(400)에서 제조된 분말 상태의 동물사료를 전달받아 저장해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장치(10)는,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양질의 영양분이 풍부한 가축원료 생산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최적의 경제성을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장치(10)를 이용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동물사료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방법은, 우선 동물사료의 재료가 되는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적재부(100)에 저장해 둔다(S110).
상술한 단계 S110에서 적재부(100)에 적재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쿠킹부(200)에서 전달받아 삶는다(S120).
일 실시예에서, 쿠킹 단계(S120)는, 19 톤 내지 21 톤(바람직하게는 20 톤)의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113℃ 내지 117℃의 온도(바람직하게는 120℃)로 1시간 20분 내지 1시간 40분(바람직하게는 1시간 30분) 동안 삶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20에서 삶는 과정이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착유부(300)에서 압착시켜 기름을 짜낸다(S130).
일 실시예에서, 착유 단계(S130)는, 쿠킹 단계에서 삶는 과정이 완료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115℃ 내지 125℃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단계, 가열 단계에 의해 가열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켜 기름을 분리시키는 압착 단계, 압착 단계에서 분리된 기름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 이물질 제거 단계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기름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 분리 단계, 슬러지 분리 단계에 의해 슬러지가 분리된 기름을 9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는 열처리 단계 및 열처리 단계에 의해 열처리가 수행된 기름을 저장조에 저장하는 기름 저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30에 의해 기름이 분리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부(400)에서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한다(S140).
일 실시예에서, 분쇄 단계(S140)는, 착유 단계에 의해 기름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1차 분쇄 단계, 1차 분쇄 단계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0.4mm 내지 0.7mm의 거름망을 이용하여 거르는 거름 단계, 거름 단계에서 걸러진 분말 상태의 동물사료를 다시 분쇄시키는 2차 분쇄 단계 및 1차 분쇄 단계, 거름 단계 및 2차 분쇄 단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반복 수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S140에서 제조된 분말 상태의 동물사료를 저장부(500)에 저장해 둔다(S15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동물사료 제조 방법은, 상술한 분쇄 단계(S140)에서의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쇄 단계(S140) 이전에 착유 단계(S130)에서 가열된 음식물 쓰레기의 온도를 38℃ 내지 42℃까지 자연냉각시키는 냉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 형태의 동물사료 제조를 위해 환 제조기를 통해 환형태의 동물사료를 제작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장치(20)는, 적재부(100), 쿠킹부(200), 착유부(300), 분쇄부(400), 저장부(500) 및 이송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재부(100), 쿠킹부(200), 착유부(300), 분쇄부(400) 및 저장부(5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되, 다만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적재하기 위해 적재부를 땅속에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철판을 땅속에 매설하여 적재부를 구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송부(600)는, 적재부(100)와 쿠킹부(200) 사이에 설치되며, 적재부(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구(110)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상측 경사 방향으로 액상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이송시켜 쿠킹부(200)의 상측에 형성되는 투입구(21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부(600)는, 스크류 컨베이어(610) 및 진동부(620)를 포함한다.
스크류 컨베이어(610)는, 적재부(100)의 하측으로부터 쿠킹부(200)의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적재부(100)의 배출구(110)로부터 쿠킹부(200)의 투입구(210)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액상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전달한다.
진동부(620)는, 스크류 컨베이어(610)의 후단 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스크류 컨베이어(610)를 통해 이송 중인 음식물 쓰레기를 진동시켜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액상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 컨베이어(610)의 후단을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료 제조 장치(20)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될 수 있는 액상의 이물질을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쿠킹, 압축 및 분쇄 등과 같이 이후의 공정에서의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스크류 컨베이어 및 진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스크류 컨베이어(610)는, 케이싱(611), 구동모터(612), 파이프(613), 블레이드(614), 투입구(615), 배출구(616), 전단홀(617), 베어링(618) 및 배출홀(619)을 포함한다.
케이싱(611)은, 원형 파이프(613) 형태로 형성되며, 후단에 설치된 구동모터(612)에 의하여 후단이 지지되며, 내측 공간에 파이프(613)가 안착되어 회전하며, 전단에 배출구(616)가 설치된다.
구동모터(612)는, 케이싱(611)의 후단에 설치되며, 진동 블록(622)의 전면에 설치되는 힌지 구조(H)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진동 블록(622)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여 케이싱(611)의 후단을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준다.
파이프(613)는, 케이싱(611)의 내측에 안착되며, 후단이 구동모터(612)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전단이 베어링(618)에 설치됨에 따라 케이싱(611)이 진동하는 경우에도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블레이드(614)가 케이싱(611)의 내측면과 마찰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614)는, 파이프(613)의 외주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며, 파이프(613)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구(616)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투입구(615)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며, 케이싱(611)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어 적재부(100)로부터 낙하하는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를 케이싱(611)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시킨다.
배출구(616)는, 케이싱(611)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어 블레이드(614)를 통해 케이싱(611)의 전단으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쿠킹부(200)의 상측 입구로 낙하시킨다.
전단홀(617)은, 케이싱(611)의 전단에 형성된다.
베어링(618)은, 파이프(613)의 전단을 회전시키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전단홀(617)에 설치된다.
배출홀(619)은, 케이싱(611)을 통해 이송되는 오리, 닭, 어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분리되는 액상 이물질이 케이싱(61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케이싱(611)의 바닥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크류 컨베이어(6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611)을 따라 이송 중인 음식물 쓰레기가 케이싱(611)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함에 따라 서로 밀착되어 있던 형태에서 서로 분리되고, 이에 따라 포함되어 있던 액상 이물질(예를 들어, 수분, 우수, 기타 액상 이물질)이 배출홀(619)을 통해 케이싱(611)의 하측으로 탈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동부(620)는, 베이스 플레이트(621), 진동 블록(622), 지지 스프링(623) 및 회전부(624)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621)는, 바닥면에 볼트(B)의 공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며, 상측에 지지 스프링(623)이 설치되고, 후단에 설치홈(S)이 형성된다.
진동 블록(622)은, 전면이 케이싱(611)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면(6221)을 형성하며, 전면에 구동모터(612)의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지지 스프링(623)은, 진동 블록(622)과 베이스 플레이트(621)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진동 블록(622)과 베이스 플레이트(621)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즉, 지지 스프링(623)은, 진동 블록(622)이 승강되는 경우에는 진동 블록(622)을 잡아당기는 힘을 형성하고, 진동 블록(622)이 하강한 경우에는 진동 블록(622)을 승강시켜 주는 힘을 형성한다.
회전부(624)는, 베이스 플레이트(621)의 후단에 형성되는 설치홈(S)에 설치되며, 진동 블록(622)이 진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626)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두 개의 구동 날개(625)를 회전시켜 진동 블록(622)의 후단 하측을 승강시킨 뒤 자유낙하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날개(625)는, 진동 블록(622)과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단부에 롤러(627)를 구비하며, 직립시 설치홈(S)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진동 블록(622)의 후단 하측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621)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20cm 내지 50cm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동물사료 제조 장치
100: 적재부
200: 쿠킹부
300: 착유부
310: 착유기
320: 필터
330: 슬러지 제거기
340; 열처리기
350: 저장조
400: 분쇄부
410: 1차 분쇄기
420: 거름망
430: 2차 분쇄기
500: 저장부
600: 이송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동물사료의 재료가 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저장해 두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로부터 전달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삶는 쿠킹부;
    상기 적재부와 상기 쿠킹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부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측 경사 방향으로 액상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이송시켜 상기 쿠킹부로 전달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적재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쿠킹부의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로부터 상기 쿠킹부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액상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전달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후단 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중인 음식물 쓰레기를 진동시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액상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후단을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쿠킹부에서 삶는 과정이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켜 기름을 짜내는 착유부;
    상기 착유부에서 기름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에서 제조된 분말 상태의 동물사료를 전달받아 저장해 두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동물사료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착유부에서 기름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1차 분쇄하는 1차 분쇄기;
    0.4mm 내지 0.7mm의 메쉬를 이용하여 상기 1차 분쇄기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거름망을 이용하여 거르는 거름망; 및
    상기 거름망에 걸러진 분말 상태의 동물사료를 다시 분쇄시키는 2차 분쇄기;를 포함하는, 동물사료 제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부는,
    상기 쿠킹부에서 삶는 과정이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115℃ 내지 125℃의 온도로 가열시킨 뒤 압착시켜 기름을 분리하는 착유기;
    상기 착유기에서 분리된 기름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기름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 제거기;
    상기 슬러지 제거기에서 슬러지가 분리된 기름을 9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는 열처리기; 및
    상기 열처리기에서 열처리가 수행된 기름을 전달받아 저장해 두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동물사료 제조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후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안착되며, 후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시키는 투입구;
    상기 케이싱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통해 상기 케이싱의 전단으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쿠킹부의 상측 입구로 낙하시키는 배출구;
    상기 케이싱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홀;
    상기 파이프의 전단을 회전시키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단홀에 설치되는 베어링; 및
    상기 케이싱을 통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분리되는 액상 이물질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는 배출홀;을 포함하는, 동물사료 제조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전면이 케이싱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전면에 구동모터의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진동 블록;
    상기 진동 블록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진동 블록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 블록이 진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두 개의 구동 날개를 회전시켜 상기 진동 블록의 후단 하측을 승강시킨 뒤 자유낙하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날개는,
    상기 진동 블록과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단부에 롤러를 구비하며, 직립시 상기 설치홈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진동 블록의 후단 하측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는, 동물사료 제조 장치.
KR1020200043087A 2020-04-09 2020-04-09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8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087A KR102388414B1 (ko) 2020-04-09 2020-04-09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087A KR102388414B1 (ko) 2020-04-09 2020-04-09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671A KR20210125671A (ko) 2021-10-19
KR102388414B1 true KR102388414B1 (ko) 2022-04-19

Family

ID=7822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087A KR102388414B1 (ko) 2020-04-09 2020-04-09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4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62B1 (ko) 2009-11-18 2010-05-18 우리산업(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56084B1 (ko) 2010-09-27 2011-08-10 (주)앞선환경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 및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WO2012055931A2 (en) 2010-10-27 2012-05-03 Voro Limited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and a waste product
WO2017158461A1 (en) 2016-03-15 2017-09-21 Chaturvedi Deepak Biofuel generation
JP2018000110A (ja) * 2016-07-01 2018-01-11 三井造船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飼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90048307A1 (en) 2017-08-11 2019-02-14 California Safe Soil, LLC Agricultural admixtur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664U (ko) * 1996-12-12 1998-09-15 황희태 음식물 쓰레기를 동물의 사료로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19980018120A (ko) * 1997-06-02 1998-06-05 윤복현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화 방법
KR100325886B1 (ko) * 1999-06-07 2002-03-04 (주)한일바이오산업 고성능의 유니트 형 플랜트화 설비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KR20020014426A (ko) * 2000-08-18 2002-02-25 황재구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및 퇴비의 제조방법
KR20020087313A (ko) * 2001-05-15 2002-11-22 권성근 농산물 폐기물을 이용한 첨가제 제조장치
KR101271162B1 (ko) * 2009-01-15 2013-06-05 유.비.큐 메터리얼스 엘티디. 복합재료 및 실질상 분류되지 않은 폐기물로부터 이의 제조방법
KR20150054408A (ko) * 2013-11-12 2015-05-20 김태완 음식물쓰레기의 유기농 비료화 장치
KR101688519B1 (ko) 2014-06-09 2016-12-22 정길룡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가축사료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3509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다토로 음식물 처리기기를 이용한 사료 및 퇴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62B1 (ko) 2009-11-18 2010-05-18 우리산업(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56084B1 (ko) 2010-09-27 2011-08-10 (주)앞선환경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 및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WO2012055931A2 (en) 2010-10-27 2012-05-03 Voro Limited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and a waste product
WO2017158461A1 (en) 2016-03-15 2017-09-21 Chaturvedi Deepak Biofuel generation
JP2018000110A (ja) * 2016-07-01 2018-01-11 三井造船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飼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90048307A1 (en) 2017-08-11 2019-02-14 California Safe Soil, LLC Agricultural admix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671A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09062A (zh) 一种豆腐制作用石膏高效循环破碎装置
CN102794289B (zh) 一种有机废弃物资源化处理方法
JP5069766B2 (ja) 固化物自動粉砕装置
CN106076555B (zh) 一种固体药物粉碎器
KR102388414B1 (ko) 동물사료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1587678B (zh) 一种简易高效的秸秆超细化粉碎工艺及装置
CN109501269A (zh) 一种3d打印材料预处理装置
KR20160043283A (ko) 음식물 쓰레기용 분쇄기 및 이를 포함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7430471U (zh) 一种中药粉碎研磨一体机
CN109622144A (zh) 一种牧草筛分粉碎一体机
CN210332965U (zh) 一种中药打粉机
CN106076556B (zh) 一种药材捣碎研磨加工装置
CN205056424U (zh) 一种金银花筛选机
CN105289819B (zh) 一种用于农业的有机胶质块料破碎机
CN208407240U (zh) 一种松稞茶专用破碎机
CN213408851U (zh) 一种饲料生产用新型粉碎机
KR20010079302A (ko) 음식물 찌꺼기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3504622B2 (ja) 剥き栗の製造法
JP2004188339A (ja) 木質材の粉砕装置
CN207324984U (zh) 一种中医用中药材粉碎装置
JP6712426B2 (ja) 飼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213996160U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粉碎装置
CN218308418U (zh) 一种魔芋粉研磨装置
CN219187182U (zh) 一种药材粉碎机
CN213996152U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粉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